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644B1 -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644B1
KR102446644B1 KR1020220020084A KR20220020084A KR102446644B1 KR 102446644 B1 KR102446644 B1 KR 102446644B1 KR 1020220020084 A KR1020220020084 A KR 1020220020084A KR 20220020084 A KR20220020084 A KR 20220020084A KR 102446644 B1 KR102446644 B1 KR 102446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unit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rou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김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환 filed Critical 김석환
Priority to KR1020220020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2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using renewable energies, e.g. solar water pu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토면에 제공되어, 절토면을 지지하고 태양광의 전력전송 루트를 제공하는 옹벽 시스템에 있어서, 옹벽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며, 절토면을 지지하는 백 블록 유닛; 및 옹벽 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며, 백 블록 유닛과 이격되어 형성되어 전력전송 루트를 제공하는 프론트 블록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System of retaining wall having route of transmission power for solar panel}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절토면에 제공되는 옹벽 블록에 있어서, 옹벽 내 전력전송 루트를 형성하여 태양광 발전선로를 제공하며 절토면의 절토 가이드에 관한 기술분야입니다.
최근 10년간 우리나라의 에너지 소비는 매년 10%라는 세계 최고의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 역시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국토부는 오는 2025년까지 고속도로에서 소요되는 전력량만큼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한다는 목표를 수립해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고속도로 유휴부지에 태양광 발전시설과 더불어 새롭게 연료전지 설비 3곳도 구축할 예정이다.
태양광 발전사업을 하기 위하여 패널을 설치할 넓은 땅이 필요하지만, 국토의 면적이 좁은 대한민국의 경우, 도로가 가진 자산 등 기본 시설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시설을 늘려가려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도로 혹은 하천의 절토된 경사면은 기존의 토지를 깍아 인위적으로 만든 것으로, 수목의 성장, 토지 다짐 등 자연 발생적인 요인으로 절토면의 미관 관리나, 토지 유실 방지 현상을 기대하기에는 시간적 여유가 없을 뿐만 아니라, 안정성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절토면의 영역은 수목이나 기타 풀의 성장에 제한이 되는 요소로 작용하는 반면, 절토면의 영역은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어, 또 다른 활용도를 나타낼 수 있다.
절토면의 외면에는 옹벽과 같은 구조물이 필요하며, 이러한 구조물의 면적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존재하며, 이와 관련한 선행 특허문헌으로서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 및 그 시공법(등록번호 제10-0870150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의 경우,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은 옹벽 블록을 조적(組積)하고, 조적된 블록들과 절토(切土)면 또는 바닥면에 형성된 지지체와의 연결을 위한 보강연결부재에서, 통상적으로 일단(一端)이 절곡된 철재로 이루어진 스틸바(Steal-Bar)형 제1보강연결부재와, 인장강도(引張强度) 및 인장 탄성계수가 우수한 토목섬유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이 교호적으로 연결된 폴드-락-스트립(Fold Lock Strip)형 제2보강연결부재와, 그리고 제2보강연결부재와 동일 소재로 이루어진 지오그리드(Geogrid)형 제3보강연결부재로 나누어지고, 이러한 보강연결부재에 맞는 옹벽 블록을 선택하여 시공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각 보강연결부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옹벽 블록을 제공함으로써, 시공 환경에 따라 적합한 보강연결부재를 선택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옹벽 블록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등록번호 제10-1242112호, 이하 특허문헌 2라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의 경우,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에 초목이나 덩쿨이 식재된 화분을 다수 개 설치하고 또한 다수 개의 태양광 경관 조명을 설치하도록 구성하며, 판넬의 내부에 형성된 급수관을 통해 화분으로 물을 공급하여 초목이나 덩쿨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며 태양광 경관 조명으로 야간에 야경을 조성하여 옹벽을 전체적으로 자연 친화적인 조형물로 조성할 수 있는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에 관한 것이다.
또한, 옹벽의 면적을 태양광 발전을 위한 영역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노력도 존재하는데,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으로서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등록번호 제10-1888594호, 이하 특허문헌 3이라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3의 경우, 다수의 LED 램프를 구비하며, 상호 조립식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 조립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들로 태양광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전지판; 태양전지판과 연결되며, 태양전지판에서 발생되는 전기가 저장되는 전기 저장부; 및 전기 저장부와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 중 하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부를 포함하며,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들은 마그네틱 방식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옹벽 블록 장착용 태양광 패널 거치 시스템(등록번호 제10-2137059호, 이하 특허문헌 4라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4의 경우, 절토면에 안착되어, 절토면을 커버하여 절토면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는 블로킹 유닛; 블로킹 유닛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태양광을 향하여 대향하도록, 블로킹 유닛의 표면으로부터의 각도가 임의 조절될 수 있는 패널 유닛; 및 블로킹 유닛의 표면에 고정 부착되고, 패널 유닛을 마운팅하며, 패널 유닛의 페이스가 태양광에 대향하도록 패널 유닛의 각도를 임의 조절되도록 하는 조인트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기존의 종래 선행 특허문헌들의 경우, 옹벽을 활용하여 태양광 패널을 거치하고자 하는 기술적 아이디어는 존재하나, 태양광 발전을 위하여 필수적인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해야 하는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등록번호 제10-0870150호 등록번호 제10-1242112호 등록번호 제10-1888594호 등록번호 제10-2137059호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옹벽 블록 내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의 전력전송 루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절토면을 지지함과 함께, 태양광 거치 및 전력전송 루트를 제공하여 별도의 태양광 발전선로가 불필요하도록 한다.
셋째, 옹벽 블록 간의 선택적 결합을 통하여 옹벽 블록의 고정은 물론, 전력전송 루트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은 절토면에 제공되어, 상기 절토면을 지지하고 태양광의 전력전송 루트(route)를 제공하는 옹벽 시스템에 있어서, 옹벽 블록의 하부(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절토면을 지지하는 백 블록 유닛(back block unit); 및 상기 옹벽 블록의 상부(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백 블록 유닛과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전력전송 루트를 제공하는 프론트 블록 유닛(front block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은 상기 백 블록 유닛과 상기 프론트 블록 유닛을 상호 연결하며, 복수 개의 상기 옹벽 블록 간에 선택적인 결합을 제공하는 미들 커넥팅 유닛(middle connecting uni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은 상기 프론트 블록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깊이로부터 상기 백 블록 유닛이 상기 절토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메인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상기 프론트 블록 유닛은, 상기 메인 홀로부터 상기 프론트 블록 유닛의 측면까지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전력전송 루트를 형성하는 전력전송 루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력전송 루트부는, 상기 메인 홀에 구비되어, 상기 태양광의 배선이 상기 메인 홀로 출입되도록 하는 홀을 형성하는 인렛홀부; 및 상기 프론트 블록 유닛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태양광의 배선이 상기 프론트 블록 유닛의 측면으로 출입되도록 하는 홀을 형성하는 아웃렛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상기 미들 커넥팅 유닛은, 상기 미들 커넥팅 유닛의 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 형성되는 익스터널부; 및 상기 익스터널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미들 커넥팅 유닛의 측면으로부터 내향 오목하게 형성되는 인터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상기 미들 커넥팅 유닛은, 상기 익스터널부가 소정의 높이까지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옹벽 블록의 결합 시 상기 옹벽 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블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상기 미들 커넥팅 유닛은, 상기 익스터널부에 서브 홀을 형성하고, 상기 서브 홀은 내향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서브 홀과 대응되도록 상기 인터널부에 내향 오목한 홀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상기 미들 커넥팅 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옹벽 블록의 연결 시 상기 블로킹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고정 연결되어 인접한 상기 전력전송 루트부 상호간에 대응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상기 미들 커넥팅 유닛은, 상기 옹벽 블록의 결합 방향 대비 소정의 기울어짐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익스터널부와 상기 인터널부의 결합 시 소정의 기울어짐 경사를 통해 결합 방향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상기 프론트 블록 유닛은,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호 이격되는 고정핀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핀을 통해 상기 상면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태양광 장치를 거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상기 미들 커넥팅 유닛은 상기 인터널부와 상기 익스터널부의 연결을 통하여 복수 개의 상기 옹벽 블록이 연결되며, 복수 개의 상기 옹벽 블록은 상기 인터널부와 상기 익스터널부의 결합을 통하여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옹벽의 외벽의 큰 면적을 태양광 발전에 활용함에 있어서, 태양광의 전력전송 루트를 옹벽 내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옹벽의 후면은 절토면을 지지하고, 옹벽의 전면은 태양광의 발전선로를 제공할 수 있어, 태양광 발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옹벽 블록 측면에 익스터널부와 인터널부를 형성하여 옹벽 블록 산 선택적 결합이 가능하며, 전력전송 루트의 루트 공간 일정 유지 및 옹벽 블록 간 결합 고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옹벽 블록 내 메인 홀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옹벽 블록 간 선택적인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익스터널부와 인터널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옹벽 블록과 인근하는 옹벽 블록의 익스터널부와 인터널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커런트 센싱 유닛 중 파트 지정부를 통하여 옹벽 블록이 집합체로 지정되고, 모니터링 서버로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커런트 센싱 유닛 중 커런트 센싱부가 로테이션 플레이트의 회전 속도를 영상으로 인식하여 옹벽 블록 집합체 중 어느 하나의 집합체의 불량을 인식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옹벽 블록 내 메인 홀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옹벽 블록 간 선택적인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익스터널부와 인터널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옹벽 블록과 인근하는 옹벽 블록의 익스터널부와 인터널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커런트 센싱 유닛 중 파트 지정부를 통하여 옹벽 블록이 집합체로 지정되고, 모니터링 서버로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커런트 센싱 유닛 중 커런트 센싱부가 로테이션 플레이트의 회전 속도를 영상으로 인식하여 옹벽 블록 집합체 중 어느 하나의 집합체의 불량을 인식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은 절토면에 형성되는 옹벽의 면적을 태양광 발전을 위한 영역으로 활용하며, 태양광 발전을 통한 전력전송 루트(route)를 제공하도록 한다.
절토면의 외면에는 절토면으로부터의 지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옹벽과 같은 구조물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옹벽의 넓은 면적을 통하여 태양광 발전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으나, 태양광 발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전력전송이 필수적이며, 별도의 전력전송 루트를 설치하기에는 비용과 시간이 수반되어진다.
본 발명의 경우, 옹벽 내 전력전송 루트를 형성하여 별도의 전력전송 루트 형성에 허비되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은 백 블록 유닛(back block unit, 100), 프론트 블록 유닛(front block unit, 2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백 블록 유닛(10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며, 절토면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백 블록 유닛(100)은 절토면의 외면을 커버하고 지지하며, 절토면으로부터 유실되는 토사의 유출을 방지한다.
옹벽 블록의 경우, 절토면의 외벽에 블록 단위로 하나씩 안착하여 절토면의 외면을 커버하고, 복수 개의 옹벽 블록이 모여 절토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블록 유닛(200)은 옹벽 블록의 상부에 배치되고, 백 블록 유닛(100)과 이격되어 형성되어 전력전송 루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론트 블록 유닛(200)의 경우, 백 블록 유닛(100)과 크기 및 너비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론트 블록 유닛(200)과 백 블록 유닛(100)은 하나의 옹벽 블록에 각기 이격되어 대향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프론트 블록 유닛(200)은 전력전송 루트를 프론트 블록 유닛(200) 내에 형성하여 태양광 발전을 위한 배선의 루트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은 백 블록 유닛(100)과 프론트 블록 유닛(200) 사이에 미들 커넥팅 유닛(middle connecting unit, 300)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 커넥팅 유닛(30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블록 유닛(100)과 프론트 블록 유닛(200)을 상호 연결하며, 복수 개의 옹벽 블록 간에 선택적인 결합을 제공하게 된다.
미들 커넥팅 유닛(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옹벽 블록 간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미들 커넥팅 유닛(300)이 복수 개의 옹벽 블록 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서는 미들 커넥팅 유닛(300)의 블록 간 결합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은 프론트 블록 유닛(200)으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고, 소정의 깊이로부터 백 블록 유닛(100)이 절토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메인 홀(10)을 형성한다.
메인 홀(1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 블록의 중앙에 제공되어질 수도 있으나, 그 제공 위치에 대하여서는 한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홀(10)의 경우, 메인 홀(10) 내부에 앵커 홀(H)형성하여 메인 홀(10)의 앵커 홀(H)을 통해 백 블록 유닛(100)이 절토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앵커 홀(H)의 관통구를 앵커(anchor)(미도시)가 관통하며, 앵커가 절토면의 토사 내부에 침투하여 고정됨으로 결과적으로 백 블록 유닛(100)이 절토면의 표면에 안착되고 고정될 수 있다.
옹벽 블록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절토면에 안착되는 구성으로 가파른 경사를 형성하기에 자중만으로 절토면에 안착되기 어려우며, 개별적으로 앵커 홀(H)을 앵커(anchor)가 관통하여 백 블록 유닛(100)이 개별적으로 절토면의 토사를 커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프론트 블록 유닛(200)의 경우, 메인 홀(10)로부터 프론트 블록 유닛(200)의 측면까지 관통하여 구비되며, 전력전송 루트를 형성하는 전력전송 루트(route)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전송 루트부(210)의 경우, 인렛홀부(211), 아웃렛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인렛홀부(211)의 경우, 메인 홀(10)에 구비되어 전력이 메인 홀로 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렛홀부(211)의 경우, 메인 홀(10)로부터 형성되는 홀(hole)에 해당하는 것이다.
아웃렛홀부(212)의 경우, 프론트 블록 유닛(200)의 측면에 구비되어, 전력이 프론트 블록 유닛(200)의 측면으로 출입되도록 하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아웃렛홀부(212)는 프론트 블록 유닛(200)의 측면에 홀(hole)로 형성되는 것이다.
인렛홀부(211)와 아웃렛홀부(212)는, 하나의 전력전송 루트부(210)를 형성하며, 전력전송 루트부(210)의 경우, 하나의 옹벽 블록 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전송 루트부(210)의 경우, 프론트 블록 유닛(200)의 각 측면으로부터 메인 홀(10)까지 형성되는 것이며, 각각의 측면에 각각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블록 유닛(200)의 측면의 4곳에 아웃렛홀부(212)가 형성되며, 아웃렛홀부(212)와 이어지는 인렛홀부(211)도 메인 홀(10)에 4곳이 형성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아웃렛홀부(212)와 인렛홀부(211)는 하나의 쌍으로 형성되어 전력전송 루트부(210)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미들 커넥팅 유닛(300)은, 익스터널(external)부(310), 인터널(internal)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익스터널부(310)의 경우, 미들 커넥팅 유닛(300)의 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널부(320)의 경우, 익스터널부(31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미들 커넥팅 유닛(300)의 측면으로부터 내향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익스터널부(310)의 경우, 도 2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인접하는 옹벽 블록의 인터널부(320')와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인터널부(320)의 경우,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인접하는 옹벽 블록의 익스터널부(310')와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익스터널부(310)와 인터널부(320)이 경우, 각각이 하나의 옹벽 블록 내에 미들 커넥팅 유닛(300)에 제공되는 것이며, 옹벽 블록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측면에 형성된 익스터널부(310)와 인터널부(320)는 복수 개의 옹벽 블록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옹벽 블록이 결합되는 경우, 이탈되거나 이격되지 않도록 내향 오목하고, 외향 볼록함을 통하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미들 커넥팅 유닛(300)의 익스터널부(310)는 인접하는 옹벽 블록의 인터널부(320')와 결합되며, 미들 커넥팅 유닛(300)의 인터널부(320)는 인접하는 옹벽 블록의 익스터널부(310')와 선택적인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익스터널부(310)와 인터널부(320)는 옹벽 블록 내에서 각각이 쌍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터널부(310)가 옹벽 블록의 오른쪽 측면과 하부에 제공되는 경우, 인터널부(320)는 왼쪽 측면과 상부에 제공되어질 수 있다.
아울러, 이어지는 옹벽 블록의 경우도 같은 방향으로 익스터널부(310')와 인터널부(320')가 제공됨에 따라 복수 개의 옹벽 블록 간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미들 커넥팅 유닛(300)은, 익스터널부(310)가 소정의 높이까지 형성되어, 복수 개의 옹벽 블록의 결합 시 옹벽 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블로킹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로킹부(311)는 소정의 높이까지 형성되는 익스터널부(310)로서, 인터널부(320)의 일부 높이까지 형성되어질 수 있다.
블로킹부(311)의 경우, 백 블록 유닛(100)과 프론트 블록 유닛(20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킹부(311)의 경우, 익스터널부(310)가 인터널부(320)에 끼워지는 경우, 익스터널부(310)가 더 이상 측면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블로킹부(311)의 경우, 미들 커넥팅 유닛(300)의 측면에 제공되어져, 이어지는 블록의 좌우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블로킹부(311)는 익스터널부(310)에서 연장되어 제공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널부(320)의 하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제공된 것이다.
소정의 높이는, 이어지는 옹벽 블록의 익스터널부(310)의 일측의 하부와 접촉할 만큼의 높이에 해당하며, 이어지는 옹벽 블록의 익스터널부(310)의 일측의 하부와의 접촉으로 이어지는 옹벽 블록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미들 커넥팅 유닛(300)은, 익스터널부(310)에 서브 홀(S)을 형성하고, 서브 홀(S)은 내향 오목하게 형성되며, 서브 홀(S)과 대응되도록 인터널부에 내향 오목한 홀(S')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터널부(310)는 서브 홀(S)을 형성하는데 서브 홀(S)은 내향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터널부(310)의 서브 홀(S)과 대응되도록 인터널부(320)에도 내향 오목한 홀(S')이 형성된다.
익스터널부(310)에 형성된 서브 홀(S)과 인터널부(320)에 형성된 내향 오목한 홀(S')은 인접하는 옹벽 블록 간에 연결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하게 되며, 서브 홀(S)과 내향 오목한 홀(S')을 연결하는 피스(piece)(미도시)를 통하여 연결되어질 수 있다.
익스터널부(310)의 서브 홀(S)과 인터널부(320)의 내향 오목한 홀(S')이 피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경우, 결합된 익스터널부(310)와 인터널부(320)는 고정 유지되며, 좌우 이동이 방지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미들 커넥팅 유닛(300)은, 복수 개의 옹벽 블록의 연결 시 블로킹부(311)를 통해 선택적으로 고정 연결되어 인접한 전력전송 루트부(210) 상호간에 대응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옹벽 블록은 절토면에 복수 개로 제공되고 안착됨을 통해 절토면을 전면적으로 커버하게 되는데, 절토면에 안착되며, 상면에 소정의 태양광 장치를 거치하는 경우, 소정의 태양광 장치의 전력전송 루트가 필수적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태양광 장치의 전력전송 루트를 옹벽 블록 내에 제공함으로 전력전송 루트가 외관상 도출되는 것, 별도의 전력전송 루트의 생성으로 인한 시간적, 공간적 낭비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컨대, 전력전송 루트가 옹벽 블록 내에 제공되어지는 경우, 전력전송 루트의 상호 연결의 문제 등을 통하여 전력전송에 문제가 발생되어질 수 있을 수 있기에 전력전송 루트의 연결이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들 커넥팅 유닛(300)의 경우, 복수 개의 옹벽 블록 간 상호 간에 볼록하고 오목한 익스터널부(310)와 인터널부(320)를 통하여 결합되도록 하며, 결합함을 통해 복수 개의 옹벽 블록이 하나의 집합체로서 절토면에 제공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커넥팅 유닛(300)은, 익스터널부(310)와 연결되는 인터널부(320')가 결합 시 전력전송 루트에 해당하는 전력전송 루트부(210)의 아웃렛홀부(212)는 상호 간에 대응되도록 연결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아웃렛홀부(212)의 경우, 익스터널부(310)와 인터널부(320)의 결합 시 어긋나지 않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웃렛홀부(212)가 어긋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익스터널부(310)와 인터널부(320)의 결합 시 블로킹부(311)를 통하여 익스터널부(310)의 좌우 이동이 방지되고, 익스터널부(310)의 좌우 이동 및 이동 제한을 통하여 아웃렛홀부(212)의 어긋남이 방지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미들 커넥팅 유닛(300)은 옹벽 블록의 결합 방향 대비 소정의 기울어짐 경사를 형성하며, 익스터널부(310)와 인터널부(320)의 결합 시 소정의 기울어짐 경사를 통해 결합 방향이 유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터널부(310)와 인터널부(320)는 소정의 기울어짐 경사를 형성하는데, 익스터널부(310)의 기울어짐 경사와 인터널부(320)의 기울어짐 경사는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익스터널부(31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커넥팅 유닛(30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양측면에 소정의 기울어짐 경사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대응되도록 인터널부(320)의 경우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커넥팅 유닛(300)의 양측면에 소정의 기울어짐 경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인터널부(320)의 경우, 소정의 기울어짐 경사로 인하여, 상부는 넓은 너비를 형성하고, 미들 커넥팅 유닛(300)의 내부로 향할수록 점차 좁아지게 된다.
또한, 익스터널부(310)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소정의 기울어짐 경사로 인하여, 상부는 좁은 너비를 형성하고, 미들 커넥팅 유닛(300)의 측면으로 향할수록 점차 넓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프론트 블록 유닛(200)은,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호 이격되는 고정핀(201)을 형성하여, 고정핀(201)을 통해 상면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태양광 장치를 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옹벽 블록의 경우, 절토면에 안착되는 구성으로 평지의 경우, 블록과 블록의 상부에 거치되는 부품이 자중에 의하여 안착되는 것과는 달리, 절토면은 가파른 경사를 형성하기에 거치되는 부품이 거치되기 어렵다.
소정의 태양광 장치의 경우도 절토면에 안착되는 백 블록 유닛(100)과 프론트 블록 유닛(200)의 상부에 거치되기 위하여 고정핀(201)을 필요로 하며, 고정핀(201)을 통하여 프론트 블록 유닛(200)의 상부에 거치될 수 있다.
고정핀(201)의 경우, 프론트 블록 유닛(200)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형성되어질 수 있으며, 피스를 통하여 프론트 블록 유닛(200)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의 미들 커넥팅 유닛(300)은 인터널부(320)와 익스터널부(310)의 연결을 통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옹벽 블록이 연결되며, 복수 개의 옹벽 블록은 인터널부(320)와 익스터널부(310)의 결합을 통하여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익스터널부(310)의 블로킹부(311)는, 연결되는 복수 개의 옹벽 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는 익스터널부(310-1, 310-4)의 일측을 압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는 익스터널부(310)의 일측 압박을 통하여 익스터널부(310)의 이동 제한은 물론 익스터널부(310)가 고정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옹벽 블록(200-1, 200-2, 200-3, 200-4)은 미들 커넥팅 유닛(300)의 블로킹부(311)의 압박으로 고정 연결되며, 고정 연결된 복수 개의 옹벽 블록(200-1, 200-2, 200-3, 200-4)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간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예컨대, 이러한 연결은 하나의 옹벽 블록을 중심으로 인접하게 연결되는 옹벽 블록 들이 서로 밀려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하나의 옹벽 블록이 밀려나고자 하는 경우, 인접하게 연결된 옹벽 블록들의 결합으로 인하여 하나의 옹벽 블록의 힘만으로는 복수 개의 옹벽 블록이 밀려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커런트 센싱 유닛(current sensing unit, 400)의 경우, 옹벽 블록이 옹벽에 설치되어 다수의 블록으로서 배치되는 경우, 다수의 블록들 중 어느 하나의 위치(zone #n)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개별 혹은 특정 집합체마다 센싱할 수 있다.
커런트 센싱 유닛(400)은 파트 지정부(410), 커런트 센싱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파트 지정부(4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합체를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집합체로 분할하여 지정할 수 있다.
커런트 센싱부(420)의 경우, 파트 지정부(410)가 지정한 집합체의 각각의 불량(예컨대, 단선, 쇼트, 고장 등)을 센싱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합체의 불량이나 문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서버(1)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커런트 센싱부(420)의 경우, 커런트 센서(current sensor, 421)를 통하여 집합체의 불량이나 문제를 센싱하게 된다.
커런트 센서(421)의 경우, 직류 또는 교류의 크기에 따라 로테이션 플레이트(422)의 회전 속도에 차이가 날 수 있다.
커런트 센싱부(420)는 로테이션 플레이트(422)의 회전 속도를 영상으로 인식하여 집합체의 단선, 쇼트, 고장을 센싱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테이션 플레이트(422)의 회전 속도가 정상 회전 속도에 해당하는 경우, 커런트 센싱부(420)는 로테이션 플레이트(422)의 회전 속도를 영상으로 인식하여 커런트 센서(421)가 정상적인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테이션 플레이트(422)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커런트 센싱부(420)는 로테이션 플레이트(422)의 회전 속도를 영상으로 인식하여 회전이 없음을 인식하고, 커런트 센서(421)에 결함(defect)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커런트 센싱부(420)의 경우, 로테이션 플레이트(422)의 과한 회전, 회전 없음, 회전 속도를 인식하여 커런트 센서(421)가 정상 혹은 결함이 있는 상태임을 확인하며, 커런트 센싱부(420)를 통하여 집합체(zone #n)에 대하여 문제가 발생하였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H: 앵커 홀
S: 서브 홀
1: 모니터링 서버
10: 메인 홀
100: 백 블록 유닛
200: 프론트 블록 유닛
201: 고정핀
210: 전력전송 루트부
211: 인렛홀부
212: 아웃렛홀부
300: 미들 커넥팅 유닛
310: 익스터널부
311: 블로킹부
320: 인터널부
400: 커런트 센싱 유닛
410: 파트 지정부
420: 커런트 센싱부
421: 커런트 센서
422: 로테이션 플레이트

Claims (10)

  1. 절토면에 제공되어, 상기 절토면을 지지하고 태양광의 전력전송 루트(route)를 제공하는 옹벽 시스템에 있어서,
    옹벽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절토면을 지지하는 백 블록 유닛(back block unit);
    상기 옹벽 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백 블록 유닛과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전력전송 루트를 제공하는 프론트 블록 유닛(front block unit);
    상기 백 블록 유닛과 상기 프론트 블록 유닛을 상호 연결하며, 복수 개의 상기 옹벽 블록 간에 선택적인 결합을 제공하는 미들 커넥팅 유닛(middle connecting unit); 및
    복수 개의 상기 옹벽 블록의 집합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대한 문제 발생을 센싱하는 커런트 센싱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시스템은,
    상기 프론트 블록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깊이로부터 상기 백 블록 유닛이 상기 절토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메인 홀을 형성하며,
    상기 프론트 블록 유닛은,
    상기 메인 홀로부터 상기 프론트 블록 유닛의 측면까지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전력전송 루트를 형성하는 전력전송 루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력전송 루트부는,
    상기 메인 홀에 구비되어, 상기 태양광의 배선이 상기 메인 홀로 출입되도록 하는 홀을 형성하는 인렛홀부; 및
    상기 프론트 블록 유닛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태양광의 배선이 상기 프론트 블록 유닛의 측면으로 출입되도록 하는 홀을 형성하는 아웃렛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들 커넥팅 유닛은,
    상기 미들 커넥팅 유닛의 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 형성되는 익스터널부; 및
    상기 익스터널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미들 커넥팅 유닛의 측면으로부터 내향 오목하게 형성되는 인터널부; 및
    상기 익스터널부가 소정의 높이까지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옹벽 블록의 결합 시 상기 옹벽 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블로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익스터널부에 서브 홀을 형성하고, 상기 서브 홀은 내향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서브 홀과 대응되도록 상기 인터널부에 내향 오목한 홀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옹벽 블록의 연결 시 상기 블로킹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고정 연결되어 인접한 상기 전력전송 루트부 상호간에 대응하게 연결되며,
    상기 커런트 센싱 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옹벽 블록의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소정의 집합체로 분할하여 지정하는 파트 지정부; 및
    상기 파트 지정부가 지정한 상기 소정의 집합체에 대하여 모니터링하며, 상기 소정의 집합체의 문제 발생을 센싱하는 커런트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20084A 2022-02-16 2022-02-16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 KR102446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084A KR102446644B1 (ko) 2022-02-16 2022-02-16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084A KR102446644B1 (ko) 2022-02-16 2022-02-16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644B1 true KR102446644B1 (ko) 2022-09-22

Family

ID=83445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084A KR102446644B1 (ko) 2022-02-16 2022-02-16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139B1 (ko) * 2023-07-13 2023-11-20 주식회사 하이콘텍 에너지 발전가능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150B1 (ko) 2008-06-05 2008-11-24 태화건설(주)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 및 그 시공법
KR100899227B1 (ko) * 2008-10-27 2009-05-28 정해철 전기통신 케이블용 맨홀
KR20120136643A (ko) * 2011-06-09 2012-12-20 김창원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KR101737304B1 (ko) * 2016-12-23 2017-05-18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적층식 태양광패널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외단열 외벽 시스템
KR101888594B1 (ko) 2017-10-19 2018-08-14 (주)대창양회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
KR20190035382A (ko) * 2017-09-26 2019-04-03 지오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조립성이 향상된 사면 보강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19480B1 (ko) * 2018-12-31 2019-09-09 주식회사 아이콘텍이앤씨 굴절 커플러를 이용한 판넬식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37059B1 (ko) 2019-11-20 2020-07-23 김석환 옹벽 블록 장착용 태양광 패널 거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150B1 (ko) 2008-06-05 2008-11-24 태화건설(주)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 및 그 시공법
KR100899227B1 (ko) * 2008-10-27 2009-05-28 정해철 전기통신 케이블용 맨홀
KR20120136643A (ko) * 2011-06-09 2012-12-20 김창원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KR101242112B1 (ko) 2011-06-09 2013-03-11 김창원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KR101737304B1 (ko) * 2016-12-23 2017-05-18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적층식 태양광패널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외단열 외벽 시스템
KR20190035382A (ko) * 2017-09-26 2019-04-03 지오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조립성이 향상된 사면 보강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88594B1 (ko) 2017-10-19 2018-08-14 (주)대창양회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
KR102019480B1 (ko) * 2018-12-31 2019-09-09 주식회사 아이콘텍이앤씨 굴절 커플러를 이용한 판넬식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37059B1 (ko) 2019-11-20 2020-07-23 김석환 옹벽 블록 장착용 태양광 패널 거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139B1 (ko) * 2023-07-13 2023-11-20 주식회사 하이콘텍 에너지 발전가능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2311B2 (en) Solar panel system with monocoque supporting structure
US8875450B2 (en) Solar array system for covering a body of water
KR102446644B1 (ko)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
EP2648228A2 (en) Tree-shaped solar cell module
KR20170018812A (ko) 공중 와이어에 의한 태양광 발전 설비
CN104183659A (zh) 太阳能电池组件结构体
KR100770162B1 (ko) 환경보호 생태복원 식생블록 설치구조
JP2014095281A (ja) 太陽光パネルの架台及びその設置工法
US20210084838A1 (en) Six-device-in-one material-saving consumer-and-manufacturer-cost-saving shipping-volume-saving multi-barrier-locking multi-root-gripping-and-water-flowing anti-digging garden-and-tree-protecting vertical-truck-bed-extender-and-tonneau-cover stackable landscape barrier
CN109088580A (zh) 一种坡面光伏电站改造设计方法
KR102468059B1 (ko)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CN210104786U (zh) 一种可绿化的路肩挡土构件
CN206490638U (zh) 一种单立柱三脚架及其支架与水上光伏电站
KR101577586B1 (ko) 경사 다단형으로 설치되는 다목적 태양광 모듈 픽스쳐
CN114421863B (zh) 一种防水光伏瓦及光伏建筑面
KR102137059B1 (ko) 옹벽 블록 장착용 태양광 패널 거치 시스템
CN209112407U (zh) 走道一体式固体填充阻水型水面光伏发电系统
CN215835364U (zh) 一种盐光互补电站
CN218711878U (zh) 一种园林绿化用步道结构
CN214656814U (zh) 一种生态型预制沟渠
CN219687575U (zh) 一种漂浮式光伏系统
CN109372123A (zh) 一种隔层悬挑混凝土桁架式建筑
CN219240574U (zh) 一种基于水土保持用的生态护坡结构
CN213717588U (zh) 一种用于光伏电站的道路布线装置
CN219315802U (zh) 自嵌式生态分隔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