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368Y1 -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 Google Patents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368Y1
KR200493368Y1 KR2020190000806U KR20190000806U KR200493368Y1 KR 200493368 Y1 KR200493368 Y1 KR 200493368Y1 KR 2020190000806 U KR2020190000806 U KR 2020190000806U KR 20190000806 U KR20190000806 U KR 20190000806U KR 200493368 Y1 KR200493368 Y1 KR 2004933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frame
indian
glamping
ventil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943U (ko
Inventor
김선희
Original Assignee
김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희 filed Critical 김선희
Priority to KR2020190000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6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9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04H15/16Ventilating of tent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4Tents or canopies, in general cone shaped, e.g. teepe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텐트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일어나게 하여 환기를 통해 텐트의 결로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텐트 내부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면서도 텐트의 조립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는 텐트의 외형을 이루도록 수직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하단부에 체결수단이 설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어 텐트의 외벽을 이루는 텐트 커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텐트의 지붕을 이루면서 상기 프레임과의 연결통로를 통해 텐트 내부가 환기되도록 하는 고깔형의 환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INDIAN TENT FOR GLAMPING}
본 고안은 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텐트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일어남으로써 내부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강한 바람이나 폭우시 텐트가 견고하게 버티도록 했으며, 텐트 설치나 해체시 텐트의 조립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글램핑 텐트(glamping tent)는 "glamorous camping tent"의 줄임말로서 프레임을 제공하고, 상기 프레임에 로프로 연결하여 천막으로 이루어진 텐트를 설치한 것을 말하며, 자연의 운치를 마음껏 누릴 수 있는 특징을 가져 현재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글램핑 텐트는 그 텐트 앞에 간이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텐트와 간이 공간을 천막으로 덮어 햇살, 비, 바람 등을 막아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되, 그 천막의 전방은 개방되어 출입이 편리하도록 구조된다.
또한, 상기 글램핑 텐트의 다른 형태로 글램핑 장에 인디안 텐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디안 텐트는 상부로 올라갈수록 폭이 좁아져 천정이 뾰족한 원추모양의 형상을 갖는 텐트이다.
그런데, 상기 인디안 텐트는 상기 글램핑 텐트와 달리 텐트 내부에서 불을 피우고 음식을 조리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텐트의 환기가 매우 중요하나, 종래의 인디안 텐트는 환기시설이 부족하여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주었다.
상기와 같이 텐트의 환기가 어려우면 결로현상이 심해지고, 이를 통해 누수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인디안 텐트는 그 높이가 글램핑 텐트에 비해 상당히 높기 때문에 텐트의 조립 및 설치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다수의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텐트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일어나게 하여 환기를 통해 텐트의 결로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텐트 내부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면서도 텐트의 조립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는 텐트의 외형을 이루도록 수직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하단부에 체결수단이 설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어 텐트의 외벽을 이루는 텐트 커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텐트의 지붕을 이루면서 상기 프레임과의 연결통로를 통해 텐트 내부가 환기되도록 하는 고깔형의 환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부재에 조립됨으로써 상기 환기부재의 하부에 복수개의 공기 순환 구멍이 형성되게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환기부재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조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체결수단의 체결위치 변경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전체 텐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이다.
상기 환기부재를 통해 텐트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순환하는 구조이다.
본 고안에 따른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에 따르면, 텐트의 지붕에 환풍수단을 설치하여 텐트 내부를 환기해 줌으로써 텐트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텐트의 결로 현상에 따른 누수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쾌적한 텐트 내부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텐트의 지붕 및 하부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텐트를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텐트 설치 시 편리성,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텐트의 상부에 고깔 구조물을 설치하여 텐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보다 외형적으로 화려하면서도 아름다운 텐트를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연결부재에 환기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용 인디안 텐트의 공기 순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고안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연결부재에 환기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1)는 프레임(10)과 텐트 커버(20) 및 환기부재(30)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지면에 바닥판(2)을 깔고 바닥판(2) 위에 상기 인디안 텐트(1)를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인디안 텐트(1)의 프레임(10)은 텐트의 외형을 이루도록 수직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하단부에 체결수단(11)이 설치된 구조로서, 상기 프레임(10)을 통해 인디안 텐트(1)의 뼈대를 이루게 되고,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바닥판(2) 상부에 경사진 각도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텐트 커버(20)는 상기 프레임(10)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어 텐트의 외벽을 이루는 구조로서, 상기 텐트 커버(20)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인디안 텐트(1)의 출입구를 이루게 된다.
상기 환기부재(3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텐트의 지붕을 이루면서 상기 프레임(10)과의 연결통로를 통해 텐트 내부가 환기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환기부재(30)는 고깔형을 이루는 철판 구조물로 구성되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부재(30)는 인디안 텐트(1)의 환풍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디안 텐트(1) 내부의 환기가 가능해 진다. 상기 인디안 텐트(1) 내부의 환기로 결로 현상 및 누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디안 텐트(1)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부재(30)에 조립됨으로써 환기부재(30)의 하부에 복수개의 공기 순환 구멍(13)이 형성되게 하는 연결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2)는 별도로 조립되는 와이어나 파이프의 교차를 통해 상기 공기 순환 구멍(13)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공기 순환 구멍(13)을 통해 인디안 텐트(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인디안 텐트(1) 외부의 공기가 인디안 텐트(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부재(30)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부재(12)와 연결되어 상기 환기부재(30)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조립부재(31)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조립부재(31)가 상기 연결부재(12)에 조립됨으로써 상기 환기부재(30)를 상기 프레임(10) 상부에 조립할 수 있다.
상기 환기부재(30)의 내측 하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조립홀(32)이 형성되어 상기 조립부재(31)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2)에도 복수개의 조립홀(14)이 형성되어 상기 조립부재(31)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립부재(31) 또한 철재의 와이어나 파이프로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립부재(31)가 인디안 텐트(1)의 지붕 상단에 돌출된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인디안 텐트(1)의 외적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디안 텐트(1)의 프레임(10)은 상기 체결수단(11)의 체결위치 변경을 통해 상기 프레임(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전체 텐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 프레임(10)은 하단부에 체결수단(11)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체결수단(11)을 바닥판(2)에 고정함으로써 프레임(10)을 바닥판(2)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11)을 고정위치에 따라 상기 프레임(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인디안 텐트(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경사각도가 수직에 대해 점점 커지면 상기 인디안 텐트(1)의 높이는 낮아지고, 상기 프레임(10)의 경사각도가 수직에 점점 가까워지면 상기 인디안 텐트(1)의 높이는 높아지는 구조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용 인디안 텐트의 공기 순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인디안 텐트(1)의 상기 환기부재(30)를 통해 텐트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순환하는 구조로서, 상기 인디안 텐트(1)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바닥판으로 내려온 후, 다시 공기가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인디안 텐트(1)의 환기부재(30)로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인디안 텐트(1)의 내부에서 공기가 용이하게 순환되기 때문에 텐트 내부의 결로 현상이나 누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인디안 텐트(1)의 일측이 절개되어 도어(21)를 형성함으로써 도어(21)를 통해 사용자가 텐트를 출입할 수 있다. 상기 인디안 텐트(1)의 도어(21)는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거나 닫힌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인디안 텐트(1)의 바닥판(2)은 텐트 내부를 이루는 부위에 난방설비를 내장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디안 텐트(1)의 지붕에 환풍수단을 설치하여 텐트 내부를 환기해 줌으로써 텐트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텐트의 결로 현상에 따른 누수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쾌적한 텐트 내부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디안 텐트(1)의 지붕 및 하부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텐트를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텐트 설치나 해체 시 편리성,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디안 텐트(1)의 상부에 고깔 구조물을 설치하여 텐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보다 외형적으로 아름다운 텐트를 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인디안 텐트 2: 바닥판
10: 프레임 11: 체결수단
12: 연결부재 13: 공기 순환 구멍
14: 조립홀 20: 텐트 커버
21: 도어 30: 환기부재
31: 조립부재 32: 조립홀

Claims (5)

  1. 텐트의 외형을 이루도록 수직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하단부에 체결수단이 설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어 텐트의 외벽을 이루는 텐트 커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텐트의 지붕을 이루면서 상기 프레임과의 연결통로를 통해 텐트 내부가 환기되도록 고깔형의 철판 구조물로 구성된 환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부재에 조립됨으로써 상기 환기부재의 하부에 복수개의 공기 순환 구멍이 형성되게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순환 구멍은 별도로 조립되는 와이어나 파이프의 교차를 통해 형성되고,
    상기 환기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환기부재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조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환기부재의 내측 하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조립홀이 형성되어 상기 조립부재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도 복수개의 조립홀이 형성되어 상기 조립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체결수단의 체결위치 변경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전체 텐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의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재를 통해 텐트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순환하는 구조의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KR2020190000806U 2019-02-26 2019-02-26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KR2004933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806U KR200493368Y1 (ko) 2019-02-26 2019-02-26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806U KR200493368Y1 (ko) 2019-02-26 2019-02-26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943U KR20200001943U (ko) 2020-09-03
KR200493368Y1 true KR200493368Y1 (ko) 2021-03-22

Family

ID=7245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806U KR200493368Y1 (ko) 2019-02-26 2019-02-26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6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70227B (zh) * 2022-08-26 2023-12-08 金华市戈壁鹰户外用品有限公司 高透防窥帐篷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103B1 (ko) * 2012-06-05 2014-10-31 유재춘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KR101577968B1 (ko) * 2014-06-19 2015-12-16 강영호 환기구조를 구비한 인디언 텐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3949A (en) * 1975-01-03 1976-05-04 Sheeran John H O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103B1 (ko) * 2012-06-05 2014-10-31 유재춘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KR101577968B1 (ko) * 2014-06-19 2015-12-16 강영호 환기구조를 구비한 인디언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943U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4999B2 (en) Roof vent
KR101911027B1 (ko) 다단 통풍구조 프레임을 갖는 비닐하우스
US10760297B2 (en) Tent
EP2469166A1 (en) Combined system for flue gas removal, air supply and ventilation air removal
KR200493368Y1 (ko)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US7128077B2 (en) Tent ventilation structure
US6378227B1 (en) Dryer vent exhaust adapter device
KR101101348B1 (ko) 천막 조립체.
KR101141721B1 (ko) 배기를 선택하는 벽면 배기팬
KR101922620B1 (ko) 조립식 티피 텐트
KR101020858B1 (ko) 자연 환기구용 외부 캡
US20200284436A1 (en) Low Profile Termination Cap for Direct Vent Appliance
KR200471258Y1 (ko)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JP2008081968A (ja) 片流れ屋根の換気構造
TWI571604B (zh) 氣流交換裝置及其阻隔件
US11231191B2 (en) Automatic foundation vent plug with manual override
KR200439059Y1 (ko) 갤러리 창호
KR101457103B1 (ko)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CN215260299U (zh) 一种全地下隐藏式通风风亭装置
KR102592130B1 (ko) 역풍방지 후드캡
FI20185633A1 (fi) Ilmanvaihtoventtiili ja asennussarja
CN205088997U (zh) 节能型一体化基站
KR200406120Y1 (ko) 디퓨저
KR200460208Y1 (ko) 에어컨 연결구
KR200398707Y1 (ko) 배전반의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