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482U - 돔 하우스 - Google Patents

돔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482U
KR20170000482U KR2020150005035U KR20150005035U KR20170000482U KR 20170000482 U KR20170000482 U KR 20170000482U KR 2020150005035 U KR2020150005035 U KR 2020150005035U KR 20150005035 U KR20150005035 U KR 20150005035U KR 20170000482 U KR20170000482 U KR 201700004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frame
dome
ceiling pan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태
Original Assignee
최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태 filed Critical 최현태
Priority to KR2020150005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482U/ko
Publication of KR201700004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48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8Vaulted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고안은 돔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립 공정으로 골조를 조립하여 돔 구조의 거주 공간을 구축할 수 있는 조립식 돔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2. 구성
본 고안은 돔 구조로 이루어진 골조와, 상기 골조의 외면을 덮도록 설치된 지붕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골조는 상기 골조의 상부 중앙부에 배치되고,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둘레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부가 형성된 천장 패널과, 일측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측부가 지면에 지지되어 돔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하우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돔 하우스{DOME HOUSE}
본 고안은 돔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립 공정으로 골조를 조립하여 돔 구조의 거주 공간을 구축할 수 있는 조립식 돔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돔 하우스는 지붕 자체의 하중을 그 자체의 반구형 구조를 통해 자체적으로 지지해주어 벽이나 기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 건축물에 비해 설계가 자유롭고 시공이 간편하여 내부 공간 활용에 크게 제약이 따르지 않는 구조물, 예를 들면 비닐 하우스, 야외 휴게실 및 야외 숙박시설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돔 하우스는 천장 패널과, 다수의 금속재질의 살대를 제작한 후, 상기 천장 패널의 측부에 다수의 살대를 용접하여 돔 구조의 골조를 완성한 다음, 상기 골조의 외면을 플라스틱, 천막 또는 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덮어 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돔 하우스의 시공방법은 다수의 살대를 일일이 천장 패널에 용접처리하는 방식으로 돔 구조의 골조를 완성함에 따라 시공이 어려워 완공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안전사고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시공 단축을 위해서는 추가로 많은 수의 작업 인력이 요구되어 인건비의 상승을 초래하였다. 또한 각 살대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워 돔 하우스의 시공 후에도 돔 하우스의 외형이 서로 대칭되지 않아 디자인 측면과 미적인 측면에서도 나쁜 영향을 주었다.
KR 20-2010-0009561 U, 2010. 09. 29.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천장 패널과 다수의 살대를 간단한 조립 공정으로 조립하여 돔 구조의 골조를 완성하여 돔 구조의 거주 공간을 구축할 수 있는 조립식 돔 하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돔 구조로 이루어진 골조와, 상기 골조의 외면을 덮도록 설치된 지붕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골조는 상기 골조의 상부 중앙부에 배치되고,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둘레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부가 형성된 천장 패널과, 일측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측부가 지면에 지지되어 돔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하우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천장 패널의 둘레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되,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 또는 내부가 꽉 찬 봉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살대는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 또는 내부가 꽉 찬 봉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천장 패널은 상기 다수의 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는 상부와 측방향으로 개방된 결합홈인 하부 패널과, 상기 살대의 일측부가 상기 하부 패널의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패널의 상부를 덮도록 체결된 상부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일측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살대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살대를 상기 천장 패널에 연결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살대의 일측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살대의 일측부를 탄성 가압하는 고무패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천장 패널과 다수의 살대를 용접방식으로 상호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끼움방식으로 상호 조립하여 돔 구조를 갖는 골조를 제작함으로써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하고 시공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천장 패널을 통해 각 살대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디자인 측면과 미적인 측면이 개선된 돔 구조의 골조를 완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돔 하우스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돔 하우스를 구성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천장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천장 패널과 살대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천장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골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골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골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천장 패널과 살대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돔 하우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돔 하우스를 구성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돔 하우스(10)는 골조(11)와, 골조(11)의 외면을 덮도록 설치된 지붕 커버(12)를 포함한다. 또한 골조(11)의 상부 중앙부에 설치되어 지붕 커버(12)의 외부로 돌출된 환기팬(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골조(11)는 도 2와 같이, 천장 패널(111)과, 천장 패널(111)의 둘레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천장 패널(111)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다수의 살대(112)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천장 패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천장 패널과 살대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천장 패널(111)은 골조(11)의 상부 중앙부에 배치되고, 돔 하우스(10)의 구조에 따라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기팬(13)을 통해 돔 하우스(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돔 하우스(10)의 내부를 환기시키도록 중앙부가 관통된 도넛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천장 패널(111)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금속, 원목 또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둘레면에는 둘레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의 결합부(111-1)가 형성된다.
결합부(111-1)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일례로 천장 패널(111)의 둘레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와 대응하여 살대(112)가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결합부(111-1)는 살대(112)의 일측부 내부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11-1)의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살대(112)의 일측부가 결합부(111-1)의 내부로 끼워져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결합부(111-1)(또는 살대(112))의 내측면에는 살대(112)(또는 결합부(111-1))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살대(112)(또는 결합부(111-1))를 탄성 가압하는 고무패드(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대(112)가 결합부(111-1)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에서, 결합부(111-1)의 내측면에 고무패드를 설치함으로써 살대(112)가 결합부(111-1)의 내부로 끼워진 후 상기 고무패드를 통해 탄성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부(111-1)와 살대(112) 간에 유격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살대(112)가 결합부(111-1)의 내부에서 상기 고무패드를 통해 탄성 지지됨에 따라 결합부(111-1)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부(111-1)는 천장 패널(111)의 둘레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결합부(111-1)에 결합되는 살대(112) 간의 간격이 일정함에 따라 살대(112)가 지면에 대해 균일하게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천장 패널(111)을 지지함으로써 돔 하우스(10)의 무게중심이 중앙부로 집중되어 비교적 강한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도 돔 하우스(10)가 쉽게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살대(112)는 도 2와 같이,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혹은 살대(112)는 내부가 꽉 찬 봉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살대(112)는 금속, 원목 또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살대(112)는 도 4와 같이, 일측부가 천장 패널(111)의 결합부(111-1)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지면에 지지되어 천장 패널(111)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시켜 지지한다. 그리고 살대(112)는 길이방향으로 중앙부가 일정 곡률을 가지고 구부러진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천장 패널(111)과 함께 전체적으로 돔 구조를 완성한다.
살대(112)는 타측부가 지면에 직접 지지되거나, 혹은 지면에 직접 매립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살대(112)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하여 바닥면이 평평한 받침부(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를 통해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는 다수의 살대(112)의 타단부가 결합되도록 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둘레면에는 천장 패널(111)의 결합부(111-1)와 같이, 다수의 살대(112)에 대응하여 살대(112)의 타측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지붕 커버(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11)의 외면을 덮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지붕 커버(12)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플라스틱, 천막 또는 비닐 등과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골조(11)를 완전히 덮거나, 혹은 살대(112)의 하부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지붕 커버(12)가 골조(11)를 완전히 덮도록 설치된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돔 하우스(1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지붕 커버(13)의 적어도 일측부에 개폐되는 출입문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천장 패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천장 패널(211)의 결합부(211-1)는 살대(112, 도 4참조)와 결합시 살대(112)와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천장 패널(211)로부터 일체로 돌출된 지지돌기(211-1a)와, 지지돌기(211-1a)로부터 일체로 돌출되고 살대(112)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기(211-1b)를 포함한다.
이때 살대(112)는 지지돌기(211-1a)와 동일한 크기, 즉 외경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끼움돌기(211-1b)가 살대(112)의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면 살대(112)와 지지돌기(211-1a) 간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아 골조(11)의 디자인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그 외면에 덮혀지는 지붕 커버(12)를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골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골조는 도 5의 천장 패널(211)과, 살대(212)와, 천장 패널(211)과 살대(21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관(14)을 포함한다.
천장 패널(211)의 결합부(211-1)는 천장 패널(211)로부터 일체로 돌출된 지지돌기(211-1a)와, 지지돌기(211-1a)로부터 일체로 돌출되고 지지돌기(211-1a)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는 끼움돌기(211-1b)를 포함하고, 살대(212)는 다른 부위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는 끼움돌기(212a)가 형성되고, 연결관(14)은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연결관(14)의 일측부 내측으로 결합부(211-1)의 끼움돌기(211-1b)가 끼워져 결합되고, 연결관(14)의 타측부 내측으로는 살대(212)의 끼움돌기(212a)가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살대(212)는 천장 패널(211)과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돔 구조의 골조를 완성할 수 있다.
돔 하우스(10) 시공시, 살대(212)는 동일한 길이로 제작된다. 이 때문에 돔 하우스(10)가 설치되는 지면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 돔 하우스(10)를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돔 하우스(10) 시공 전에 지면을 평평하게 고르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번거롭고, 지면이 콘크리트 바닥 또는 아스팔트인 경우 평평하게 고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돔 하우스 설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연결관(14)을 제작한다. 즉 돔 하우스(10) 시공 전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연결관(14)을 제작하여 지면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적절한 길이를 갖는 연결관(14)을 이용하여 살대(212)와 천장 패널(211)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높낮이가 다른 지면에서도 돔 하우스(10)를 안정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골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골조는 도 6과 같이, 천장 패널(211)과, 살대(212)와, 천장 패널(211)과 살대(21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관(141)을 포함한다.
연결관(141)은 도 6에 도시된 연결관(14)과 같이 일자형이 아니라, 일측부는 천장 패널(211)의 결합부(211-1)과 결합되고 타측부는 살대(212)와 결합되되, 연결관(141)의 일측부와 타측부를 연결하는 중앙부가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연결관은 동시에 2개의 살대(212)를 천장 패널(211)에 결합시키도록 'T'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T'자형 연결관은 일측부가 천장 패널(211)의 결합부(211-1)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2개의 결합부가 마련되어 이웃하게 배치되는 2개의 살대(212)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골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천장 패널과 살대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골조(31)는 천장 패널(311)과 살대(312)를 포함한다.
천장 패널(311)은 둘레면을 따라 상부와 측방향으로 개방된 다수의 결합홈(311-1a)이 형성된 하부 패널(311-1)과, 살대(312)의 일측부가 결합홈(311-1a)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패널(311-1)의 상부를 덮도록 체결된 상부 패널(311-2)을 포함한다.
하부 패널(311-1)에 형성된 결합홈(311-1a)은 하부 패널(311-1)의 둘레면을 따라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부 패널(311-2)은 하부 패널(311-1)에 접하는 하부면이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살대(312)의 일측부가 하부 패널(311-1)의 결합홈(311-1a)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패널(311-2)이 하부 패널(311-1)의 상부를 덮도록 체결됨에 따라 살대(312)를 안정적으로 천장 패널(3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부 패널(311-2)의 하부에는 하부 패널(311-1)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311-1a)과 대칭 구조로 다수의 결합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살대(312)의 두께를 하부 패널(311-1)의 결합홈(311-1a)의 깊이보다 크게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살대(312)가 하부 패널(311-1)의 결합홈(311-1a)의 내부에 완전히 매립되는 것이 아니라, 살대(312)가 하부 패널(311-1)의 결합홈(311-1a)에 끼워진 상태에서 살대(312)의 상부가 하부 패널(311-1)의 결합홈(311-1a)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살대(312)의 돌출된 부위가 상부 패널(311-2)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살대(312)의 상하부를 하부 패널(311-1)과 상부 패널(311-2)을 통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돔 하우스
11, 31 : 골조
111, 211, 311 : 천장 패널
112, 212, 312 : 살대
12 : 지붕 커버
13 : 환기팬
14, 141 : 연결관

Claims (5)

  1. 돔 구조로 이루어진 골조; 및
    상기 골조의 외면을 덮도록 설치된 지붕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골조는,
    상기 골조의 상부 중앙부에 배치되고,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둘레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부가 형성된 천장 패널; 및
    일측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측부가 지면에 지지되어 돔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살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하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천장 패널의 둘레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되,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 또는 내부가 꽉 찬 봉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살대는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 또는 내부가 꽉 찬 봉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하우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패널은,
    상기 다수의 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는 상부와 측방향으로 개방된 결합홈인 하부 패널; 및
    상기 살대의 일측부가 상기 하부 패널의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패널의 상부를 덮도록 체결된 상부 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하우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부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살대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살대를 상기 천장 패널에 연결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하우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살대의 일측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살대의 일측부를 탄성 가압하는 고무패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하우스.
KR2020150005035U 2015-07-27 2015-07-27 돔 하우스 KR2017000048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035U KR20170000482U (ko) 2015-07-27 2015-07-27 돔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035U KR20170000482U (ko) 2015-07-27 2015-07-27 돔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482U true KR20170000482U (ko) 2017-02-06

Family

ID=5840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035U KR20170000482U (ko) 2015-07-27 2015-07-27 돔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482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730A (ko) 2018-02-13 2019-08-21 김영조 돔 구조물용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그 프레임
KR102340292B1 (ko) 2021-07-06 2021-12-16 김명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2437778B1 (ko) 2021-11-16 2022-08-30 (주)녹색산업 게비온 옹벽블록
KR102465108B1 (ko) 2021-11-16 2022-11-10 (주)녹색산업 중력식 옹벽블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561U (ko) 2009-03-20 2010-09-29 김학성 조립식 돔 하우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561U (ko) 2009-03-20 2010-09-29 김학성 조립식 돔 하우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730A (ko) 2018-02-13 2019-08-21 김영조 돔 구조물용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그 프레임
KR102340292B1 (ko) 2021-07-06 2021-12-16 김명수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2437778B1 (ko) 2021-11-16 2022-08-30 (주)녹색산업 게비온 옹벽블록
KR102465108B1 (ko) 2021-11-16 2022-11-10 (주)녹색산업 중력식 옹벽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0482U (ko) 돔 하우스
US11225805B2 (en) Bracket for a framed pool assembly and a framed pool assembly
US20150315804A1 (en)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above ground pool
KR101631247B1 (ko) 목재 조립형 울타리 지주
KR20190001274U (ko) 애완동물용 울타리
KR101581939B1 (ko) 커튼 레일 커넥터
KR101533294B1 (ko) 조립식 파고라 기둥 구조체
US9901840B2 (en) Playhouse assembly
KR101967361B1 (ko) 차양 기둥의 보호커버
KR101464875B1 (ko) 그늘막 폴대
KR101806773B1 (ko) 반려동물용 펜스 어셈블리
KR101798576B1 (ko) 조립식 게르
KR200493368Y1 (ko)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KR20190075438A (ko) 조립식 원형지붕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KR101869535B1 (ko) 조립 및 유지보수가 간편한 차양 구조체
CN210152345U (zh) 兼作蹦床的复合型游泳池及内部连接结构
KR101717285B1 (ko) 칸막이용 받침대
CN203834835U (zh) 护栏连接件
CN213849952U (zh) 一种全新组装式窗帘头
JP3204477U (ja) 組み立て式テント
KR100885651B1 (ko) 조립형 펜스
KR200468553Y1 (ko) 축사용 조립식패널
US20060156659A1 (en) Retractable partition screen mounting post
KR200480601Y1 (ko) 복합 거주텔
KR200493748Y1 (ko) 캣타워용 조립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897;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89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822

Effective date: 2018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