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214A - 옹벽 블럭 - Google Patents

옹벽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214A
KR20090104214A KR1020080029528A KR20080029528A KR20090104214A KR 20090104214 A KR20090104214 A KR 20090104214A KR 1020080029528 A KR1020080029528 A KR 1020080029528A KR 20080029528 A KR20080029528 A KR 20080029528A KR 20090104214 A KR20090104214 A KR 20090104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ase
plate
side plates
wal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8776B1 (ko
Inventor
임금철
Original Assignee
임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금철 filed Critical 임금철
Priority to KR1020080029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77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 및 상하방이 개방된 육면체 베이스(10);
베이스(10)의 양측판(11,12) 전면에 안치 결합되어 양 측판(11,12)의 전면을 지지하는 다리바(20);
상기 다리바(20) 및 양 측판(11,12) 전면에 고정되는 막음판(30);
막음판(30)에 고정되어 장식 기능을 하는 장식판(40)을 포함하는 옹벽 블럭 이다.
Figure P1020080029528
옹벽블럭

Description

옹벽 블럭{Block with decoration plate}
본 발명은 옹벽 블럭에 관한 것으로, 옹벽 블럭의 전면이 개방된 구조와 이 개방된 부분에 필요에 따라 장식판을 이용하여 다양한 장식을 가능토록 하는 옹벽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擁壁, retaining wall)은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를 말하는 것으로, 지표지반(地表地盤)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에 필요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이러한 옹벽을 시공하는 종류는 블럭 조적식 공법으로 오랜 기간 널리 쓰이는 축벽(築壁)이 이것에 속하며 현재는 콘크리트블럭이 많이 사용된다.
또한, 중력식(重力式) 콘크리트 옹벽공법으로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내는 구조로 되었는데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채택된다.
아울러, 특수 철근콘크리트 옹벽공법으로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옹벽으로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用地)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된다. 이 밖에 강판이나 목책(木柵)을 이용한 간단한 것도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옹벽은 풍수해 같은 때 붕괴에 의한 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것은 옹벽 뒤의 지반에 빗물이 침수하여 그 지반을 묽게 하고 내부에 토사가 유동수와 함께 유동하면서 옹벽에 엄청난 하중이 집중되어 지반을 무너뜨림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옹벽블럭공법은 옹벽블럭을 교차되도록 형성하고 물이 빠지는 배수를 형성하여 옹벽블럭의 결합력을 강화하면서 배수구를 구비하여 내부에 물을 배수함으로써, 견고한 옹벽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단순한 옹벽블럭으로서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 없다. 이를 위하여 옹벽을 형성하는 옹벽블럭의 외측으로 경량으로 기후에 따른 변위가 적은 소재인 합성수지재의 외장몸체를 접착제로 부착 형성하여 부착이 용이하고 장시간 외관을 유지하여 수명을 증대시키고,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선택적으로 결합핀을 삽입하여 하부에 형성된 결합 장공에 삽입하여 옹벽블럭의 조적각도를 조절하면서 시공함으로써, 적용범위를 확대하고 기울기에 따라 간편하게 시공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구조가 개발되었는바, 이는 한국특허등록 제 10-0750940호로 알려져 있다. 이는 옹벽을 형성하도록 교차로 조적되는 블럭몸체(111)를 형성한 블럭부(110)와, 상기 블럭부(110)의 블럭몸체(111) 외측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122)로 외장몸체(121)를 접착시키도록 형성한 외장부(1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블럭부(110)는 옹벽을 형성하도록 교차방향으로 조적되는 블럭몸체(111)의 외측으로 구비된 외장면(112)에 중앙으로 직각으로 턱형태의 결합턱(113)을 형성하고, 블럭몸체(111)의 상부에 복수의 결합홈(115)을 형성하며, 복수의 결합홈(115) 중에 설정된 결합위치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삽입 결합시키는 결합핀(114)을 형성하고, 블럭몸체(111)의 하부에 돌출된 결합핀(114)이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장홈 형태의 결합장홈(116)을 형성하여 복수의 블럭몸체(111)를 상하로 교차하면서 상부에 결합홈(115)에 삽입된 결합핀(114)에 하부에 결합장홈(116)을 결합하여 조적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블럭부(110)는 설치된 옹벽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홈(115)을 형성하고, 결합홈(115)에 설정된 옹벽의 기울기에 따른 위치에 고정가능하게 돌출되도록 결합핀(114)을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블럭몸체(111)의 하부에 장홈형태로 형성된 결합장홈(116)의 내측의 단부를 고정하도록 결합하여 후측에 토사의 압력을 결합장홈(116)에 결합된 결합핀(114)으로 고정되면서 결합홈(115)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핀(114)의 결합위치에 따라 옹벽의 경사도를 조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외장부(120)는 블럭부(110)의 결합턱(113)에 대응되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고정홈(123)을 후부 중앙에 구비한 외장몸체(121)를 외장면(112)에 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되, 외장몸체(121)의 고정홈(123)이 형성된 후면 측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122)를 형성하여 블럭몸체(111)의 외장면(112)에 접착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외장부(120)의 외장몸체(121)는 고무, 우레탄 및 합성수지재의 경량에 기후에 따른 변위가 적은 재질로 형성하여 직각의 결합턱(113)에 안치되어 접착되어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블럭부(110)의 외장면(112)을 평면으로 형성하고, 외장부(120)의 외장몸체(121)의 결합부분을 평면으로 형성하여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부(122)의 접착력으로 부착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블럭은 가로,세로 및 높이의 형태가 고정된 것이어서, 적재 시 많은 부피를 차지하고, 이동 시에도 많은 양을 한꺼번에 이동할 수 없어 운송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럭의 전방 및 상하방을 없앤 육면체의 베이스로 구성하여 베이스를 상호 전,후면이 겹치도록 적재 가능하여 적재와 운송의 이점을 가지는 블럭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방이 개방되지만 측면의 전방을 상호 수평으로 고정시키는 다리바를 두어 전방의 지지력을 유지토록 하는 블럭을 제공하려는 것 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의 전방을 지지하는 다리바 및 측판의 전면에 막음판과 막음판에 결합하는 장식판을 두도록 하여 장식판을 원하는 디자인의 것으로 교체하면서 결합 가능토록 하는 블럭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의 측판 및 뒷판에 막음판 고정홈을 두어 장식판을 전면 외에도 측판이나 뒷판에도 설치 가능토록 하는 블럭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의 정면과 뒷면이 수평 상에서 교대로 오도록 조립하여 벽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블럭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전방 및 상하방이 개방된 육면체형의 베이스와,
베이스의 좌우측 전면을 이어주는 상하의 다리바와,
다리바와 양측판 전면에 고정되는 막음판, 막음판에 고정된는 장식판을 포함 하도록 구성하여 조립식의 블럭을 제공함으로써, 장식판 부착이 가능한 블럭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육면체형의 블럭의 전방 및 상,하방이 없는 베이스와, 베이스 전방의 양 측판 전면을 이어주는 다리바를 두어 측판의 좌우측 강도를 유지토록 하고,
다리바와 측판의 전방에는 막음판을 두고, 막음판에는 장식판을 결합 가능토록 하여 장식이 가능한 블럭을 제공한다.
아울러 블럭을 이루는 좌우측판 및 뒷판에 막음판 고정홈을 두어 블럭의 전방 외에도 측판 및 뒷판에도 장식을 가능토록 한다.
또한 블럭 베이스의 뒷판 상면에는 고정홈을 두고 위로 적재되는 베이스의 저면에는 돌기를 두어 돌기가 고정홈이나 뒷판 또는 측판의 모서리에 오도록 하여 각 블럭의 이동을 막아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로는, 도 4 내지 도 11 과 같이 전방, 및 상하방이 개방된 육면체 베이스(10);
베이스(10)의 양측판(11,12) 전면에 안치 결합되어 양 측판(11,12)의 전면을 지지하는 다리바(20);
상기 다리바(20) 및 양 측판(11,12) 전면에 고정되는 막음판(30);
막음판(30)에 고정되어 장식 기능을 하는 장식판(4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 양 측판(11,12) 전면의 상하에는 다리바 수용홈(14,15)을 두고, 다리바(20)는 양 측면 전면과 일치하는 크기를 가지며 수용홈(14,15)에 다리바(20)가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단위 베이스일 경우는 다리바 수용홈(14,15)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 좋고, 상하로 정측하는 경우에는 도 6 과 같이 다리바 수용홈(14,15)을 합한 높이를 가지는 다리바(20)를 사용하는것이 좋다.
상기 베이스(10)의 뒷판(13)의 가로 길이보다 다리바(20)의 길이가 길도록 하는 전면 확산형 측판(11,12)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뒷판(13)의 상면에는 겹침시의 상부 베이스의 전후 이동을 막는 고정홈(13-1)을 두고, 대응하는 측판(11,12)의 저면에는 도 10에 보인 이동방지 돌기(19-1)를 설치한다.
상기 베이스(10)의 뒷판(13), 양 측판(11,12) 및 양측판(11,12)의 전면에는 막음판(30) 고정용 막음판 고정홈(30-1)을 형성한다.
상기 양측판(11,12)에는 수평바가 안치되는 수평바 고정홈(11-1,12-1)을 부가한다.
상기 뒤판(13)에는 옹벽 보강용 돌출바가 안치되는 돌출바 수용공(13-2)을 형성한다.
이를 조립할 때는 도 4 와 같이 분해된 것과 역순으로 조립하면 되는바, 단위 유니트의 경우는 도 5 와 같이 먼저 다리바 수용홈(14,15)에 다리바(20)를 오도록 한 다음, 박음판(30)의 나사(1)를 사용하여 조립하고, 이어 나사(2)를 이용하여 장식판(40)을 도 7 내지 11과 같이 조립한다. 이 경우 나사(2)는 도 10에 막음판(30)에서 장식판(40)을 결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장식판(40) 전면에서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뚫고(드릴링), 나사(2)를 사용하여 장식판(40) 전면에서 나사를 끼워 장식판(40)과 막음판(30)을 동시에 결합토록 할 수도 있고, 나사(20) 대용의 후크 나 걸고리 등의 다른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리바(20)는 도 4 에 보인 나사홈(15-1) 및 나사홈(14-1)을 동시에 나사(1)로 결합하고, 필요시 도 10과 같이 보강망을 함께 결합하는데, 이는 옹벽 등에서 흙이 무너지는 것을 막아준다.
특히 본원발명은 베이스(10)의 전면이 개방된 구조를 이루므로, 베이스(10)의 개방된 부위를 이용하여 겹치게 쌓을 수 있어, 일종의 기와장을 세워 쌓듯이 좁은 공간에서 많은 베이스의 전후면이 겹치도록 적재 가능하여 보관비용을 줄이고, 운송비용도 함께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전면이 개방되고, 양 측판(11,12)이 전방을 향하여 간격이 늘어나는 형상이므로, 도 11 과 같이 상호 측방이 전후가 다르게 쌓으면 벽체로 사용할 수도 있고, 뒷판(13) 및 양 측판(11,12)에 막음판(30)을 붙일 수 있는 막음판 고정홈(30-1)을 형성함으로써, 전,후 좌우측 방향의 전방향에 막음판(30)을 이용한 장식판(40)의 부착이 가능하여 다영항 장식판(40)을 결합 가능하기에 도 5, 도 8, 도 9 와 같은 다양한 장식을 가능토록 하여 기본 베이스는 동일하지만 지역에 따라 위치에 따라 기호도에 따라 다양한 모델의 블럭을 설치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0 에 보인 이동방지돌기(19-1)를 이용하여 베이스(10)의 고정홈(13-1)에서 수직으로 세울 수 있고, 뒷판(13) 또는 측판(11,12)의 전,후면 모서리에서 결합지지토록 하여 경사지거나 만곡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옹벽블럭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조립 단면도,
도 3 은 도 1 의 전체 조립상태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조립식 옹벽블럭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단위 옹벽블럭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조립 원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조립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예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을 벽체로 사용할 경우의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0;베이스 11,12;측판 11-1,12-1;수평바 고정홈 13;뒷판 13-1;고정홈 14,15;다리바 수용홈 14-1;나사홈 6;수평고정홈 17;뒷판 18;수평고정홈 19;고정홈 19-1;이동방지돌기 20;다리바 30;막음판 30-1;막음판 고정홈 40;장식판

Claims (7)

  1. 전방, 및 상하방이 개방된 육면체 베이스(10);
    베이스(10)의 양측판(11,12) 전면에 안치 결합되어 양 측판(11,12)의 전면을 지지하는 다리바(20);
    상기 다리바(20) 및 양 측판(11,12) 전면에 고정되는 막음판(30);
    막음판(30)에 고정되어 장식 기능을 하는 장식판(40)을 포함하는 옹벽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10) 양 측판(11,12) 전면의 상하에는 다리바 수용홈(14,15)을 두고, 다리바(20)는 양 측면 전면과 일치하는 크기를 가지며 수용홈(14,15)에 다리바(20)가 결합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10)의 뒷판(13)의 가로 길이보다 다리바(20)의 길이가 길도록 하는 전면 확산형 측판(11,12)을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
  4. 제 3 항에 있어서, 뒷판(13)의 상면에는 겹침시의 상부 베이스의 전후 이동 을 막는 고정홈(13-1)을 두고, 대응하는 측판(11,12) 및 뒷판(13)의 저면에는 이동방지 돌기(19-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
  5. 제 3 항에 있어서, 베이스(10)의 뒷판(13), 양 측판(11,12) 및 양측판(11,12)의 전면에는 막음판(30) 고정용 막음판 고정홈(30-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
  6. 제 3 항에 있어서, 양측판(11,12)에는 수평바가 안치되는 수평바 고정홈(11-1,12-1)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
  7. 제 3 항에 있어서, 뒤판(13)에는 옹벽 보강용 돌출바가 안치되는 돌출바 수용공(13-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
KR1020080029528A 2008-03-31 2008-03-31 옹벽 블럭 KR100958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28A KR100958776B1 (ko) 2008-03-31 2008-03-31 옹벽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28A KR100958776B1 (ko) 2008-03-31 2008-03-31 옹벽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214A true KR20090104214A (ko) 2009-10-06
KR100958776B1 KR100958776B1 (ko) 2010-05-18

Family

ID=41534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528A KR100958776B1 (ko) 2008-03-31 2008-03-31 옹벽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7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79B1 (ko) * 2011-09-29 2012-06-28 전영달 옹벽구조물
KR101406896B1 (ko) * 2013-03-26 2014-06-13 박미녀 방부목 판재에 의한 장식판재 장착 및 시공법
KR101445484B1 (ko) * 2013-03-26 2014-11-03 박미녀 방부목에 의한 자연석판재의 장착구조 및 그 시공법
WO2018105879A1 (ko) * 2016-12-06 2018-06-14 조창제 조립형 합성수지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995Y1 (ko) * 2001-04-16 2001-10-11 미파코리아 주식회사 옹벽 구축용 블럭의 장식장치
KR100531180B1 (ko) * 2004-10-07 2005-11-29 (주)대풍산업 표면에 자연석이 매입된 판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블록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79B1 (ko) * 2011-09-29 2012-06-28 전영달 옹벽구조물
KR101406896B1 (ko) * 2013-03-26 2014-06-13 박미녀 방부목 판재에 의한 장식판재 장착 및 시공법
KR101445484B1 (ko) * 2013-03-26 2014-11-03 박미녀 방부목에 의한 자연석판재의 장착구조 및 그 시공법
WO2018105879A1 (ko) * 2016-12-06 2018-06-14 조창제 조립형 합성수지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776B1 (ko) 201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564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ncrete foundation wall
US10125468B2 (en) Stay-in-place footing form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100958776B1 (ko) 옹벽 블럭
KR200381301Y1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20160087301A (ko) 소규모 조립식 창고
CN100540817C (zh) 建筑用空心砌块
KR100736852B1 (ko) 프리캐스트 r.c 옹벽 구조물
KR101802351B1 (ko)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KR101495997B1 (ko)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KR200307195Y1 (ko)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
KR200417403Y1 (ko) 조립식 블럭
ES2408238B1 (es) Sistema constructivo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CN210858228U (zh) 一种装配式仿石隔音围墙
KR20060082388A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JP3537398B2 (ja) 組立柵工
AU2012202995A1 (en) A swimming pool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EP3580400B1 (en) Construction modul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120102442A (ko)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KR101046507B1 (ko) 옹벽블록용 압축토 수용판
KR101059433B1 (ko) 보강토 옹벽 구조물
KR200396208Y1 (ko)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100660989B1 (ko) 절취경사면 보강공법 및 그 구조물
KR102371639B1 (ko)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