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919B1 -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1919B1 KR101201919B1 KR1020120028113A KR20120028113A KR101201919B1 KR 101201919 B1 KR101201919 B1 KR 101201919B1 KR 1020120028113 A KR1020120028113 A KR 1020120028113A KR 20120028113 A KR20120028113 A KR 20120028113A KR 101201919 B1 KR101201919 B1 KR 1012019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ng member
- fence
- connection
- axis
- pan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토구조물이 견고하게 안정화되면 그 전방에 패널을 적층시켜 펜스를 시공한 후, 이 펜스와 성토구조물을 연결장치로 고정시키는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패널은 상면에 슬롯이 삽입되고, 저면에 상기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끼움부재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면과 저면 각각에 핀삽입공이 삽입되고,
펜스는 바닥면에 타설되는 기초콘크리트면; 몸체 하부가 상기 기초콘크리트면에 매립된 상태로 일렬로 밀접하게 접촉되어 기초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층 상부에 몸체가 다단식으로 적층되어 상부층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들의 상,하 경계부는 결속수단으로 결속되는 패널;을 포함하고,
연결장치는 자유단부에 결속된 길이조절편이 Z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여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펜스 후방에 타설된 성토구조물 측벽에 고정된 제2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의 길이조절편 및 2연결부재의 자유단부를 관통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구멍이 관통되어 상기 길이조절편 및 제2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3연결부재; 및 상기 제3연결부재의 구멍을 관통한 길이조절편에 체결되고 상기 제3연결부재 양측에 밀착되게 체결고정되어 상기 제3연결부재를 제1연결부재에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한다.
패널은 상면에 슬롯이 삽입되고, 저면에 상기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끼움부재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면과 저면 각각에 핀삽입공이 삽입되고,
펜스는 바닥면에 타설되는 기초콘크리트면; 몸체 하부가 상기 기초콘크리트면에 매립된 상태로 일렬로 밀접하게 접촉되어 기초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층 상부에 몸체가 다단식으로 적층되어 상부층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들의 상,하 경계부는 결속수단으로 결속되는 패널;을 포함하고,
연결장치는 자유단부에 결속된 길이조절편이 Z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여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펜스 후방에 타설된 성토구조물 측벽에 고정된 제2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의 길이조절편 및 2연결부재의 자유단부를 관통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구멍이 관통되어 상기 길이조절편 및 제2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3연결부재; 및 상기 제3연결부재의 구멍을 관통한 길이조절편에 체결되고 상기 제3연결부재 양측에 밀착되게 체결고정되어 상기 제3연결부재를 제1연결부재에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경량혼합토를 이용하여 벽체나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혼합토 또는 경량혼합토를 미리 타설하여 성토구조물을 시공하고, 이 성토구조물이 견고하게 안정화되면 그 전방에 패널을 적층시켜 펜스를 시공한 후, 이 펜스와 성토구조물을 연결장치로 고정시키는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지반이 연약한 장소에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은 무거운 콘크리트블록을 적층시켜 벽체를 형성하고, 이 벽체 후방 준비된 공간에 토사를 채우고, 토사에는 벽체와 연결된 보강재를 매립하여 벽체가 토사의 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하여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방법은 벽체와 토사 자체의 자중이 너무 커서 침하 우려가 있고, 뒷채움 되는 토사의 다짐이 반드시 필요하여 시공이 번거로웠고, 토사가 불량할 경우 다짐불량이 발생하면 하자가 발생하여 재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뒷채움되는 토사는 다짐이 잘 되는 양질의 토사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토사에 매립되는 보강재의 설치가 까다롭고, 무엇보다 이러한 무거운 벽체와 토사가 침하될 경우 벽체가 붕괴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고, 뒷채움되는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수시설을 갖추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약지반에 혼합토를 시공하는 공법이나, 또는 성토지, 절개지 등을 보강하기 위한 옹벽 구조물 시공법은 특허등록 제10-094978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장소에 중장비를 이용하여 수직지주(110)를 일정간격으로 높이 세우고, 이들 수직지주(110) 사이에 외장패널(120)을 적층식으로 끼워넣어 펜스를 만든 다음, 이 펜스 후방 채움공간에 혼합토, 또는 콘크리트, 또는 현장 토사를 성토하여 연약지반을 강화하거나 또는 옹벽 등을 축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은 수직지주(110)를 최소한 혼합토의 성토높이까지 미리 세움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대형 중장비인 항타기를 사용해야 하는데, 항타기는 대형 중장비에 속해 운반과 취급이 불편하므로 수직지주를 고정시키는 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공기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중장비에 의해 세움 설치되는 수직지주는 금속재로 구성되는데, 도 1과 같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 후 외벽을 미려하게 장식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쉽게 부식되어 강도가 약해지는 단점을 피할 수 없었다.
더 나아가, 상기 수직지주는 시공 초기단계에서부터 혼합토의 시공높이까지 길게 연장되기 때문에 이들 수직지주 사이에 외장패널을 삽입할 경우에는 외장패널을 수직지주 상단부까지 운반한 다음 양측 수직지주 사이로 끼워넣어야 하므로 외장패널의 조립이 불편하였고, 또한 시공 초기부터 길게 연장된 수직지주는 다른 작업의 방해요소, 즉 외장패널을 들어올리는 와이어가 걸려 꼬이는 문제를 유발시켜 작업의 방해요소로 작용하여 공기를 더욱 늦추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지반이 연약한 장소에 토사를 성토할 경우에 현장채취토에 고화재와 기포를 혼합하여 만들어진 경량혼합토(슬러리)를 연약장소에 공급하여 매립하게 되면, 현장채취토와 고화재가 경화되면서 화학적으로 반응을 일으켜 토질성상을 안정화시켜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경량혼합토 시공법을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경량혼합토 또는 혼합토가 연약지반에 타설되면 견고한 성토구조물을 구성하게 되는데, 이 성토구조물은 외관이 거칠어 미려하지 못하므로 성토구조물 외측에 마감재를 별도로 시공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성토구조물을 포함한 건축물 외벽을 장식하는 시공방법은 특허등록 제10-1029200호에 개시되어 있다.
즉, 도 1과 같이 판넬 본체(100)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건축물의 벽면(400)에 부착하고, 판넬 본체(100)의 상측으로 연장된 메쉬부재(130)의 상측 연장부(A)를 긴결재(310) 등의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면(400)에 고정 결합시켰다. 판넬 본체(100)의 하측 외부로 돌출된 메쉬부재(130)의 하측 연장부(B)는 하측에 인접하는 다른 판넬 본체(100)의 상측 가장자리 위에 겹치게 된다.
이처럼 다수의 판넬 본체(100)를 상호 인접하도록 건축물의 벽면(400)에 부착시키고, 메쉬부재(130)의 하측 연장부(B)가 하측에 인접하는 다른 판넬 본체(100)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을 덮도록 한 후, 인접한 판넬 본체(100) 사이의 경계선 위에서 긴결재(320)를 건축물의 벽면(400)에 고정 삽입시켰다. 이후 마감재(150)가 도포되지 않은 판넬 본체(100)의 가장자리 부분에 마감 시트(200)를 부착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마감재 시공방법은 타설된 경량혼합토 또는 혼합토가 완전히 양생되어 성토구조물을 축조한 다음에 모든 부품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벽면에 시공해야 하므로 조립공수가 증가하여 마감재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메쉬부재(130)들을 밀접하게 연결하고 그 상부에 마감재(150)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마감재(150)가 규칙적인 배열을 갖추도록 해야 하는데, 미숙련공이나 숙련공의 실수로 마감재 위치가 지정된 위치에 설치되지 않으면 이미 설치된 마감재(150)를 다시 뜯어 재시공해야 하는 등 시공상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성토구조물이 양생된 후 이 견고한 벽체에 긴결재(320)를 박아 고정하는 작업은 대단히 까다롭고, 긴결재(320)를 박아 고정할 때 벽체가 손상되거나 또는 메쉬부재(130)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마감재(150)의 시공이 전체적으로 까다로워 시공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성토구조물 외측에 마감재를 시공방법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경량혼합토 또는 혼합토를 미리 타설하여 성토구조물을 시공하고, 이 성토구조물이 견고하게 안정화되면 그 전방에 패널을 적층시켜 펜스를 시공한 후, 마감재 기능을 하는 펜스와 성토구조물을 연결장치로 간단히 고정시켜 펜스의 고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 펜스를 먼저 설치하고 그 후방에 경량혼합토 또는 혼합토를 나중에 타설하여 성토구조물을 시공하여, 이 성토구조물에 펜스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지반침하가 발생하여 양생되기 전 성토구조물이 일그러지면 이에 고정된 펜스가 비틀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는데, 본 발명은 경량혼합토 또는 혼합토를 타설하여 먼저 성토구조물을 시공하여 완전히 양생시킨 다음 그 이후 이 성토구조물을 장식하면서도 보호하는 펜스를 시공하여 성토구조물에 고정함으로써 지반침하로 인해 펜스가 일그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은 상면에 슬롯이 삽입되고, 저면에 상기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끼움부재가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의 패널은 상면과 저면 각각에 핀삽입공이 삽입되어, 이들 패널을 적층시킬 때 상,하에 형성된 핀삽입공 핀을 삽입하여 결속시킨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펜스는 시공장소의 바닥면에 타설되는 기초콘크리트면;
복수 개의 몸체 하부가 상기 기초콘크리트면에 매립된 상태로 일렬로 밀접하게 접촉되어 기초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층 상부에 몸체가 다단식으로 적층되어 상부층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들의 상,하 경계부는 결속수단으로 결속되는 패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수단의 일 실시예는 하부에 적층되는 패널의 몸체 상면에 삽입되는 슬롯; 및
상기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패널의 몸체 저면에 돌출되는 끼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결속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적층되는 패널 상면과 저면 각각에 삽입되는 핀삽입공; 및
적층되는 상,하패널의 핀삽입공에 삽입되어 이들 상,하패널을 결속시키는 결속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펜스는 상기 기초콘크리트면은 프리캐스트 성형품으로 대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는 펜스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유단부가 X,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자유단부에 결속된 길이조절편이 Z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여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펜스 후방에 타설된 성토구조물 측벽에 고정된 제2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의 길이조절편 및 2연결부재의 자유단부를 관통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구멍이 관통되어 상기 길이조절편 및 제2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3연결부재; 및
상기 제3연결부재의 구멍을 관통한 길이조절편에 체결되고 상기 제3연결부재 양측에 밀착되게 체결고정되어 상기 제3연결부재를 제1연결부재에 고정시키며, 상기 제3연결부재의 구멍을 관통한 제2연결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제3연결부재 양측에 밀착되게 체결고정되어 상기 제3연결부재를 제2연결부재에 고정시켜, 상기 제1,2,3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펜스를 형성하는 패널은 배면에 상기 제1연결부재를 수용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가 X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링이 장착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는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X축;
상기 X축과 교차되게 Z축방으로 연장되는 Z축;을 포함하고,
상기 X축은 수용된 연결링에서 빠지지 않도록 양단부에 너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보울트가 형성되고, Z축은 길이조절편이 체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3연결부재는 구멍이 양측에 관통되고, 상기 구멍의 내경은 길이조절편 및 제2연결부재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편은 제1연결부재의 자유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경량혼합토 또는 혼합토가 먼저 타설 완료되기 때문에 이에 의해 타설된 성토구조물의 높이에 맞춰 패널을 적층시켜 펜스를 시공함으로써, 마감재로 사용하는 펜스를 간단히 시공하고, 이렇게 시공된 펜스를 미리 축조된 성토구조물에 연결장치로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펜스에 연결된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제1연결부재의 단부가 X,Y,Z축으로 위치 이동가능하므로, 성토구조물에 일부가 매립고정된 제2연결부재가 성토구조물이 양생과정에서 약한 지반을 채우기 위해 침하되어 위치가 변동되더라도 제1연결부재를 이동된 제2연결부재측으로 이동시켜 제3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간단히 이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펜스의 기초가 되는 부분을 프리캐스트로 대체할 수 있어 동절기에도 펜스 시공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패널의 크기를 현장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패널은 경량혼합토를 사용하거나 또는 경량혼합토에 석탄재,특수고화재 등과 같은 혼합물을 적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패널은 기성제품인 콘크리트 또는 인공석재, 천연석재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벽에 마감재를 시공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토구조물과 펜스를 연결장치로 연결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스 시공과정을 보인 일 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펜스 시공과정을 보인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펜스 조립상태 내부를 보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연결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성토구조물과 펜스를 연결장치로 연결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토구조물에 고정된 제2연결부재가 Y축방향으로 위치변동될 때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토구조물에 고정된 제2연결부재가 Z축방향으로 위치변동될 때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연결부재의 절곡된 상태의 사시도와 상기 제3연결부재를 이용한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연결부재에 힌지핀이 조립된 사시도와 상기 제3연결부재를 이용한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에 따른 성토구조물과 펜스를 연결장치로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토구조물과 펜스를 연결장치로 연결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스 시공과정을 보인 일 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펜스 시공과정을 보인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펜스 조립상태 내부를 보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연결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성토구조물과 펜스를 연결장치로 연결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토구조물에 고정된 제2연결부재가 Y축방향으로 위치변동될 때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토구조물에 고정된 제2연결부재가 Z축방향으로 위치변동될 때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연결부재의 절곡된 상태의 사시도와 상기 제3연결부재를 이용한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연결부재에 힌지핀이 조립된 사시도와 상기 제3연결부재를 이용한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에 따른 성토구조물과 펜스를 연결장치로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패널(A)을 설명한다.
상기 패널(A)은 기둥을 사용하지 않고 패널(A) 자체만으로 적층되어 펜스(1)를 형성토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패널(A)들의 적층으로 만들어진 펜스(1)는 미리 타설되어 성형된 성토구조물(W)을 보호하면서도 장식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 패널(A)은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상면에 슬롯(A-1)이 삽입되고, 저면에 상기 슬롯(A-1)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끼움부재(A-2)가 돌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패널(A)은 상부에 적층된 패널(A)의 끼움부재(A-2)가 하부에 위치한 패널(A)의 슬롯(A-1)에 끼워맞춤식으로 삽입되는데, 적층된 상,하부패널(A)은 끼워맞춤부분의 강도가 충분해야 한다.
그러므로, 패널(A)은 슬롯(A-1) 외측에서 상기 슬롯(A-1)을 형성하는 가이드부(A-3)의 강도가 충분해야 하고, 또한 상기 슬롯(A-1)에 삽입되는 끼움부재(A-2)의 강도도 충분해야 하므로 끼움부재(A-2)의 두께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패널(A)은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상면과 저면 각각에 핀삽입공(A-4)이 형성된다. 상기 패널(A)의 시공은 하부패널(A)의 핀삽입공(A-4)에 결속핀(P)을 먼저 삽입한 후 상기 결속핀(P)의 돌출부를 하부패널(A)의 핀삽입공(A-4)에 삽입시킨 상태로 상,하부패널(A)을 적층시키면 상기 결속핀(P) 전체가 상,하부패널(A)의 핀삽입공(A-4)에 수용된 상태가 되므로 이들 상,하부패널(A)은 상기 결속핀(P)에 의해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연결장치(2)를 이용하여 후방에 미리 타설된 성토구조물(W)에 연결할 때 발생하는 충격이나 압력이 가해져도 조립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하게 된다.
상기 패널(A)은 끼움부재(A-2)가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운반과정 또는 시공과정에서 끼움부재(A-2)가 파손되는 현상이 없어 취급 및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패널(A)의 핀삽입공(A-4)은 원형 또는 장공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장공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핀삽입공(A-4)이 장공형태로 구성되면 이에 삽입되는 결속핀(P)의 조립을 편리하게 하면서도 패널(A)의 조립위치를 조금씩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펜스(1)가 곡면형태로 구성될 경우 패널(A)의 위치를 이동시켜 펜스(1)를 곡면형태로 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패널(A)은 배면에는 후술하는 연결장치(2)의 제1연결부재(21)를 이동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링(25)이 고정되는데, 이 연결링(25)은 단부가 패널(A)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연결링(25)은 후술하는 제1연결부재(21)를 이동가능하게 끼움 연결한다.
상기 패널(A)의 재질은 콘크리트, 시멘트와 기포 및 고화제가 함유된 경량혼합토, 에프알피, 합성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패널(A)은 적층되어 성토구조물(W) 외부를 보호하면서도 장식하는 마감재로 사용하는 펜스(1)를 형성하게 되는데, 최하부에 배치되는 기초층 패널(A)은 기초콘크리트면(13)상에 하부가 매립되게 시공하여 기초층의 패널(A)을 기초콘크리트면(13)상에 견고하고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패널(A)의 적층에 의해 시공된 본 발명의 펜스(1)의 구성 및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펜스(1)는 시공장소의 바닥면에 타설되는 기초콘크리트면(13);
복수 개의 몸체 하부가 상기 기초콘크리트면(13)에 매립된 상태로 일렬로 밀접하게 접촉되어 기초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층 상부에 몸체가 다단식으로 적층되어 상부층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들의 상,하 경계부는 결속수단으로 결속되는 패널(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펜스(1)는 상기 패널(A) 배면에 고정되는 연결링(25)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기초콘크리트면(13)은 현장에서 직접 타설하며, 상기 패널(A) 하부가 매립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금형을 이용하여 수용부(13a)를 형성한다.
겨울철과 같이 기초콘크리트면(13)을 타설하기 곤란할 경우에는 프리캐스트 성형품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 제품은 콘크리트 양생조건을 갖추고 있는 제조공장에서 다량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패널(A)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부(13a)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A)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적층되는 패널(A)을 결속시키는 결속수단의 일실시예는 하부에 적층되는 패널(A)의 몸체 상면에 삽입되는 슬롯(A-1); 및
상기 슬롯(A-1)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패널(A)의 몸체 저면에 돌출되는 끼움부재(A-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속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적층되는 패널(A) 상면과 저면 각각에 삽입되는 핀삽입공(A-4); 및
적층되는 상,하패널(A)의 핀삽입공(A-4)에 삽입되어 이들 상,하패널(A)을 결속시키는 결속핀(P);을 포함한다.
상기 결속수단의 구성 및 시공의 경우도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기초콘크리트면(13) 또는 프리캐스트 성형품의 수용부(13a)에 삽입된 상태로 기초층의 패널(A)을 매립한 다음 상기 기초층 패널(A) 상부에 복수 개의 상부층 패널(A)을 적층시켜 펜스(1)의 높이를 미리 축조된 성토구조물(W)에 맞게 쌓는다.
다시 말해, 하부패널(A)의 슬롯(A-1)에 상부패널(A)의 저면에 돌출된 끼움부재(A-2)를 삽입하여 적층하거나, 또는 하부패널(A)의 핀삽입공(A-4)에 결속핀(P)을 삽입한 후 상기 돌출된 결속핀(P)을 하부패널(A) 저면에 형성된 핀삽입공(A-4)에 삽입한 상태로 상,하패널(A)을 적층시키는 방법으로 복수 개의 패널(A)들을 적층시키면 본 발명의 펜스(1)를 시공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2)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연결장치(2)는 성토구조물(W)과 이 성토구조물(W)을 보호하면서 장식하는 펜스(1)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크게 펜스(1)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21), 성토구조물(W)에 일단부가 매립고정되는 제2연결부재(22), 상기 제1,2연결부재(21)(22)를 끼움연결하는 제3연결부재(23), 및 상기 제1,2연결부재(21)(22)에 체결되고 제3연결부재(23) 양측에 밀착체결되어 제1,2,3연결부재(21)(22)(23)를 고정시키는 너트(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21)는 펜스(1)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유단부가 X,Y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자유단부에 결속된 길이조절편(21c)이 Z축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여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21)의 구성은 상기 제1연결부재(21)는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X축(21a);
상기 X축(21a)과 교차되게 Z축방향으로 연장되는 Z축(21b);을 포함하고,
상기 X축(21a)은 수용된 연결링(25)에서 빠지지 않도록 양단부에 너트(N)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보울트(21a-1)가 형성되고, Z축(21b)은 길이조절편(21c)이 체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내부에 나사부(21b-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연결부재(21)는 도 6과 같이 X축(21a) 양단부가 패널(A)에 고정된 연결링(25)에 삽입되고, 상기 X축(21a)양단부에 형성된 보울트(21a-1)에 너트(N)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연결링(2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너트(N)에 의해 빠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상기 제1연결부재(21)는 상기 X축(21a)이 연결링(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 X축(21a)이 길이방향, X축(21a)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고, 또한 상기 X축(21a)이 연결링(25)을 축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자유단부를 형성하는 Z축(21b)이 회전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Z축(21b)은 Y방향으로 왕복이동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연결부재(21)는 Z축(21b) 내부에 나사부(21b-1)가 형성되는데, 이 나사부(21b-1)에 길이조절편(21c)이 체결되므로 이 길이조절편(21c)의 길이에 따라 Z축(21b)의 전체 길이가 결정된다.
따라서, 제1연결부재(21)는 X축(21a)이 X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고, Z축(21b)은 Y축방향으로 왕복회전 할 수 있으며, Z축(21b)은 길이조절편(21c)이 왕복이동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결국 자유단부에 체결되고 제3연결부재(23)의 구멍(23a)에 삽입되는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X,Y,Z축방향으로 위치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연결부재(21)의 다른 실시예는 도 7과 같이 상기 길이조절편(21c)이 제1연결부재(21)의 Z축(21b) 자유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길이조절편(21c)이 일체로 형성되어 Z축(21b)의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Z축(21b)이 자유단부가 제2연결부재(22)의 자유단부 이상으로 더 연장되게 하면 이들 Z축(21b) 자유단부와 제2연결부재(22) 자유단부는 모두 제3연결부재(23)의 구멍(23a)을 관통할 수 있으므로 너트(24) 체결에 의해 펜스(1)를 성토구조물(W)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연결부재(22)는 상기 펜스(1) 후방에 미리 타설된 성토구조물(W) 측벽에 일단부가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3연결부재(23)를 통해 제1연결부재(21)에 고정되어 상기 펜스(1)를 성토구조물(W)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제2연결부재(22)는 너트(24)가 체결될 수 있도록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보울트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연결부재(22)는 도 9와 같이 앵커볼트를 사용하면 좋다. 상기 앵커보울트는 성토구조물(W)에 견고하게 매립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돌기(22a)가 형성된다.
상기 제3연결부재(23)는 제1,2연결부재(21)(22)를 연결하는 일종의 컨넥터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박판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연결부재(21)의 길이조절편(21c) 및 제2연결부재(22)의 자유단부를 관통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구멍(23a)이 관통되어 상기 길이조절편(21c) 및 제2연결부재(22)를 연결한다.
상기 제3연결부재(23)의 구멍(23a)은 양측에 관통되고, 상기 구멍(23a)의 내경은 길이조절편(21c) 및 제2연결부재(2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제3연결부재(23)는 힌지핀(23b)을 경계로 양측이 임의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게 구성하여 제2연결부재(22)의 침하 정도에 따라 양측을 편리하게 절곡하여 제1,2연결부재(21)(22)에 체결된 너트(24)가 제3연결부재(23)의 측면에 밀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너트(24)는 상기 제3연결부재(23)의 구멍(23a)에 삽입된 길이조절편(21c) 및 제2연결부재(22)를 체결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제3연결부재(23)의 구멍(23a)을 관통한 길이조절편(21c)에 체결되고 상기 제3연결부재(23) 양측에 밀착되게 체결고정되어 상기 제3연결부재(23)를 제1연결부재(21)에 고정시키며, 상기 제3연결부재(23)의 구멍(23a)을 관통한 제2연결부재(22)에 체결되고 상기 제3연결부재(23) 양측에 밀착되게 체결고정되어 상기 제3연결부재(23)를 제2연결부재(22)에 고정시켜, 상기 제1,2,3연결부재(21)(22)(23)를 일체로 고정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연결장치(2)를 이용하여 펜스(1)를 성토구조물(W)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도 16a 내지 도 16d에 도시된다.
상기 도면은 성토구조물(W)이 침하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양생된 상태에 이 성토구조물(W)과 펜스(1)에 연결된 제2연결부재(22)와 제1연결부재(21)를 제3연결부재(23)의 구멍(23a)에 삽입하고, 상기 제1,2연결부재(21)(22)에 너트(24)를 체결하여 펜스(1)를 성토구조물(W)에 고정된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성토구조물(W)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경량혼합토를 연약지반에 타설하여 연약지반을 견고하게 하는 것이므로, 타설된 후 양생과정에서 연약지반이 침하되면 타설된 경량혼합토도 같이 침하되어 양생 되므로 상기 경량혼합토에 매립된 제2연결부재(22)는 처음 설계위치에서 침하되어 위치가 변동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경량혼합토가 침하되어 제2연결부재(22)의 위치가 변동되더라도 아무런 문제없이 양생된 성토구조물(W)에 펜스(1)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성토구조물(W) 전방에 돌출된 제2연결부재(22)가 경량혼합토 양생과정에서 침하되어 위치가 변동되면, 상기 제2연결부재(22)는 아래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된다.
그러나, 상기 제2연결부재(22)와 대응되게 펜스(1)에 장착된 제1연결부재(21)는 위치가 변하지 않게 되므로 이들을 제3연결부재(23)의 구멍(23a)에 삽입시키기 위해 펼치게 되면 제2연결부재(22)가 하향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에 제1,2연결부재(21)(22)는 수평을 이루지 않고 경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연결부재(22)의 위치가 변동되면, 제1연결부재(21)의 길이조절편(21c)과 침하된 제2연결부재(22)를 제3연결부재(23)의 구멍(23a)에 간단히 삽입하여 이들을 너트(24)로 체결고정하면 아무런 문제없이 펜스(1)를 성토구조물(W)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체결된 너트(24)와 제3연결부재(23)의 측면에 밀착되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3연결부재(23)는 조립하기 전에 도 14와 같이 현장에서 제2연결부재(22)의 침하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절곡시켜 너트(24)가 제3연결부재(23) 측면에 밀착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3연결부재(23)는 도 15와 같이 힌지핀(23b)을 경계로 양측이 임의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게 구성하여 제2연결부재(22)의 침하정도에 따라 제3연결부재(23)를 편리하게 절곡하여 제1,2연결부재(21)(22)를 연결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성토구조물(W)이 양생과정에서 일부에 침하가 발생하여 제2연결부재(22)의 위치가 변동되어도 아무런 문제없이 성토구조물(W)에 펜스(1)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마감재인 펜스(1) 고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이다.
A : 패널 W : 성토구조물
1 : 팬스 2 : 연결장치
13 : 기초콘크리트면 21 : 제1연결부재
21a : X축 21b : Z축
21c : 길이조절편 22 : 제2연결부재
23 : 제3연결부재 24 : 너트
25 : 연결링
1 : 팬스 2 : 연결장치
13 : 기초콘크리트면 21 : 제1연결부재
21a : X축 21b : Z축
21c : 길이조절편 22 : 제2연결부재
23 : 제3연결부재 24 : 너트
25 : 연결링
Claims (12)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펜스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유단부가 X,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자유단부에 결속된 길이조절편이 Z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여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펜스 후방에 타설된 성토구조물 측벽에 고정된 제2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의 길이조절편 및 2연결부재의 자유단부를 관통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구멍이 관통되어 상기 길이조절편 및 제2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제3연결부재; 및
상기 제3연결부재의 구멍을 관통한 길이조절편에 체결되고 상기 제3연결부재 양측에 밀착되게 체결고정되어 상기 제3연결부재를 제1연결부재에 고정시키며, 상기 제3연결부재의 구멍을 관통한 제2연결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제3연결부재 양측에 밀착되게 체결고정되어 상기 제3연결부재를 제2연결부재에 고정시켜, 상기 제1,2,3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펜스는 시공장소의 바닥면에 타설되는 기초콘크리트면;
복수 개의 몸체 하부가 상기 기초콘크리트면에 매립된 상태로 일렬로 밀접하게 접촉되어 기초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층 상부에 몸체가 다단식으로 적층되어 상부층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들의 상,하 경계부는 결속수단으로 결속되는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펜스를 형성하는 패널은 배면에 상기 제1연결부재를 수용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가 X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
-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X축;
상기 X축과 교차되게 Z축방향으로 연장되는 Z축;을 포함하고,
상기 X축은 수용된 연결링에서 빠지지 않도록 양단부에 너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보울트가 형성되고, Z축은 길이조절편이 체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부재는 구멍이 양측에 관통되고, 상기 구멍의 내경은 길이조절편 및 제2연결부재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길이조절편은 제1연결부재의 Z축 자유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8113A KR101201919B1 (ko) | 2012-03-20 | 2012-03-20 |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8113A KR101201919B1 (ko) | 2012-03-20 | 2012-03-20 |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01919B1 true KR101201919B1 (ko) | 2012-11-15 |
Family
ID=4756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8113A KR101201919B1 (ko) | 2012-03-20 | 2012-03-20 |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1919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1606B1 (ko) * | 2017-04-06 | 2018-01-25 | 김만기 | 사면의 계단식 절토부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 |
FR3057585A1 (fr) * | 2016-10-14 | 2018-04-20 | Geolithe | Ouvrage de soutenement ou de protection contre les chutes de materiaux |
KR101980743B1 (ko) * | 2018-12-07 | 2019-05-21 |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 패널연결재를 구비한 콘크리트패널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2099351B1 (ko) * | 2019-09-23 | 2020-04-09 | 더베스트테크 주식회사 | 옹벽 축조를 위한 소일네일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
KR102118320B1 (ko) * | 2020-02-17 | 2020-06-03 | 더베스트테크 주식회사 | 발파석 옹벽 구조 및 옹벽 축조 방법 |
KR102123810B1 (ko) * | 2019-08-09 | 2020-06-18 | 주식회사 신흥산업 | 세굴 방지용 보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KR102621973B1 (ko) * | 2023-05-08 | 2024-01-09 | 윤강훈 | 옹벽 패널 연결 장치, 패널식 옹벽 및 패널식 옹벽 시공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54509A (ja) * | 2001-11-21 | 2003-05-27 | 覚 ▲高▼石 | 化粧コンクリートパネル、化粧コンクリートパネル製造方法、コンクリート壁体 |
-
2012
- 2012-03-20 KR KR1020120028113A patent/KR1012019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54509A (ja) * | 2001-11-21 | 2003-05-27 | 覚 ▲高▼石 | 化粧コンクリートパネル、化粧コンクリートパネル製造方法、コンクリート壁体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057585A1 (fr) * | 2016-10-14 | 2018-04-20 | Geolithe | Ouvrage de soutenement ou de protection contre les chutes de materiaux |
KR101821606B1 (ko) * | 2017-04-06 | 2018-01-25 | 김만기 | 사면의 계단식 절토부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 |
KR101980743B1 (ko) * | 2018-12-07 | 2019-05-21 |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 패널연결재를 구비한 콘크리트패널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2123810B1 (ko) * | 2019-08-09 | 2020-06-18 | 주식회사 신흥산업 | 세굴 방지용 보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KR102099351B1 (ko) * | 2019-09-23 | 2020-04-09 | 더베스트테크 주식회사 | 옹벽 축조를 위한 소일네일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
KR102118320B1 (ko) * | 2020-02-17 | 2020-06-03 | 더베스트테크 주식회사 | 발파석 옹벽 구조 및 옹벽 축조 방법 |
KR102621973B1 (ko) * | 2023-05-08 | 2024-01-09 | 윤강훈 | 옹벽 패널 연결 장치, 패널식 옹벽 및 패널식 옹벽 시공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1919B1 (ko) |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 | |
KR100930829B1 (ko) | 락볼트 연결용 커플러를 갖는 판넬 | |
US20080313988A1 (en) | Veneers for walls, retaining walls, retaining wall blocks, and the like | |
KR101151520B1 (ko) | 금형틀에 의한 전면에 자연석재판이 장착된 패널의 제조방법 | |
US20080057801A1 (en) | Block wall construction system including use of clip retainers | |
EP2167751B1 (en) |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 |
US10889980B2 (en) | Method for constructing a multi-stage block wall | |
KR102099041B1 (ko) |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150098535A (ko) | 조립식 옹벽블록과 블록조립 부속물. | |
KR101211469B1 (ko) |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 |
KR100396294B1 (ko) | 자연석에 의한 옹벽의 안전시공방법 | |
PL69327Y1 (pl) | Prefabrykowany element z betonu do wytwarzania płotów ogrodzeniowych | |
KR20090083661A (ko) | 옹벽 축조용 블록 | |
KR102240949B1 (ko) | 벽체 외관 개선을 위한 장착구조 | |
KR100507594B1 (ko) |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제조방법 | |
KR101201917B1 (ko) | 패널, 이 패널을 이용한 펜스, 이 펜스 시공방법, 이 펜스를 이용한 혼합토 성토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677431B1 (ko) | 대용량 콘크리트 옹벽 | |
US20070251184A1 (en) | Self-supporting modular wall | |
KR101201918B1 (ko) | 패널, 이 패널을 이용한 펜스, 이 펜스를 이용한 혼합토 성토구조물 시공방법 | |
US20130104468A1 (en) | Backfill structure and backfill construction method | |
JPH0932014A (ja) | 擁壁の施工方法 | |
JPH11323970A (ja) | 塀、花壇、擁壁、門柱等の施工方法 | |
KR200461591Y1 (ko) |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 |
KR200461055Y1 (ko) |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 |
KR101530601B1 (ko) | 무늬 콘크리트패널 제작방법 및 그 제작방법을 포함하는 옹벽 시공방법 및 그 무늬 콘크리트패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