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580A -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 - Google Patents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580A
KR20110002580A KR1020090060108A KR20090060108A KR20110002580A KR 20110002580 A KR20110002580 A KR 20110002580A KR 1020090060108 A KR1020090060108 A KR 1020090060108A KR 20090060108 A KR20090060108 A KR 20090060108A KR 20110002580 A KR20110002580 A KR 20110002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natural stone
wall block
block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선욱
Original Assignee
강선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선욱 filed Critical 강선욱
Priority to KR1020090060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580A/ko
Publication of KR20110002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가공한 후 버려지는 폐자연석재를 좁은 폭으로 절단한 후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옹벽축조시 사용되는 옹벽블럭의 전면에 대하여 그물망체를 매개로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접착함으로써 시공 후 옹벽의 외관이 한층 미려해질 수 있도록 하고,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리 및 보수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옹벽블럭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의 좌우 양쪽에는 정해진 크기와 높이를 갖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좌우의 걸림턱 사이에 해당되는 상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성토지 또는 절개지를 따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반복하여 적층·시공되는 옹벽블럭 본체와; 가공후 버려지는 자연석재를 설계에 따라 정해지는 폭과 길이로 절단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옹벽블럭 본체의 전면에 대하여 접착제로 부착되는 다수의 폐자연석재판으로 이루어진다.
Figure P1020090060108
옹벽블럭본체, 후면블럭, 전면블럭, 폐자연석재판

Description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Revetment-block in front of attached natural ston plats}
본 발명은 옹벽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한 후 버려지는 폐자연석재를 좁은 폭으로 절단한 후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옹벽축조시 사용되는 옹벽블럭의 전면에 대하여 그물망체를 매개로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접착함으로써 시공 후 옹벽의 외관이 한층 미려해질 수 있도록 하고,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리 및 보수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옹벽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擁壁)은 성토지나 절개지면의 흙이 토압(土壓)으로 인하여 무너지거나 흘러내리지 않도록 만든 벽체(壁體)를 일컫는 것으로,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 보다 가파른 경사도로 하였을 경우 지반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축조되는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옹벽은 성토지면이나 절개지면에 옹벽의 골격을 형성하는 철근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엮어 설치한 후 이들을 거푸집으로 감싼 다음 거푸집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함으로써 벽체를 형성하고, 벽체의 배면에 토사, 쇄석, 잡석 등을 포함하는 보강토를 채우는 방식으로 축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시공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많이 소모되어 막대한 시공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성토지면이나 절개지면을 따라 다수의 옹벽블럭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적층하여 쌓은 다음 그 배면에 잡석 등을 채우는 방식으로 축조하는 옹벽시공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옹벽블럭을 이용해 축조된 옹벽 역시 그 전체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최근 전면자연석이 부착된 옹벽블럭을 특허출원 제2008-0131833호로 제안하였다.
상기 특허출원 제2008-0131833호의 선행기술은 옹벽블럭 본체의 전면에 별도의 걸림편을 끼워 결합하고, 그 전면에 자연석재판을 부착시키는 것으로 기존의 옹벽블럭에 비하여 진일보된 기술이나, 옹벽블럭본체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워 취급이 불편하고 시공성이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옹벽블럭본체의 전면에 단일의 자연석재판이 부착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시공과정이나 시공 후 자연석재판이 손상되는 경우 자연석재판 전체를 교체해야 함에 따라 자원의 낭비가 극심하고, 경제적으로도 매우 불리하며, 유지보수비용이 크게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공한 후 버려지는 폐자연석재를 좁은 폭으로 절단한 후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옹벽축조시 사용되는 옹벽블럭의 전면에 대하여 그물망체를 매개로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접착함으로써 시공 후 옹벽의 외관이 한층 미려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옹벽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자연석재를 옹벽블럭의 장식재로 재활용함에 따라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옹벽시공 후 수리 및 보수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옹벽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럭은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의 좌우 양쪽에는 정해진 크기와 높이를 갖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좌우의 걸림턱 사이에 해당되는 상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성토지 또는 절개지를 따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반복하여 적층·시공되는 옹벽블럭 본체와; 가공후 버려지는 자연석재를 설계에 따라 정해지는 폭과 길이로 절단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옹벽블럭 본체의 전면에 대하여 접착제로 부착되는 다수의 폐자연석재판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럭은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바깥쪽이 좁고 안쪽이 넓은 사다리꼴 형태의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부면의 좌우 양쪽에는 정해진 크기와 높이를 갖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좌우의 걸림턱 사이에 해당되는 상부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성토지 또는 절개지를 따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반복하여 적층·시공되는 후면블럭과; 상기 후면블럭의 전후 두께에 비하여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후면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후면블럭상의 장착홈에 꼭맞게 끼워져 결합되는 장착편이 돌출된 전면블럭과; 가공후 버려지는 자연석재를 설계에 따라 정해지는 폭과 길이로 절단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블럭의 전면에 대하여 접착제로 부착되는 다수의 폐자연석재판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옹벽블럭본체의 전면과 폐자연석재판의 이면(裏面) 사이에는 옹벽블럭본체에 대한 폐자연석재판의 부착력을 강화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물망체가 끼워져 부착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면블럭의 전면과 폐자연석재판의 이면(裏面) 사이에는 전면블럭의 전면에 대한 폐자연석재판의 부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물망체가 부착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성토지면 또는 절개지면의 옹벽축조시 사용되는 옹벽블럭본체의 전면 또는 서로 분리 및 결합되는 후면블럭과 전면블럭으로 분리되어 구성된 옹벽블럭에서 상기 전면블럭의 전면에 가공한 후 버려지는 자연석재를 정해진 크기로 절단한 폐자연석재판이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후 옹벽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시공 과정이나 시공 후 옹벽블럭본체 또는 전면블럭의 전면에 부착된 폐자연석재판중 일부가 부분적으로 파손되는 경우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파손된 부분의 폐자연석재판만 떼어낸 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최소한의 유지보수비용으로 옹벽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럭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럭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럭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럭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또,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럭을 적층하여 옹벽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럭을 적층하여 옹벽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시공 후 옹벽의 외관이 한층 미려해질 수 있도록 하고, 폐자연석재를 옹벽블럭의 장식재로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옹벽시공 후 수리 및 보수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럭(10)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토지면(盛土地面) 또는 절개지면(切開地面) 같은 시공면(施工面:12)를 따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반복하여 적층시공될 수 있도록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재의 옹벽블럭본체(14)가 마련된다.
상기 옹벽블럭본체(14)는 그 상부면의 좌우 양쪽에 정해진 크기와 높이를 갖는 걸림턱(16)이 돌출·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우의 걸림턱(16) 사이에 해당되는 상부면에는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옹벽블럭본체(14')상의 걸림턱(16)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18)이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럭(10)에서 상기 옹벽블럭본체(14)의 상부면 뒷쪽에는 다수개의 옹벽블럭본체(14)를 횡방향으로 잇대어 시공하는 경우 각각의 옹벽블럭본체(14)를 연결하여 잡아주는 연결봉(2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봉삽입홈(22)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럭(10)에서는 옹벽블럭본체(14)의 전면에 별도의 폐자연석재판(24)이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폐자연석재판(24)은 가공 후 버려지는 자연석재를 설계에 따라 정해지는 폭과 길이로 절단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옹벽블럭본체(14)의 전면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접착제로 부착된다.
상기 옹벽블럭본체(14)의 전면에 대한 폐자연석재판(24)의 부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옹벽블럭본체(14)의 전면과 폐자연석재판의 이면(裏面) 사이에 별도로 마련되는 그물망체(26)가 개재(介在)된 상태에서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럭(50)에서는 성토지면 또는 절개지면 같은 시공면(施工面:12)를 따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반복하여 적층시공될 수 있도록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재의 후면블럭(52)과, 상기 후면블럭(52)의 전면에 끼워져 분리·결합가능하게 장착되는 별도의 전면블럭(54)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후면블럭(52)은 그 전면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바깥쪽이 좁고 안쪽이 넓은 사다리꼴 형태의 장착홈(56)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부면의 좌우 양쪽에는 정해진 크기와 높이를 갖는 걸림턱(58)이 돌출·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우의 걸림턱(58) 사이에 해당되는 상부면에는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옹벽블럭(50')을 구성하는 후면블럭(52)상의 걸림턱(56)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60)이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블럭(54)은 후면블럭(52)의 전후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그 앞쪽 표면에는 장식을 위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성형되거나 여러가지 형태의 문양이 성형될 수 있다.
또, 상기 전면블럭(54)의 후면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후면블럭(52)상에 형성된 장착홈(56)에 꼭맞게 끼워져 결합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장착편(62)이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블럭(26)의 앞면에는 별도의 별도의 폐자연석재판(64)이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폐자연석재판(64)은 가공 후 버려지는 자연석재를 설계에 따라 정해지는 폭과 길이로 절단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블럭(54)의 전면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접착제로 부착된다.
상기 전면블럭(54)의 전면에 대한 폐자연석재판(64)의 부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전면블럭(54)의 전면과 폐자연석재판(64)의 이면(裏面) 사이에는 별도로 마련되는 그물망체(66)가 개재(介在)된 상태에서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후면블럭(52)의 상부면 뒷쪽에는 다수의 후면블럭(52)을 횡방향으로 잇대어 시공하는 경우 각각의 후면블럭(52)을 연결하여 잡아주는 연결봉(68)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봉삽입홈(70)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후면블럭(52)상에 형성된 장착홈(56)의 좌우 가장자리면과 전면블럭(54)상에 형성된 장착편(62) 상부면의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는 전면블럭(54)이 후면블럭(52)상의 창작홈(56)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유동방지편(72)이 끼워져 삽입되는 유동방지편 삽입홈(74)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럭(10)을 이용하여 성토지면 또는 절개지면 같은 시공면(12)에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 다수개의 옹벽블럭(10)(10')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잇대어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적층시킨다.
이 경우 시공면(12)상의 기저부에 어느 하나의 옹벽블럭(10)이 배치된 상태 에서 그 윗부분의 어긋난 위치에 다른 옹벽블럭(10)을 올려 놓고 조적하는데, 이 경우 아랫쪽에 위치되는 옹벽블럭(10)을 구성하는 옹벽블럭본체(14)의 상부면에 형성된 걸림턱(16)이 윗쪽에 위치되는 옹벽블럭(10)의 옹벽블럭본체(14)에 형성된 관통공(18)의 일측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면 다수의 옹벽블럭(10)이 종방향으로 조적된다(도 5 참조).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럭(10)을 횡방향으로 축조하는 경우, 서로 잇대어 놓여진 다수개의 옹벽블럭(10)을 구성하는 옹벽블럭본체(14)의 상부면에 형성된 연결봉삽입홈(22)에 강봉으로 이루어진 연결봉(20)을 끼워 연결하고 상기 연결봉(20)의 양단을 별도의 구조물에 고정시키면, 다수의 옹벽블럭(10)이 횡방향으로 잇대어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럭(50)을 이용하여 성토지면 또는 절개지면 같은 시공면(12)에 옥벽을 축조하는 경우 다수개의 옹벽블럭(50)(50')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잇대어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적층시킨다.
이를 위하여, 먼저 별도로 제작된 전면블럭(54)상의 장착편(62)을 위쪽 또는 아랫쪽으로부터 후면블럭(52)의 전면에 형성된 장착홈(56)에 맞추어 끼워 결합하고, 상기 장착홈(56)의 가장자리면과 장착편(62)의 상부면의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된 유동방지편삽입홈(74)에 별도의 유동방지편(72)을 맞추어 끼우면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옹벽블럭(50)이 결합된 상태에서 그 윗부분의 어긋난 위치에 다른 옹벽블럭(50')을 올려 놓고 조적하는데, 이 경우 아랫쪽에 위치되는 옹벽블럭(50)의 후면블럭(52)상의 걸림턱(58)이 윗쪽에 위치되는 옹벽블럭(50')의 후면블럭(52)에 형성된 관통공(60)의 일측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면 다수의 옹벽블럭(50)(50')이 종방향으로 조적된다(도 6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럭(50)(50')을 횡방향으로 축조하는 경우, 서로 잇대어 놓여진 다수개의 옹벽블럭을 구성하는 각각의 후면블럭(52) 상부면에 형성된 연결봉삽입홈(70)에 강봉으로 이루어진 연결봉(68)을 끼워 연결하고 상기 연결봉(68)의 양단을 별도의 구조물에 고정시키면, 다수의 옹벽블럭(50)(50')이 잇대어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옹벽블럭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자연석재를부착한 옹벽블럭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을 적층하여 옹벽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을 적층하여 옹벽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시공면 14 : 옹벽블럭본체
16,58 : 걸림턱 18,60 : 관통공
20,68 : 연결봉 22,70 : 연결봉삽입홈
24, 64 : 폐자연석재판 26,66 : 그물망체
52 : 후면블럭 54 : 전면블럭
56 : 장착홈 62 : 장착편
72 : 유동방지편 74 : 유동방지편삽입홈.

Claims (4)

  1.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의 좌우 양쪽에는 정해진 크기와 높이를 갖는 걸림턱(16)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좌우의 걸림턱(16) 사이에 해당되는 상부면에는 관통공(18)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성토지면 또는 절개지면의 시공면(12)을 따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반복하여 적층·시공되는 옹벽블럭본체(14)와;
    가공 후 버려지는 자연석재를 설계에 따라 정해지는 폭과 길이로 절단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옹벽블럭본체(14)의 전면에 대하여 접착제로 부착되는 다수의 폐자연석재판(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
  2.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바깥쪽이 좁고 안쪽이 넓은 사다리꼴 형태의 장착홈(56)이 형성되며, 상부면의 좌우 양쪽에는 정해진 크기와 높이를 갖는 걸림턱(58)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좌우의 걸림턱(58) 사이에 해당되는 상부면에는 관통공(6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성토지면 또는 절개지면의 시공면(12)을 따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반복하여 적층·시공되는 후면블럭(52)과;
    상기 후면블럭(52)의 전후 두께에 비하여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후면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후면블럭(52)상의 장착홈(56)에 꼭맞게 끼워져 결합되는 장착 편(62)이 돌출된 전면블럭(54)과;
    가공후 버려지는 자연석재를 설계에 따라 정해지는 폭과 길이로 절단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블럭(54)의 전면에 대하여 접착제로 부착되는 다수의 폐자연석재판(6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럭본체(14)의 전면과 폐자연석재판(24)의 이면(裏面) 사이에는 옹벽블럭본체(14)에 대한 폐자연석재판(24)의 부착력을 강화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물망체(26)가 끼워져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블럭(54)의 전면과 폐자연석재판(64)의 이면(裏面) 사이에는 전면블럭(54)의 전면에 대한 폐자연석재판(64)의 부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물망체(66)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
KR1020090060108A 2009-07-02 2009-07-02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 KR20110002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108A KR20110002580A (ko) 2009-07-02 2009-07-02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108A KR20110002580A (ko) 2009-07-02 2009-07-02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80A true KR20110002580A (ko) 2011-01-10

Family

ID=43610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108A KR20110002580A (ko) 2009-07-02 2009-07-02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58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965B1 (ko) * 2011-07-21 2013-07-02 바위산업 주식회사 건설용 석재블록
WO2014007449A1 (ko) * 2012-07-02 2014-01-09 Bae Dae Hyun 화강석 석분을 이용한 이중 바닥재
KR101975502B1 (ko) 2018-11-07 2019-05-08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
KR101990498B1 (ko) 2018-12-28 2019-06-18 에스와이시 주식회사 내진설계된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CZ308753B6 (cs) * 2020-02-06 2021-04-28 Praha 10 Petříš Aleš Stavební prvek a způsob jeho výroby
KR102494390B1 (ko) * 2022-04-25 2023-02-06 공학봉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965B1 (ko) * 2011-07-21 2013-07-02 바위산업 주식회사 건설용 석재블록
WO2014007449A1 (ko) * 2012-07-02 2014-01-09 Bae Dae Hyun 화강석 석분을 이용한 이중 바닥재
KR101975502B1 (ko) 2018-11-07 2019-05-08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
KR101990498B1 (ko) 2018-12-28 2019-06-18 에스와이시 주식회사 내진설계된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CZ308753B6 (cs) * 2020-02-06 2021-04-28 Praha 10 Petříš Aleš Stavební prvek a způsob jeho výroby
KR102494390B1 (ko) * 2022-04-25 2023-02-06 공학봉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2580A (ko)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
KR100930886B1 (ko)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KR101085250B1 (ko) 반분리형 옹벽블럭의 장식스톤 장착구조와 그 시공법
KR101151520B1 (ko) 금형틀에 의한 전면에 자연석재판이 장착된 패널의 제조방법
KR101035462B1 (ko) ┳형 넛트에 의한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KR101201610B1 (ko) ┳형 결착구에 의한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KR101018664B1 (ko) 전면자연석이 부착된 옹벽블록
KR100970303B1 (ko) 옹벽블럭
KR101679474B1 (ko) 장식판재가 장착되는 옹벽블록
KR101148228B1 (ko) 강성그리드가 구비된 옹벽블럭의 장착구조
KR101802351B1 (ko)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CN110984692B (zh) 一种利于施工的围墙立柱
KR101088477B1 (ko)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공법
KR101610263B1 (ko)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프레임 일체형 게비온 구조물
KR101225070B1 (ko) 전면판이 결합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490212B1 (ko) 측면이 보강된 개비온
KR200434425Y1 (ko) 사면보강 조립식 거푸집
KR101260372B1 (ko)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CN110984691A (zh) 一种围墙立柱施工方法
KR101285293B1 (ko) 식생옹벽블록 금형장치
KR102409262B1 (ko) 전면 대리석 장식패널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럭
CN110984693B (zh) 一种在浇筑时保持围墙立柱面板对齐的方法
KR100639097B1 (ko) 칼라 투수콘 개비온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적합한칼라 투수콘 개비온 조립체
KR200152667Y1 (ko) 문양 거푸집의 구조
KR20070064420A (ko) 돌망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