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372B1 -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372B1
KR101260372B1 KR1020110020611A KR20110020611A KR101260372B1 KR 101260372 B1 KR101260372 B1 KR 101260372B1 KR 1020110020611 A KR1020110020611 A KR 1020110020611A KR 20110020611 A KR20110020611 A KR 20110020611A KR 101260372 B1 KR101260372 B1 KR 101260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uffer
cell
coupling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2442A (ko
Inventor
이태원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1020110020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37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자인인 가능한 완충블럭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몸체와 몸체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제1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전면판, 셀벽이 교차되어 생성되는 다양한 모양의 셀과 셀 사이 또는 외측면과 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걸림홈이 있는 제1결합재와 뒷면 일측에 셀 사이 또는 외측면과 셀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2결합재로 이루어진 완충부재, 전/후면 일측에 전/후면을 관통하여 생성된 제1관통공이 있는 제2연결부재, 일단이 제2연결부재의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완충부재의 제2결합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연결부재의 후면에 정착되는 방법으로 완충부재의 뒷면에 제2연결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재 및 제2연결부재가 결합되도록 헤드의 전면 일측에 결합홈이 있는 블럭으로 구성되되, 제1연결부재의 끝이 제1결합재의 걸림홈에 결합되어 전면판이 완충부재에 고정되고, 완충부재가 연결된 제2연결부재가 블럭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에 관한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자인인 가능한 완충블럭을 사용하여 만드는 옹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블럭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옹벽에 있어서, 지반에 설치되는 기초, 몸체와 몸체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제1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전면판, 셀벽이 교차되어 생성되는 다양한 모양의 셀과 셀 사이 또는 외측면과 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걸림홈이 있는 제1결합재와 뒷면 일측에 셀 사이 또는 외측면과 셀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2결합재로 이루어진 완충부재, 전/후면 일측에 상기 전/후면을 관통하여 생성된 제1관통공이 있는 제2연결부재, 일단이 제2연결부재의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완충부재의 제2결합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연결부재의 후면에 정착되는 방법으로 완충부재의 뒷면에 제2연결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재, 전면에 결합홈이 있는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 헤드와 일단이 헤드의 끝에 연결되는 'Y' 형태로 이루어진 몸통과 일단이 몸통의 타단에 연결되는 하부로 이루어지되, 헤드의 상면/하면 일측에 상면/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되 하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제2관통공과 몸통의 상면/하면 일측에 상면/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3관통공 및 헤드와 하부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재가 있는 블럭 및 블럭 뒷편에 성토되는 성토재로 구성되되, 블럭을 기초 위에 수평으로 배열되고 수직으로 적층되도록 설치하고, 완충부재가 연결된 제2연결부재를 적층되어 쌓여진 각각의 블럭의 결합홈에 결합시키고, 전면판의 제1연결부재를 각각의 완충부재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을 사용한 옹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A buffing block that is possible a design, and a breast wall using it,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e breast wall }
본 발명은 디자인이 가능한 전면판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재를 사용한 완충블럭과 이를 이용하여 만드는 외관이 미려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擁壁)은 성토지나 절개지면의 흙이 토압(土壓)으로 인하여 무너지거나 흘러내리지 않도록 만든 벽체(壁體)를 일컫는 것으로,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 보다 가파른 경사도로 하였을 경우 지반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축조되는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옹벽은 성토지면이나 절개지면에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있어 시공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많이 소모되어 막대한 시공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성토지면이나 절개지면을 따라 다수의 옹벽블럭을 적층하고 그 배면에 잡석 등을 채우는 방식으로 축조하는 옹벽시공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옹벽블럭은 콘크리트 등으로 제조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식을 붙인 블록을 이용하고 있으나 장식과 블럭 사이에 접착력이 약하여 옹벽에 붙이는 장식물들이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 충격에 의하여 블럭이 파손되는 경우 이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옹벽블럭을 전부 분해해서 들어내어야 하는 등 많은 불편함이 있었고, 차량 등이 옹벽에 부딪쳤을 경우 차량에 막대한 충격을 주어 차량의 탑승자가 큰 데미지를 입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에서 제작된 블럭에 완충부재와 전면판을 결합시킨 완충블럭을 제공하여 외부하중에 의한 충격에 강하고 옹벽의 미관을 미려하게 하는데 있다. 또한 전면판이 완충부재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외관을 바꾸거나 파손시 손 쉽게 교체할 수 있어 보수,유지비용이 적게드는 완충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블럭을 기초부재 수평으로 배열 및 수직으로 적층하는 방법으로 옹벽을 시공함으로 인해 시공공기와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옹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와 몸체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제1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전면판, 셀벽이 교차되어 생성되는 다양한 모양의 셀과 셀 사이 또는 외측면과 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걸림홈이 있는 제1결합재와 뒷면 일측에 셀 사이 또는 외측면과 셀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2결합재로 이루어진 완충부재, 전/후면 일측에 전/후면을 관통하여 생성된 제1관통공이 있는 제2연결부재, 일단이 제2연결부재의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완충부재의 제2결합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연결부재의 후면에 정착되는 방법으로 완충부재의 뒷면에 제2연결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재 및 제2연결부재가 결합되도록 헤드의 전면 일측에 결합홈이 있는 블럭으로 구성되되, 제1연결부재의 끝이 제1결합재의 걸림홈에 결합되어 전면판이 완충부재에 고정되고, 완충부재가 연결된 제2연결부재가 블럭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럭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옹벽에 있어서, 지반에 설치되는 기초, 몸체와 몸체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제1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전면판, 셀벽이 교차되어 생성되는 다양한 모양의 셀과 셀 사이 또는 외측면과 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걸림홈이 있는 제1결합재와 뒷면 일측에 셀 사이 또는 외측면과 셀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2결합재로 이루어진 완충부재, 전/후면 일측에 상기 전/후면을 관통하여 생성된 제1관통공이 있는 제2연결부재, 일단이 제2연결부재의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완충부재의 제2결합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연결부재의 후면에 정착되는 방법으로 완충부재의 뒷면에 제2연결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재, 전면에 결합홈이 있는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 헤드와 일단이 헤드의 끝에 연결되는 'Y' 형태로 이루어진 몸통과 일단이 몸통의 타단에 연결되는 하부로 이루어지되, 헤드의 상면/하면 일측에 상면/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되 하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제2관통공과 몸통의 상면/하면 일측에 상면/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3관통공 및 헤드와 하부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재가 있는 블럭 및 블럭 뒷편에 성토되는 성토재로 구성되되, 블럭을 기초 위에 수평으로 배열되고 수직으로 적층되도록 설치하고, 완충부재가 연결된 제2연결부재를 적층되어 쌓여진 각각의 블럭의 결합홈에 결합시키고, 전면판의 제1연결부재를 각각의 완충부재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을 이용한 옹벽을 제공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블럭을 공장에서 제작하여 설치함으로 인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공장에서 일률적으로 생산되어 옹벽의 품질이 일정하고 우수하다.
둘째, 디자인이 가능한 전면판의 설치로 인하여 미관이 미려해지고, 전면판이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함으로 인해 유지,보수비가 적게 들어 경제적이다.
셋째, 완충부재의 사용으로 인하여 외부하중에 대한 충격흡수가 용이하여 블럭의 손상이 적어 경제적이고, 외부충격을 가하는 차량 등에 파손이 적어 안정적이다.
넷째, 현장에서 블럭을 간단히 조립하여 옹벽을 만들 수 있으므로 공사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블럭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 사시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도3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도3의 후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 사시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결합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결합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블럭을 사용하여 시공된 옹벽의 전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블럭을 사용하여 시공된 옹벽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에서 고정재와 보강재가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에서 고정재와 보강재가 설치된 평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블럭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 사시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도3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도3의 후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 사시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결합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결합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옹벽에서 사용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블럭(10)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제1연결부재(120)로 이루어진 전면판(100), 셀벽(211)이 교차되어 생성되는 다양한 모양의 셀(210)과 셀(210) 사이 또는 외측면(220)과 셀(2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걸림홈(231)이 있는 제1결합재(230)와 뒷면 일측에 셀(210) 사이 또는 외측면(220)과 셀(210)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2결합재(240)로 이루어진 완충부재(200), 전/후면 일측에 전/후면을 관통하여 생성된 제1관통공(310)이 있는 제2연결부재(300), 일단이 제2연결부재(300)의 제1관통공(310)을 관통하여 완충부재(200)의 제2결합재(24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연결부재(300)의 후면에 정착되는 방법으로 완충부재(200)의 뒷면에 제2연결부재(30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재(400) 및 제2연결부재(300)가 결합되도록 헤드(510)의 전면 일측에 결합홈(511)이 있는 블럭(500)으로 구성되되, 제1연결부재(120)의 끝이 제1결합재(230)의 걸림홈(231)에 결합되어 전면판(100)이 완충부재(200)에 고정되고, 완충부재(200)가 연결된 제2연결부재(300)가 블럭(500)의 결합홈(51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면판(100)은 몸체(110)와 제1연결부재(120)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110)의 외형은 옹벽(20)의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모양의 형태로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사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다. 몸체(110)의 바깥면은 디자인의 형태에 따라 볼록하게 양각되어 있을 수도 있고, 오목하게 음각이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몸체(110)의 바깥면은 계획된 디자인에 맞게 양각과 음각이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몸체(110)의 바깥면은 디자인의 밑그림에 맞게 상기 형태에 색채가 추가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제1연결부재(120)는 몸체(110)의 안쪽면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뒷에서 설명하는 완충부재(20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형태로 몸체(110)의 안쪽면에서 돌출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긴 막대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연결부재(120)는 끝단에 걸림고리(121)가 생성되어 있어 완충부재(200)의 걸림홈(231)에 제1연결부재(120)가 끼움 결합 되어 완충부재(200)의 전면에 고정된다. 전면판(100)이 완충부재(200) 바깥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됨으로 인해 언제든 장소, 지형, 지물에 맞게 전면판(100)의 교체가 가능하다. 즉 전면판(100)에 손상이 있거나 디자인을 교체하고 싶을 때 해당 전면판(110)만 탈착시켜 교체하면 된다. 전면판(100)은 목재, 플라스틱, 스틸 등의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어 제작된다.
완충부재(200)는 셀(210), 제1결합재(230)와 제2결합재(240)로 이루어져 있다. 셀(210)은 셀벽(211)이 교차되어 다양한 모양으로 생성되어 있는데 주로 삼각형이나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완충부재(200)는 셀(210) 형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가해지는 충격을 쉽게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을 가하는 물체에도 충격이 덜 가고, 기후변화에 따른 뒤틀림에 의해서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완충부재(200)의 셀벽(211) 일측에 완충공(212)이 생성되어 있어 가해지는 충격 등을보다 안전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셀에 LED, 전구 등을 결합시켜 표지판, 광고판 등으로 사용될 수 있고, 셀에 LED, 전구 등이 결합된 완충부재(200)에 전면판(100)이 결합되어 좀더 미적인 옹벽을 만들 수 있다.
제1결합재(230)는 셀(210) 사이 또는 외측면(220)과 셀(2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걸림홈(231)이 있다. 제1결합재(230)의 걸림홈(231)은 전면판(100)의 제1연결부재(120)가 끼움 결합되는 곳이다. 전면판(100)이 완충부재(200)에 계획된 디자인에 맞게 결합됨으로 인해 옹벽(20) 전체가 미려해 진다. 즉 다양한 형태의 모양이 전면판(100)의 몸체(110)에 생성되어 있고 이런 전면판(100)을 계획된 디자인에 따라 완충부재(200)의 걸림홈(231)에 결합시킴으로 인해 옹벽(20)의 표면에 각종 그림을 형상화할 수 있다.
제2결합재(240)는 완충부재(200)의 뒷면 일측에 셀(210) 사이 또는 외측면(220)과 셀(210)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제2결합재(240)는 뒤에서 설명하는 연결재(400)가 결합되어 완충부재(200)의 뒷면에 제2연결부재(300)가 결합되도록 한다. 제2결합재(240)는 연결재(400)가 결합되는 곳으로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어떠한 재료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너트를 사용한다. 완충부재(200)는 목재, 플라스틱, 스틸 등의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어 제작된다.
제2연결부재(300)는 전/후면 일측에 전/후면을 관통하여 생성된 제1관통공(310)이 생성되어 있다. 제2연결부재(300)는 뒤에서 설명하는 블럭(500)의 결합홈(511)의 모양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형상되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T'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2연결부재(300)의 폭이 좁은 부분이 완충부재(200)의 뒷면에 결합된다. 제1관통공(310)은 뒤에서 설명하는 연결재(400)가 관통하여 완충부재(200)의 뒷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로써 제2연결부재(30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생성된 것이다. 제2연결부재(300)의 타단에는 연결재(400)의 타단이 정착되도록 정착홈(320)이 생성되어 있다. 즉 정착홈(320)은 제1관통공(310) 끝에 생성되어 있다. 제2연결부재(300)는 목재, 플라스틱, 스틸 등의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어 제작된다.
연결재(400)는 일단이 제2연결부재(300)의 제1관통공(310)을 관통하여 완충부재(200)의 제2결합재(24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연결부재(300)의 후면에 정착되는 방법으로 완충부재(200)의 뒷면에 제2연결부재(30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한다. 연결재(400)에 의하여 제2연결부재(300)가 완충부재(200)의 뒷면에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연결재(400)는 제2연결부재(300)를 완충부재(200)에 결합되게 할 수 있는 재료이면 어떤 재료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볼트를 사용한다.
블럭(500)은 헤드(510), 몸통(520) 및 하부(530)로 이루어져 있다. 헤드(510)는 두께가 있는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전면에는 결합홈(511)이 있어 제2연결부재(300)가 결합된다. 결합홈(511)은 제2연결부재(300)의 결합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역'T'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2연결부재(300)와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결합된다. 몸통(520)은 일단이 헤드(510)의 끝에 연결되는 'Y'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하부(530)는 몸통(520)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다.
제2관통공(540)은 헤드(510)의 상면/하면 일측에 상면/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되 하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진다. 즉 블럭(500)이 지그재그로 적층 될 때 블럭(500)의 작아진 하면에 돌출재(5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제3관통공(550)은 몸통(520)의 상면/하면 일측에 상면/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돌출재(560)는 헤드(510)와 하부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어 있다. 헤드(510)의 돌출재(560)는 블럭(500)이 지그재그로 적층될 때 제2관통공(540)의 끝에 결합되어 수평응력에 대한 저항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돌출재(560)는 상면에 돌출되어 있어 블럭(500)을 적층시 블럭(500)끼리 직접 부딪치지 않도록 하여 이동시에 파손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또한 몸통(520)의 상면 일측에 고정공(570)이 형성되어 있어 뒤에서 설명하는 고정재(800)의 일단이 결합된다. 블럭(500)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어떠한 재료든 사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블럭을 사용하여 시공된 옹벽의 전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블럭을 사용하여 시공된 옹벽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블럭(10)을 사용하여 완성된 옹벽(20)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블럭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옹벽에 있어서, 지반(1)에 설치되는 기초(600), 몸체(110)와 몸체(110)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제1연결부재(120)로 이루어진 전면판(100), 셀벽(211)이 교차되어 생성되는 다양한 모양의 셀(210)과 셀(210) 사이 또는 외측면(220)과 셀(2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걸림홈(231)이 있는 제1결합재(230)와 뒷면 일측에 셀(210) 사이 또는 외측면(220)과 셀(210)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2결합재(240)로 이루어진 완충부재(200), 전/후면 일측에 상기 전/후면을 관통하여 생성된 제1관통공(310)이 있는 제2연결부재(300), 일단이 제2연결부재(300)의 제1관통공(310)을 관통하여 완충부재(200)의 제2결합재(24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연결부재(300)의 후면에 정착되는 방법으로 완충부재(200)의 뒷면에 제2연결부재(30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재(400), 전면에 결합홈(511)이 있는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 헤드(510)와 일단이 헤드(510)의 끝에 연결되는 'Y' 형태로 이루어진 몸통(520)과 일단이 몸통(520)의 타단에 연결되는 하부(530)로 이루어지되, 헤드(510)의 상면/하면 일측에 상면/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되 하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제2관통공(540)과 몸통(520)의 상면/하면 일측에 상면/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3관통공(550) 및 헤드(510)와 하부(530)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재(560)가 있는 블럭(500) 및 블럭(500) 뒷편에 성토되는 성토재(700)로 구성되되, 블럭(500)을 기초(600) 위에 수평으로 배열되고 수직으로 적층되도록 설치하고, 완충부재(200)가 연결된 제2연결부재(300)를 적층되어 쌓여진 각각의 블럭(500)의 결합홈(511)에 결합시키고, 전면판(100)의 제1연결부재(110)를 각각의 완충부재(200)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설명되어 지지 않은 구성은 상기 완충블럭에서 설명된 것으로 한다.
기초(600)는 옹벽(20)이 세워지는 부분의 지반(1)에 설치되는 것으로 버림콘크리트가 사용되거나 골재가 성토되어 형성된다. 기초(600)는 블럭(500)들을 안정적으로 적층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면판(100)은 몸체(110)와 제1연결부재(120)로 구성되어 있다. 제1연결부재(120)는 끝단에 걸림고리(121)가 생성되어 있어 완충부재(200)의 걸림홈(231)에 제1연결부재(120)가 끼움 결합 된다.
완충부재(200)는 전면판(100)이 결합되는 곳으로 외부하중에 대한 충격 및 기후변화에 따른 뒤틀림에 강하다. 또한 완충부재(200)의 셀벽(211) 일측에 완충공(212)이 생성되어 있어 외부하중에 대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을 가하는 물체에도 충격이 덜 간다.
성토재(700)는 블럭(500)의 뒷편에 성토되는 것으로 블럭(500)을 모두 적층한 후에 성토 될 수 있고, 블럭(500)을 한층씩 쌓을때 마다 블럭(500)의 뒷편에 성토될 수 있다. 성토재(700)는 블럭(500)의 뒷편에 성토될 수 있으면 어떠한 재료라도 상관없으나 가능하면 배수가 양호한 양질의 토사가 사용된다. 성토재(700)는 때에 따라서 레미콘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블럭(500)의 헤드(510)는 전면에 있는 결합홈(511)이 역T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2연결부재(300)는 결합홈(51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하중에 의하여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즉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구조이다.
블럭(500)의 몸통(520)은 상면 일측에 고정공(570)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재(800)의 일단이 고정공(570)에 삽입되어 고정재(800)가 블럭(500)에 고정된다. 보강재(810)는 일단이 고정재(80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성토되는 흙속에 삽입되어 성토재(700)의 자중에 의해서 고정된다. 고정재(8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며 보강재(810)의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공(570)에 고정될 수 있으면 어떠한 재료든지 가능하다. 또한 보강재(81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서 성토재(700)의 자중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으면 어떠한 재료든지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지오 그리드가 사용된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에서 고정재와 보강재가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에서 고정재와 보강재가 설치된 평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0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블럭(10)을 사용하여 옹벽(20)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블럭을 적층하여 옹벽(20)을 만드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지반(1) 위에 기초(600)를 설치하는 단계, (b) 전면에 결합홈(511)이 있는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 헤드(510)와 일단이 헤드(511)의 끝에 연결되는 'Y' 형태로 이루어진 몸통(520)과 일단이 몸통(520)의 타단에 연결되는 하부(530)로 이루어지되, 헤드(510)의 상면/하면 일측에 상면/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되 하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제2관통공(540)과 몸통(520)의 상면/하면 일측에 상면/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3관통공(550) 및 헤드(510)와 하부(530)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재(560)와 몸통(520) 상면 일측에 생성되어 있는 고정공(570)이 있는 블럭(500)을 기초(600) 위에 수평으로 배열되고 수직으로 적층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c) 블럭(500)의 뒷편에 성토재(700)를 성토하는 단계, (d) 연결재(400)가 사용되어 셀벽(211)이 교차되어 생성되는 다양한 모양의 셀(210)과 셀(210) 사이 또는 외측면(220)과 셀(2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걸림홈(231)이 있는 제1결합재(230)와 뒷면 일측에 셀(210) 사이 또는 외측면(220)과 셀(210)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2결합재(240)로 이루어진 완충부재(200)의 뒷면에 제2연결부재(300)를 결합시킨 구성을 블럭(500)의 결합홈(511)에 각각 결합시키는 단계 및 (e) 설계된 디자인에 맞게 전면판(100)의 제1연결부재(120)를 완충부재(200)의 걸림홈(231)에 결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설명되어 지지 않은 구성은 상기 완충블럭 및 옹벽에서 설명된 것으로 한다.
(b)단계에서 블럭(500)을 적층한 후 블럭(500)의 뒷편에 성토재(700)를 성토한다. 성토재(700)는 블럭(500)을 모두 적층한 후 성토될 수 있으나 블럭(500)을 한층씩 적층할때 마다 성토할 수도 있다.
(b)단계에서 블럭(500)의 고정공(570)에 고정재(800) 일단을 삽입하고, 고정재(800)의 타단에 보강재(810)의 일단을 결합시키고 보강재(810)의 타단이 성토되는 흙속에 삽입되어 성토재(700)의 자중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한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810)는 강성 지오그리드로써 일단이 고정재(800)에 결합되어 블럭(500)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블럭(500)의 높이만큼 성토된 성토재(700) 위에 설치되고 다음단계에 성토되는 성토재(700)에 의해서 고정된다. 보강재(810)가 연성 지오그리드 일 경우에는 고정재(800)가 아닌 블럭(500)의 자중에 의해서 보강재(810)의 일단이 블럭(500)에 고정될 수 있다.
(b)단계에서 블럭(500)을 기초(600)위에 수평으로 일단 설치하고, 그 후에 설치된 1단의 블럭(500) 위에 블럭(500)을 2단으로 설치하되 2단에 설치되는 블럭(500)은 제2관통공(540)의 일단이 블럭(500) 상면에 있는 돌출재(560)에 연결되도록 1단에 설치되는 블럭(500)의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블럭(500)간의 조립은 옹벽(20)의 축조시 자동으로 상부 블럭(500)이 하부 블럭(500)보다 뒤로 물러나도록 하는 방법으로써 옹벽(20)의 구조가 보다 안정적이다. 블럭(500)은 단순하게 수직쌓기로 적층될 수 있으나 지그재그 쌓기로 블럭(500)을 적층하여 외부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높였다. 즉 블럭(500)이 지그재그로 적층 될 때 블럭(500)의 하면에 있는 제2관통공(540)에 돌출재(5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블럭(500)간의 결합력을 높였다.
(d)단계는 전면판(100)을 완충부재(200)에 결합시켜 계획된 디자인에 맞게 옹벽(20)의 외관을 만드는 단계이다. 다양한 셀(210)로 구성된 완충부재(200)는 외부충격에 강한 구조이다. 완충부재(200)는 셀벽(211) 일측에 완충공(212)을 더 만들어 외부충격을 더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전면판(100)은 제1연결부재(120)에 의하여 완충부재(200)에 쉽게 탈 부착이 가능하여 옹벽(20)의 외관을 바꾸거나 일부 파손이 있을시 쉽게 전면판(100)을 교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 : 지반 10 : 완충블럭
20 : 옹벽 100 : 전면판
110 : 몸체 120 : 제1연결부재
200 : 완충부재 210 : 셀
220 : 외측면 230 : 제1결합재
240 : 제2결합재
300 : 제2연결부재 310 : 제1관통공
320 : 정착홈 400 : 연결재
500 : 블럭 510 : 헤드
520 : 몸통 530 : 하부
540 : 제2관통공 550 : 제3관통공
560 : 돌출재 570 : 고정공
600 : 기초 700 : 성토재
800 : 고정재 810 : 보강재

Claims (17)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제1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전면판;
    셀벽이 교차되어 생성되는 다양한 모양의 셀과 상기 셀 사이 또는 외측면과 상기 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걸림홈이 있는 제1결합재와 뒷면 일측에 상기 셀 사이 또는 상기 외측면과 상기 셀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2결합재로 이루어진 완충부재;
    전/후면 일측에 상기 전/후면을 관통하여 생성된 제1관통공이 있는 제2연결부재;
    일단이 상기 제2연결부재의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완충부재의 상기 제2결합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연결부재의 후면에 정착되는 방법으로 상기 완충부재의 뒷면에 상기 제2연결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가 결합되도록 헤드의 전면 일측에 결합홈이 있는 블럭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재의 끝이 상기 제1결합재의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이 상기 완충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완충부재가 연결된 상기 제2연결부재가 상기 블럭의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2. 제1항에서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의 끝단에 걸림고리가 생성되어 있어 상기 완충부재의 걸림홈에 상기 제1연결부재가 끼움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 타단의 상기 제1관통공 끝에 상기 연결재의 타단이 정착되도록 정착홈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상기 셀벽 일측에 완충공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헤드 전면에 있는 결합홈은 역T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결합홈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두께가 있는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 헤드와 일단이 상기 헤드의 끝에 연결되는 'Y' 형태로 이루어진 몸통과 일단이 상기 몸통의 타단에 연결되는 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상면/하면 일측에 상면/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되 하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제2관통공;
    상기 몸통의 상면/하면 일측에 상면/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3관통공; 및
    상기 헤드와 상기 하부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9. 블럭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옹벽에 있어서,
    지반에 설치되는 기초;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제1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전면판;
    셀벽이 교차되어 생성되는 다양한 모양의 셀과 상기 셀 사이 또는 외측면과 상기 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걸림홈이 있는 제1결합재와 뒷면 일측에 상기 셀 사이 또는 상기 외측면과 상기 셀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2결합재로 이루어진 완충부재;
    전/후면 일측에 상기 전/후면을 관통하여 생성된 제1관통공이 있는 제2연결부재;
    일단이 상기 제2연결부재의 상기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완충부재의 상기 제2결합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연결부재의 후면에 정착되는 방법으로 상기 완충부재의 뒷면에 상기 제2연결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재;
    전면에 결합홈이 있는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 헤드와 일단이 상기 헤드의 끝에 연결되는 'Y' 형태로 이루어진 몸통과 일단이 상기 몸통의 타단에 연결되는 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의 상면/하면 일측에 상면/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되 하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제2관통공과 상기 몸통의 상면/하면 일측에 상면/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3관통공 및 상기 헤드와 상기 하부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재가 있는 블럭; 및
    상기 블럭 뒷편에 성토되는 성토재로 구성되되,
    상기 블럭을 상기 기초 위에 수평으로 배열되고 수직으로 적층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완충부재가 연결된 상기 제2연결부재를 적층되어 쌓여진 각각의 상기 블럭의 상기 결합홈에 결합시키고, 상기 전면판의 상기 제1연결부재를 각각의 상기 완충부재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을 이용한 옹벽.
  10. 제9항에서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의 끝단에 걸림고리가 생성되어 있어 상기 완충부재의 걸림홈에 상기 제1연결부재가 끼움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을 이용한 옹벽.
  11. 제9항에서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상기 셀벽 일측에 완충공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을 이용한 옹벽.
  12. 제9항에서 있어서,
    상기 블럭의 헤드 전면에 있는 결합홈은 역T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결합홈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을 이용한 옹벽.
  13. 제9항에서 있어서,
    상기 몸통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공;
    상기 고정공에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재; 및
    일단이 상기 고정재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성토되는 흙속에 삽입되어 성토재의 자중에 의해서 고정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을 이용한 옹벽.
  14. 블럭을 적층하여 옹벽을 만드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지반 위에 기초를 설치하는 단계;
    (b) 전면에 결합홈이 있는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진 헤드와 일단이 상기 헤드의 끝에 연결되는 'Y' 형태로 이루어진 몸통과 일단이 상기 몸통의 타단에 연결되는 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의 상면/하면 일측에 상면/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되 하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제2관통공과 상기 몸통의 상면/하면 일측에 상면/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3관통공 및 상기 헤드와 상기 하부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재와 상기 몸통 상면 일측에 생성되어 있는 고정공이 있는 블럭을 상기 기초 위에 수평으로 배열되고 수직으로 적층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블럭의 뒷편에 성토재를 성토하는 단계;
    (d) 연결재가 사용되어 셀벽이 교차되어 생성되는 다양한 모양의 셀과 상기 셀 사이 또는 외측면과 상기 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걸림홈이 있는 제1결합재와 뒷면 일측에 상기 셀 사이 또는 상기 외측면과 상기 셀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2결합재로 이루어진 완충부재의 뒷면에 제2연결부재를 결합시킨 구성을 상기 블럭의 상기 결합홈에 각각 결합시키는 단계; 및
    (e) 설계된 디자인에 맞게 전면판의 제1연결부재를 상기 완충부재의 상기 걸림홈에 결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블럭의 상기 고정공에 고정재 일단을 삽입하고, 상기 고정재의 타단에 보강재의 일단을 결합시키고 상기 보강재의 타단이 성토되는 흙속에 삽입되어 성토재의 자중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블럭을 기초위에 수평으로 일단 설치하고, 그 후에 설치된 1단의 상기 블럭 위에 상기 블럭을 2단으로 설치하되 2단에 설치되는 상기 블럭은 상기 제2관통공의 일단이 상기 블럭 상면에 있는 돌출재에 연결되도록 1단에 설치되는 상기 블럭의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셀벽 일측에 완충공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20110020611A 2011-03-08 2011-03-08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KR101260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611A KR101260372B1 (ko) 2011-03-08 2011-03-08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611A KR101260372B1 (ko) 2011-03-08 2011-03-08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442A KR20120102442A (ko) 2012-09-18
KR101260372B1 true KR101260372B1 (ko) 2013-05-07

Family

ID=4711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611A KR101260372B1 (ko) 2011-03-08 2011-03-08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3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5852B (zh) * 2018-09-20 2021-11-12 北京乾景园林规划设计有限公司 海绵城市的配套植被缓冲带
KR101959202B1 (ko) * 2018-10-10 2019-07-05 이강호 옹벽 구조물용 블록 조립체
KR102343724B1 (ko) * 2021-10-26 2021-12-28 주식회사 대흥이앤씨 패널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222B1 (ko) 2009-08-31 2010-02-18 이병철 시스템 식재형 옹벽블록 및 그 축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222B1 (ko) 2009-08-31 2010-02-18 이병철 시스템 식재형 옹벽블록 및 그 축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442A (ko)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886B1 (ko)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KR102112388B1 (ko) 절토부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에 의해 시공된 절토부 옹벽
KR101260372B1 (ko)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KR101201919B1 (ko)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
CN104350206A (zh) 用于建造混凝土路面的预制模具
KR102060746B1 (ko)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제조용 거푸집
US7857552B2 (en) Tenon joint type space lattice structure
KR101116393B1 (ko) 보강토 옹벽용 블럭
KR101679474B1 (ko) 장식판재가 장착되는 옹벽블록
KR101219570B1 (ko)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JP4686655B2 (ja) 構造体
KR20110002580A (ko)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
KR101278326B1 (ko) 조형석 및 그를 이용한 조형석 옹벽
KR101871186B1 (ko) 옹벽 시공방법
KR100799848B1 (ko) 결합구조를 보강한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
KR100970303B1 (ko) 옹벽블럭
JP4812135B2 (ja) 補強土擁壁を積層するための施工具
JP4596548B2 (ja) 補強土擁壁構造。
KR101148228B1 (ko) 강성그리드가 구비된 옹벽블럭의 장착구조
KR20090104214A (ko) 옹벽 블럭
CN212223949U (zh) 一种用于生态挡土墙的装配式墙砖及挡土墙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KR101059433B1 (ko) 보강토 옹벽 구조물
KR200461055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200461591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