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606B1 - 전면 녹화 보강토 옹벽의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전면 녹화 보강토 옹벽의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606B1
KR100728606B1 KR1020040087854A KR20040087854A KR100728606B1 KR 100728606 B1 KR100728606 B1 KR 100728606B1 KR 1020040087854 A KR1020040087854 A KR 1020040087854A KR 20040087854 A KR20040087854 A KR 20040087854A KR 100728606 B1 KR100728606 B1 KR 100728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rip
reinforcement
anchor
gre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8730A (ko
Inventor
양계승
윤효석
서동수
Original Assignee
(주)양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양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양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40087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606B1/ko
Publication of KR20060038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녹화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잡석층, 콘크리트 기초판, 콘크리트 블록, 전단바, 스트립 부재, 수동 앵커로 구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전면에 녹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전면 녹화 보강토 옹벽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초 터파기한 상부에 형성되는 잡석층; 상기 잡석층의 상부에 안착되는 콘크리트 기초;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에 길이방향 또는 높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적층되는 블록; 상기 블록에 연결되는 전단바; 상기 전단바에 연결되어 보강토 구간을 보강시키는 스트립 부재를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암반에 지지되고 잡석층의 상부면과 일치되도록 설치된 마이크로 파일로 지지되는 한편, 블록 안착홈과 돌출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블록 안착홈에 형성된 앵커핀홀과 돌출 지지부를 관통하는 철근 삽입홀에 아연도금 철근이 관통되어 부등침하가 방지되도록 설치되는 녹화용 블록; 상기 녹화용 블록의 후방 전단키홈에 결합된 전단바와 연결되는 스트립의 후방에 연결되고, 일측면 후방에 돌출된 돌출부의 앵커홀에 아연도금 철근이 삽입되어 스트립의 후방이 연결되는 수동 앵커; 상기 수동 앵커에 설치된 아연도금 철근에 스트립이 연결되고, 후방 절토면에 시공되는 소일 네일링의 지압판의 돌출대에 형성된 철근 삽입홀에 삽입된 아연도금 철근에 지지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녹화 보강토 옹벽의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녹화용 블록, 콘크리트 기초판, 콘크리트 블록, 지압판

Description

전면 녹화 보강토 옹벽의 설치 구조{MOUNTING STRUCTURE OF REINFORCEMENT BREAST WALL}
도 1a, 1b는 본 발명의 전면 녹화 옹벽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초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녹화용 블록의 사용 상태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수동 앵커의 사시도, 도 4c는 수동 앵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지압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초의 다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초의 사선 방향 형태로 전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잡석층 120: 마이크로 파일
200: 콘크리트 기초 210: 블록 안착홈
220: 돌출 지지부 300: 녹화용 블록
310: 전면 반홈 350: 전단키홈
360: 전단키 400: 전단바
500: 스트립 600: 수동 앵커
610: 돌출부 620: 스트립 삽임홀
650: 앵커바 700: 지압판
본 발명은 전면 녹화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잡석층, 콘크리트 기초판, 콘크리트 블록, 전단바, 스트립 부재, 수동 앵커, 소일 네일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전면에 녹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전면 녹화 보강토 옹벽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은, 잡석층 또는 콘크리트 기초판의 상부에 콘크리트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다단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콘크리트 블록에 전단바를 설치하고 그 전단바에 스트립을 설치하는 구조로 시공되는 경우가 보통이다.
상기 보강토 옹벽 축조 공법은, 토체 내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토류 구조물을 보강하는 공법으로서, 흙과 보강재를 일체화함에 따라 흙막이 옹벽을 만들거나 성토를 보강하여 지반의 지지력이나 사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보강재로 이용되는 다양한 재질을 옹벽에 알맞게 설치하기 위한 보강재에 관한 사항이 주류로 이루어지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보강토 옹벽 축조는, 콘크리트 블록과 보강재를 상호 어떻게 체결하느냐에 따라 많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어, 이러한 기술을 실용화하고 효율적인 설치를 위해 많은 업체에서 연구되고 있다. 즉, 대부분 보강토 옹벽은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축조되는 한편, 기초 터파기된 상부에 잡석층이 형성되고 잡석층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콘크리트 기초가 안착되며, 콘크리트 기초에는 상면에 다층으로 블록이 설치되고 각각의 블록에는 전단바와 연결되는 스트립이 보강토 구간에 설치되며, 스트립의 후방에 철근이 위치되어 스트립을 통해 블록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토사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보강토 옹벽이 축조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0273547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조립식 옹벽 벽체, 보강 앵커체 및 정착 수단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의 축조 구조에 대해 잘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판넬, 중공 블록 및 폐타이어 블록을 이용하고 소요의 토압 등에 저항하는 보강재의 경우 현장 여건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강토 옹벽의 축조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은 다양한 종류의 부재를 이용하여 조립식 옹벽 벽체를 형성하고 있을 뿐, 요사이 대두되는 친환경적인 요소, 즉 운전자 및 승객들에게 심미감을 안겨줄 수 있도록 하는 요소가 빠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기능적 요소는 강화시킨 반면에, 친환경적인 요소가 부재하다 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의 사이에 선단 보강체를 결합하거나 연결 수단을 이용하는 구조는,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경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고 있는 바, 비용이 저렴하고 종래의 일반적인 보강토 옹벽에 이용된다는 장점은 있지만, 보강재 후방에 설치되는 선단 보강체에서 지지되는 지지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재는 길이방향 및 폭 방향으로 확장하는 장점을 가지지만, 상기 보강재로 이용되는 가로 보강바와 세로 보강바가 일반적인 철근이 이용되는 바, 그로 인한 부식의 염려를 가진다고 할 수 있고, 특히 상기 가로 보강바와 세로 보강바를 사용시 소요의 설치 위치, 개수 및 간격을 현장 요건에 따라 조정하면서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그로 인한 설치 및 시공이 번거로운 단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조립식 블록 제품을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관계로 안정성 및 시공성이 뛰어난 축조 구조를 제공하고, 녹화용 블록과 그린팩을 이용하므로 식물 등을 식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바 친환경적인 요소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녹화용 블록을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수동 앵커를 제공하므로 견고한 지지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전면 녹화 보강토 옹벽의 설치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기초 터파기한 상부에 형성되는 잡석층; 상기 잡석층의 상부에 안착되는 콘크리트 기초;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에 길이방향 또는 높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적층되는 블록; 상기 블록에 연결되는 전단바; 상기 전단바에 연결되어 보강토 구간을 보강시키는 스트립 부재를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암반에 지지되고 잡석층의 상부면과 일치되도록 설치된 마이크로 파일로 지지되는 한편, 블록 안착홈과 돌출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블록 안착홈에 형성된 앵커핀홀과 돌출 지지부를 관통하는 철근 삽입홀에 아연도금 철근이 관통되어 부등침하가 방지되도록 설치되는 녹화용 블록; 상기 녹화용 블록의 후방 전단키홈에 결합된 전단바와 연결되는 스트립의 후방에 연결되고, 일측면 후방에 돌출된 돌출부의 앵커홀에 아연도금 철근이 삽입되어 스트립의 후방이 연결되는 수동 앵커; 상기 수동 앵커에 설치된 아연도금 철근에 스트립이 연결되고, 후방 절토면에 시공되는 소일 네일링의 지압판의 돌출대에 형성된 철근 삽입홀에 삽입된 아연도금 철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설치 상태 및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콘크리트 기초(200)는, 공장에서 제작되는 기성(PRECAST) 제품이 이용되고, 개략적으로 몸체가 ㄷ자형의 오픈된 부분이 상부로 오픈된 형태로, 중앙의 블록 안착홈(210)의 양측에 돌출 지지부(22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블록 안착홈(210)에 앵커핀홈(212)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돌출 지지부(220)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철근 삽입홀(224)이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200)는 잡석층(1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침하가 방지되게 되고, 상기 철근 삽입홀(224)에 철근(228)이 삽이되어 길이방향으로 다른 콘크리트 기초가 결합되므로 부등 침하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200)에는 연약 지반(SMOOTH GROUND)에 설치시 마이크로 파일(MICRO PILE)(120)이 콘크리트 기초(200)의 하부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암반(ROCK)에 밀착고정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기초(200)의 침하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200)에는 블록 안착홈(210)에 녹화용 블록(300)이 안착 되어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연장 및 적층되는 한편, 상기 녹화용 블록(300)은, 공장에서 제작된 조립식 피.씨 제품이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콘크리트 기초(200)와 녹화용 블록(300)이, 공장에서 조립식 피.씨 제품이 사용되는 경우, 설치 및 시공의 단순화에 따른 시공비의 절감을 얻을 수 있는 등 나타날 수 있는 장점은 종래와 유사한 관계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녹화용 블록(300) 개략적으로 몸체의 길이방향 양측이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면에 수직하게 반원을 판 다수개의 전면 반홈(310)이 형성되며, 상기 녹화용 블록(300)에는 상부면 길이방향 양측에 앵커핀홀(320)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반홈(310)이 형성된 대향면에 전단키홈(350)이 형성되며, 그 후방에 전단키(360)가 전단 응력에 대응하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녹화용 블록(300)의 전면 반홈(310)에는 덩굴 나무 등이 타고올라 갈 수 있도록 형성하면 녹화 구조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고, 이때 상기 전면 반홈(310)에 나선형 철선(도면상 미도시됨) 등을 설치하면 효율적인 녹화 구조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녹화용 블록(300)은 길이방향 양측에서 전단 균열이 발생되는 바, 후방으로 전단키(360)가 형성되어 종래의 블록 제품의 길이방향 양측면에서 발생되던 전단 균열의 문제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녹화용 블록(300)에는 전단키홈(350)에 전단바(400)가 삽입되어 그 후방으로 스트립(500)이 연결되고, 상기 전단바(400)는 파이프형 부재가 사용되며, 상기 전단바(400)는 아연도금 처리된 아연도금 강관 파이프가 사용됨이 적당하다 할 것이다.
상기 녹화용 블록(300)에 연결된 스트립(500)에는 후방에 수동 앵커(600)가 설치되어 녹화용 블록(300)의 전도를 방지하게 되며, 상기 수동 앵커(600)는 마찰 저항체로, 소요의 토압을 저항할 수 있도록 사용되게 된다.
특히, 상기 수동 앵커(600)에는 후방에 수평하게 돌출되는 돌출부(610)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610)의 중앙에 앵커홀(612)이 형성되어 앵커바(650)가 관통되며, 상기 녹화용 블록(300)에 결합된 전단바(400)와 앵커바(650)에는 그 사이에 섬유재로 형성된 스트립(500)이 연속적으로 지그재그로 연결된다.
상기 앵커바(650)는, 강관 파이프 또는 철근 등을 이용하여 법적으로 규제하는 아연도금이 처리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수동 앵커(600)는 전방면 중앙에 스트립 삽입홀(620)이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섬유재로 형성된 스트립(500)이 그 홈을 통과하여 연결되는 다른 형태의 수동 앵커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단바(400)에는 금속 스트립(500)이 고정되는 경우, 연결구로 체결 밴드(450)가 사용되고, 상기 체결 밴드(450)에 형성된 볼트홀(452)을 통해 조립 볼트(460)와 너트(462)가 연결되어 전단바(400)에 금속 스트립(500)이 체결되게 된다.
또한, 수동 앵커(600)는 전방면에서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스트립 체결홀(630)이 형성되어 금속재로 제작된 금속 스트립(500)이 관통된다. 상기 금속 스트 립(500)에는 직사각홈(510)이 다수개가 형성되어 점성토 또는 암버럭의 활용에 따른 밀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수동 앵커(600)를 관통한 금속 스트립(500)은 후방에 90°각도록 절곡된 격자형 체결대(670)가 설치되어 조립 볼트(680)와 너트(682)에 고정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녹화용 옹벽(300)에는 수동 앵커(600)가 한 개 또는 두 개가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녹화용 옹벽(300)과 수동 앵커(600)에는 그 사이에 금속 스트립(500)이 설치되어 녹화용 옹벽(300)의 사면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스트립(500)은 절토면(S)의 소일 네일 공법에 이용되는 지압판(700)의 돌출대(710)를 관통하는 아연도금 철근(228)에 연결된다. 상기 지압판(700)은 일측면에 돌출되는 2개의 돌출대(710)가 형성되고, 그 돌출대(710)에 형성된 철근 삽입홀(702)에 철근(228)이 관통되게 된다. 즉, 상기 스트립(500)에는 후방에 수동 앵커(600)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소일 네일의 지압판(700)에 고정되어 지지 구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 상태에 따른 효과를 하기에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녹화용 옹벽을 구성함에 있어 연약 지반 상에 안착되는 콘크리트 기초의 하부에 마이크로 파일을 설치하여 견고한 지지 구조를 구성함은 물론, 녹화용 옹벽에 덩굴 나무를 식재하여 전방에 녹화 구조를 제공하므로 친환경적인 도로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기초 터파기한 상부에 형성되는 잡석층; 상기 잡석층의 상부에 안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콘크리트 기초; 상기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에 길이방향 또는 높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적층되는 블록; 상기 블록의 전단키홈에 연결되는 전단바; 상기 전단바에 연결되어 보강토 구간을 보강시키는 스트립 부재; 상기 보강토 구간에 설치된 스트립 부재와 연결되는 철근;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200)는 암반에 지지될 수 있게 잡석층(100)의 상부면과 일치되도록 설치된 마이크로 파일(120)로 지지되어 안착되는 한편, 블록 안착홈(210)의 양측에 돌출된 돌출 지지부(220)가 일체로 형성되고, 블록 안착홈(210)에 형성된 앵커핀홀(212)과 돌출 지지부(220)의 폭 방향을 관통하는 철근 삽입홀(224)에 아연도금 철근(228)이 삽입되어 콘크리트 기초(20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부등침하가 방지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블록은 녹화용 블록이 이용되는 한편, 녹화용 블록(300)은 전면에 전면 반홈(310)이 형성되고 후방에 전단키홈(350)과 그 전단키홈(350)과 연접되는 전단키(360)가 형성되며, 전단키홈(350)에 안착되는 전단바(400)와 스트립(500)이 연결되고 스트립(500)의 후방에 위치되는 수동 앵커(600)에도 스트립(500)이 연결되며,
    수동 앵커(600)는 일측면 후방에 돌출된 돌출부(610)의 앵커홀(612)에 삽입되어 관통되는 앵커바(650)에 스트립(500)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수동 앵커(600)가 미설치되는 경우에 후방 절토면(S)에 시공되는 소일 네일링의 지압판(700)의 돌출대(710)에 형성된 철근 삽입홀(702)에 삽입된 아연도금 철근(228)에 스트립(500)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500)은 전단부에 체결 밴드(450)를 매개로 조립 볼트(460)와 너트(462)로 조립되고 수동 앵커(600)의 중앙을 관통하여 그 스트립(500)의 말단을 격자형 체결대(670)를 매개로 조립 볼트(680)와 너트(682)로 조립시킨 금속재로 제작된 금속 스트립(500)이 설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기초(200)에는 연약 지반에 설치시 마이크로 파일(120)로 지지되어 침하가 방지되는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녹화 보강토 옹벽의 설치 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040087854A 2004-11-01 2004-11-01 전면 녹화 보강토 옹벽의 설치 구조 KR100728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854A KR100728606B1 (ko) 2004-11-01 2004-11-01 전면 녹화 보강토 옹벽의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854A KR100728606B1 (ko) 2004-11-01 2004-11-01 전면 녹화 보강토 옹벽의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730A KR20060038730A (ko) 2006-05-04
KR100728606B1 true KR100728606B1 (ko) 2007-06-14

Family

ID=3714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854A KR100728606B1 (ko) 2004-11-01 2004-11-01 전면 녹화 보강토 옹벽의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687B1 (ko) 2011-05-26 2011-10-1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해안가 도로의 기초침하 방지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027B1 (ko) * 2022-02-11 2023-10-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연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397Y1 (ko) * 2002-05-15 2002-08-21 주식회사엠에스이그룹 삼각형상의 앵커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397Y1 (ko) * 2002-05-15 2002-08-21 주식회사엠에스이그룹 삼각형상의 앵커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86397호(2002. 08. 2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687B1 (ko) 2011-05-26 2011-10-1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해안가 도로의 기초침하 방지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730A (ko)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901B1 (ko) 절취사면 보강토옹벽 구조물
KR100795084B1 (ko) 주주용 베이스
KR20090098641A (ko) 철근 사이 배치형 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JP2017155574A (ja) 擁壁の構築方法
KR100842076B1 (ko) 배면지반 반력으로 지지한 부축식 역제형 환경 목석재블록 합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28606B1 (ko) 전면 녹화 보강토 옹벽의 설치 구조
KR102395328B1 (ko) 패널을 이용한 성토부 옹벽 구조 및 성토부 옹벽 시공방법
KR100901993B1 (ko) 영구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조립장치
KR100467234B1 (ko) 패널 삽입식 옹벽 및 옹벽시공방법
KR100794221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20070066397A (ko) 천공형 박물 셀형식 강재합성구조
JP3902036B2 (ja) 両側に擁壁を有する構築体
KR100728609B1 (ko) 그린팩을 이용한 전면 녹화 옹벽의 설치 구조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KR100577983B1 (ko) 절충식 보강토 옹벽 구조
KR200424147Y1 (ko) 배면지반 반력 및 변위 부축을 이용한 역제형 환경목석재블록 합벽
KR100603920B1 (ko) 화분일체식 방음벽형 옹벽
KR20190101950A (ko)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KR20210000098A (ko) 보도인접 방음벽 기초 구조물
KR100787099B1 (ko) 식생보강토 시공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보강토시공구조
KR200194424Y1 (ko)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옹벽
KR102494390B1 (ko)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60989B1 (ko) 절취경사면 보강공법 및 그 구조물
JPS6011168Y2 (ja) 法面用土留壁構造体
KR20100026041A (ko) 식생블럭식 영구화를 위한 사면 보강장치 및 그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