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594B1 -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594B1
KR101888594B1 KR1020170135946A KR20170135946A KR101888594B1 KR 101888594 B1 KR101888594 B1 KR 101888594B1 KR 1020170135946 A KR1020170135946 A KR 1020170135946A KR 20170135946 A KR20170135946 A KR 20170135946A KR 101888594 B1 KR101888594 B1 KR 101888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body
unit
prefabricated
led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김재준
Original Assignee
(주)대창양회
주식회사 에이에스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창양회, 주식회사 에이에스앤 filed Critical (주)대창양회
Priority to KR1020170135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prismatic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LED 램프를 구비하며, 상호 조립식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 조립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들로 태양광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전지판; 상기 태양전지판과 연결되며,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발생되는 전기가 저장되는 전기 저장부; 및 상기 전기 저장부와 상기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 중 하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들은 마그네틱 방식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Block system for retaining wall building}
본 발명은,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식이라서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편리하며, 별도의 전기 사용 없이 태양광을 이용해서 LED 램프를 점멸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로등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 광고나 홍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나 하천변에 절토된 사면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강우나 폭설 등에 의해 토사의 유실이 발생될 수 있고, 붕괴에 의해 인적, 물적으로 손해가 발생하기가 쉽다.
따라서 미관상 효과를 제공하면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면을 녹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면을 녹화하는 방법으로서 직접 절토된 사면에 식물을 식재하는 방법, 종자와 식생토를 혼합하여 살포하는 방법, 종자와 비료가 포함된 식생 매트를 시공하는 방법 등 여러 방법이 알려져 있다.
직접 식물을 식재하는 방법은 사면 녹화의 효과가 크지만 큰 노동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저하되며, 급경사진 사면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장소적 제한이 있다.
종자와 식생토를 혼합하여 살포하는 방법은 종자의 발아율이 낮고 균일한 생육분포를 가지기 어려우며, 이 역시 급경사진 사면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장소적 제한이 있다.
이에 반해, 식생 매트를 시공하는 방법은 경제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장소적 제한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식생 매트를 이용해서 사면을 녹화는 방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식생 매트를 이용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8-000896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0770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1416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11489호 등에 널리 개시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문헌들을 비롯하여 현존하는 옹벽 기술, 특히 식생 매트를 이용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사면 붕괴를 막기 위한 방안에 그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 다른 추가적인 기능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그런데, 만약, 사면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본연의 기능은 그대로 수행하면서도 공이 간편하다거나 LED 램프를 점멸시킬 수 있어 가로등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거나 광고나 홍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추가적인 기능을 제시할 수만 있다면 기능성을 보유한 옹벽 구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8-000896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0770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1416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1148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이라서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편리하며, 별도의 전기 사용 없이 태양광을 이용해서 LED 램프를 점멸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로등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 광고나 홍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다수의 LED 램프를 구비하며, 상호 조립식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 조립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들로 태양광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전지판; 상기 태양전지판과 연결되며,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발생되는 전기가 저장되는 전기 저장부; 및 상기 전기 저장부와 상기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 중 하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들은 마그네틱 방식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은, 외관을 형성하는 블록 바디; 상기 블록 바디 내에 내장되되 상기 다수의 LED 램프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상기 블록 바디의 단부에 형성되되 이웃된 것과 자력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마그네틱 부착모듈; 및 일단부는 상기 마그네틱 부착모듈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틱 부착모듈의 외면으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블록 바디 내로 내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들이 조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블록 바디의 일측에는 조립용 바아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블록 바디의 조립면 타측에는 이웃된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의 조립용 바아가 삽입되면서 조립되는 조립홀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ED 램프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에 마련되는 조도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저장부의 전기를 통해 상기 LED 램프의 온/오프(on/off) 동작을 강제로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조도 감지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LED 램프가 자동으로 온/오프(on/off) 동작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다수의 LED 램프를 구비하며, 상호 조립식으로 연결되되 마그네틱 방식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 조립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들로 태양광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전지판; 상기 태양전지판과 연결되며,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발생되는 전기가 저장되는 전기 저장부; 상기 전기 저장부와 상기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 중 하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부; 상기 LED 램프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에 마련되는 조도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저장부의 전기를 통해 상기 LED 램프의 온/오프(on/off) 동작을 강제로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조도 감지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LED 램프가 자동으로 온/오프(on/off) 동작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은, 이웃된 것들과의 조립식 결합을 위해 둘레면을 따라 쐐기 블록과 쐐기 홈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의 코너 영역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결합돌기;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와 층상 결합되는 블록 바디; 상기 블록 바디 내에 내장되되 상기 다수의 LED 램프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상기 블록 바디의 단부에 형성되되 이웃된 것과 자력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마그네틱 부착모듈; 일단부는 상기 마그네틱 부착모듈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틱 부착모듈의 외면으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블록 바디 내로 내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케이블; 상기 블록 바디 상에 층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LED 램프의 빛을 확산시키는 투명 확산 필름; 표면에 다수의 프리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투명 확산 필름에 층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투명 확산 필름을 통과한 빛을 분산시키는 프리즘 필름; 상기 블록 바디의 개구 영역에 결합되는 실리콘 패킹; 및 상기 실리콘 패킹을 매개로 해서 상기 블록 바디의 개구에 결합되는 투명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이라서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편리하며, 별도의 전기 사용 없이 태양광을 이용해서 LED 램프를 점멸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로등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 광고나 홍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 2개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1의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에 적용되는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의 조립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블록 바디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프리즘 필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2는 도 1에서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 2개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도, 도 5는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 그리고 도 7은 도 1의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은 조립식이라서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편리하며, 별도의 전기 사용 없이 태양광을 이용해서 LED 램프(113)를 점멸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로등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 광고나 홍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다수의 LED 램프(113)를 구비하는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110), 태양전지판(130), 전기 저장부(140), 그리고 전기 연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110)은 조립식으로 마련되어 사면을 안정화시키는 블록이다. 종전의 식생 매트와는 달리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110)들을 조립식으로 만들어 배치하면 되기 때문에 시공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추후 유지보수 역시 편리해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110)들은 마그네틱 방식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서, 모두가 블록 바디(111), LED 램프(113), 인쇄회로기판(112, Printed Circuit Board), 마그네틱 부착모듈(114), 그리고 전기케이블(115)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바디(111)는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110)의 외관을 이룬다. 도면에는 블록 바디(111)가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블록 바디(111)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블록 바디(111)들이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110)들이 조립되는 방향에 대하여 블록 바디(111)의 일측에는 조립용 바아(116)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블록 바디(111)의 조립면 타측에는 이웃된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110)의 조립용 바아(116)가 삽입되면서 조립되는 조립홀(117)이 함몰 형성된다.
조립용 바아(116)와 조립홀(117)이 마련되기 때문에 자력의 힘 외에도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110)들의 조립 강도가 우수해질 수 있다.
LED 램프(113)는 블록 바디(111)에 마련되는 램프이다. LED로 적용되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LED 램프(113)는 블록 바디(111)의 양측에 일렬로 배치된다. 하지만, LED 램프(113)의 배열을 바꿀 경우, 특정 문자나 숫자의 표현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광고나 홍보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인쇄회로기판(112)은 블록 바디(111) 내에 내장되되 다수의 LED 램프(113)가 탑재되는 장소를 이룬다.
편의상 도면에는 표현을 하지 않았으나 블록 바디(111) 내에 인쇄회로기판(112)이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112) 상에 다수의 LED 램프(113)가 탑재되어야 하기 때문에 블록 바디(111)는 분해 조립이 가능한 한 쌍의 케이싱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틱 부착모듈(114)은 블록 바디(111)의 단부에 형성되되 이웃된 것과 자력으로 부착되게 하는 모듈이다.
그리고 전기케이블(115)은 그 일단부가 마그네틱 부착모듈(114)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마그네틱 부착모듈(114)의 외면으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블록 바디(111) 내로 내장되어 인쇄회로기판(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다.
이처럼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110)의 블록 바디(111)에 마그네틱 부착모듈(114)과 전기케이블(115)이 적용되기 때문에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110)들을 측방향으로 조립하기에 매우 편리하고, 또한 별도의 전선 없이도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110)들 모두를 하나로 연결하기가 좋다. 따라서 모든 LED 램프(113)들을 한 번에 함께 동작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태양전지판(130)은 조립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110)들로 태양광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태양전지판(130)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기 저장부(140)는 태양전지판(130)과 연결되며, 태양전지판(130)에서 발생되는 전기가 저장되는 장소를 이룬다. 일종의 콘덴싱 장치이다.
그리고 전기 연결부(150)는 전기 저장부(140)와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110) 중 하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에는 시스템의 컨트롤을 위하여 입력부(161), 조도 감지부(162), 그리고 컨트롤러(180)가 더 갖춰진다.
입력부(161)는 LED 램프(113)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 방식이 리모컨 형태여도 무방하다.
조도 감지부(162)는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110)에 마련되는 센서이다. 해가 질 때를 감지하여 신호를 컨트롤러(180)로 전송한다.
컨트롤러(180)는 입력부(161)의 신호에 기초하여 전기 저장부(140)의 전기를 통해 LED 램프(113)의 온/오프(on/off) 동작을 강제로 컨트롤하는 한편 조도 감지부(162)의 신호에 기초하여 LED 램프(113)가 자동으로 온/오프(on/off) 동작되게 컨트롤한다.
예컨대, 저녁이 되면 조도 감지부(162)의 신호에 기초하여 LED 램프(113)가 자동으로 온(on)되게 함으로써 가로등을 역할을 대신하게끔 한다. 조도 감지부(162)의 작용으로 인해 LED 램프(113)가 낮에는 오프(off)되지만 입력부(161)의 신호를 제공할 경우, 낮에도 LED 램프(113)가 강제로 온(on)될 수 있다. 특히, LED 램프(113)는 점멸 기능을 비롯해서 여러 가지 칼라 색상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선택을 입력부(161)로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61)의 신호에 기초하여 전기 저장부(140)의 전기를 통해 LED 램프(113)의 온/오프(on/off) 동작을 강제로 컨트롤하는 한편 조도 감지부(162)의 신호에 기초하여 LED 램프(113)가 자동으로 온/오프(on/off) 동작되게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입력부(161)의 신호에 기초하여 전기 저장부(140)의 전기를 통해 LED 램프(113)의 온/오프(on/off) 동작을 강제로 컨트롤하는 한편 조도 감지부(162)의 신호에 기초하여 LED 램프(113)가 자동으로 온/오프(on/off) 동작되게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식이라서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편리하며, 별도의 전기 사용 없이 태양광을 이용해서 LED 램프(113)를 점멸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로등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 광고나 홍보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에 적용되는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의 조립도, 도 9는 도 8의 분해도, 도 10은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의 확대도, 도 11은 도 9의 블록 바디 영역의 확대도, 그리고 도 12는 프리즘 필름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 역시, 조립식이라서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편리하며, 별도의 전기 사용 없이 태양광을 이용해서 LED 램프(213)를 점멸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로등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 광고나 홍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210), 태양전지판(130), 전기 저장부(140), 전기 연결부(150), 입력부(161), 조도 감지부(162), 그리고 이들의 컨트롤을 위한 컨트롤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210)을 제외한 나머지 구조들, 즉 태양전지판(130), 전기 저장부(140), 전기 연결부(150), 입력부(161), 조도 감지부(162), 그리고 이들의 컨트롤을 위한 컨트롤러(180)의 구조와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210)에 대해서만 집중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210)은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216), 결합돌기(219), 블록 바디(211), LED 램프(213)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212), 마그네틱 부착모듈(214), 전기케이블(215), 투명 확산 필름(220), 프리즘 필름(221), 실리콘 패킹(223), 그리고 투명 윈도우(2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210)은 인쇄회로기판(212)이 마련되는 블록 바디(211)와,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216)가 결합되는 방식을 갖는다. 이때,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216)는 이웃된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210)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역할을 담당하며, 블록 바디(211)는 LED 램프(213)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212)이 장착되는 장소를 이루면서 마그네틱 부착모듈(214)과 전기케이블(215)로 인해 전원이 인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구성들에 대해 하나씩 알아본다.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216)는 전술한 것처럼 이웃된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210)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즉 이웃된 것들과의 조립식 결합을 위해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216)의 둘레면을 따라 쐐기 블록(217)과 쐐기 홈(218)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결합돌기(219)는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216)의 코너 영역에 돌출되게 마련된다. 블록 바디(211)에는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는데, 블록 바디(211)의 결합홈(미도시)이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216)의 결합돌기(219)에 끼워져 결합되는 방식으로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216) 상에 블록 바디(211)가 결합될 수 있다.
블록 바디(211)는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216)와 층상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LED 램프(213)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212)이 장착되는 장소를 이룬다. 쐐기 블록(217) 및 쐐기 홈(218)을 제외하고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216)와 블록 바디(211)는 면적이 동일하다.
LED 램프(213)는 블록 바디(211)에 마련되는 램프이다. LED로 적용되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LED 램프(213)는 빨강, 파랑, 노랑, 초록 등 그 색상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LED 램프(213)는 블록 바디(211)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인쇄회로기판(212)은 블록 바디(211) 내에 내장되되 다수의 LED 램프(213)가 탑재되는 장소를 이룬다.
마그네틱 부착모듈(214)은 블록 바디(211)의 단부에 형성되되 이웃된 것과 자력으로 부착되게 하는 모듈이다. 그리고 전기케이블(215)은 그 일단부가 마그네틱 부착모듈(214)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마그네틱 부착모듈(214)의 외면으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블록 바디(211) 내로 내장되어 인쇄회로기판(2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다.
이처럼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210)의 블록 바디(211)에 마그네틱 부착모듈(214)과 전기케이블(215)이 적용되기 때문에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210)들을 측방향으로 조립하기에 매우 편리하고, 또한 별도의 전선 없이도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210)들 모두를 하나로 연결하기가 좋다. 따라서 모든 LED 램프(213)들을 한 번에 함께 동작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투명 확산 필름(220)은 블록 바디(211) 상에 층상으로 배치되며, LED 램프(213)의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프리즘 필름(221)은 투명 확산 필름(220)에 층상으로 배치되어 투명 확산 필름(220)을 통과한 빛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투명 확산 필름(220)의 표면이 매끄러운 반면 프리즘 필름(221)의 표면에는 다수의 프리즘 돌기(2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프리즘 돌기(222)에 빛이 부딪혀서 분산될 수 있다.
실리콘 패킹(223)은 블록 바디(211)의 개구 영역에 결합되는 고무 패킹이다. 투명 윈도우(224)와의 사이가 밀봉되게 한다.
투명 윈도우(224)는 실리콘 패킹(223)을 매개로 해서 상기 블록 바디(211)의 개구에 결합된다. 투명 윈도우(224)가 적용되기 때문에 LED 램프(213)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210)이 적용되더라도 조립식이라서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편리하며, 별도의 전기 사용 없이 태양광을 이용해서 LED 램프(213)를 점멸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로등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 광고나 홍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 111 : 블록 바디
112 : 인쇄회로기판 113 : LED 램프
114 : 마그네틱 부착모듈 115 : 전기케이블
116 : 조립용 바아 117 : 조립홀
130 : 태양전지판 140 : 전기 저장부
150 : 전기 연결부 161 : 입력부
162 : 조도 감지부 180 : 컨트롤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다수의 LED 램프를 구비하며, 상호 조립식으로 연결되되 마그네틱 방식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
    조립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들로 태양광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전지판;
    상기 태양전지판과 연결되며,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발생되는 전기가 저장되는 전기 저장부;
    상기 전기 저장부와 상기 다수의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 중 하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부;
    상기 LED 램프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에 마련되는 조도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저장부의 전기를 통해 상기 LED 램프의 온/오프(on/off) 동작을 강제로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조도 감지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LED 램프가 자동으로 온/오프(on/off) 동작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식 단위 옹벽블록은,
    이웃된 것들과의 조립식 결합을 위해 둘레면을 따라 쐐기 블록과 쐐기 홈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의 코너 영역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결합돌기;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조립용 베이스 플레이트와 층상 결합되는 블록 바디;
    상기 블록 바디 내에 내장되되 상기 다수의 LED 램프가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상기 블록 바디의 단부에 형성되되 이웃된 것과 자력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마그네틱 부착모듈;
    일단부는 상기 마그네틱 부착모듈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틱 부착모듈의 외면으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블록 바디 내로 내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케이블;
    상기 블록 바디 상에 층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LED 램프의 빛을 확산시키는 투명 확산 필름;
    표면에 다수의 프리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투명 확산 필름에 층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투명 확산 필름을 통과한 빛을 분산시키는 프리즘 필름;
    상기 블록 바디의 개구 영역에 결합되는 실리콘 패킹; 및
    상기 실리콘 패킹을 매개로 해서 상기 블록 바디의 개구에 결합되는 투명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
KR1020170135946A 2017-10-19 2017-10-19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 KR101888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946A KR101888594B1 (ko) 2017-10-19 2017-10-19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946A KR101888594B1 (ko) 2017-10-19 2017-10-19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594B1 true KR101888594B1 (ko) 2018-08-14

Family

ID=6323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946A KR101888594B1 (ko) 2017-10-19 2017-10-19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5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059B1 (ko) 2019-11-20 2020-07-23 김석환 옹벽 블록 장착용 태양광 패널 거치 시스템
KR102446644B1 (ko) 2022-02-16 2022-09-22 김석환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
KR102468059B1 (ko) 2022-02-09 2022-11-18 (주)베스트건설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0316A (ja) * 2009-10-09 2011-04-21 Chiba Yohgyoh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連結方法
KR101242112B1 (ko) * 2011-06-09 2013-03-11 김창원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0316A (ja) * 2009-10-09 2011-04-21 Chiba Yohgyoh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連結方法
KR101242112B1 (ko) * 2011-06-09 2013-03-11 김창원 화분 및 경관 조명을 갖는 콘크리트 판넬 옹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059B1 (ko) 2019-11-20 2020-07-23 김석환 옹벽 블록 장착용 태양광 패널 거치 시스템
KR102468059B1 (ko) 2022-02-09 2022-11-18 (주)베스트건설 친환경 에너지발전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
KR102446644B1 (ko) 2022-02-16 2022-09-22 김석환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594B1 (ko) 쏠라 마그네틱 사면 안정 옹벽 블록 시스템
CN101427067B (zh) 使用发光二极管的人造阳光系统
DE69838207D1 (de) Uv/blauemittierende phosphor-vorrichtung mit effizienter umwandlung von uv/blauem licht in sichtbares licht
US20040189491A1 (en) Traffic light displaying remaining time
KR101971368B1 (ko) 플렉시블 cigs 박막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도로용 태양광 모듈
KR100983350B1 (ko) 경관 가로등
CN2572213Y (zh) 一种led草坪灯
JP3158706U (ja) 平板ブロックおよびマット構造体
JP2004137814A (ja) 点字ブロック型補助信号灯及び交通信号装置
KR200458578Y1 (ko) 휀스용 조명장치
KR20100006656A (ko) 휀스용 조명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609629A (zh) 一种自动温控的发光指示牌
CN211875809U (zh) 一种带有驱虫效果的园林专用地埋灯
TW201903323A (zh) Led光源模組及其光照射方法
KR20120096662A (ko) 지중 매립등
Pattison et al. 2022 Solid-State Lighting R&D Opportunities
KR100883212B1 (ko) 조경용 양면 엘이디 조명판
CN104421817B (zh) 自发光道边灯
KR100982002B1 (ko) 태양광 안내판
KR101030515B1 (ko) 가로등
CN109539118B (zh) 社区边缘led照明设备
CN210266929U (zh) 一种防止重影的路灯
CN217004197U (zh) 一种可拆卸组合式地埋灯
CN203273685U (zh) 一种led地砖面罩及地砖
JP3175025U (ja) 埋込型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