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033B1 - 생태 안정화 블록 - Google Patents

생태 안정화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033B1
KR100477033B1 KR1020040056026A KR20040056026A KR100477033B1 KR 100477033 B1 KR100477033 B1 KR 100477033B1 KR 1020040056026 A KR1020040056026 A KR 1020040056026A KR 20040056026 A KR20040056026 A KR 20040056026A KR 100477033 B1 KR100477033 B1 KR 100477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s
wall
retaining wall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영
Original Assignee
(주)자연과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연과환경 filed Critical (주)자연과환경
Priority to KR1020040056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을 블록 조립식으로 축조하는데 사용하여 식물의 생육환경을 조성하여 주기 위한 생태 안정화 블록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판부(11)에 의해 하면이 막히며, 전·후방벽부(12)(13)와 좌·우측벽부(14)(15)에 의해 4방이 둘러싸인 토사채움부(16)를 가지며, 상기 토사채움부(16)에 채워지는 속채움 토사가 옹벽의 전면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소정의 구배를 두고 좌우로 접속시키면서 상하로 엇갈리게 쌓아 식물이나 소동물의 서식이 가능한 녹화옹벽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부(13)의 좌우 중간부에는 수직선상을 따라 토사채움부(16)의 공간상으로 전방 돌출되는 돌출벽부(17)가 형성되고, 그 돌출벽부(17)에는 전후로 배열되면서 하부로 일정깊이 파고 들어간 다수의 핀홈(17a)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벽부(14)에는 원호형의 연결홈(18)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측벽부(15)에는 블록들을 좌우로 연접·설치시 상기 연결홈(18)에 끼워져 결착되는 원호형의 연결돌기(19)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돌기(19)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수직하게 관통되는 핀구멍(19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생태 안정화 블록{An Ecological Stabilization Block}
본 발명은 상하 좌우로 연달아 적층시키는 방법을 통해 도로가 또는 단지 주변의 사면이나 하천의 호안, 제방 등의 옹벽을 조립식으로 축조하는데 사용하여 식물의 생육환경을 조성하여 주기 위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물의 정착이 가능한 자리를 최대한 확보하여 식물의 생육환경을 크게 개선하고, 적층 시공시 블록간의 유연성을 확보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블록 배면의 흙이 블록사이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주며, 하나의 유형으로 제작된 블록들을 이용해 다양한 구배의 옹벽 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한 생태 안정화 블록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옹벽은 절성토 지반에 도로·철도·아파트단지·공장·하천 등을 조성하는데 있어 용지 제한을 받을 경우 토공량을 축소하면서 배면의 토사를 지탱하여 사면을 안정시키기 위해 축조하는 토목구조물이다.
이러한 옹벽은 지형적 여건과 옹벽시공 후 옹벽에 작용하는 요인 등을 고려하여 시공하는데, 전통적으로 시공지역의 토사를 절토하거나 또는 산간지역의 계곡부 및 낮은 지역을 메우기(성토) 위해 거푸집을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다음, 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면에 토사 및 쇄석을 채워 축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성형하기 때문에 비용 및 공사기간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역학적 허용응력의 확보가 용이치 않을 경우가 많고, 미관이 불량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공장에서 미리 만든 콘크리트 블록을 현장에서 적층식으로 축조하는 블록옹벽이 널리 시공되어 왔다.
상기한 블록옹벽은 옹벽의 전면벽을 형성하여 배면의 토사가 앞쪽으로 밀리는 것을 막아주는 콘크리트로 된 블록과, 블록의 후방쪽에 채워지는 토사 및 적절한 앵커수단 등으로 이루어지며, 블록을 상하로 여러 단 겹쳐 쌓으면서 적층되는 블록들의 배면에 쇄석 또는 토사 등의 뒷채움재를 채워가며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블록들에 의하여 축조된 옹벽은 현장타설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옹벽보다는 미관이 향상되지만 블록이 콘크리트로 성형되기 때문에 옹벽면을 그대로 두면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의 고유의 색상에 의하여 옹벽의 미관향상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옹벽의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해 제작시 블록의 전면부에 조도나 문양 또는 채색을 가미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 제작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설치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등에 의해 지저분해지기 때문에 미적 유발효과가 일시적으로 밖에 표출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블록옹벽은 사면의 안정만 고려하여 초목이 생육될 수 있는 여지를 차단함으로써 주변의 환경과 어울리지 않는 이질적인 경관을 피할 수 없으며, 미생물 및 소동물의 서식처가 사라지게 되어 자연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
최근에 이르러 상기한 바와 같은 환경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환경친화적인 도회경관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가 높아지면서, 생태적으로 훼손된 주변환경을 재생, 복구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이러한 시도의 예로서, 경사면 보호기능을 수행하면서 식물이 자랄 수 있게 하기 위해 블록의 중앙부에 식재공간을 형성하고 그 안에 토사를 채워 적층 시공함으로써, 식재공간의 상부를 통해 노출되는 토사를 통해 식물의 정착 및 생육을 유도하는 이른 바 화분형태의 식재블록이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본 출원인도 위와 같은 식재블록의 개념에 더하여 토사가 채워지는 식재 공간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의 생태 안정화 블록을 개발하여 국내 특허번호 제0322868호로 특허받은 바 있다.
이 등록 특허에 의한 생태 안정화 블록은 블록 내부에 다수의 공극을 갖는 다공성 콘크리트 제품으로서, 몸통부의 중앙부에 상하로 맞뚫리는 토사채움부가 형성되고, 좌·우측벽부에 수개의 핀구멍이 전후방향으로 배열·형성되어 상하 좌우로 엇갈리게 적층되는 블록들을 고정핀으로 결속시켜 주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등록 특허에 의한 생태 안정화 블록은 상하 좌우로 엇갈리게 적층되었을 때 토사채움부의 전방 상측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서 식물이 정착할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게 되며, 블록 내부의 공극을 통해 옹벽 배면의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되어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게 되고, 상하단 블록들이 고정핀에 의해 연결·고정되면서 적층되기 때문에 종래 다른 상자형 블록들에 비해 구조적이나 생태학적으로 비교적 안정된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 특허에 의한 생태 안정화 블록은 블록의 내부에 담겨져 전방 상측의 외부로 노출되는 토사부분을 통해 식생을 유도하고 있는데, 블록의 좌·우측벽부 양측에 핀구멍들을 형성하고 상하 적층시 이들 2지점을 각각 고정핀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블록 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토사채움부의 평면적을 작게 형성할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상층 블록들의 좌·우측벽부에 의해 하층블록들의 토사채움부가 과도하게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는 토사채움부의 평면적이 크게 감소되면서 협소하게 되어 식생도입율에 있어서 그다지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하층 블록을 연결함에 있어 좌우 양측의 2지점을 고정핀으로 연결함으로써, 시공시 좌우로 연접하는 블록간의 유연성이 떨어지고 허용 시공오차 범위가 작아 곡선으로 계획된 옹벽을 쌓기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블록 제작시 외표면이 일정하게 성형되지 않는 다공성 블록의 특성상 각 블록 제품들 간의 제작 공차가 심하기 마련인데, 상기한 등록 특허는 제작 공차를 흡수·조정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하층 블록들의 핀구멍들을 맞추기 위해서는 블록을 망치로 쳐서 절취해 내거나 고정핀을 억지로 박아 넣어야 하는 등 시공상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블록의 제작 공차에 따른 좌우 블록들간의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밀착시킬 수 있는 기술적 수단 또한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블록사이에 틈이 벌어질 경우 배면 토사가 전방으로 유출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토사유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블록 배면과 하부에 부직포를 부설해야 함으로써 공사가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선등록 특허에 의한 생태 안정화 블록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는 상기한 선등록 특허 뿐만 아니라 종래 화분형태로 된 종래 다른 유형의 식재블록들도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하 좌우로 연달아 적층시키는 방법을 통해 도로가 또는 단지 주변의 사면이나 하천의 호안, 제방 등의 옹벽을 조립식으로 축조하는데 사용하여 식물의 생육환경을 조성하여 주기 위한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에서 나타나는 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다공성 재질을 통하여 옹벽 배면의 수분을 공급받아 수분 유지에 도움을 받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식물이 정착할 공간을 가능한 넓게 확보함으로써 식물이 고르게 분포되고 정착 및 생육에 유리한 기반을 조성할 수 있게 하여주기 위한 생태 안정화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층되는 블록들을 상하 좌우 전체에 걸쳐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일체성을 통한 구조적 안정성을 보장함은 물론, 적층되는 블록의 상하연결시 좌우 양측을 모두 고정하지 않고 블록당 한쪽만 연결하여 고정시키도록 한 구조를 통해 연접되는 좌우 블록간 다른 한쪽의 접속부를 자유롭게 위치 조정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시공성을 크게 개선하고 전면부가 곡선면으로 처리되는 옹벽의 시공을 가능케 하여 주기 위한 생태 안정화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좌우 블록간의 접속부를 둥글게 형성된 연결홈과 연결돌기를 통해 접속시킴으로써, 시공상의 여유와 함께 블록 배면의 흙이 블록사이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여 주기 위한 생태 안정화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블록 중심부에 형성된 다수의 핀홈을 통해 옹벽 배면의 지반 구배 조건에 맞춰 상하층 블록간의 연결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유형으로 제작된 블록들을 이용해 다양한 구배의 옹벽 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게 하여주는 생태 안정화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태 안정화 블록은,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판부에 의해 하면이 막히며, 전·후방벽부와 좌·우측벽부에 의해 4방이 둘러싸인 토사채움부를 가지며, 상기 토사채움부에 채워지는 속채움 토사가 옹벽의 전면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소정의 구배를 두고 좌우로 접속시키면서 상하로 엇갈리게 쌓아 식물이나 소동물의 서식이 가능한 녹화옹벽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상기 후면벽부의 좌우 중간부에는 수직선상을 따라 토사채움부의 공간상으로 전방 돌출되는 돌출벽부가 형성되고, 그 돌출벽부에는 전후로 배열되면서 하부로 일정깊이 파고 들어간 다수의 핀홈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벽부에는 원호형의 연결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측벽부에는 블록들을 좌우로 연접·설치시 상기 연결홈에 끼워져 결착되는 원호형의 연결돌기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돌기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수직하게 관통되는 핀구멍이 형성된 것을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생태 안정화 블록은 적층 설치시 좌우로는 연결홈과 연결돌기를 끼워 맞춰 접속시키고, 상하로는 하층부 블록의 핀홈과 상층부 블록의 핀구멍을 연결시키는 상태로 고정핀을 꽂아 옹벽 전면 전체에 걸쳐 상하 좌우로 적층되는 블록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게 되며, 적층되었을 때 상층부 좌우 블록 사이로 하층부 블록의 토사채움부가 넓게 노출되므로 식생이 도입되는 평면적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태 안정화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5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을 이용한 적층상태 및 옹벽을 축조한 시공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생태 안정화 블록은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판부(11)에 의해 하면이 막히며, 전·후방벽부(12)(13)와 좌·우측벽부(14)(15)에 의해 4방이 둘러싸인 토사채움부(16)를 갖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상기 토사채움부(16)에 채워지는 속채움 토사가 옹벽의 전면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소정의 구배를 두고 좌우로 접속시키면서 상하로 엇갈리게 쌓아 식물이나 소동물의 서식이 가능한 녹화옹벽을 축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은 5~19㎜정도의 크기를 갖는 쇄석·시멘트(일반시멘트 또는 고강도 시멘트, 고로슬래그시멘트 등)·물 및 혼화제 등을 혼합하여서 만든 것으로, 공극률 5%이상을 유지하고 압축강도 150㎏f/㎠이상을 나타내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공극률이 5~20%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쇄석과 시멘트의 무게비는 4~7:1정도의 비율로 하고, 물시멘트비는 40%이하로 하며, 혼화제는 AE감수제, 접착제, 유동화제 등을 섞은 것으로 소량 넣어진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의 제작시 5㎜이하의 쇄석을 사용하면 강도는 높아지나 공극이 너무 작아지며, 19㎜이상의 쇄석을 사용하면 블록의 강도가 낮아지고 공극도 너무 커서 흙이 빠져 나오기 쉽다.
즉, 공극률이 5%이하이면 배면쪽 물이 식재공간 내로 스며들기 어렵고 공극률이 20%이상이면 블록내부의 흙이 유출되기 쉬우므로 상기 공극률이 5~20%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쇄석과 시멘트 비가 4:1이상이면 공극이 적어지고 비경제적이며 7:1이하이면 원하는 강도를 얻기 어려우므로 쇄석과 시멘트의 무게비는 4~7:1정도의 비율로 적당히 유지한다.
또한, 물시멘트비가 40%이상이면 공극이 메꿔지기 쉬우므로 가능한 비율을 낮게 하는 것이 좋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한 재료외에 섬유보완재를 첨가하여 줄 수도 있다.
상기 바닥판부(11)는 그 상면이 전후 중간부분은 낮고 전·후방벽부(12)(13)쪽으로 근접할수록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바닥판부(11)의 상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블록 제작시 골재가 경사부를 통해 형틀의 하부로 잘 밀려들어가게 하여 구조적으로 견고한 제품을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전방벽부(12)는 좌우 중간부가 앞쪽으로 배부른 호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서, 상하 적층 설치시 토사채움부(16)의 외부 노출면적이 가능한 넓게 확보될 수 있게 하고 있다. 즉 전방벽부(12)를 앞쪽으로 튀어나온 호형의 단면으로 형성할 경우 도8의 도시와 같이 토사채움부(16)의 외부 노출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식생에 보다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방벽부(13)는 수직면으로 형성되며, 그 좌우 중간부에는 수직선상을 따라 토사채움부(16)의 공간상으로 전방 돌출되는 돌출벽부(17)가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벽부(17)에는 하부로 일정깊이 파고 들어간 다수의 핀홈(17a)이 형성된다.
이 핀홈(17a)은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들을 후술하는 핀구멍(19a)과 함께 고정핀(20)으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원형봉으로 된 고정핀(20)이 꼭 알맞게 끼워지도록 하고 있으며, 전후방향을 따라 3열로 배치되어서 3단계로 변형된 구배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즉 상기 핀홈(17a)들 중에서 맨 전방측의 것은 수직에 가까운 옹벽을 쌓을 때 이용하도록 배치한 것이며, 뒤쪽으로 배치되는 것일수록 경사가 작은 옹벽을 구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좌측벽부(14)에는 연결홈(18)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측벽부(15)에는 블록들을 좌우로 연접·설치시 상기 연결홈(18)에 끼워져 결착되는 연결돌기(19)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좌·우측벽부(14)(15)의 모서리는 둥글게 처리되고 연결홈(18)과 연결돌기(19)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서, 블록들을 좌우로 연결 접속시 연결홈(18)과 연결돌기(19)가 상호 면접촉되게 하여 옹벽 배면의 토사가 전방으로 유출되지 않게 하여 준다.
또한, 이러한 접속구조에 의해 도6의 도시와 같이 좌우로 연결되는 좌우의 블록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여유와 유연성을 갖게 되어 도7의 도시와 같이 곡선 옹벽의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7에는 옹벽 전면이 튀어나온 곡선의 옹벽을 구축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옹벽의 배면측으로 들어간 곡선의 옹벽을 구축할 수 있음이 물론이다.
상기 연결돌기(19)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수직하게 관통되는 핀구멍(19a)이 형성된다.
이 핀구멍(19a)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들을 상기 핀홈(17a)의 위에서 맞대어진 상태에서 고정핀(20)을 꽂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좌우폭이 긴 장공 형태로 형성하여서, 블록의 제조 공차 및 시공상의 설치오차를 흡수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되는 본 발명의 생태안정화 블록은 사면의 경사도에 따라 좌우로 연접시키면서 상하로 엇갈리게 적층하여서 사면을 구조적으로 안정시켜 주는 동시에, 토사채움부의 전방측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식물이 정착할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여 줌으로써, 환경친화적인 토목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시공에서, 본 발명의 블록(10)은 토사채움부(16)의 하면이 바닥판부(11)에 의해 완전히 막혀 있으므로 도9의 도시와 같이 블록(10)의 배면이나 하면을 부직포로 감쌀 필요 없이 사면(22)의 경사면에 부직포(21)를 일괄적으로 부설하고 블록(10)을 적층하면서 블록(10)과 사면(22) 사이에 쇄석 등의 골재를 채우는 방법을 통해 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생태 안정화 블록은 도5 내지 도7의 도시와 같이 좌우로 연결되는 블록(10)들은 상기 연결홈(18)과 연결돌기(19)를 끼워 맞춰 접속시키고, 상하로는 하층부 블록(10)의 핀홈(17a)과 상층부 블록(10)의 핀구멍(19a)을 연결시키는 상태로 고정핀(20)을 꽂아 옹벽 전면 전체에 걸쳐 상하 좌우로 적층되는 블록(10)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견고한 옹벽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10)은 돌출벽부(17)에 형성된 다수의 핀홈(17a)을 통해 옹벽 배면의 지반 구배 조건에 맞춰 상하층 블록(10)간의 연결위치 변경을 통해 하나의 유형으로 제작된 블록(10)들을 이용해 다양한 구배의 옹벽 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10)은 적층되었을 때, 상층부 좌우 블록(10) 사이로 하층부 블록(10)의 토사채움부(16)가 도8의 "Z"부분과 같이 넓게 노출되므로, 식생이 도입되는 평면적을 보다 넓게 확보하여 준다.
또한, 도6의 도시와 같이 상층부 블록(10)에서 고정핀(20)이 설치되는 반대편의 좌측벽부(14)를 고정핀(20)을 중심점으로 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시공이 편리한 것은 물론이고 옹벽전면이 곡선으로 설계된 경우에도 제한됨이 없이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좌우 블록(10)간의 접속이 원형면으로 된 연결홈(18)과 연결돌기(19)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좌우 블록(10)들의 사이가 항상 면접촉된 상태로 시공할 수 있어 블록(10) 배면의 토사가 전방으로 유출될 소지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생태 안정화 블록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다공성 재질을 통하여 옹벽 배면의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토사채움부에 채워지는 토사의 수분을 항상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이 정착할 공간이 넓게 확보됨으로써, 식물이 고르게 분포되고 정착 및 생육에 유리한 기반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적층되는 블록들을 상하 좌우 전체에 걸쳐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일체성을 통한 구조적 안전성을 보장함은 물론, 적층되는 블록의 상하 연결시 좌우 양측을 모두 고정하지 않고 블록당 한쪽만 연결하여 고정시키도록 한 구조를 통해 연접되는 좌우 블록간 다른 한쪽의 접속부를 자유롭게 위치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이 확보됨으로써, 시공성이 좋고 전면부가 곡선면으로 처리되는 옹벽의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좌우 블록간의 접속부를 둥글게 형성된 연결홈과 연결돌기를 통해 접속시킴으로써, 시공상의 여유와 함께 블록 배면의 흙이 블록사이로 빠져나오지 않으므로, 블록 배면이나 하부에 부직포를 설치하지 않아도 블록 배면의 토사 유출로 인한 문제가 전혀 없어 시공의 간단화를 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블록 중심부에 형성된 다수의 핀홈을 통해 옹벽 배면의 지반 구배 조건에 맞춰 상하층 블록간의 연결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으로써, 하나의 유형으로 제작된 블록들을 이용해 다양한 구배의 옹벽 구조물을 축조하는데 범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생태 안정화 블록은 구조적으로 안정된 옹벽을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의 생육환경을 크게 개선하여 주며, 시공이 보다 용이하면서도 옹벽 구배에 따른 범용성이 넓은 등의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태 안정화 블록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태 안정화 블록의 평면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는 도2의 B-B선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이 적층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을 좌우로 접속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을 곡선 옹벽에 적용하는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을 적층하였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토사채움부의 평면적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블록을 이용한 옹벽 시공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블록 11:바닥판부 12:전방벽부
13:후방벽부 14:좌측벽부 15:우측벽부
16:토사채움부 17:돌출벽부 17a:핀홈
18:연결홈 19:연결돌기 19a:핀구멍
20:고정핀 21:부직포 22:사면

Claims (5)

  1.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판부(11)에 의해 하면이 막히며, 전·후방벽부(12) (13)와 좌·우측벽부(14)(15)에 의해 4방이 둘러싸인 토사채움부(16)를 가지며, 상기 토사채움부(16)에 채워지는 속채움 토사가 옹벽의 전면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소정의 구배를 두고 좌우로 접속시키면서 상하로 엇갈리게 쌓아 식물이나 소동물의 서식이 가능한 녹화옹벽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부(13)의 좌우 중간부에는 수직선상을 따라 토사채움부(16)의 공간상으로 전방 돌출되는 돌출벽부(17)가 형성되고, 그 돌출벽부(17)에는 전후로 배열되면서 하부로 일정깊이 파고 들어간 다수의 핀홈(17a)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벽부(14)에는 원호형의 연결홈(18)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측벽부(15)에는 블록들을 좌우로 연접·설치시 상기 연결홈(18)에 끼워져 결착되는 원호형의 연결돌기(19)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돌기(19)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수직하게 관통되는 핀구멍(19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안정화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11)는 그 상면이 전후 중간부분은 낮고 전·후방벽부(12)(13)쪽으로 근접할수록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안정화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부(12)는 좌우 중간부가 앞쪽으로 배부른 호형의 단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안정화 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구멍(19a)은 좌우폭이 긴 장공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안정화 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은 5~20%의 공극률을 갖는 것을 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안정화 블록.
KR1020040056026A 2004-07-19 2004-07-19 생태 안정화 블록 KR100477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026A KR100477033B1 (ko) 2004-07-19 2004-07-19 생태 안정화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026A KR100477033B1 (ko) 2004-07-19 2004-07-19 생태 안정화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7033B1 true KR100477033B1 (ko) 2005-03-17

Family

ID=3738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026A KR100477033B1 (ko) 2004-07-19 2004-07-19 생태 안정화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0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047B1 (ko) * 2006-10-17 2007-08-13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필터재가 설치된 식생 블록
KR100771246B1 (ko) 2006-10-20 2007-10-30 박석림 식생 옹벽블록
KR100871722B1 (ko) 2007-08-14 2008-12-05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역원추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CN108442322A (zh) * 2018-04-08 2018-08-24 胡凯燕 一种单体花池式生态挡土砌块及装配式挡土墙
KR102180750B1 (ko) * 2020-07-13 2020-11-19 오은호 불규칙한 지면에 대해 조정 가능한 유니버설 조인트 타입 물길 돌리기 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047B1 (ko) * 2006-10-17 2007-08-13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필터재가 설치된 식생 블록
KR100771246B1 (ko) 2006-10-20 2007-10-30 박석림 식생 옹벽블록
KR100871722B1 (ko) 2007-08-14 2008-12-05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역원추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CN108442322A (zh) * 2018-04-08 2018-08-24 胡凯燕 一种单体花池式生态挡土砌块及装配式挡土墙
KR102180750B1 (ko) * 2020-07-13 2020-11-19 오은호 불규칙한 지면에 대해 조정 가능한 유니버설 조인트 타입 물길 돌리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284B1 (ko) 생태 블록들의 결합체
WO2017173906A1 (zh) 一种连体式蜂巢砌块及其应用
KR20030073611A (ko) 생태블럭 및 그를 이용한 생태적 식생 호안공 및 식생옹벽공의 시공방법
CN104674842B (zh) 固化土挡墙及其施工方法
KR100322868B1 (ko) 생태 안정화 블록
KR100477033B1 (ko) 생태 안정화 블록
CN206143806U (zh) 一种新型预制装配式挡土墙
JP2006169957A (ja)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及び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部品
KR100322867B1 (ko) 투수성 콘크리트의 현장타설에 의한 사면 녹화공법
KR100402843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200185613Y1 (ko) 호안용 블록
KR100960601B1 (ko) 사면 보호용 생태블록
KR100515136B1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101047283B1 (ko) 식생축조블록과 보강용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KR200185859Y1 (ko) 생태 안정화 블록
KR101732497B1 (ko) 옹벽 시공방법
KR100744990B1 (ko)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KR100526057B1 (ko) 다공질을 갖는 생태블럭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생태블럭 및 그 시공방법
CN215289938U (zh) 一种自然驳岸草坡入水的结构
CN219011099U (zh) 一种组合式生态鱼巢砖挡墙
KR101148193B1 (ko) 호안블록
JPH04118427A (ja) 構築用ブロック
KR102145237B1 (ko) 다용도 블록
JP2006169860A (ja)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2002250043A (ja) 壁面保護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