KR102494390B1 -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390B1
KR102494390B1 KR1020220050592A KR20220050592A KR102494390B1 KR 102494390 B1 KR102494390 B1 KR 102494390B1 KR 1020220050592 A KR1020220050592 A KR 1020220050592A KR 20220050592 A KR20220050592 A KR 20220050592A KR 102494390 B1 KR102494390 B1 KR 102494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vegetation
cut
fixing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학봉
강용희
유미
최병관
Original Assignee
공학봉
강용희
유미
미광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학봉, 강용희, 유미, 미광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공학봉
Priority to KR1020220050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 블럭을 절토부 옹벽을 간단하고 용이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는 옹벽 절토부 패널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절토부 옹벽에 사용되는 옹벽 절토부 패널로서, 절토부 패널(100)과, 상기 절토부 패널(1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삽입공(110)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식생 블럭(200)과, 상기 식생 블럭(20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절토부 패널(100)의 후면에 설치되는 평판 형상의 고정패널(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생 블럭(200)은, 내부에 오목한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식생부(210)와, 상기 식생부(2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삽입공(110)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다리부(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생 블럭의 다리부(220)는, 상기 식생부에 형성되는 지지부(221)와 상기 지지부(221)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부(221)보다 높게 형성되는 걸림부(222)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패널(300)이 상기 지지부(221)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걸림부(222)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식생 블럭(200)이 상기 절토부 패널(1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REINFORCED RETAINING WALL WITH PLANTATION PANEL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면에 앵커, 네일링, 락볼트와 결합하는 전면에 다수의 식생이 가능한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면에 앵커, 네일링, 락볼트와 결합하는 절토부 철근 콘크리트 절토부 패널식 옹벽은 토압에 저항하는 가장 일반적인 구조물로써, 도로, 철도, 항만, 방조제, 교대, 재개발 아파트 등 용지의 제한에 따른 토지의 최적 이용을 목적으로 사용한다.
주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옹벽 구조물로는 도로와 경계를 이루는 주택부지, 산기슭 등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토압 및 우수 등의 자연조건에 의해 이들이 붕괴를 막는 기능을 담당한다.
기존에는 옹벽 구조물의 경우, 설치 높이만큼 거푸집을 설치하여,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공법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사면에 철근 콘크리트로 제조한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 공법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새로 개발된 철근콘크리트 절토부 패널식 옹벽은 수직형으로 콘크리트 무색의 그대로 노출되어 주변조경과도 조화를 이루지 못한 전면콘크리트패널로 구성되어 자연 친환경이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11-0042410에서는 앵커 및 와이어를 이용하여 식생박스를 고정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앵커 및 와이어가 식생박스만을 고정하는 것이 아니나 절토부 패널도 함께 고정하여야 하는 바, 식생박스의 설치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존재점이 존재한다.
또한, 앵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식생박스만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풍부한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11-0042410(공개일자 2011년04월27일)
본 발명은 식생 블럭을 절토부 패널에 간단하고 용이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는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채,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절토부 패널(100)과, 상기 절토부 패널(1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삽입공(110)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식생 블럭(200)과, 상기 식생 블럭(20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절토부 패널(100)의 후면에 설치되는 평판 형상의 고정패널(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생 블럭(200)은, 내부에 오목한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식생부(210)와, 상기 식생부(2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삽입공(110)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다리부(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생 블럭의 다리부(220)는, 상기 식생부에 형성되는 지지부(221)와 상기 지지부(221)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부(221)보다 높게 형성되는 걸림부(222)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패널(300)이 상기 지지부(221)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걸림부(222)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식생 블럭(200)이 상기 절토부 패널(1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에서, 상기 식생 블럭의 다리부(220)는, 상기 식생부(210)의 상부에 설치되며 폭방향 내측 간격(d1)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다리부(221)와, 상기 제1다리부(221)의 하부로 높이 간격(h1)을 두고 폭방향 내측 간격(d1)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다리부(2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 다리부(221,222)는 각각 상기 식생부(210)에 형성되는 제1,2 지지부(221a,222a)와 제1,2 지지부(221a,222a)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2 걸림부(221b,222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 지지부(221a,222a)의 길이(l)는 상기 절토부 패널(100)의 두께(t1)와 상기 고정패널(300)의 두께(t2)의 합과 동일하거나 약간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2 걸림부(221b,222b)는 제1,2 지지부(221a,222a)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h)를 가지며 상기 삽입공(110)을 통과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에서, 상기 절토부 패널(100)의 삽입공(110)은, 폭방향으로 내측 간격(d1)을 가지면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삽입공(111)과, 상기 제1 삽입공(111)과 하방으로 높이 간격(h1)을 가지며 폭방향 내측 간격(d1)을 가지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삽입공(1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에서, 상기 고정패널(300)은 체결부(310)와 본체부(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310)는, 상부에 형성되는 제1체결부(311)와 상기 제1체결부(311)와 높이 간격(h1)을 가지도록 하부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체결부(3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320)는, 상기 제1체결부(311)와 제2체결부(312)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본체부(321)과, 상기 제2체결부(312)의 하부에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본체부(3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체결부(311,312)는 삽입공(110)의 폭방향 외측 간격(d2)보다 더 큰 폭(w)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2본체부(321,322)의 폭은 삽입공(110)의 폭방향 내측 간격(d1)과 동일한 폭(w2)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부(321)의 높이는 삽입공(110)의 높이 간격(h1)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에서, 상기 절토부 패널에는 복수 개의 식생 블럭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절토사면에 굴착공을 시공하고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고정부재의 단부를 절토부 패널(100)의 고정부재 설치홀(102)에 설치하여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절토부 패널(100)을 수직하게 시공하는 단계(s100); 상기 단계(s100)에서 시공된 절토부 패널(100)의 삽입공(110)에 식생 블럭(200)의 다리부(220)를 삽입하는 단계(s200); 상기 단계(s200)의 식생 블럭(200)의 다리부(220)에 고정패널(300)을 정면에서 삽입한 다음 하방으로 이동시켜 걸림부(222)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식생 블럭(200)을 절토부 패널(100)에 고정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시공방법에서, 상기 하나의 절토부 패널(100)에는 4개의 식생 블럭(200)을 바둑판 모양으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절토부 패널(100)을 격자 모양으로 시공함으로써 다수의 식생 옹벽이 전체적으로 바둑판 모양으로 식생 옹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식생 블럭을 절토부 패널에 설치하는 작업이 단순히 식생 블럭을 절토부 패널에 전방에서 삽입하고 후방에서 고정패널을 삽입하여 하방으로 끼우는 것만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식생 블럭의 설치방법이 마치 레고 블럭을 조립하는 것과 같이 간단하면서도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바, 식생이 가능한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을 형성하는 시공이 매우 쉽고, 간단하며 이로 인해 시공 시간, 비용 및 노력이 감소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절토부 패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식생 블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패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하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하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하는 측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옹벽 절토부 패널이 최종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10)은 절토부 패널(100)과, 상기 절토부 패널(200)의 정면에서 삽입되는 식생 블럭(200)과, 상기 식생 블럭(20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절토부 패널의 후면에 설치되는 고정패널(300)로 이루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절토부 패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절토부 패널(100)은 일반적인 철근 콘트리트 패널로서 공지된 구성으로 형성된다.
절토부 패널(100)의 둘레에는 식생 블럭(200)에 형성된 다리부(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삽입공(11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서는 삽입공(110)의 절토부 패널(100)의 둘레에 4개의 식생 블럭(2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4개의 삽입공(110)이 형성된 4개의 세트로 형성된다.
1개의 셋트의 삽입공(110)은 폭방향 내측 간격(d1)을 가지면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삽입공(111)과 상기 제1 삽입공(111)과 하방으로 높이 간격(h1)을 가지며 폭방향 내측 간격(d1)을 가지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삽입공(112)로 이루어진다.
삽입공(110)은 절토부 패널(100)의 두께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걸림부(220)가 관통하도록 걸림부(22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절토부 패널(100)의 중앙에는 앵커(a)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설치홀(102)이 형성된다.
도 2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식생 블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식생 블럭(200)은 식생부(210)와, 상기 식생부(2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는 다리부(220)로 이루어진다.
식생부(210)는 내부에 식생에 필요한 토사 등이 담겨질 수 있도록 상방은 개방되며 내부로 오목하게 오목부(21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식생부(210)는 원추 반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식생토사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리부(220)는 식생부(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다리부(221)와 상기 제1 다리부(221)의 하부로 높이 간격(h1)을 두고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다리부(222)로 이루어진다.
제1,2 다리부(221,222)는 각각 상기 식생부(210)에 형성되는 제1,2 지지부(221a,222a)와 제1,2 지지부(221a,222a)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2 걸림부(221b,222b)로 이루어진다.
제1,2 지지부(221a,222a)의 길이(l)는 절토부 패널(100)의 두께(t1)와 고정패널(300)의 두께(t2)의 합과 동일하거나 약간 길게 형성된다.
제1,2 걸림부(221b,222b)는 제1,2 지지부(221a,222a)의 높이보다 높게 높이차를 가지는 높이(h)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2 걸림부(221b,222b)는 삽입공(110)을 통과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절토부 패널(100)에는 4개의 식생 블럭(200)이 설치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절토부 패널(100)에는 1개의 식생 블럭(200)이 설치되거나 4개 이외의 복수 개의 식생 블럭(20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생 블럭의 다리부가 높이 방향으로 2열로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2개가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식생 블럭의 다리부가 폭방향 또는 높이방향으로 개수가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절토부 패널의 삽입공과 고정패널의 형상이 이에 대응하도록 변형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패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고정 패널(300)은 두께(t2)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체결부(310)와 본체부(320)로 이루어진다.
체결부(310)는 고정패널(3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체결부(311)와 제1체결부(311)의 하부에 높이 간격(h1)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체결부(312)로 이루어진다.
제1,2체결부(311,312)는 2개의 삽입공(110)의 폭방향 외측 간격(d2)보다 더 큰 폭(w1)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체부(320)는 상기 제1체결부(311)와 제2체결부(312)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본체부(321)과, 상기 제2체결부(312)의 하부에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본체부(322)로 이루어진다.
제1,2본체부(321,322)의 폭은 2개의 삽입공(110)의 폭방향 내측 간격(d1)과 동일한 크기의 폭(w2)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1본체부(321)의 높이는 높이 방향으로의 2개의 삽입공(110)의 높이 간격(h1)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식생 블럭(200)에 대해 1개의 고정 패널(300)이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러 2개 이상의 식생 블럭(200)이 1개의 고정 패널(3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패널(300)을 1개용 고정 패널을 연결하여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옹벽 절토부 패널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하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하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하는 측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옹벽 절토부 패널이 최종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앵커(a) 등의 고정부재를 토사부에 형성된 굴착공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고정부재의 단부를 절토부 패널(100)의 고정부재 설치홀(102)에 삽입하여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절토부 패널(100)을 수직하게 시공하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
단계(s100)은 일반적으로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다음으로, 식생 블럭(200)을 절토부 패널(100)에 삽입하는 단계(s200)를 수행한다.
단계(s200)에서는 식생 블럭(200)의 다리부(220)를 절토부 패널(100)의 정면에서 삽입공(110)으로 삽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식생 블럭(200)의 제1,2 다리부(221,222)의 제1,2 걸림부(221b,222b)의 각각이 절토부 패널(100)의 제1,2 삽입공(111,112)의 내부로 삽입되어 관통된다.
마지막으로, 고정패널(300)을 절토부 패널(100)에 삽입된 식생 블럭(200)의 다리부(220)에 대해 정면으로 삽입한 다음 하방으로 이동시켜 결합시키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
단계(s300)에서는 고정패널(300)의 절토부 패널(1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하게 되는 데, 이때 제1,2체결부(311,312)가 제1,2 걸림부(221b,222b)의 위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정면으로 삽입한다.
그런 다음 고정패널(30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1,2체결부(311,312)의 하부가 제1,2 걸림부(221b,222b)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제1,2 걸림부(221b,222b)와 제1,2 지지부(221a,222a)의 높이차에 의해 체결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종래기술에서는 식생 블럭을 절토부 패널에 고정하기 위해 식생 블럭에 고정부재를 설치한 형상이 요구되어 식생 블럭제조가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별도의 고정부재를 필요로 하며 이를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시공단계 가 소요되고 납기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시공 비용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설치된 절토부 패널의 전방에서 식생 블럭을 삽입하고 절토부 패널의 후방에서 고정패널을 삽입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만으로 식생 블럭을 절토부 패널에 설치하는 가능하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식생 블럭의 설치가 마치 레고 블럭의 조립과 같이 식생 블럭을 끼우고 고정패널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시공이 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시공노력, 비용, 시간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용이하게 설치된 식생 블럭에서 식물을 재배함으로써 기존의 무색콘크리트색의 단조로운 옹벽에서, 자연친화적 식생화분옹벽으로 주변조경, 주변건출물과의 조화를 이루며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친환경적인 절토우 옹벽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하나의 절토부 패널(100)에 4개의 식생 블럭(200)을 바둑판 모양으로 설치하고, 복수의 절토부 패널(100)을 격자 모양으로 시공함으로써 복수의 식생 옹벽이 전체적으로 바둑판 모양의 디자인을 가지게 함으로써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에 심미감을 더해주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 ; 절토부 패널 200 : 식생 블럭
300 :고정패널

Claims (7)

  1.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절토부 패널(100)과,
    상기 절토부 패널(1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삽입공(110)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식생 블럭(200)과,
    상기 식생 블럭(20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절토부 패널(100)의 후면에 설치되는 평판 형상의 고정패널(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생 블럭(200)은,
    내부에 오목한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식생부(210)와,
    상기 식생부(2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삽입공(110)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다리부(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생 블럭의 다리부(220)는, 상기 식생부에 형성되는 지지부(221)와 상기 지지부(221)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부(221)보다 높게 형성되는 걸림부(222)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패널(300)이 상기 지지부(221)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걸림부(222)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식생 블럭(200)이 상기 절토부 패널(100)에 고정되며,
    상기 식생 블럭의 다리부(220)는,
    상기 식생부(210)의 상부에 설치되며 폭방향 내측 간격(d1)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다리부(221)와,
    상기 제1다리부(221)의 하부로 높이 간격(h1)을 두고 폭방향 내측 간격(d1)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다리부(2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 다리부(221,222)는 각각 상기 식생부(210)에 형성되는 제1,2 지지부(221a,222a)와 제1,2 지지부(221a,222a)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2 걸림부(221b,222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 지지부(221a,222a)의 길이(l)는 상기 절토부 패널(100)의 두께(t1)와 상기 고정패널(300)의 두께(t2)의 합과 동일하거나 약간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2 걸림부(221b,222b)는 제1,2 지지부(221a,222a)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h)를 가지며 상기 삽입공(110)을 통과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절토부 패널(100)의 삽입공(110)은,
    폭방향으로 내측 간격(d1)을 가지면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삽입공(111)과,
    상기 제1 삽입공(111)과 하방으로 높이 간격(h1)을 가지며 폭방향 내측 간격(d1)을 가지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삽입공(112)로 이루어지는,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300)은 체결부(310)와 본체부(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310)는,
    상부에 형성되는 제1체결부(311)와 상기 제1체결부(311)와 높이 간격(h1)을 가지도록 하부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체결부(3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320)는,
    상기 제1체결부(311)와 제2체결부(312)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본체부(321)과,
    상기 제2체결부(312)의 하부에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본체부(3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체결부(311,312)는 삽입공(110)의 폭방향 외측 간격(d2)보다 더 큰 폭(w)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2본체부(321,322)의 폭은 삽입공(110)의 폭방향 내측 간격(d1)과 동일한 폭(w2)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부(321)의 높이는 삽입공(110)의 높이 간격(h1)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절토부 패널에는 복수 개의 식생 블럭이 설치되는,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6. 청구항 1, 3, 4,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절토사면에 굴착공을 시공하고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고정부재의 단부를 절토부 패널(100)의 고정부재 설치홀(102)에 설치하여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절토부 패널(100)을 수직하게 시공하는 단계(s100);
    상기 단계(s100)에서 시공된 절토부 패널(100)의 삽입공(110)에 식생 블럭(200)의 다리부(220)를 삽입하는 단계(s200);
    상기 단계(s200)의 식생 블럭(200)의 다리부(220)에 고정패널(300)을 정면에서 삽입한 다음 하방으로 이동시켜 걸림부(222)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식생 블럭(200)을 절토부 패널(100)에 고정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시공방법.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절토부 패널(100)에는 4개의 식생 블럭(200)을 바둑판 모양으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절토부 패널(100)을 격자 모양으로 시공함으로써 다수의 식생 옹벽이 전체적으로 바둑판 모양으로 식생 옹벽이 형성되는,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시공 방법.





KR1020220050592A 2022-04-25 2022-04-25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94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592A KR102494390B1 (ko) 2022-04-25 2022-04-25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592A KR102494390B1 (ko) 2022-04-25 2022-04-25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390B1 true KR102494390B1 (ko) 2023-02-06

Family

ID=8522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592A KR102494390B1 (ko) 2022-04-25 2022-04-25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3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827Y1 (ko) * 2003-09-19 2004-01-16 한국쥬다로 주식회사 망태판넬 연결장치
KR20100100093A (ko) * 2009-03-05 2010-09-15 오성훈 식생 옹벽패널
KR20110002580A (ko) * 2009-07-02 2011-01-10 강선욱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
KR20110042410A (ko) 2009-10-19 2011-04-27 (주) 신풍컨설턴트 식생 블록, 식생 블록 고정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 옹벽, 그리고 그 옹벽의 시공방법
KR20120136643A (ko) * 2011-06-09 2012-12-20 김창원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KR20150099916A (ko) * 2014-02-24 2015-09-02 (주)세종이엔씨 자연 친화적 옹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827Y1 (ko) * 2003-09-19 2004-01-16 한국쥬다로 주식회사 망태판넬 연결장치
KR20100100093A (ko) * 2009-03-05 2010-09-15 오성훈 식생 옹벽패널
KR20110002580A (ko) * 2009-07-02 2011-01-10 강선욱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
KR20110042410A (ko) 2009-10-19 2011-04-27 (주) 신풍컨설턴트 식생 블록, 식생 블록 고정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 옹벽, 그리고 그 옹벽의 시공방법
KR20120136643A (ko) * 2011-06-09 2012-12-20 김창원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KR20150099916A (ko) * 2014-02-24 2015-09-02 (주)세종이엔씨 자연 친화적 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729B2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4190384A (en) Concrete construction element system for erecting plant accommodating walls
KR101103142B1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817901B1 (ko) 절취사면 보강토옹벽 구조물
KR100698758B1 (ko) 네일보강 합벽식 옹벽 및 그 구축방법
KR102052591B1 (ko) 지오벨트 지지구, 지오벨트 고정장치 및 옹벽 시공방법
KR100801017B1 (ko) 조립식 수로용 옹벽
KR20100053270A (ko) 인장재와 프리캐스트 패널 및 프리캐스트 보강구를 구비한 절토부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494390B1 (ko)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99931B1 (ko) 강재띠 phc 말뚝과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급속시공 옹벽, 그 시공방법
KR102391702B1 (ko)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
KR101018903B1 (ko) 사면의 토사 흐름 방지 및 녹화를 위한 안정화 조립체
KR100794221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20190101950A (ko)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KR101394315B1 (ko) 식생 옹벽 구조물
JPS6011168Y2 (ja) 法面用土留壁構造体
JP2007255162A (ja) 仕切り壁用基礎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基礎ブロックユニット
KR200261607Y1 (ko) 옹벽 구축용 블록
KR100603920B1 (ko) 화분일체식 방음벽형 옹벽
KR100645600B1 (ko) 다중 결속방식의 축조블록과 이 축조블록을 이용한축조구조
JP3774459B2 (ja) 組立柵工
KR200235107Y1 (ko) 블록식 녹화 옹벽
JP3323752B2 (ja) 斜面安定工法
KR102626042B1 (ko) 식물재배장치
KR100728606B1 (ko) 전면 녹화 보강토 옹벽의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