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059B1 -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059B1
KR102468059B1 KR1020220017120A KR20220017120A KR102468059B1 KR 102468059 B1 KR102468059 B1 KR 102468059B1 KR 1020220017120 A KR1020220017120 A KR 1020220017120A KR 20220017120 A KR20220017120 A KR 20220017120A KR 102468059 B1 KR102468059 B1 KR 102468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eco
block
friendly
structure cap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철 김
Original Assignee
(주)베스트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트건설 filed Critical (주)베스트건설
Priority to KR1020220017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방, 도로 등의 작업 시 구축되는 성토지나 절토면에 축조되어 붕괴사고를 방지하고 간편하게 태양광 및 풍력을 이용한 친환경 에너지를 발전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structure capable of eco-friendly energy generation}
본 발명은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방, 도로 등의 작업 시 구축되는 성토지나 절토면에 축조되어 붕괴사고를 방지하고 간편하게 태양광 및 풍력을 이용한 친환경 에너지를 발전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전 국토 지형은 70% 이상이 산지로 구성되어 있어서, 차량, 기차 등의 도로건설과 교각 및 토지확보를 위한 절토면의 발생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각 지역의 원활한 통행을 위해 도로의 건설이 증가하고 있고, 기존 도로의 확장 및 선행을 개선하기 위한 절토면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절토면에는 토지 유실, 붕괴 등을 방지하며 미관관리를 위한 계단식블록을 시공하고 있다.
따라서 블록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특정 형상에 맞춰 제작한 후, 이를 순차적으로 쌓아고정하며,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식물이 식생가능한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블록이 일체화되는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벽용 블록을 쌓을 때 H형상의 보강재를 사용하여 일체화시킴에 따라 내구성을 향상시킨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또한, 옹벽 구조물의 적층시 노출된 상면에 배양체를 형성하여 식생된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현대사회에서는 친환경에너지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산, 논 등에 태양광패널이 설치되고 있어 국내의 국토에 현실에 맞춰 절토면에 태양광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상호 조립식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 조립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들로 태양광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전지판; 태양전지판과 연결되며, 태양전지판에서 발생되는 전기가 저장되는 전기 저장부; 및 전기 저장부와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 중 하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부를 포함하며,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들은 마그네틱 방식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를 통해 종래기술은 별도로 설치된 태양전지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옹벽블록에 구비된 램프를 점멸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옹벽블록에 태양광패널을 설치할 수 없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옹벽블록은 산지의 절토면에 많이 설치하고 있으나, 이 근처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기 어려운 지역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지역에 설치한 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선이 설치됨에 따라 시공이 어려우며, 많은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9017호(2012.02.1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8594호(2018.08.0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토지에 설치하여 절토지의 붕괴, 낙사 사고를 방지하며, 에너지발전이 가능하도록 간편하게 설치하여 태양광 및 풍력발전이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광패널 및 풍력터빈을 설치하기 위한 지주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절토지에 매설되는 앵커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친환경 에너지발전을 위해 설치된 전선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파손, 손상 및 단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하게 보호하며,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보행로를 형성하여 유지보수 등을 위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전된 전력 또는 외부 전력을 통해 조명을 설치하여 밤 및 어두운 날 도로 및 보행로를 밝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옹벽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며, 높낮이 조절을 통해 조명 및 친환경발전부가 이동하는 차량 및 보행자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토면에 계단식으로 설치되어 절토면의 붕괴를 방지하며, 전면 상단에서 돌출된 돌출부재의 상단면에 제1결합부와, 전면에 제2결합부가 형성된 옹벽부; 상기 제1결합부에 수직으로 결합된 제1지주와, 상기 제1지주의 상단과 상기 제2결합부에 양측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1지주를 지지하는 제2지주로 형성된 지주부; 상기 지주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친환경발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옹벽부는, 절토면에 계단식으로 배치되며, 각 단의 폭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된 옹벽블록과, 상기 옹벽블록의 각 단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단 외측 모서리에 모깍기가 형성된 마감블록과, 상기 마감블록의 각 단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단 외측에 비스듬한 제1경사면이 형성된 보강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옹벽블록, 상기 마감블록 및 상기 보강블록의 하단면으로 돌출된 끼움돌기와, 절토면에 안착되며, 상면에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옹벽블록, 상기 마감블록 및 상기 보강블록을 지지하는 기초블록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옹벽부는 계단식으로 배치된 각 단의 상부면에 보행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옹벽부는, 절토면에 계단식으로 배치되는 각 단이 상부를 향해 서서히 좁아지도록 위치하여 절토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옹벽부와 상기 절토면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및 골재를 뒤채움하여 마감하는 마감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옹벽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에서 후면 상단을 향해 형성된 전선홈과, 상기 옹벽부의 후면으로 노출된 상기 전선홈과 동일한 위치에 다수개 형성된 제1체결홈과, 상기 옹벽부의 후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체결홈에 결합되어 상기 친환경발전부와 연결된 전선이 내부에 위치하는 보호프레임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옹벽부에는 전면 하단부에서 돌출되되, 상단에서 중단을 향해 비스듬하게 돌출된 제2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2경사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연결돌기와, 상기 삽입홈에 체결되어 상기 옹벽부를 절토면에 고정하는 앵커부와, 상기 연결돌기 및 상기 제2결합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조명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에 따르면, 절토지에 옹벽부를 설치하여 붕괴, 낙사 사고를 방지하며, 옹벽부에 태양광패널 및 풍력터빈을 간편하게 설치하여 친환경 에너지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옹벽부에 다수개의 지주부를 견고하게 설치하여 조사되는 태양광 및 풍력의 환경 및 상황에 맞춰 에너지 발전이 용이하도록 친환경발전부를 조절하여 설치하며, 절토지의 상황에 맞춰 일정한 각도로 형성된 삽입홈을 통해 앵커부를 용이하게 설치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발전부와 연결된 배선은 배선홈 및 보호프레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여 단선, 파손 및 손상 등을 방지하며, 옹벽부에 보행로를 설치하여 친환경발전부의 유지보수 및 절토면의 등반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프레임을 통해 조명을 설치하여 밤 및 어두운 날 조명을 통해 보행자 및 차로의 이동시 시야를 확보하여 사고를 방지하며, 친환경발전부를 통해 발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서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토면, 친환경발전부 및 조명프레임의 설치환경에 맞춰 기초블럭을 설치하여 옹벽부를 견고하게 고정하며, 친환경발전부와 조명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차량 및 보행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부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의 배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블럭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터빈을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부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의 배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블럭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패널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터빈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방, 도로 등의 작업 시 구축되는 성토지나 절토면에 축조되어 붕괴사고를 방지하고 간편하게 태양 또는 풍력 등의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절토면에 설치하여 붕괴를 방지하며,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하도록 옹벽부(100), 지주부(200) 및 친환경발전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옹벽부(100)는 절토면에 계단식으로 설치되어 절토면의 붕괴를 방지하며, 전면 상단에서 돌출된 돌출돌기(110)의 상단면에 제1결합부(111)와, 전면에 제2결합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지주부(200)는 상기 제1결합부(111)에 수직으로 결합된 제1지주(210)와, 상기 제1지주(210)의 상단과 상기 제2결합부(112)에 양측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1지주(210)를 지지하는 상기 제2지주(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친환경발전부(300)는 상기 지주부(2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에너지발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절토면에 상기 옹벽부(100)를 시공한 후, 상기 옹벽부(100)에 결합된 지주부(200)를 통해 상기 친환경발전부(300)르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에너지발전을 통해 전력생산이 가능하다.
여기서 친환경에너지로는 태양광, 풍력 등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옹벽부(100)는 절개된 절토면에 설치되어 절토면의 붕괴를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옹벽부(100)는 절토면의 붕괴를 방지하며, 상기 지주부(200) 및 상기 친환경발전부(3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옹벽블록(101), 마감블록(102) 및 보강블록(10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옹벽블록(101)은 절토면에 계단식으로 배치되며, 각 단의 폭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옹벽블록(101)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면, 정면의 중앙 상단부분에서 상기 돌출돌기(110)가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옹벽블록(101)의 상단면은 상기 돌출돌기(110)를 통해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지주부(200)가 결합되는 상기 제1결합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돌기(110)의 전면에 상기 지주부(200)가 결합되는 상기 제2결합부(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111)의 중앙에서 하부를 향하고, 상기 제2결합부(112)에서 후면을 향하여 상호 만난 상태에서 상기 후면 상단을 향해 형성된 전선홈(120)이 형성되어 상기 친환경발전부(300)와 연결된 전선을 정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지주(210) 및 상기 제2지주(220)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 상기 친환경발전부(300)와 연결된 전선을 공급하여 상기 전선홈(120)을 통해 정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옹벽부(100)의 후면으로 노출된 상기 전선홈(120)과 동일한 위치에 다수개 형성된 제1체결홈(121)과, 상기 옹벽부(100)의 후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체결홈(121)에 결합되어 상기 친환경발전부(300)와 연결된 전선이 내부에 위치하는 보호프레임(122)이 포함된다.
즉, 상기 보호프레임(122)은 "ㄷ"단면 형상을 가지며, 개방된 일면이 상기 옹벽블록(101) 및 마감블록(102)의 후면에 밀착되며, 상기 제1체결홈(121)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프레임(122)과 상기 옹벽블록(101)이 밀착되는 밀착면은 패킹, 마감처리 등을 통해 내부로 수분 및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보호프레임(122)은 상기 전선홈(120)을 통해 상기 옹벽부(100)로 유입된 전선이 삽입되어 용이하게 친환경발전부(300)의 전선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친환경발전부(300)와 연결된 전선은 상기 지주부(200) 및 상기 옹벽부(10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시공 후, 상기 보호프레임(122)에 설치되어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환경에 의한 손상, 파손, 단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옹벽블록(101)의 중앙 하단부분에서 돌출된 연결돌기(130)가 돌출된다.
상기 연결돌기(130)는 상기 옹벽부(100)에는 전면 하단부에서 돌출되되, 상단에서 중단을 향해 비스듬하게 돌출된 제2경사면(131)을 가지며, 상기 제2경사면(131)에는 삽입홈(1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돌기(130)는 돌출된 상단면이 약 10°~ 20°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제작되며, 상기 삽입홈(132)은 상기 제2경사면(131)과 직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132)은 상기 제2경사면(131)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경사면(131)의 각도를 시공되는 절토면의 현상상황에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32)에 체결되어 상기 옹벽부(100)를 절토면에 고정하는 앵커부(13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앵커부(133)는 절토면에 시공되는 옹벽부(100)를 지면에 고정하는 통상적인 매립용 영구앵커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앵커부(133)는 상기 삽입홈(132)의 각도에 맞춰 지면에 매립되어 상기 옹벽부(100)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옹벽부(100)에는 다수개의 삽입공을 부가적으로 형성한 후, 영구앵커와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소일네일링을 설치한다.
이러한 소일네일링은 상기 옹벽부(100)에서 수평 또는 일정한 각도로 설치되어 상기 앵커부(133)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상기 옹벽부(100)를 지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옹벽부(100)의 하단면에는 절토면에서 매립된 기초마이크로파일(134)과 결합된다.
즉, 상기 기초마이크로파일(134)은 상단부분이 노출되도록 절토면에 수직으로 매립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마이크로파일(134)은 상기 옹벽부(100)에 맞춰 다수개 설치되며, 노출된 상단은 상기 옹벽부의 하단면과 결합되어 상기 옹벽부(100)를 지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옹벽부(100)는 상기 앵커부(133) 및 상기 기초마이크로파일(133)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절토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돌기(130) 및 상기 제2결합부(112)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조명부(14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부(140)는 상기 연결돌기(130) 및 상기 제2결합부(112)에서 돌출된 조명프레임의 끝단에 조명등(141)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부(140)는 상기 연결돌기(130) 및 상기 제2결합부(112)에 매립설치되는 조명등(14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140)가 상기 연결돌기(130)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앵커부(133)가 설치된 상기 제2경사면(131)에 타측단이 설치되어 일측이 상기 옹벽부(100)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140)는 상기 제2결합부(112)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2지주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제2결합부(112)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조명부(140)는 상기 연결돌기(130) 및 상기 제2결합부(112)에 각각 또는 어느 하나에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조명부(140)가 상기 옹벽부(100)의 높이, 도로 및 보행로의 상황에 맞춰 높이를 조절하여 차량, 보행자의 충돌을 방지하며, 원활하게 조명을 조사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부(140)는 외부의 전력 또는 상기 친환경발전부(300)를 통해 발생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140)와 연결된 전선은 상기 지주부(200)로 삽입된 후, 상기 전선홈(120)을 통해 상기 보호프레임(122)으로 유입된다.
이를 통해 상기 조명부(140)는 외부전력 또는 상기 친환경발전부(300)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여 어두운 날 도로를 밝힐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조명부(140)은 전력을 통해 빛을 발광하는 led, 전등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조명부(140)는 산지, 외지 등의 절토면에 설치하기 어려운 조명을 간편하게 설치하여, 외부 또는 자가발전을 통해 발전한 전력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명부(140)를 통해 주행, 보행 중 도로 및 보행로를 쉽게 확인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감블록(102)은 상기 옹벽블록(10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폭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옹벽블록(101)의 양측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마감블록(102)은 상기 옹벽블록(101)의 양측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단 모서리 부분에 상기 모깍기(102a)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상기 마감블록(102)은 상기 옹벽블록(101)의 양측단에 끝단을 마감하며, 상기 모깍기(102a)는 작업자, 이용자가 이동시 단차를 줄여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강블록(103)은 상기 보강블록(103)은 상기 마감블록(102)의 각 단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단 외측에 비스듬한 제1경사면(103a)이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블록(103)은 상기 제1경사면(103a)을 통해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감블록(102)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보강블록(103)과 상기 마감블록(102)을 통해 경사로를 형성하여 이용자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옹벽블록(101) 및 상기 마감블록(102)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옹벽블록(101), 상기 마감블록(102) 및 상기 보강블록(103)의 하단면으로 돌출된 끼움돌기(104)와, 절토면에 안착되며, 상면에 상기 끼움돌기(104)가 삽입되는 끼움홈(151)이 형성되어 상기 옹벽블록(101), 상기 마감블록(102) 및 상기 보강블록(103)을 지지하는 기초블록(150)이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옹벽블록(101), 상기 마감블록(102) 및 상기 보강블록(103)의 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상기 끼움돌기(10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블록(102)은 상면에 상기 끼움돌기(104)가 삽입되는 상기 끼움홈(151)이 형성되되, 상기 옹벽블록(101), 상기 마감블록(102) 및 상기 보강블록(103)의 폭에 맞춰 각각 형성되거나, 일정한 길이를 통해 상기 옹벽블록(101), 상기 마감블록(102) 및 상기 보강블록(103)이 안착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마감블록(102)은 상기 옹벽부(100)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두께로 이루어져 상기 옹벽부(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를 통해 절토면에 상기 마감블록(102)을 견고하게 설치한 후, 상기 옹벽블록(101), 상기 마감블록(102) 및 상기 보강블록(103)을 설치하여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초블록(150)의 높이만큼 상기 옹벽부(100)가 상승하여, 상기 옹벽부(100)에 설치된 친환경발전부(300) 및 상기 조명프레임(140)의 높이를 상승시켜, 차량, 보행자와 충돌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기초블록(150)은 절토면의 현상상황, 도로 및 보행로 등의 상황을 고려하여, 견고한 고정 또는 높이를 상승이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옹벽부(100)는 절토면에 계단식으로 배치되는 각 단이 상부를 향해 서서히 좁아지도록 위치하여 절토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옹벽부(100)와 절토면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및 골재를 뒤채움하여 마감하는 마감부(16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옹벽부(100)는 피라미드 구조와 같이 상부를 향해 상승할수록 서서히 좁아지는 지며, 계단식으로 배치된다.
즉, 절토면은 계단식으로 축조되는 경우, 상기 옹벽부(100)는 계단으로 절토면의 각 단에 각각 설치되고, 절토면이 경사지게 축조되는 경우, 상기 옹벽부(100)가 계단식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옹벽부(100)는 서서히 좁아지며, 양측단에 상기 마감블록(102)과 보강블록(10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옹벽부(100)는 절토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옹벽부(100)와 절토면 사이에 마감부(160)가 타설된다.
따라서 상기 마감부(160)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옹벽부(100)와 절토면 사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마감하고, 콘크리트 상부에 골재를 설치하여 마감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옹벽부(100)와 절토면을 밀착고정한 후, 상기 앵커부(133)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하여 붕괴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부를 통해 상기 옹벽부(100)를 계단식으로 적층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보행로(170)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옹벽부(100)는 계단식으로 배치된 각 단의 상부면에 보행로(17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옹벽부(100)는 상기 옹벽블록(101), 상기 마감블록(102) 및 상기 보강블록(103)의 상단면에 사람이 보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보행로(170)는 상기 옹벽부(100)와 상기 마감부(160)의 상부면에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마감블록(102) 및 상기 보강블록(103)에는 경사면 또는 계단을 배치하여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옹벽부(100)는 피라미드 형상을 가지며, 폭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보행로(170)가 형성된다.
이렇게 설치된 상기 보행로(170)는 사람들이 절토면을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친환경발전부(300)의 보수 또는 절토면을 등반시 용이하게 통행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주부(200)는 상기 옹벽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친환경발전부(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주(210) 및 상기 제2지주(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주(210)는 상기 제1결합부(111)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지주(210)의 상단에는 상기 친환경발전부(300)와 결합되는 브라켓 등의 구성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지주(220)는 일측이 상기 제2결합부(112)에서 설치되며, 돌출된 타측 끝단은 상기 제1지주(2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지주(220)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친환경발전부(300)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양한 각도로 변경하여 상기 제1지주(210)의 상단부분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주(210)는 하부에 위치한 상기 옹벽블록(101)에 결합되고, 상기 제2지주(220)는 상기 옹벽블록(101)의 상부에 단차를 가지도록 위치한 상기 옹벽블록(101)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지주(210)는 상기 친환경발전부(300)가 설치되며, 상기 제2지주(220)는 상기 제1지주(21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즉, 상기 지주부(200)는 2단으로 이루어진 상기 옹벽블록(101)에 한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친환경발전부(300)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지주부(200)는 친환경발전부(300)의 면적 등을 고려하여, 상기 옹벽부(100)에 연속적으로 배치하거나,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친환경발전부(300)는 상기 지주부(200)에 설치되어 에너지발전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친환경발전부(300)는 태양광발전을 통해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태양광패널(310)과, 풍력발전을 통해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풍력터빈(3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태양광패널(310) 및 상기 풍력터빈(320)은 상기 지주부(200)에 단일 또는 복합적으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친환경발전부(300)는 상기 지주부(200)에 견고하게 고정되되, 상기 태양광패널(310) 및 상기 풍력터빈(320)의 규격, 위치 등을 고려하여 단일 또는 복수의 상가 지주부(200)에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지주(210)는 시공시 설치되는 길이 또는 이중결합 및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길이변화, 또는 브라켓의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태양광패널(310)의 높이 및 각도조절과 상기 풍력터빈(320)의 높이 및 방향을 조절하여 태양광 및 풍력발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지주(210)의 길이는 상기 태양광패널(310)이 설치되는 위치, 환경 및 태양고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각도에 맞춰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친환경발전부(300)를 통해 발생된 전력은 인근의 발전소로 공급하거나, 상기 옹벽부(100) 또는 절토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터리 등을 설치하여 조명 등의 필요한 곳에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로, 보행로 및 교각 등의 공사를 위해 산악지형의 절토면을 축조한다.
이렇게 축조된 절토면에 상기 옹벽부(100)를 시공한다.
여기서 상기 옹벽부(100)는 축조된 절토면의 계단면 또는 경사면에 맞춰 계단형식을 가지도록 각 단에 상기 옹벽블록(101)을 폭방향으로 다수개 배치한 후, 양측단에 상기 마감블록(102)과 상기 보강블록(103)을 시공한다.
이렇게 시공된 상기 옹벽부(100)는 상기 앵커부(133) 및 소일네일링을 통해 절토면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상기 옹벽부(100)와 절토면 사이에 상기 마감부(160)를 타설하여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옹벽부(100)는 절토면의 붕괴, 토사, 자갈 및 돌 등이 낙사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옹벽부(100)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지주부(20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지주부(200)는 다수개의 상기 옹벽블록(101), 상기 마감블록(102)의 상단에 수직으로 상기 제1지주(210)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며, 상기 제2지주(220)를 통해 상기 제1지주(21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지주부(200)의 상단에 다수개의 상기 친환경발전부(300)를 설치하여 태양광, 풍력발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친환경발전부(300)는 절토면의 위치, 태양의 고도 등 다양한 주변상황을 고려하여 태양광 및 풍력발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친환경발전부(300)와 연결된 전선은 상기 옹벽블록(101)의 내부로 삽입된 후, 후면에 설치된 상기 보호프레임(122)의 내부로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선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배선이 절단, 노후, 단선 등의 사고를 방지하며, 비, 눈 등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옹벽블록(101)의 전면에서 돌출된 상기 연결돌기(130)에 상기 조명프레임(140)을 설치하여 밤, 어두운날 조명을 밝힐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프레임(140)은 주행, 보행자의 충돌을 방지하며, 빛을 용이하게 밝힐 수 있는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옹벽블록(10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프레임(140)의 외부 또는 상기 친환경발전부(300)에서 발전된 전력을 공급받아, 전력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ㅇ있어 밤, 어두운날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옹벽부(100)는 각 단에 상기 보행로(170)를 형성하여 작업자 등이 상기 보행로(170)를 통해 용이하게 이동하여 상기 친환경발전부(300)의 유지보수 및 절토면을 용이하게 등반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편리하게 작업장비를 휴대한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절토면의 경사의 등반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옹벽부 101: 옹벽블록 102: 마감블록
103: 보강블록 103a: 제1경사면
104: 끼움돌기 110: 돌출돌기
111: 제1결합부 112: 제2결합부
120: 전선홈 121: 제1체결홈
122: 보호프레임 130: 연결돌기
131: 제2경사면 132: 삽입홈
133: 앵커부 134: 기초마이크로파일
140: 조명부 141: 조명등
150: 기초블록 151: 끼움홈
160: 마감부 170: 보행로
200: 지주부 210: 제1지주 220: 제2 지주
300: 친환경발전부 310: 태양광패널 320: 풍력터빈

Claims (7)

  1. 절토면에 계단식으로 설치되어 절토면의 붕괴를 방지하며, 전면 상단에서 돌출된 돌출돌기(110)의 상단면에 제1결합부(111)와, 전면에 제2결합부(112)가 형성된 옹벽부(100);
    상기 제1결합부(111)에 수직으로 결합된 제1지주(210)와, 상기 제1지주(210)의 상단과 상기 제2결합부(112)에 양측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1지주(210)를 지지하는 제2지주(220)로 형성된 지주부(200);
    상기 지주부(2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친환경발전부(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옹벽부(100)는,
    상기 제1결합부(111) 및 상기 제2결합부(112)에서 후면 상단을 향해 형성된 전선홈(120)과,
    상기 옹벽부(100)의 후면으로 노출된 상기 전선홈(120)과 동일한 위치에 다수개 형성된 제1체결홈(121)과,
    상기 옹벽부(100)의 후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체결홈(121)에 결합되어 상기 친환경발전부(300)와 연결된 전선이 내부에 위치하는 보호프레임(122)이 포함되고,
    상기 제1지주(210) 및 상기 제2지주(220)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 상기 친환경발전부(300)와 연결된 전선을 공급하여 상기 전선홈(120)을 통해 정리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옹벽부(100)에는 전면 하단부에서 돌출되되, 상단에서 중단을 향해 비스듬하게 돌출된 제2경사면(131)을 가지며, 상기 제2경사면(131)에는 삽입홈(132)이 형성된 연결돌기(130)와,
    상기 삽입홈(132)에 체결되어 상기 옹벽부(100)를 절토면에 고정하는 앵커부(133)와,
    상기 연결돌기(130) 및 상기 제2결합부(112)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조명부(1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부(100)는,
    절토면에 계단식으로 배치되며, 각 단의 폭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된 옹벽블록(101)과,
    상기 옹벽블록(101)의 각 단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단 외측 모서리에 모깍기(102a)가 형성된 마감블록(102)과,
    상기 마감블록(102)의 각 단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단 외측에 비스듬한 제1경사면(103a)이 형성된 보강블록(10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록(101), 상기 마감블록(102) 및 상기 보강블록(103)의 하단면으로 돌출된 끼움돌기(104)와,
    절토면에 안착되며, 상면에 상기 끼움돌기(104)가 삽입되는 끼움홈(151)이 형성되어 상기 옹벽블록(101), 상기 마감블록(102) 및 상기 보강블록(103)을 지지하는 기초블록(15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부(100)는 계단식으로 배치된 각 단의 상부면에 보행로(1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부(100)는, 절토면에 계단식으로 배치되는 각 단이 상부를 향해 서서히 좁아지도록 위치하여 절토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옹벽부(100)와 상기 절토면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및 골재를 뒤채움하여 마감하는 마감부(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6. 삭제
  7. 삭제
KR1020220017120A 2022-02-09 2022-02-09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KR102468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120A KR102468059B1 (ko) 2022-02-09 2022-02-09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120A KR102468059B1 (ko) 2022-02-09 2022-02-09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059B1 true KR102468059B1 (ko) 2022-11-18

Family

ID=8423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120A KR102468059B1 (ko) 2022-02-09 2022-02-09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139B1 (ko) * 2023-07-13 2023-11-20 주식회사 하이콘텍 에너지 발전가능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KR102630066B1 (ko) * 2023-09-25 2024-01-30 주식회사 하이콘텍 안전성과 유지보수 용이성을 제공하는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017B1 (ko) 2011-06-27 2012-03-12 (주) 태평양지질 블록이 일체화되는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120022419A (ko) * 2010-09-02 2012-03-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태양광 발전기능을 갖춘 계단식옹벽구조
KR20120136643A (ko) * 2011-06-09 2012-12-20 김창원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KR20140047924A (ko) * 2012-10-15 2014-04-23 (주)고려컨설턴트 거푸집이 필요없는 pc 판넬을 이용한 사면보강용 현장타설 계단식옹벽 대체시공법
KR101628079B1 (ko) * 2015-06-22 2016-06-08 (주)케미우스코리아 사면 보강용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88594B1 (ko) 2017-10-19 2018-08-14 (주)대창양회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
KR102107751B1 (ko) * 2019-07-22 2020-05-07 박공영 식생블럭을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2419A (ko) * 2010-09-02 2012-03-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태양광 발전기능을 갖춘 계단식옹벽구조
KR20120136643A (ko) * 2011-06-09 2012-12-20 김창원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KR101119017B1 (ko) 2011-06-27 2012-03-12 (주) 태평양지질 블록이 일체화되는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140047924A (ko) * 2012-10-15 2014-04-23 (주)고려컨설턴트 거푸집이 필요없는 pc 판넬을 이용한 사면보강용 현장타설 계단식옹벽 대체시공법
KR101628079B1 (ko) * 2015-06-22 2016-06-08 (주)케미우스코리아 사면 보강용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88594B1 (ko) 2017-10-19 2018-08-14 (주)대창양회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
KR102107751B1 (ko) * 2019-07-22 2020-05-07 박공영 식생블럭을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139B1 (ko) * 2023-07-13 2023-11-20 주식회사 하이콘텍 에너지 발전가능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KR102630066B1 (ko) * 2023-09-25 2024-01-30 주식회사 하이콘텍 안전성과 유지보수 용이성을 제공하는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8059B1 (ko)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CN103835218B (zh) 廊桥式多功能空中步道
US3999394A (en) Precast ribbed arch subway structure and method
US20180003156A1 (en) Power producing walls
KR100947852B1 (ko) 가로등 등주와 기초의 결합구조
KR100991886B1 (ko) 기둥 정착구조
KR101285089B1 (ko) 승강이 가능한 조립식 하부구조물을 구비한 포장도로
US20060028808A1 (en) Light emitting diode roadway lighting system
KR100969994B1 (ko) 자연채광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지하차도 시공방법
KR20080114297A (ko) 소하천 아치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24519A (ko) 선형부지를 이용한 태양전지판 설치구조
KR20120022419A (ko) 태양광 발전기능을 갖춘 계단식옹벽구조
KR200432521Y1 (ko) 자가 태양광 전기충전식 방음벽
KR20120110851A (ko) 가로등지주 고정용 기초블록
KR20110087877A (ko) 가설 인도 및 자전거 도로 겸용 지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설 인도
KR101200845B1 (ko) 실외 이동로가 부설된 고층건물 구조
KR100442523B1 (ko) 대구경 강관 압입추진공법을 이용한 생태계 이동로 시공방법
CN220169381U (zh) 一种长涵洞照明系统
TW201939879A (zh) 高架型太陽能發電設施的支撐裝置
KR101696396B1 (ko) 자연석 옹벽 구조물
KR102448001B1 (ko) 태양광 발전장치가 설치된 가드레일
CN219793759U (zh) 一种预制模块化拼装的交通隔离带
KR20170097529A (ko) 캡형 조명 블록
CN212983922U (zh) 一种智慧路灯基础、检查井综合体的预制结构
KR200435577Y1 (ko) 매설부재를 포함한 매립형 점자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