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594B1 -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594B1
KR100507594B1 KR10-2002-0032091A KR20020032091A KR100507594B1 KR 100507594 B1 KR100507594 B1 KR 100507594B1 KR 20020032091 A KR20020032091 A KR 20020032091A KR 100507594 B1 KR100507594 B1 KR 100507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wall
wall panel
civil
civil engin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818A (ko
Inventor
유키모토이사오
하세가와기요노리
Original Assignee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간쿄 고가쿠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간쿄 고가쿠 겐큐쇼 filed Critical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0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과제)
토목구축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쌓아올리는 시공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련의 쌓아올리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다수의 독립된 모조석블록(6)이 철근(8)을 통하여 연결되어 긴 벽면패널(4)이 형성되고, 그 벽면패널(4) 뒷면 쪽에는, 뒤쪽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앵커(5)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전체가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경량화를 이루고, 쌓아올리는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제조방법{METHOD OF MAKING CONSTRUCTING MEMBER FOR CONSTRUCTING EMBANKMENT}
본 발명은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제조방법 및 토목구축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호안(護岸), 옹벽(擁壁) 등의 토목구축물의 구축에 있어서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가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그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하나로서, 쌓아올리는 시공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독립된 벽재와 연결선(連結線)을 준비하여 길다란 벽면패널을 형성하고, 그 벽면패널에 그 벽면패널 뒷면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연장부를 설치하고, 그 각 연장부에 이동저항을 증대시키는 저항력증대부를 각각 설치하고 있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제 2001-146726호에는, 벽재부와, 그 벽재부로부터 그 벽재부의 상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뒤쪽으로 연장하는 연장부와, 그 연장부에 설치되는 플랜지형의 저항력증대부를 콘크리트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토목용 블록을 다수 준비하고, 그 다수의 토목용 블록을 연결선에 의하여 연결하여 그 각 토목용 블록의 벽재부를 가지고 긴 벽면패널을 구성한 것이 나타나 있다.
이것에 있어서는, 다수의 토목용 블록의 벽재부로써 긴 벽면패널을 구성함으로써, 토목용 블록을 하나하나 쌓아올리는 경우에 비하여 쌓아올리는 시공 회수를 감소시킬 수가 있고, 나아가, 연결선을 각 토목용 블록 사이에서 휘어 벽면패널을 구부릴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에 있어서 각 토목용 블록은, 벽재부만이 아니라 뒤쪽으로 연장하는 연장부, 그 연장부에 설치되는 저항력증대부의 모든 부분도 중량안정성, 이동저항력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토목용 블록 자체가 상당한 중량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다수의 토목용 블록을 연결하여 벽면패널을 구성한 경우에는, 이것을 사용하면, 쌓아올리는 시공회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가능하나 쌓아올리는 작업자체가 대규모로 되고, 나아가 쌓아올릴 때의 미세한 조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제1의 기술적 과제는, 토목구축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쌓아올리는 시공 회수를 감소시킬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일련의 쌓아올리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2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제조하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3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이용한 토목구축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제1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다수의 독립된 벽재부와 연결선(連結線)을 사용하여 긴 벽면패널을 형성하고, 그 벽면패널에 그 벽면패널 뒷면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연장부를 설치하고, 그 각 연장부에 이동저항을 증대시키는 저항력증대부를 각각 설치하고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에 있어서,
상기 각 연장부가 선형부재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청구항 1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청구항 2~8에 기재된 것으로 된다.
상기 제2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청구항 9의 발명)에 있어서는,
틀 내에 연결선을 배설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고, 다수의 벽재를 독립하여 직렬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다수의 벽재 내에 그 각 벽재를 걸치도록 하면서 연결선을 매설하고,
다음으로, 상기 각 벽재가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구멍을 형성하고,
이어, 상기 각 벽재의 경화 후, 설치구멍에 앵커의 일단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제조방법으로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3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는,
다수의 독립된 벽재가 연결선을 통하여 연결된 긴 벽면패널과, 그 벽면패널 뒷면 쪽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선형부재와, 그 각 선형부재에 설치되는 저항력증대부를 구비하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다수 준비하고,
상기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벽면패널이, 선형부재 및 저항력증대부를 뒤쪽으로 배치하면서 쌓아올려짐과 동시에, 그 선형부재 및 그 저항력증대부가 이입재료(뒤쪽에 넣는 재료)에 의해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로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독립된 벽재가 연결되어 벽면패널이 구성되는 것으로부터, 당해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보다 쌓아올리는 시공회수를 감소시킬 수가 있는 한편, 각 연장부가 선형부재로 됨으로써, 당해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중량을 현저하게 저감시켜 쌓아올리는 작업을 경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쌓아올릴 때에 있어서, 위치결정의 미세한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연결선을 각 벽재 사이에서 구부릴 때에는, 각 연장부가 벽면패널의 상하 폭에 비하여 상당히 가는 선형부재이기 때문에 연장부가 간섭하는 것을 간단히 피하고, 벽면패널을 단순히 만곡시키는 정도에 그치지 않고 직각 정도 등으로도 구부릴 수가 있어 벽면패널의 곡률을 상당히 크게 할 수도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벽면패널의 곡률 결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선형부재가 각 벽재에 각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 벽재에 대하여 그 벽재에 연결시킨 선형부재를 통하여 저항력증대부의 저항력을 작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각 벽재의 저항력을 연결선을 통하여 다른 벽재에도 미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당해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사용함으로써 매우 견고한 토목구축물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선형부재가 다수 벽재 중의 일부 벽재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일부 벽재에 연결된 선형부재에 있어서 저항력증대부의 저항력을 연결선을 통하여 벽면패널(특히, 선형부재를 연결하지 않은 벽재)에 미치도록 하여 벽면패널에 대한 이동저항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한편, 각 벽재에 선형부재를 각각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당해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어, 일련의 쌓아올리는 작업의 용이화를 한층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벽재의 뒷면 쪽에 설치구멍이 각각 형성되며, 선형부재가 설치구멍의 어느 하나에 설치됨으로써, 구조상, 제조 단계에 있어서 벽면패널을 형성한 후 설치구멍을 선택하여 소망의 벽재(소망의 위치)에 선형부재를 설치할 수가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설치되어야 하는 선형부재에 있어서 저항력증대부의 저항력을 확실하게 벽면패널에 작용시킬 수가 있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벽재 중 일부의 벽재에, 벽면패널의 뒷면 쪽에 있어서, 그 벽면패널의 상하 폭과 거의 동일한 길이로 된 보조기둥부를 일체로 설치하고 있음으로써, 벽면패널이 패널 형태로 되어 있어도, 보조기둥부를 이용하여 이입재료를 충전하지 않고 그 벽면패널을 다수 단에 걸쳐 쌓아올리는 (기립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벽면패널을 쌓아올릴 때마다 이입재료를 충전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업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보조기둥부에 연결 선형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당해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쌓아올리면 관통구멍이 연결되게 되며, 그 관통구멍에 연결 선형부재를 관통시킴으로써 당해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상호의 일체화를 높이고, 토목구축물을 보다 한층 견고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연결선이 다수 벽재의 배열 방향으로 그 다수의 벽재를 관통하고 있음과 동시에, 그 연결선이 소정 이상의 하중에 의하여 굽어지도록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각 벽면재 상호의 연결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한편, 벽면패널을 확실하게 구부리거나 만곡시킬 수가 있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저항력증대부로서 스토퍼패널이 선형부재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스토퍼패널에 의하여 이동저항을 적절하고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한편, 그 스토퍼패널이 가벼움으로써, 당해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중량의 경감을 보다 한층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틀 내에 연결선을 배설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고, 다수의 벽재를 독립하여 직렬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다수의 벽재 내에 그 각 벽재에 걸치도록 하면서 연결선을 매설하고, 다음으로, 상기 각 벽재가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구멍을 형성하고, 이어, 상기 각 벽재의 경화 후, 설치구멍에 앵커의 일단부를 설치함으로써, 각 벽재를 연결선에 의하여 연결하여 벽면패널을 형성할 수가 있고, 그 벽면패널(벽재)에 대한 설치구멍을 형성할 때에 있어서는, 콘크리트가 경화되지 않은 상태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고, 벽면패널에 대한 앵커의 설치에 있어서는, 그 설치구멍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청구항 1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독립된 벽재가 연결선을 통하여 연결된 긴 벽면패널과, 그 벽면패널 뒷면 쪽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선형부재와, 그 각 선형부재에 설치되는 저항력증대부를 구비하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다수 준비하여, 그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벽면패널이 선형부재, 저항력증대부를 뒤쪽으로 배치하면서 쌓아올려짐과 동시에, 그 선형부재, 그 저항력증대부가 이입재료로써 매설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청구항 1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이용하여 견고한 토목구축물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5는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호 (1)은 토목구축물로서의 옹벽이고, 그 옹벽(1)은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를 기초콘크리트(3)로부터 순차, 계단 형태로 쌓아올림으로써 구축되어 있다.
상기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는, 도1 내지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벽면패널(4)과 앵커(5)를 구비하고 있다. 벽면패널(4)은 다수(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5개)의 독립된 벽재로서의 모조석블록(6)이 일렬로 연결되어 긴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각 모조석블록(6)은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두꺼운 판상으로, 그리고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예컨대, 세로변 L1: 250 mm 전후, 가로변 L2: 400 mm 전후, 두께 L3: 100 mm 전후). 이 각 모조석 블록(6)은 그 전면에 조잡한 요철을 가져 자연환경에 조화되는 모양으로 되어 있고, 그 모조석블록(6) 뒷면의 약 중앙부에는 하나의 설치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그 설치구멍(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단부에 수지통(예를 들면 ABS 수지제)(30)이 끼워져 부착된 인서트너트(31)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인서트너트(31) 안쪽은 수지통(30) 안쪽을 통하여 외부로 열려 있다. 이 각 모조석블록(6)은 그 각 모조석블록(6)의 가로변이 가로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그 전체의 모조석블록(6)은 그 각 모조석블록(6)을 가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결선으로서의 철근(8)(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철근(8))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2개의 철근(8)은 상하관계를 가진 상태에서 벽면패널(4)의 뒷면 쪽 가까이에 위치하며 전후방향(도4중, 좌우방향)에 있어서 일렬을 이루도록 배설(전후방향 소정위치에서 상하 관계를 가지며 배치)되어 있고, 그 각 철근(8)은 소정 이상의 하중을 가함으로써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소정 이상의 하중은 각 모조석블록(6)의 연결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구부림 작업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모조석블록(6) 사이의 틈새를 고려해 가면서 철근(8)을 각 모조석블록(6) 사이에서 구부림으로써, 벽면패널(4)의 앞면을 원하는 곡률을 갖는 만곡면, 직각 상태 등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벽면패널(4)의 뒷면에는, 그 가로 방향의 안쪽으로, 한쌍의 보조기둥부(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보조기둥부(9)는 벽면패널(4)을 구성하는 가로 방향 안쪽의 모조석블록(6)과 함께 일체로 형성되고, 그 모조석블록(6)의 상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벽면패널(4)의 뒷면으로부터 뒤쪽으로 일정 길이 L4(예를 들면 250 mm 전후)를 가지며 연장하고 있다. 이 보조기둥부(9)의 아래 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위치결정 홈(10)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그 보조기둥부(9)의 위쪽 면에는, 그 위치결정 홈(10)에 대응하여, 위치결정 돌기부(11)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앵커(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1, 도3,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일단부(도1중 좌단부)에서 상기 각 모조석블록(6)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 앵커(5)에는, 모조석블록(6) 사용 시(쌓아올리는 상태에서)의 이동(미끄러져 떨어짐)을 이입재료(동입재: 앵커(5)를 매설하는 매설재, 예를 들면 토사, 큰 돌을 쪼갠 돌(割栗石), 쇄석 등)와의 저항에 의하여 막기 위하여, 축 형상부(12)(연장부, 선형부재), 만곡부로서의 컬(curl)부(13)(저항력증대부), 스토퍼패널(14)(저항력증대부)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축 형상부(12) 및 컬부(13)는 직선 부재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직선 부재는 강도,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철선, 철근, 파이프 등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직경 6mm 정도의 철선(알루미늄을 10% 정도 함유하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 직선 부재의 바깥 둘레에는 녹 방지의 목적으로, 도금층, 수지피복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 형상부(12)는 직선으로 연장하고 있고, 그 전체 길이 L5는 0.5~1.5 m 정도, 바람직하게는 0.5 m ~ 0.8 m 정도로 되어 있다. 그 축 형상부(12)의 일단부의 바깥 둘레에는 숫나사(3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숫나사(32)는, 상기 모조석블록(6) 내에서의 인서트너트(31)에 수지통(30)을 통하여 나사결합 되어 있다.
상기 컬부(13)는, 도1,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축 형상부(12)의 다른 끝단부(도1에서 오른쪽 단부)가 컬(curl) 형상으로 감겨져 형성되어 있다. 이 컬부(13) 내에는 내경 30mm 전후의 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의 형성 후, 앵커(5)의 다른 끝단부(만곡 끝단부)는, 감기는 부로서, 축 형상부(12)에 감기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패널(14)은, 도1,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판 면을 축 형상부(12)의 연장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면서 그 축 형상부(12)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스토퍼패널(14)은 수지, 예를 들어 ABS 수지를 사용하여 한 변이 150 mm 전후, 두께가 6 mm 전후로 된 정방형의 합성 수지판으로 되어 있고, 그 중심부에 관통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패널(14)의 관통구멍에는 축 형상부(12)가 관통하고 있고, 스토퍼패널(14)은 축 형상부(12)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한편, 컬부(13)에 의하여 그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를 사용하여 옹벽(1)을 구축함에 있어서는(단위구간(하나의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가로 전체 길이) 당의 경우),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를 기초 콘크리트(3)로부터 순차 계단 형상으로 쌓아올림으로써 이루어지지만, 이 경우, 상하 관계에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한쌍의 보조기둥부(9)가 겹쳐지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그 하단 측의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위치결정 돌기부(11)가 상단측에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벽면패널(4)에 닿아 접하여 전후 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으로 된다. 물론, 각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위치결정 홈(10), 위치결정 돌기부(11)를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하고, 하단측에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위치결정 돌기부(11)가 상단측에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위치결정 홈(10)에 끼워져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위치결정을 행하여도 좋다.
한편, 각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쌓아올림에 수반하여, 각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에 있어서는, 앵커(5)가 벽면패널(4)로부터 뒤쪽으로 거의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되지만, 이 앵커(5)는 이입재료(15)에 의하여 매설된다. 이러한 이입재료(15)의 충전은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를 쌓아올릴 때마다 이루어지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하 관계로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벽면패널(4))의 단차 사이에 식물이 생육할 수 있도록, 각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에 있어서의 벽면패널(4)로부터 보조기둥부(9)까지의 사이에 식물 생식용 토사(16)가 충전되고, 보조기둥부(9) 보다 뒤쪽에는 재생 크러셔(crusher)(C40~0), 쇄석, 큰 돌을 쪼갠 돌 등(17)이 충전되고, 그들과 스토퍼패널(14)과의 결합에 의하여 앞쪽으로의 큰 이동 저항이 확보된다. 또, 도1 중 부호 (18)은 천단(天端) 콘크리트, 부호 (19)는 빨아냄 방지 시트이다.
그 결과, 이와 같은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를 쌓아올리는 것에 사용하면, 각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에 있어서 스토퍼패널(14)과 이입재료(15)의 결합에 기초한 큰 이동저항을, 철근(8)을 통하여 전체의 모조석블록(6)(벽면패널(4))에 미치도록 할 수 있게 되고, 견고한 옹벽(1)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다수의 모조석블록(6)을 연결한 벽면패널(4)을 사용함으로써, 그 벽면패널(4)을 구성하는 모조석블록(6)을 낱낱으로 쌓아올리는 경우에 비하여 쌓아올리는 작업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한편,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가 모조석블록(6)에만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여, 앵커(5)의 요소(12), (14)로서 경량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며(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130 Kg 정도의 중량),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쌓아올리는 작업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때에 있어서 위치의 미세 조정을 인력에 의하여 가능하게 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가 모조석블록(6)에만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고 앵커(5)로서 가는 축 형상부(12)나 스토퍼패널(14)을 설치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벽면패널(4)을 구부리는 경우에 있어서, 각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축 형상부(12) 등이 교차하는 경우에도 전혀 간섭함이 없고, 간섭할 염려가 있어도, 앵커(5)를 구부려 간단히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벽면패널(4)을 만곡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벽면패널(4)을 직각으로 구부릴 수도 있고, 각종 토목구축물의 구축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의 모조석블록에 상당하는 공간(21)을 직렬적으로 가지는 벽면패널 성형틀(22)을 준비하고, 그 벽면패널 성형틀(22) 내에서의 다수의 모조석블록 상당 공간(21) 내에 2개의 철근(8)을, 그 전체의 모조석블록 상당공간(21)을 가로지르도록 하면서 수납한다. 이 때, 2개의 철근(8)은,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누름판(23)을 사용하여 벽면패널 성형틀(22)에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벽면패널 성형틀(22) 내에 콘크리트를 주입한다. 독립한 다수의 모조석블록(6)을 성형함과 동시에, 그 다수의 모조석블록(6) 내에 2개의 철근(8)을 가로지르도록 매설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벽면패널 성형틀(22) 내의 각 모조석블록(6)이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벽면패널 성형틀(22)(플랜지) 상의 소정의 두 위치에 보조기둥부 성형틀(24)을 고정(고정구는 도시하지 않음)함과 동시에, 수지통(30)을 통하여 인서트너트(31)를 유지(끼워 결합하는 상태)하는 볼트(26)를 다수 구비하는 띠 형상의 지지부재(25)를 거의 수평 상태로 되도록 벽면패널 성형틀(22) 및 보조기둥부 성형틀(24)에 고정하고, 각 볼트(26)가 유지하는 인서트너트(31) 및 수지통(30)을 경화되지 않은 상태의 각 모조석블록(6) 내로 진입시킨다. 보조기둥부(9)의 성형을 준비함과 동시에, 각 모조석블록(6) 뒷면 쪽 안이 경화되지 않은 상태인 것을 이용하여 인서트너트(31) 및 수지통(30)을 매립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보조기둥부 성형틀(24)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로방향 양측으로부터 안쪽 방향을 향하여 2번째의 모조석블록(6)에 맞닿도록 배치되었다.
다음으로, 도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벽면패널 성형틀(22) 내의 각 모조석블록(6)이 경화되지 않은 상태의 사이에, 상기 보조기둥부 성형틀(24) 내에 콘크리트를 충전한다. 벽면패널(4)의 뒷면에 한쌍의 보조기둥부(9)를 일체로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벽면패널 성형틀(22) 내 및 보조기둥부 성형틀(24) 내의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탈형한다. 이 때, 지지부재(25)를 벽면패널 성형틀(22) 및 보조기둥부 성형틀(24)로부터 잡아 꺼내어 들어올림으로써, 각 볼트를 각 수지통(30)으로부터 빼낸다. 이 때, 인서트너트(31)에 플랜지부(31a)가 설치되고 수지통(30)의 외경이 모조석블록(6)의 안쪽까지 직경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에, 인서트너트(31) 등이 동시에 뽑혀져 나가는 일은 없다. 그리고 이 후, 벽면패널(4)을 벽면패널 성형틀(22)로부터 잡아 뺀다. 이 벽면패널(4)을 벽면패널 성형틀(22)로부터 잡아 뺄 때에는, 모조석블록(6)에 걸게 금구를 설치해 두고, 그들에 대하여 잡아 빼는 힘을 작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벽면패널(4)에 있어서 각 모조석블록(6)의 인서트너트(31)에 앵커(5) 일단부의 숫나사(32)를 나사 결합한다. 이에 따라 앵커(5) 일단부가 각 모조석블록(6)에 일체화하게 되어 당해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가 얻어지게 된다.
도11은 제 2 실시형태, 도12는 제 3 실시형태, 도13, 도14는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1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에 있어서는, 벽면패널(4)에 있어서 전체의 모조석블록(6)에 앵커(5)가 각각 설치되어 있지 않고 일부분의 모조석블록(6)에만 앵커(5)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이라도, 전체 모조석블록(6)이 철근(8)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일부분의 모조석블록(6)에 설치되는 스토퍼패널(14)에 의한 저항력으로도 충분한 저항력이 있다는 것을 이용하여, 그 일부분의 모조석블록(6)에서의 저항력을 가지고 벽면패널(4) 전체의 이동저항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앵커(5)의 수를 적게 함으로써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중량을 보다 경감시켜, 쌓아올릴 때의 시공을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12에 나타낸 제 3 실시형태는, 벽면패널(4)을,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쌓아올린 것이다. 이에 있어서는, 각 벽면패널(4)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우 그 자체로서는 앵커(5)가 아래 방향으로 연장하여 저항력이 낮아지는 것을 고려하여, 앵커(5)의 일단부를 구부려, 각 벽면패널(4)이 경사면을 형성하여도 각 앵커(5)는 거의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벽면패널(4)이 패널 형태로 되어 있어도 보조기둥부(9)를 이용하여 이입재료(15)의 충전 없이 그 벽면패널(4)을 다수 단(예를 들어 2단)으로 겹쳐 쌓아올리는 (기립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벽면패널(4)을 쌓아올릴 때마다 이입재료(15)를 충전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업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어(이입재료(15)의 충전공정의 일부 생략)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쌓아올림에 있어서, 하단에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위치결정 돌기부(11)를 상단에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위치결정 홈(10)에 끼워 결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적어도 가장 아래 단의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를 앵커(5)와 이입재료(15)에 의한 이동저항력에 기초하여 이동할 수 없도록 해버리면, 그 다음부터는 이입재료(15)를 충전하지 않아도 다수의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를 확실하게 쌓아올릴 수가 있거나, 혹은, 한층 많은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를 이입재료(15)의 충전 없이 쌓아올릴 수가 있게 된다.
도13, 도14에 나타난 제 4 실시형태는 제 3 실시형태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보조기둥부(9)에 관통구멍으로서의 세로구멍(35)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각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를 쌓아올릴 때에는, 그 각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에 있는 보조기둥부(9)의 세로구멍(35)은 연속하여 연결되게 된다. 한편, 기초 콘크리트(3)에는 연결 선형부재로서의 철근(36)이 그 하단부에 의해 유지되고 있고, 철근(36)은 기초콘크리트(3)로부터 위를 향하여 세워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철근(36)에는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에 있는 보조기둥부(9)의 세로구멍(35)이 차례로 통과함과 동시에 그 각 세로구멍(35)에는 모르타르가 충전되게 되어, 각 토목구축물용 구축재(2)의 일체성이 한층 놓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이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다 견고한 옹벽(1)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명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아래 기재한 것과 같은, 실질적으로 바람직하거나 또는 이점으로서 기재된 것에 대응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도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1) 벽재로서 자연석을 이용하는 것.
2) 보조기둥부를 적절하게 설치하거나 생략하거나 하는 것.
3) 토목구축물로서 옹벽에 한하지 않고, 호안 등도 대상으로 되는 것.
4) 모조석블록(6)의 뒷면에 설치구멍(7)을 형성하고, 그 설치구멍(7) 내에 접착제를 충전함과 동시에 앵커(5)의 일단부를 삽입하여 모조석블록(6)과 앵커(5)를 일체화하는 것.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쌓아올리는 시공 회수를 감소시킬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일련의 쌓아올리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와 그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토목구축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도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옹벽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정면도.
도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도1의 부분확대도.
도5는 모조석블록과 앵커의 일체화를 설명하는 확대 설명도.
도6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위치결정의 변형 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7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사용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8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9는 도8에 연결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도9에 연결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2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옹벽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13은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옹벽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14는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옹벽(토목구축물) 2: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4: 벽면패널 5: 앵커(연장부, 저항력증대부)
6: 모조석블록(벽재) 7: 설치구멍
12: 축형상부(선형부재) 13: 컬부(저항력증대부)
14: 스토퍼패널(저항력증대부) 35: 세로구멍(관통구멍)
36: 철근(연결선형부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틀(型) 내에 연결선을 배설하고 또한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다수의 벽재를 독립하여 직렬로 성형하고 또한 그 다수의 벽재 내에 그 각 벽재를 걸치도록 하면서 연결선을 매설하고,
    다음으로, 상기 각 벽재가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구멍을 형성하고,
    이어, 상기 각 벽재의 경화 후, 설치구멍에 앵커의 일단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02-0032091A 2001-09-04 2002-06-07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제조방법 KR100507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66937 2001-09-04
JP2001266937A JP3883830B2 (ja) 2001-09-04 2001-09-04 土木構築物用構築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614U Division KR200291348Y1 (ko) 2001-09-04 2002-07-09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토목구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818A KR20030020818A (ko) 2003-03-10
KR100507594B1 true KR100507594B1 (ko) 2005-08-11

Family

ID=190931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091A KR100507594B1 (ko) 2001-09-04 2002-06-07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제조방법
KR2020020020614U KR200291348Y1 (ko) 2001-09-04 2002-07-09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토목구축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614U KR200291348Y1 (ko) 2001-09-04 2002-07-09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토목구축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883830B2 (ko)
KR (2) KR100507594B1 (ko)
TW (1) TW5710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3830B2 (ja) * 2001-09-04 2007-02-21 環境工学株式会社 土木構築物用構築材
KR100583294B1 (ko) * 2002-11-01 2006-05-25 (주)한국조형종합건축사사무소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KR100495782B1 (ko) * 2002-12-06 2005-06-16 (주)유경기술단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이 패널을 사용한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KR20050114325A (ko) * 2004-06-01 2005-12-06 최종선 하천의 일체형 자연석 구조를 형성하는 고정판 구조물 및그 시공방법
JP5032967B2 (ja) * 2007-12-12 2012-09-26 揖斐川工業株式会社 連結ブロック
JP2014134006A (ja) * 2013-01-09 2014-07-24 Kankyo Kogaku Co Ltd 土木構築物の構築方法、土木構築物および土木構築物用構築材
GB2546297B (en) * 2016-01-14 2020-10-07 Hubert Jenkins & Partners Retaining structure assembly
JP6887166B2 (ja) * 2019-03-22 2021-06-16 環境工学株式会社 土木構築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土木構築物、並びに土木構築物を構築する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9102A (ja) * 1975-03-20 1976-09-27 Eijiro Aida Jibankairyoshikikonkuriitoburotsukuyohekisekoho
JPS6126747U (ja) * 1984-07-24 1986-02-18 株式会社ホクコン コンクリ−ト積ブロツク擁壁
JPH0379690A (ja) * 1989-08-23 1991-04-04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抗井用セメンティング保水剤及びそれを含んでなるセメントスラリー
JPH04254618A (ja) * 1991-02-07 1992-09-09 Tokyu Constr Co Ltd 石積み擁壁構造
JPH0517961A (ja) * 1991-02-08 1993-01-26 Tokyu Constr Co Ltd 石積み擁壁構造
JPH05148855A (ja) * 1991-11-29 1993-06-15 Oobishi:Kk 構築ブロツク及びこれを用いた擁壁
JPH10331176A (ja) * 1997-06-02 1998-12-15 Yamatomi Sangyo Kk 構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9990071461A (ko) * 1998-02-26 1999-09-27 이사오 유키모토 토목구축물용 시공석, 토목구축물용 시공석의 제조방법, 토목구축물용 시공석의 사용방법, 토목구축물용 시공석 유니트 및 토목구축물
KR19990084155A (ko) * 1999-09-20 1999-12-06 윤남식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
KR200291348Y1 (ko) * 2001-09-04 2002-10-09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토목구축물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9102A (ja) * 1975-03-20 1976-09-27 Eijiro Aida Jibankairyoshikikonkuriitoburotsukuyohekisekoho
JPS6126747U (ja) * 1984-07-24 1986-02-18 株式会社ホクコン コンクリ−ト積ブロツク擁壁
JPH0379690A (ja) * 1989-08-23 1991-04-04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抗井用セメンティング保水剤及びそれを含んでなるセメントスラリー
JPH04254618A (ja) * 1991-02-07 1992-09-09 Tokyu Constr Co Ltd 石積み擁壁構造
JPH0517961A (ja) * 1991-02-08 1993-01-26 Tokyu Constr Co Ltd 石積み擁壁構造
JPH05148855A (ja) * 1991-11-29 1993-06-15 Oobishi:Kk 構築ブロツク及びこれを用いた擁壁
JPH10331176A (ja) * 1997-06-02 1998-12-15 Yamatomi Sangyo Kk 構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9990071461A (ko) * 1998-02-26 1999-09-27 이사오 유키모토 토목구축물용 시공석, 토목구축물용 시공석의 제조방법, 토목구축물용 시공석의 사용방법, 토목구축물용 시공석 유니트 및 토목구축물
KR19990084155A (ko) * 1999-09-20 1999-12-06 윤남식 절토사면의 블럭식 수동보강방법
KR200291348Y1 (ko) * 2001-09-04 2002-10-09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토목구축물
JP2003082638A (ja) * 2001-09-04 2003-03-19 Kankyo Kogaku Kk 土木構築物用構築材、土木構築物用構築材の製造方法及び土木構築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83830B2 (ja) 2007-02-21
JP2003082638A (ja) 2003-03-19
TW571014B (en) 2004-01-11
KR20030020818A (ko) 2003-03-10
KR200291348Y1 (ko) 200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4900B1 (en) Prefabricated concrete wall system
KR101556545B1 (ko) 더블 월 피씨를 이용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KR10075668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후인장 콘크리트 옹벽및 그 시공방법
KR101419863B1 (ko) 사면보강용 현장타설 계단식옹벽 대체시공법이 적용되는 거푸집이 필요없는 pc 판넬
WO2013119016A1 (ko) 아치 블록조립체, 그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KR100507594B1 (ko)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제조방법
KR100862005B1 (ko)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KR20060127632A (ko) 멀티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슬래브구조체
KR101459003B1 (ko) 무량판 원-웨이 구조식 와이드 거더
JP2001295298A (ja) 柱状構造物用基礎とその施工方法
KR100304861B1 (ko) 건축용단열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
KR101908943B1 (ko) Rc 벽체 역타 구조
KR20010074069A (ko) 철근콘크리트 기초구조물에서의 휨/전단 겸용 보강재 및그 시공방법
KR200426635Y1 (ko) 연결홈이 형성된 현장 타설 팽이파일
JP2017172308A (ja) 一体型基礎及び一体型基礎工法
KR20190107317A (ko) 일체형형강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이중벽체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JPH0932014A (ja) 擁壁の施工方法
JPS63197721A (ja) 土留パネル
KR100264386B1 (ko) 자연석만을 이용한 보강토옹벽의 구축공법및 그 구축구조
KR101278151B1 (ko)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라멘교
CN211775105U (zh) 一种预制柱及包含该预制柱的梁柱连接结构
KR102307968B1 (ko) 기둥부 합성형 프리캐스트 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체 시공방법
KR100716598B1 (ko) 강널말뚝 및 합성말뚝을 이용한 옹벽 및 그의 시공방법
JP4840297B2 (ja) 地中構造物の構築方法、地中構造物
KR200404058Y1 (ko) 조합식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