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643A -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 Google Patents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643A
KR20120136643A KR1020110055693A KR20110055693A KR20120136643A KR 20120136643 A KR20120136643 A KR 20120136643A KR 1020110055693 A KR1020110055693 A KR 1020110055693A KR 20110055693 A KR20110055693 A KR 20110055693A KR 20120136643 A KR20120136643 A KR 20120136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anel
retaining wall
water supply
landscape lighting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2112B1 (ko
Inventor
김창원
Original Assignee
김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원 filed Critical 김창원
Priority to KR1020110055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112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에 초목이나 덩쿨이 식재된 화분을 다수 개 설치하고 또한 다수 개의 태양광 경관 조명을 설치하도록 구성하며, 판넬의 내부에 형성된 급수관을 통해 화분으로 물을 공급하여 초목이나 덩쿨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며 태양광 경관 조명으로 야간에 야경을 조성하여 옹벽을 전체적으로 자연 친화적인 조형물로 조성할 수 있는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Precast Concrete Panel for Retaining Wall with Folwerpots and Scenery lightings}
본 발명은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에 초목이나 덩쿨이 식재된 화분을 다수 개 설치하고 또한 다수 개의 태양광 경관 조명을 설치하도록 구성하여, 판넬의 내부에 형성된 급수관을 통해 화분으로 물을 공급하여 초목이나 덩쿨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며 태양광 경관 조명으로 야간에 야경을 조성하여 옹벽을 전체적으로 자연 친화적인 조형물로 조성할 수 있는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배후토사의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만든 벽체(壁體)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경사지에 타 구조물의 건설을 위한 대지의 조성, 용수로나 하천 부근에서 붕괴의 주원인이 되는 토사 유출의 방지, 아파트 단지조성, 사면의 안정성 확보 등의 목적으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옹벽은 산지나 경사지의 지표면에 절토 또는 성토 공사를 거쳐, 소정 위치에 시공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콘크리트 및 기타 인공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므로, 아무리 그 외관을 수려하게 하더라도 자연 그대로 존재하던 경관의 훼손을 피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식생이 가능한 옹벽을 설치하여 사용해 오고 있다.
종래의 식생 옹벽은 일반 철근 콘크리트로 형성하여 성토부에 주로 설치하는 식생 옹벽으로서, 공사 현장에서 기초부터 옹벽 구체까지 직접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조립을 하며, 식물 수납용기를 설치할 위치에 사각 박스(정착공)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일정 기간 양생이 되면 배면에 뒤채움 및 다짐을 소정의 높이 까지 계속 진행한 후에야 식물 수납용기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상당한 시간과 공사비가 소요되며 또한 추가적인 세심한 작업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식생 옹벽은 옹벽에 설치된 식물 수납용기로 물을 공급하는 방식은 상부의 배수로와 전면의 급수관을 설치하여 물을 공급하게 되므로 상부의 배수로에서 월류시켜 전면에 급수하게 되면, 옹벽의 배면으로 물이 유입되어 지반이 연약화되어 옹벽의 변위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급수관이 옹벽의 전면에 설치되어 옹벽의 전면 경관을 해치며 지속적인 유지 관리가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사 현장에서 판넬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로 내부에는 급수관을 매입 설치하므로 화분에 외부의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또한 판넬에 태양광 경관 조명을 설치하여 옹벽을 전체적으로 자연 친화적이면서 야간 경관을 아름답게 조성할 수 있는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에 삽입 설치되는 캡과 상측과 하측에 삽입공이 다수 개 형성되고 각각 삽입공의 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이 매립 설치된 콘크리트 판넬과, 상기 콘크리트 판넬의 삽입공에 삽입 설치되며 바닥면이 전방으로 경사진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후방 양측 면이 하향 돌출된 걸림턱을 갖는 화분과, 상기 콘크리트 판넬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콘크리트 판넬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콘크리트 판넬의 후면에 다수 개가 설치되며 급수관으로 지반의 지하수를 공급하는 외부급수관과, 상기 콘크리트 판넬을 상하,좌우로 적층하여 옹벽을 형성하고 옹벽판넬 중 콘크리트 판넬에 다수 개의 태양광 경관 조명이 매립 설치된 경관 조명장치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판넬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매립 설치하여 외부에서 화분으로 물을 공급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경관 조명장치를 추가로 구성하여 야간 경관을 뛰어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판넬에 설치된 화분에 초목류나 덩쿨류가 자라나 옹벽이 삭막하지 않고 자연 친화적인 조성물로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판넬과 화분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판넬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7b은 본 발명의 부직포 앵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8~10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판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경관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경관 조명등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15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판넬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인 콘크리트 판넬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17~18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9~20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판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인 화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인 경관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인 경관 조명등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4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판넬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 및 콘크리트 판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 이다. 이의 도면 중 부호 100은 본 발명의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의 본체를 나타낸다.
상기 본체(100)는 중앙에 캡(20)과 내부에 급수관(15)이 매립되면서 화분(40)이 삽입되는 삽입공(11)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10)과, 콘크리트 판넬(10)에 다수 개가 삽입 설치되는 화분(40)과, 콘크리트 판넬(1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50)과 지반의 지하수를 화분(40)으로 공급하는 외부급수관(60)과, 다수 개의 콘크리트 판넬(10)을 상하,좌우로 적층하여 옹벽을 형성하고, 옹벽 중 콘크리트 판넬(10)로 다수의 태양광 경관 조명을 매립 설치한 경관 조명장치(80)로 구성한다.
상기 콘크리트 판넬(1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이면서 정중앙에는 내부로 쏘일 네일이나 락볼트가 체결된 지압판이 설치되고 그 외면으로 쏘일 네일이나 락볼트를 보호하는 캡(20)을 설치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판넬(10)의 상측과 하측에 반 타원 형태의 삽입공(11)이 관통되도록 다수 개를 형성하고, 각각 삽입공(11)의 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5)을 내부로 매립하여 형성한다.
상기 급수관(15)의 형태는 첨부된 도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판넬(10)의 내부를 가로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주배관(16)을 형성하고, 주배관(16)의 하측 면으로 다수 개의 하측 분기관(17)을 형성한다.
상기 하측 분기관(17)은 삽입공(11)의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삽입공 (11)내로 위치시키고, 주배관(16)의 후방 면에는 외부급수관(60)이 체결되도록 다수 개의 후방 분기관(18)을 형성한다. 이때, 후방 분기관(18)은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상기 콘크리트 판넬(10)을 제작할 때, 외곽 테두리로 첨부된 도면 도 6 및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직포 앵글(30)이 형성되도록 제작한다.
상기 부직포 앵글(30)은 부직포 봉(31)을 중심으로 수직 상태인 두 개의 밀착면(32)을 형성하고 밀착면(32)의 전방에는 내측으로 꺽인 걸림턱(33)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부직포 앵글(30)의 부직포 봉(31)과 밀착면(32) 전방에 형성된 걸림턱(33)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내부로 삽입되어 콘크리트가 양생시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부직포 봉(31)에 형성된 다수의 철선(31a)이 콘크리트 내부에 고정되어 있어 부직포 앵글(30)을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부직포 앵글(30)은 콘크리트 판넬(10)의 전방 외곽 테두리로 4 개가 체결되며, 부직포로 이루어지면서 철선(31a)을 갖는 부직포 봉(31)은 각 모서리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부직포 앵글(30)은 콘크리트 판넬(10)을 적층할 때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며 콘크리트 판넬(10)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고 콘크리트 판넬(10) 사이로 미세한 흙 입자가 유출되어 뒤채움 토사가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콘크리트 판넬(10)의 전면에 흙 얼룩이 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화분(40)은 반 타원 형태로 후방 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바닥면(41)이 전방으로 경사진 내부공간(42)을 가지면서 후방의 양측 면이 하향 돌출된 걸림턱(43)을 갖는다.
그리고 화분(40)의 후방에 개방된 면을 상측으로 돌출된 턱(44)을 형성하여 화분(40) 내로 지하수가 유입될 때 화분(40)에 적층된 토립자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화분(40)의 전방 면은 직선이 아닌 곡선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화분(40)의 전방 면을 콘크리트 판넬(10)의 후방에서 삽입공(11)으로 삽입한 후 전방으로 밀어서 걸림턱(43)의 전면이 콘크리트 판넬(10)의 후방 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판넬(10)의 외부로 노출된 화분(40)의 전방 내부공간(42)으로 초목류나 덩쿨류(담쟁이, 송악, 마삭줄, 덩쿨손, 줄사철 등)을 식재한 후에 내부공간(42)으로는 일정량의 부식 양분토와 흙을 채워 초목류나 덩쿨류가 수직 상태로 견고하게 심겨지도록 한다.
이때, 화분(40)에 식재된 덩쿨류가 상측으로 자랄 수 있도록 아연 도금 처리한 철선을 여러 가닥 옹벽의 위쪽으로 설치한다.
상기 연결관(50)은 콘크리트 판넬(10)의 양측 면에 형성된 급수관(15)으로 삽입되어 2개의 콘크리트 판넬(10)의 급수관(15)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공급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급수관(15)으로는 옹벽의 상부에 반 정도 매립 설치된 직사각형의 보온 처리된 플라스틱 물통(19)에 채워진 물을 공급관(19a)을 이용하여 공급하게 된다.
상기 물통(19)은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수위측정용 배수 구멍(19b)과 외부에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물공급 구멍(19c) 및 화분으로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가 연결되는 물공급 파이프 연결 구멍(19d)을 형성한다.
상기 외부급수관(60)의 한쪽 끝을 콘크리트 판넬(10)의 후면에 형성된 후방 분기관(18)으로 체결하여 상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경사면의 수평배수공과 연결하여 수평배수공으로 유입되는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판넬(10)은 첨부된 도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에 형성된 문양을 나무껍질(71) 문양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나무 가지 모양의 캡(73)을 체결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판넬(10)의 전면에 형성된 문양을 꽃잎(72) 문양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꽃 모양의 캡(73)을 체결한다.
상기 캡(73)은 첨부된 도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압판(1)의 전방에 구멍이 형성된 고정판으로 캡(73)의 상측에 형성된 체결홈(74)을 삽입한 후에 체결홈(74)의 구멍을 고정판의 구멍과 일치시킨 후에 힌지축(75)을 체결한다. 상기 캡(73)은 힌지축(75)에 의해 상,하로 개폐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관 조명장치(80)는 첨부된 도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판넬(10)과 태양광 경관 조명등(81)을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판넬(10a)을 상,하,좌,우로 적층하여 옹벽을 형성한다.
상기 콘크리트 판넬(10a)로 광원 또는 조광기(82)와 광원함(83)으로 이루어진 경관 조명등(81)을 설치하고 광원함(83)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연결한다.
상기 경관 조명등(81)의 형태는 칼라 아크릴봉, 광섬유, 광파이프, 포인트 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원함(83)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공급하게 되고, 다수 개의 태양광 열판(84)이 설치된 태양전지판(85)의 태양열이 직류 전기로 배전반(86)의 배터리(87)로 저장하고 이를 광원함(83)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태양전지판(85)의 위에 조도감지 센서(88)를 설치하여 야간에 자동으로 경관 조명등(81)을 점등한다.
상기 경관 조명등(81)은 콘크리트 판넬(110a)의 전방에서 앞쪽으로 잡아당겨 분리 가능하므로 내부의 광원 또는 조광기(82)를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다.
상기 경관 조명등(81)이 설치되는 콘크리트 판넬(10a)은 첨부된 도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옹벽의 상측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과 옹벽 조형물의 경관에 맞게 다수 개의 경관 조명등(81)을 이용하여 다이아몬드 형태나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 판넬(10)의 측면에 형성된 급수관(15)으로 연결관(50)을 삽입하고, 다른 콘크리트 판넬(10)의 측면에 형성된 급수관(15)을 연결관(50)으로 삽입하여 다수 개를 좌우로 연결하고, 상측으로 적층하여 옹벽을 형성한다.
이때, 콘크리트 판넬(10)의 외곽을 부직포 앵글(30)이 감싸고 있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옹벽을 시공할 수 있고 배면의 토립자 유출로 인한 뒤채움 토사의 침하를 방지하고 콘크리트 판넬(10) 전면의 얼룩 생성을 방지한다.
상기 옹벽 중 자연 친화적이며 야간 경관을 위한 콘크리트 판넬(10a)에는 다수 개의 태양광 경관 조명등(81)을 설치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판넬(10)에 형성된 삽입공(11)으로 화분(40)을 삽입 설치하고, 화분(40) 내로 초목류나 덩쿨류를 식재하고 부식 양분토와 흙을 채워 초목류나 덩쿨류가 수직 상태가 되도록 심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크리트 판넬의 급수관(15)으로 물통(19)과 연결된 공급관(19a)을 연결하여 화분 내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판넬(10)의 측면에 형성된 급수관(15)으로 물을 공급하게 되면, 유입된 물이 급수관(15)을 따라 이동하다가 삽입공(11) 내로 분기된 하측 분기관(17)을 통해 화분(40)의 내부공간(42)으로 물을 공급하여 초목류나 덩쿨류가 자라면서 아연 도금 처리된 철선을 따라 옹벽의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아울러, 비가 오는 날이나 장마철에는 비가 그친 후에 서서히 수평배수공으로 유입되는 물이 외부급수관(60)으로 통해 급수관(15)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급수관(15)을 따라 이동하다가 삽입공(11) 내로 분기된 하측 분기관(17)을 통해 화분(40)의 내부공간(42)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급수관(15)이 내부에 매립 설치되어 있어 유입되는 물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넘치는 경우가 없어 지반이 연약해져 옹벽의 변위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없는 것이다.
그리고 야간에는 옹벽의 상측 콘크리트 판넬(10a)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등(81)이 점등되면서 야간의 경관을 아름답게 조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분(40)의 심겨진 초목류나 덩쿨류가 콘크리트 판넬(10)의 전면에 형성된 다양한 문양 및 조명등과 어울려 자연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 판넬(10)의 다른 형태는 첨부된 도면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에 다양한 형태의 나무껍질(91) 문양을 세로 방향으로 다수 개를 형성하고, 중간에 형성된 나무껍질 문양의 중간 부분에 캡(92)을 체결하여 사용한다.
상기 캡(92)은 첨부된 도면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압판(1)에 체결된 쏘일 네일이나 락볼트(2)의 외면으로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판넬(10)의 전면에 첨부된 도면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한 문양(95) 및 로고를 형상화하여 다양한 종류의 옹벽 조형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 17 및 1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200)은 중앙에 캡(120)과 화분(140)이 삽입되고 외면에는 원형 삽입공(111)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110)과, 콘크리트 판넬(110)에 다수 개가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의 화분(140)과, 콘크리트 판넬(110)의 후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급수관(150)과, 급수관(150)으로 외부의 물을 공급하는 외부급수관(160) 및 경관 조명장치(180)로 구성한다.
상기 콘크리트 판넬(11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로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형태이면서 정중앙에는 내부로 쏘일 네일이나 락볼트가 체결된 지압판이 설치되고 그 외면으로 쏘일 네일이나 락 볼트를 보호하는 캡(120)을 설치한다.
상기 콘크리트 판넬(110)은 첨부된 도면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과 하측에 원형의 삽입공(111)이 관통되며 일정 배열로 다수 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111) 내로 물이 공급되도록 급수통로(112)를 형성한다. 상기 급수통로(112)는 삽입공(111)의 상측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측은 삽입공(111) 내부와 연결된 하측 급수통로(113)을 형성하고 후방으로는 콘크리트 판넬(110)의 후면으로 노출되도록 후방 급수통로(114)를 형성한다.
상기 콘크리트 판넬(110)을 제작할 때, 외곽 테두리로 첨부된 도면 도 6 내지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직포 앵글(30)이 형성되도록 제작한다.
상기 부직포 앵글(30)은 부직포 봉(31)을 중심으로 수직 상태인 두 개의 밀착면(32)을 형성하고 밀착면(32)의 전방에는 내측으로 꺽인 걸림턱(33)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부직포 앵글(30)의 부직포 봉(31)과 밀착면(32) 전방에 형성된 걸림턱(33)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내부로 삽입되어 콘크리트가 양생시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부직포 봉(31)에 형성된 다수의 철선(31a)이 콘크리트 내부에 고정되어 있어 부직포 앵글(30)을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부직포 앵글(30)은 콘크리트 판넬(110)을 적층할 때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며 콘크리트 판넬(110)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고 콘크리트 판넬(110) 사이로 배면수가 유출시 미세한 흙 입자가 유출되어 뒤채움 토사가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콘크리트 판넬(110)의 전면에 흙 얼룩이 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화분(140)은 첨부된 도면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 케이스의 전방 면의 상측을 일정 길이로 절개하여 개방된 개방홈(141)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면 중앙 부분에 외부의 물이 공급되도록 구멍(142)을 형성한다.
그리고 원통형 케이스의 후방 면에는 원형의 걸림턱(143)을 가지면서 마개(145)가 체결되는 체결공(144)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공(144)으로는 중앙에 구멍(146)이 형성된 원형 판인 마개(145)를 체결하여 후방 구멍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화분(140)을 콘크리트 판넬(110)의 후방에서 삽입공(111)으로 삽입하여 전방으로 밀어서 걸림턱(143)이 콘크리트 판넬(110)의 표면에 밀착되게 고정한다.
그리고 화분(140)의 개방홈(141)으로 초목류나 지피식물과 덩쿨류(담쟁이, 송악, 마삭줄, 덩쿨손, 줄사철 등)을 식재하고 삽입하고 뿌리 부분은 화분(140)의 후방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마개(145)의 구멍(14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후에 개방홈(141)으로 부식양분토와 흙을 삽입하여 초목류나 지피식물 및 덩쿨류가 견고하게 심겨지도록 한다.
이때, 화분(140)에 식재된 덩쿨류가 상측으로 자랄 수 있도록 아연 도금 처리한 철선을 여러 가닥 옹벽의 위쪽으로 설치한다.
상기 급수관(150)은 전방 면에 다수 개의 전방 분기관(151)을 형성되고 한쪽 끝은 밀폐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 면에는 외부급수관(160)을 경사지게 체결한다.
상기 전방 분기관(151)은 콘크리트 판넬(110)의 후방 면에 노출된 후방 급수통로(114)로 삽입 설치한다. 그런 다음 급수관(150)을 철재 고리(155)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판넬(110)로 견고하게 고정 설치한다.
상기 급수관(150)으로는 옹벽의 상부에 반 정도 매립 설치된 직사각형의 보온 처리된 플라스틱 물통(119)에 채워진 물을 공급관(119a)을 이용하여 공급하게 된다.
상기 물통(119)은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수위측정용 배수 구멍(119b)과 외부에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물공급 구멍(119c) 및 화분으로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가 연결되는 물공급 파이프 연결 구멍(119d)을 형성한다.
상기 외부급수관(160)의 한쪽 끝을 콘크리트 판넬(110)의 후면에 형성된 급수관(150)의 외면에 경사지게 체결하고 그 끝단을 경사면의 수평배수공과 연결하여 수평배수공으로 유입되는 물이 화분(140) 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경관 조명장치(180)는 첨부된 도면 도 21에서 보는 비와 같이 콘크리트 판넬(110)과 태양광 경관 조명을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판넬(110a)을 상,하,좌,우로 적층하여 옹벽을 형성한다.
상기 경관 조명등(81)이 설치되는 콘크리트 판넬(110a)은 첨부된 도면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옹벽의 상측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과 옹벽 조형물의 경관에 맞게 다수 개의 경관 조명등(181)을 이용하여 다이아몬드 형태나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하여 설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콘크리트 판넬(110)에 형성된 원형의 삽입공(111)으로 화분(140) 대신 경관 조명등(181)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판넬(110a)로 광원 또는 조광기(182)와 광원함(183)으로 이루어진 경관 조명등(181)을 설치하고, 광원함(183)의 후방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연결한다.
상기 경관 조명등(181)의 형태는 칼라 아크릴봉, 광섬유, 광파이프, 포인트 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관 조명등(181)의 전원은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공급하게 되고, 다수 개의 태양광 열판(184)이 설치된 태양전지판(185)의 태양열이 직류 전기로 배전반(186)의 배터리(187)로 저장하고 이를 광원함(183)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태양전지판(185) 위에 설치된 조도감지 센서(188)를 통해 야간에 자동으로 경관 조명등(181)을 점등한다.
상기 경관 조명등(181)은 콘크리트 판넬(110a)의 전방에서 앞쪽으로 잡아당겨 분리 가능하므로 내부의 광원 또는 조광기(182)를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판넬(110)의 전면에 첨부된 도면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한 문양(190) 및 로고를 형상화하여 다양한 종류의 옹벽 조형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 판넬(110)의 후방 면으로 급수관(150)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판넬(110)을 상,하,좌,우로 적층하여 옹벽을 형성한다.
이때, 콘크리트 판넬(110)의 외곽을 부직포 앵글(130)이 감싸고 있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옹벽을 시공할 수 있고, 배면의 토립자 유출로 인한 뒤채움 토사의 침하를 방지하고 콘크리트 판넬(110) 전면의 얼룩 생성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옹벽을 형성하고 옹벽 중 자연 친화적이며 야간 경관을 위한 콘크리트 판넬(110a)에는 다수 개의 태양광 경관 조명등(181)을 설치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판넬(110)의 원형 삽입공(111)으로 화분(140)을 삽입하여 걸림턱(133)이 콘크리트 판넬(110)의 후방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화분(140)의 개방홈(141)으로 초목류나 지피식물과 덩쿨류를 식재하고 뿌리 부분은 후방으로 위치하도록 한 후에 부식양분토와 흙을 삽입하여 초목류나 덩쿨류를 견고하게 심는다.
이와 같이 화분(140)으로 초목류나 지피식물과 덩쿨류을 심은 후에 콘크리트 판넬(110)의 후방에 형성된 급수관(150)으로 물통(119)과 연결된 공급관(119a)을 연결하여 화분(140) 내로 물을 공급하면, 공급된 물이 급수관(150)을 따라 이동하다가 하측 급수통로(113)를 통해 삽입공(111) 내부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공급된 물은 화분(140)의 상측에 형성된 구멍(132)을 통해 화분(140) 내로 공급되어 초목류나 지피식물과 덩쿨류가 자라게 되고, 덩쿨류는 아연 도금 처리된 철선을 따라 옹벽의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또한, 비가 오는 날이나 장마철에는 비가 그친 후에 서서히 수평배수공으로 유입되는 물이 외부급수관(160)으로 통해 급수관(150)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급수관(150)을 따라 이동하다가 하측 급수통로(113)를 통해 삽입공(111) 내로 물을 공급하여 화분(140)의 구멍(146)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야간에는 옹벽의 상측 콘크리트 판넬(110a)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명등(181)이 점등되면서 야간의 경관을 아름답게 조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분(140)의 심겨진 초목류나 덩쿨류가 콘크리트 판넬(10)의 전면에 형성된 다양한 문양 및 조명등과 어울려 자연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100,200:본체 10,10a,110,110a:콘크리트 판넬
11,111:삽입공 15,150:급수관
16:주배관 17:하측 분기관
18:후방 분기관 19,119:물통
20:캡 30:부직포 앵글
31:부직포 봉 31a:철선
32:밀착면 33:걸림턱
40,140:화분 41:바닥면
42:내부공간 43,143:걸림턱
44:턱 50:연결관
60,160:외부급수관 71:나무껍질
72:꽃잎 73:캡
80,180:경관 조명장치 81,181:경관 조명등
82,182:광원 또는 조광기 83,183:광원함
84,184:태양광 열판 85,185:태양전지판
86,186:배전반 87,187:배터리
88,188:조도 감지센서 112:급수통로
113:하측 급수통로 114:후방 급수통로
141:개방홈 142,147:구멍
144:체결공 145:마개
151:전방 분기관 155:고리

Claims (11)

  1. 중앙에 삽입 설치되는 캡과 상측과 하측에 삽입공이 다수 개 형성되고 각각 삽입공의 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이 매립 설치된 콘크리트 판넬과;
    상기 콘크리트 판넬의 삽입공에 삽입 설치되며 바닥면이 전방으로 경사진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후방 양측 면이 하향 돌출된 걸림턱을 갖는 화분과;
    상기 콘크리트 판넬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콘크리트 판넬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콘크리트 판넬의 후면에 다수 개가 설치되며 급수관으로 지반의 지하수를 공급하는 외부급수관과;
    상기 콘크리트 판넬을 상하,좌우로 적층하여 옹벽을 형성하고 옹벽판넬 중 콘크리트 판넬로 다수 개의 태양광 경관 조명이 매립 설치된 경관 조명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2. 중앙에 삽입 설치되는 캡과, 상측과 하측에 삽입공이 다수 개 형성되고 삽입공의 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통로가 형성된 콘크리트 판넬과;
    상기 콘크리트 판넬의 삽입공에 삽입 체결되며 원통형의 케이스 전방 면의 상측을 일정 길이로 절개하고 후방 면에는 걸림턱을 가지며 후단 내부에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마개가 설치된 화분과;
    상기 콘트리트 판넬의 후면에 설치되며 삽입공의 상측에 체결된 고리로 고정되면서 다수 개의 분기관이 급수통로로 삽입 설치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후면에 다수 개가 설치되며 급수관으로 지반의 지하수를 공급하는 외부급수관과;
    상기 콘크리트 판넬을 상하,좌우로 적층하여 옹벽을 형성하고 옹벽판넬 중 콘크리트 판넬로 다수 개의 태양광 조명을 매립 설치된 경관 조명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판넬의 외곽 테두리로 부직포봉을 중심으로 두 개의 밀착 면을 형성하고 밀착 면의 전방에는 내측으로 꺽인 걸림턱을 갖는 부직포앵글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의 상측 면에 외부급수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보온 처리된 직사각형의 물통이 매립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판넬의 전면은 나무껍질 문양으로 형성하고 캡은 나무 가지 모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판넬의 전면은 꽃잎 문양으로 형성하고 캡은 꽃잎 모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판넬은 전면에 나무 껍질 문양을 세로 방향으로 길게 다수 개를 형성하고, 그 중 중간에 형성된 곳에 캡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지압판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지압판에 체결된 쏘일네일이나 락볼트의 외면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판넬은 전면에 다양한 문양 및 로고를 형상화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관조명장치는, 옹벽의 중간 중간에 콘크리트 판넬로 다수 개의 경관 조명등을 매립 설치하고, 경관 조명등으로 태양전지판에서 얻어진 태양열이 직류전기로 배전반에 설치된 배터리에 변환 및 저장되며, 태양전지판 위에 설치된 조도감지 센서에 의해 야간에 자동 점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KR1020110055693A 2011-06-09 2011-06-09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KR101242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693A KR101242112B1 (ko) 2011-06-09 2011-06-09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693A KR101242112B1 (ko) 2011-06-09 2011-06-09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643A true KR20120136643A (ko) 2012-12-20
KR101242112B1 KR101242112B1 (ko) 2013-03-11

Family

ID=4790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693A KR101242112B1 (ko) 2011-06-09 2011-06-09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1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294A (ko)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동림이엔지 식생 및 조경용 프리캐스트 패널 옹벽 구조물
KR102152973B1 (ko) * 2020-03-05 2020-09-07 고연우 월류방지벽의 설치구조
KR102446644B1 (ko) * 2022-02-16 2022-09-22 김석환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
KR102468059B1 (ko) * 2022-02-09 2022-11-18 (주)베스트건설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KR102494390B1 (ko) * 2022-04-25 2023-02-06 공학봉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594B1 (ko) * 2017-10-19 2018-08-14 (주)대창양회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
KR102229085B1 (ko) 2020-08-13 2021-03-18 주식회사 상원그린콘 콘크리트 제품용 조명장치
KR102387999B1 (ko) 2021-05-21 2022-04-19 주식회사 브이텍씨엔이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옹벽 및 사면 거동 실시간 관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654A (ja) 2003-08-28 2005-03-17 Hyper Lab Co Ltd 壁面プランター
KR100520480B1 (ko) 2004-11-23 2005-10-11 (주)삼원기술단 합성 기둥을 이용한 도로 하천제방 옹벽구조
KR101043958B1 (ko) * 2009-01-15 2011-06-27 조흥열 조립식 벽면 조경시스템
KR20100100093A (ko) * 2009-03-05 2010-09-15 오성훈 식생 옹벽패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294A (ko) * 2018-04-20 2019-10-30 주식회사동림이엔지 식생 및 조경용 프리캐스트 패널 옹벽 구조물
KR102152973B1 (ko) * 2020-03-05 2020-09-07 고연우 월류방지벽의 설치구조
KR102468059B1 (ko) * 2022-02-09 2022-11-18 (주)베스트건설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KR102446644B1 (ko) * 2022-02-16 2022-09-22 김석환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
KR102494390B1 (ko) * 2022-04-25 2023-02-06 공학봉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112B1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112B1 (ko)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CN103430731B (zh) 一种在岩石山体上种植绿化的方法及建筑结构
CN108901648A (zh) 生态草毯及其用于土质边坡防护的施工方法
CN204238177U (zh) 一种组合式几字形砌块的生态土工结构
CN1259486C (zh) 锚喷结构边坡的表面绿化方法
KR100593192B1 (ko) 도로 사면용 식생매트
AU2012334809A1 (en) Modular planting system
CN104631387A (zh) 一种组合式几字形砌块的生态土工结构
CN107155785A (zh) 通过蓄积雨水植树的方法及装置
CN109315237B (zh) 一种矿山高陡岩质边坡绿化方法
CN205475264U (zh) 一种山区风电场高陡弃渣边坡加筋锚固生态修复结构
CN208578051U (zh) 一种预防泥石流生态护坡结构
CN103122640A (zh) 一种边坡防护结构及防护方法
KR101337411B1 (ko) 녹화 게비온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113439593B (zh) 一种填方施工区树木就地保护结构及施工方法
KR101244804B1 (ko)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CN204782130U (zh) 一种景观微地形构建结构
KR100873750B1 (ko) 캡슐형 식생공간을 갖는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38787B1 (ko) 녹화가 가능한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CN208844607U (zh) 一种装配式生态加筋土挡土墙结构
KR101277662B1 (ko) 인도의 변형이 방지되는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공법
KR101245252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석축 시공방법 및 석축 시공을 위한 시공석 유닛
CN207995758U (zh) 树木移栽竖直固定装置
CN202577237U (zh) 一种植物生态水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