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066B1 - 안전성과 유지보수 용이성을 제공하는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안전성과 유지보수 용이성을 제공하는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066B1
KR102630066B1 KR1020230128218A KR20230128218A KR102630066B1 KR 102630066 B1 KR102630066 B1 KR 102630066B1 KR 1020230128218 A KR1020230128218 A KR 1020230128218A KR 20230128218 A KR20230128218 A KR 20230128218A KR 102630066 B1 KR102630066 B1 KR 102630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coupled
cut surface
eco
wall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8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콘텍
Priority to KR1020230128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절토면에 계단식으로 설치되어 절토면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절토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옹벽블록과, 상기 절토면의 지중으로 매립되며 상기 복수개의 옹벽블록 각각에 결합되는 어스앵커와, 상기 절토면과 복수개의 옹벽블록의 후면 공간을 채우는 마감골재로 이루어진 옹벽부; 상기 복수개의 옹벽블록 각각의 상단 또는 전면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지주로 이루어진 지주부; 상기 지주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친환경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마감골재의 상부에 골재를 매립시켜 물빠짐과 경도를 갖는 마감부와, 상기 마감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발판으로 구성되는 보행통로; 상기 보행통로를 따라 상기 옹벽부의 복수개의 옹벽블록의 외부에 형성되어 사람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전손잡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성과 유지보수 용이성을 제공하는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structure for eco-friendly energy generation that provides safety and ease of maintenance}
본 발명은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방, 도로 등의 작업 시 구축되는 성토지나 절토면에 축조되어 붕괴사고를 방지하고 간편하게 태양광 및 풍력을 이용한 친환경 에너지를 발전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안전성과 유지보수 용이성을 제공하는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의 전 국토 지형은 70% 이상이 산지로 구성되어 있어서, 차량, 기차 등의 도로건설과 교각 및 토지확보를 위한 절토면의 발생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각 지역의 원활한 통행을 위해 도로의 건설이 증가하고 있고, 기존 도로의 확장 및 선행을 개선하기 위한 절토면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절토면에는 토지 유실, 붕괴 등을 방지하며 미관관리를 위한 계단식블록을 시공하고 있다.
따라서 블록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특정 형상에 맞춰 제작한 후, 이를 순차적으로 쌓아고정하며,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식물이 식생가능한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22-0017120호「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을 출원한 바 있었다.
선행 특허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절토면에 계단식으로 설치되어 절토면의 붕괴를 방지하며, 전면 상단에서 돌출된 돌출돌기의 상단면에 제1결합부와, 전면에 제2결합부가 형성된 옹벽부; 상기 제1결합부에 수직으로 결합된 제1지주와, 상기 제1지주의 상단과 상기 제2결합부에 양측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1지주를 지지하는 제2지주로 형성된 지주부; 상기 지주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친환경발전부로 이루어지는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옹벽부는 절토면의 높이에 비례하여 형성되므로 하부에서 상부까지 이동하려면 종래에는 절토면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배수로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이동해야하므로 낙상의 위험이 있었고, 통행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22-0017120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절토면에 시공하여 절토지의 붕괴, 낙사 사고를 방지하도록 시공되는 옹벽부를 포함하고, 옹벽부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작업자의 보행이 용이하도록 이동 계단이 구비되고, 이동 계단을 옹벽부와 탈착가능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현장에 적절하게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옹벽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절토면에 계단식으로 설치되어 절토면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절토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옹벽블록과, 상기 절토면의 지중으로 매립되며 상기 복수개의 옹벽블록 각각에 결합되는 어스앵커와, 상기 절토면과 복수개의 옹벽블록의 후면 공간을 채우는 마감골재로 이루어진 옹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옹벽블록의 배면에 부착되어 마감골재에 매립되는 수평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옹벽블록의 측단의 경사부를 따라 배치되는 계단으로 구성된 계단부;
상기 계단부를 옹벽블록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옹벽구조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옹벽블록의 배면에 종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끼움공과,
상기 계단부에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는 수평통로에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끼움공에 결합되는 끼움샤프트 및
상기 수평통로의 내주면에 삽입되며 끼움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지지되도록 끼움샤프트의 외주면에 환턱이 형성되어 끼움샤프트가 탄성력으로 인입 후 인출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단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계단부의 높이를 설정하는 높이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설정부는
계단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옹벽블록의 배면 일측에 구비되며 와이어가 권취되는 풀리와,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권취되도록 옹벽블록의 배면 타측에 장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권취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옹벽블록의 배면에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계단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가이드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단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람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전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손잡이부는,
옹벽블록의 상면에 부착되는 기초패널과, 상기 기초패널에 결합되어 외부에 돌출되며, 고리가 형성된 체결구와, 상기 고리에 결합되어 다수의 옹벽블록의 상부를 연결하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초패널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기초패널의 전면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되는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며 체결구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홈의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구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초패널의 전면에 형성되며 로프를 지지하여 로프의 처짐을 방지하는 로프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지지부는 기초패널에 결합되는 바디와, 바디의 단부에 형성되어 로프가 삽입되는 요부를 갖는 'U'자형으로 된 루프 및 상기 루프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토지에 옹벽부를 시공함으로써 절토지의 붕괴, 낙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옹벽부의 각 단에 보행 통로를 형성하고, 옹벽부에 로프가 형성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옹벽부에 장착된 태양광 발전기 또는 풍력발전기에 의해 발전 성능이 발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토면에 시공하여 절토지의 붕괴, 낙사 사고를 방지하도록 시공되는 옹벽부를 포함하고, 옹벽부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작업자의 보행이 용이하도록 이동 계단이 구비되고, 이동 계단을 옹벽부와 탈착가능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현장에 적절하게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의 '높이설정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의 '높이설정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의 '결합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의 '안전손잡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의 '위치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의 '높이설정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의 '높이설정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의 '결합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의 '안전손잡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의 '위치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은, 절토면(T)에 계단식으로 설치되어 절토면(T)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절토면(T)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옹벽블록(120)과, 절토면(T)의 지중으로 매립되며 상기 복수개의 옹벽블록(120) 각각에 결합되는 어스앵커(미도시)와, 절토면(T)과 복수개의 옹벽블록(120)의 후면 공간을 채우는 마감골재(160)로 이루어진 옹벽부(100); 및 복수개의 옹벽블록(120)의 배면에 부착되는 계단부(200)를 포함한다.
계단부(200)는 복수개의 옹벽블록(120)의 배면에 부착되어 마감골재(160)에 매립되는 수평지지부(220)와, 수평지지부(220)의 일단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옹벽블록(120)의 측단의 경사부를 따라 배치되는 계단(240)으로 이루어진다.
수평지지부(220) 및 계단(240)은 콘크리트 몰탈을 거푸집에 주입하여 양생시킨 것으로, 작업자가 계단(240)을 이용하여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고, 수평지지부(220)를 보행할 수 있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계단부(200)를 이용하여 옹벽부의 점검과 보수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계단부(200)를 옹벽블록(120)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결합부(300)는 옹벽블록(120)의 배면에 종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끼움공(320)과, 상기 계단부(200)에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는 수평통로(210)에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끼움공(320)에 결합되는 끼움샤프트(340) 및 상기 수평통로(210)의 내주면에 삽입되며 끼움샤프트(34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스프링(360)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360)의 타단이 지지되도록 끼움샤프트(340)의 외주면에 환턱(342)이 형성되어 끼움샤프트(340)가 탄성력으로 인입 후 인출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후술될 높이설정부(400)를 이용하여 계단부(200)의 설치될 높이를 설정한 후 끼움샤프트(340)가 끼움공(320)과 일치되면 스프링(360)의 탄성에 의해 돌출되어 끼움공(320)에 결합됨으로써 고정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계단부(20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계단부(200)의 높이를 설정하는 높이설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설정부(400)는 계단부(200)의 상부에 연결되는 와이어(410)와, 상기 옹벽블록(120)의 배면 일측에 구비되며 와이어(410)가 권취되는 풀리(420)와, 상기 와이어(410)의 단부가 권취되도록 옹벽블록(120)의 배면 타측에 장착되는 드럼(430)과, 상기 드럼(430)을 회전시켜 와이어(410)를 감거나 풀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권취구동원(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권취구동원(440)은 모터일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410)를 옹벽블록(120)의 상부에 매설된 고리(122)에 걸어 연결한 후 각 풀리(420)에 와이어(410)를 권취한 후 와이어(410)를 드럼(430)에 연결한다.
이후 권취구동원(440)을 온 작동시키면 드럼(430)이 회전되고, 드럼(430)에 와이어(410)가 권취되면서 계단부(20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 반대로 권취구동원(440)이 역회전되어 드럼(430)이 역회전되면 드럼(430)에 감긴 와이어(410)가 풀리면서 계단부(20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러한 계단부(200)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적절한 높이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옹벽블록(120)의 배면에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26)과, 상기 계단부(2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26)에 결합되는 가이드돌부(27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계단부(200)의 상승 또는 하강시 가이드홈(126)을 가이드돌부(270)가 이동됨으로써 흔들림을 최소화시키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계단부(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람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전손잡이부(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안전손잡이부(500)는, 옹벽블록(120)의 상면에 부착되는 기초패널(520)과, 기초패널(520)에 결합되어 외부에 돌출되며, 고리(542)가 형성된 체결구(540)와, 고리(542)에 결합되어 다수의 옹벽블록(120)을 연결하는 로프(5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옹벽부(100)를 구성하도록 옹벽블록(120)을 다수개 병렬 배치하고, 각 옹벽블록(120) 마다 상부에 각기 형성된 기초패널(520) 및 체결구(540)에 로프(560)를 연결하여 손잡이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구(540)는 기초패널(520)에 형성된 체결공(522)에 결합되는 나사부(544)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리(542)가 형성되며,
나사부(544)에 인접하여 외주면에 환턱(546)이 형성되고, 환턱(546)에 밀착되어 기초패널(520)의 외면에 밀착되는 씰(5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기초패널(520)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540)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위치조절부(600)는 기초패널(520)의 전면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되는 레일홈(526)과, 레일홈(526)에 삽입되며 체결구(54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구(610)를 포함하고, 레일홈(526)의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구(610)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홈(6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레일홈(526)을 따라 체결구(540)를 이동시켜 적절한 위치에 도달되도록 한 후 걸림구(610)를 걸림홈(630)에 결합시켜 위치 고정이 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구(610)는 체결구(54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구바디(611)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부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걸림핀(612)과, 걸림구바디(611)의 내부에 매립되어 걸림핀(612)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613)로 구성되며, 걸림핀(612)의 출몰작동을 제어하도록 걸림구바디(611)의 외부에 형성된 노브(614)로 구성되고, 걸림구바디(611)에는 노브(614) 및 걸림핀(612)이 이동될 수 있도록 장공(615)이 형성된다.
따라서 손으로 노브(614)를 밀어 걸림핀(612)이 인입되도록 한 후 걸림구(610)를 레일홈(526)을 따라 이동시킨 후 노브(614)를 놓으면 탄성체(613)의 미는 힘에 의해 걸림핀(612)이 인출되면서 걸림홈(527)에 삽입되어 고정상태가 된다.
한편 기초패널(520)의 전면에 형성되며 로프(560)를 지지하여 로프(560)의 처짐을 방지하는 로프지지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프지지부(700)는 기초패널(520)에 결합되는 바디(720)와, 바디(720)의 단부에 형성되어 로프(560)가 삽입되는 요부를 갖는 '⊃'자형으로 된 루프(740) 및 상기 루프(74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7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프지지부(700)는 로프(560)를 강하게 잡았을때 체결구(540)가 불시에 이탈되는 상황이 발생되더라도 로프(560)를 기초패널(52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는 이차적인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게 된다.
로프지지부(700)의 루프(740)에 로프(560)를 삽입한 후 덮개(760)를 닫아 이탈을 방지토록 결합시킨다.
로프지지부(700)의 바디(720)는 기초패널(520)에 형성된 체결공(527)에 나사결합되도록 하여 설치 시공 및 추후 분리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옹벽부 120 : 옹벽블록
140 ; 어스앵커 160 : 마감골재
200 : 계단부 220 ; 수평지지부
240 : 계단 300 ; 결합부
320 : 끼움공 340 : 끼움샤프트
360 : 스프링 400 : 높이설정부
410 ; 와이어 420 ; 풀리
430 : 드럼 440 : 권취구동원
500 : 안전손잡이부 600 ; 위치조절부
700 : 로프지지부

Claims (3)

  1. 절토면에 계단식으로 설치되어 절토면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절토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옹벽블록과, 상기 절토면의 지중으로 매립되며 상기 복수개의 옹벽블록 각각에 결합되는 어스앵커와, 상기 절토면과 복수개의 옹벽블록의 후면 공간을 채우는 마감골재로 이루어진 옹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옹벽블록의 배면에 부착되어 마감골재에 매립되는 수평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옹벽블록의 측단의 경사부를 따라 배치되는 계단으로 구성된 계단부;
    상기 계단부를 옹벽블록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는
    옹벽블록의 배면에 종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끼움공과,
    상기 계단부에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는 수평통로에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끼움공에 결합되는 끼움샤프트 및
    상기 수평통로의 내주면에 삽입되며 끼움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지지되도록 끼움샤프트의 외주면에 환턱이 형성되어 끼움샤프트가 탄성력으로 인입 후 인출작동되도록 한 것이고,
    상기 계단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계단부의 높이를 설정하는 높이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설정부는
    계단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옹벽블록의 배면 일측에 구비되며 와이어가 권취되는 풀리와,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권취되도록 옹벽블록의 배면 타측에 장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권취구동원을 포함하고,
    상기 옹벽블록의 배면에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계단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가이드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단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람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전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손잡이부는,
    옹벽블록의 상면에 부착되는 기초패널과, 상기 기초패널에 결합되어 외부에 돌출되며, 고리가 형성된 체결구와, 상기 고리에 결합되어 다수의 옹벽블록의 상부를 연결하는 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초패널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기초패널의 전면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되는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며 체결구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홈의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구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옹벽구조물.

  2. 삭제
  3. 삭제
KR1020230128218A 2023-09-25 2023-09-25 안전성과 유지보수 용이성을 제공하는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 KR102630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8218A KR102630066B1 (ko) 2023-09-25 2023-09-25 안전성과 유지보수 용이성을 제공하는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8218A KR102630066B1 (ko) 2023-09-25 2023-09-25 안전성과 유지보수 용이성을 제공하는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066B1 true KR102630066B1 (ko) 2024-01-30

Family

ID=8971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8218A KR102630066B1 (ko) 2023-09-25 2023-09-25 안전성과 유지보수 용이성을 제공하는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06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7030A (ja) * 1992-06-23 1994-06-14 Kaihatsu Concrete Kk プレキャスト崗上げブロック
KR20060100637A (ko) * 2005-03-17 2006-09-21 김종윤 하상 옹벽용 계단블록 및 그 축조 방법
KR20090044881A (ko) * 2007-11-01 2009-05-07 김종윤 옹벽
KR20100004497A (ko) * 2008-07-04 2010-01-13 진흥콘크리트(주) 계단을 형성하기 위한 축조블록
KR20100108477A (ko) * 2009-03-28 2010-10-07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디딤돌 침수옹벽 수로 블록
KR20110003075U (ko) * 2011-02-25 2011-03-24 현태근 천장철거용 보조기구
KR101989552B1 (ko) * 2018-11-20 2019-06-14 에스티엑스건설 주식회사 플랜트용 발판구조체
KR102062458B1 (ko) * 2018-06-25 2020-01-03 김연숙 배수로의 야생동물 탈출시설
KR20220017120A (ko) 2020-08-04 2022-02-11 농업회사법인 보리누리주식회사 Vr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와 이에 대한 맞춤형 광고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68059B1 (ko) * 2022-02-09 2022-11-18 (주)베스트건설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7030A (ja) * 1992-06-23 1994-06-14 Kaihatsu Concrete Kk プレキャスト崗上げブロック
KR20060100637A (ko) * 2005-03-17 2006-09-21 김종윤 하상 옹벽용 계단블록 및 그 축조 방법
KR20090044881A (ko) * 2007-11-01 2009-05-07 김종윤 옹벽
KR20100004497A (ko) * 2008-07-04 2010-01-13 진흥콘크리트(주) 계단을 형성하기 위한 축조블록
KR20100108477A (ko) * 2009-03-28 2010-10-07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디딤돌 침수옹벽 수로 블록
KR20110003075U (ko) * 2011-02-25 2011-03-24 현태근 천장철거용 보조기구
KR102062458B1 (ko) * 2018-06-25 2020-01-03 김연숙 배수로의 야생동물 탈출시설
KR101989552B1 (ko) * 2018-11-20 2019-06-14 에스티엑스건설 주식회사 플랜트용 발판구조체
KR20220017120A (ko) 2020-08-04 2022-02-11 농업회사법인 보리누리주식회사 Vr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와 이에 대한 맞춤형 광고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68059B1 (ko) * 2022-02-09 2022-11-18 (주)베스트건설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69556A1 (en) Retractable wall system
JPH0333309A (ja) 柱及びパネル壁構成及びその建設方法
WO2014145333A1 (en) Retractable wall system and adaptor components
CN109944593B (zh) 一种盾构隧道下穿既有建筑物的加固方法
KR102429680B1 (ko) 와이어링을 이용한 낙석방지 구조물 시공방법
CA3117013A1 (en) Ground anchor
KR102630066B1 (ko) 안전성과 유지보수 용이성을 제공하는 친환경 에너지 발전용 옹벽 구조물
CN209099369U (zh) 一种基坑内支撑装置
CN210564550U (zh) 利用钢绞线张拉的隧道防隆沉加固结构
KR101687097B1 (ko) 어스 앵커
CN113152371B (zh) 一种水利工程垂直止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212375872U (zh) 一种用于风化岩地区基坑的支护结构
AU2006201409A1 (en) Stump Former
JP3935191B2 (ja) アンカー工法
KR102596499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EP3084102B1 (en) On-site mobile facility
KR101077650B1 (ko) 도로의 비탈면에 설치되는 방음벽 겸용 낙석방지 구조물
CN216110062U (zh) 一种防护栏杆
CN212956550U (zh) 一种铁路工程用基坑施工支架
KR102604139B1 (ko) 에너지 발전가능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KR102655751B1 (ko) 와이어링을 이용한 사면 구조물 시공방법
JP7422264B1 (ja) 乾式外構構造
KR20230096631A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2176626B1 (ko) 흔들리는 조경용 인공암
KR102143455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