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103B1 -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103B1
KR101457103B1 KR1020120060555A KR20120060555A KR101457103B1 KR 101457103 B1 KR101457103 B1 KR 101457103B1 KR 1020120060555 A KR1020120060555 A KR 1020120060555A KR 20120060555 A KR20120060555 A KR 20120060555A KR 101457103 B1 KR101457103 B1 KR 101457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center
fixing member
hole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841A (ko
Inventor
유재춘
Original Assignee
유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춘 filed Critical 유재춘
Priority to KR1020120060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10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중심지주가 지지되는 천막 중앙에는 천막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이 구비되는 환기용 송풍기가 고정되고, 상기 환기용 송풍기는 침부지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심지주의 상단의 침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막의 중심부에 환기용 송풍기가 일체로 고정되어 천막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도 천막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중심 지주를 환기용 송풍기에 형성되는 침부지지공에 단순 구조의 중심지주를 지지할 수 있어 천막의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하다. 특히 본 발명은 중심지주의 구조 변경이 없이 기존의 단순형태의 지주를 그대로 채용하면서도 하나의 중심 지주로 환기용 송풍팬과 천막의 중심부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고, 환기용 송풍기를 채용하기 위한 천막의 구조 변경에 소요되는 추가 비용 역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fan fixing structure for ventilation of tent }
본 발명은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천막의 중심부에 천막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순환시키도록 환기용 송풍팬을 설치하면서도 하나의 중심 지주로 환기용 송풍팬과 천막의 중심부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고, 천막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주의 구조 변경이 없어 종래의 간단한 지주 구조를 그대로 채용할 수 있어 천막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막(일명 '몽골 텐트'라 한다.)은 야외에 설치하여 햇빛이나 비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수의 지주를 설치하고 그 지주의 단부에 천막을 고정함으로써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해체 역시 간단하다.
이와 같은 천막은 통상 지붕 하부에 일정한 천장 하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로 인해 천막 내 천장 공간에서는 공기가 순환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천막 내부에서 조리를 하는 경우 천장 하부 공간에 머무르게 되어 환기가 되지 않아 천막에 머무르는 경우 불쾌감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텐트의 일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193970호가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조립식 방갈로 텐트에 관한 것으로, 조립식 방갈로 텐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지주와 하부지주는 연결편에 의해 연결조립되고 상부지주는 연결관에 의해서 결속관체에 방사상으로 연결 조립되며, 상부지주의 내측 고리에는 와이어로프를 환설 고정하고 결속관체에 상측에는 반원형 투명판을 핀축에 의해 축설하여 일측 투명판이 연결끈에 의해서 회전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환기와 차광 및 야간별자리 관찰이 가능하게 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는 상부지주와 하부지주는 연결편에 의해 연결조립되는 구조를 채택해야 하므로 지주간 연결구조가 매우 복잡해 텐트의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또는 텐트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반원형 투명판을 연결끈에 의해서 회전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 역시 불편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막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천막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순환시키도록 환기용 송풍팬을 설치하면서도 천막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중심 지주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막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주의 구조 변경이 없어 종래의 간단한 지주 구조를 그대로 채용할 수 있어 천막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를 제공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심지주가 지지되는 천막 중앙에는 천막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이 구비되는 환기용 송풍기가 고정되고, 상기 환기용 송풍기는 침부지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심지주의 상단의 침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환기용 송풍기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제1공기순환공이 형성되어 상기 천막 중앙 관통부 테두리 하부면이 밀착되는 제1천막고정부재와,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제2공기순환공이 형성되어 상기 천막의 중앙 관통부 테두리 상부면이 밀착되며 중심부에 중심지주의 침부가 끼워지는 침부지지공이 형성되는 제2천막고정부재와,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공기순환공을 통해 천막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작동하는 송풍팬이 고정되는 송풍팬 고정부재와, 상기 송풍팬 고정부재의 상측에 일체로 고정되어 빗물이 천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커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는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제2벽부가 형성되고 제3체결공이 형성되어 제2체결수단이 관통되며,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의 내부에는 제2공기순환공의 중심부에 중심지주의 침부가 끼워지는 침부지지공을 갖는 지지대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공기순환공의 중심부에 중심지주의 침부가 끼워지는 침부지지공은 3개의 지지대의 후단부를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의 제2벽부에 120°간격으로 고정하고 전단부를 인접한 지지대의 전반부 일측에 일체로 결합하여 삼각형상의 침부지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송풍팬 고정부재는 중앙에 상기 송풍팬이 고정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으로 상기 복수의 간격유지용 다리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간격유지용 다리의 일측은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팬 고정부재에는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를 감싸며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측면으로 수평돌출되어 솔라셀이 고정되는 솔라셀 고정돌부로 구성되는 솔라셀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림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이 가능해 솔라셀의 수평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솔라셀의 후면에는 솔라셀이 솔라셀 고정돌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솔라셀 고정돌부가 관통되는 힌지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심지주는 하단부에는 십자로 교차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곽지주들은 수평지주들과 연결구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구에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로프가 고정되며, 상기 로프가 상기 중심지주의 지지홈에 끼워져 상기 중심지주의 하단을 받쳐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심지주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단의 끼움공에는 십자로 교차되도록 지지홈이 형성되는 받침구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막의 중심부에 환기용 송풍기가 일체로 고정되어 천막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도 천막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중심 지주를 환기용 송풍기에 형성되는 침부지지공에 단순 구조의 중심지주를 지지할 수 있어 천막의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하다.
특히 본 발명은 중심지주의 구조 변경이 없이 기존의 단순형태의 지주를 그대로 채용하면서도 하나의 중심 지주로 환기용 송풍팬과 천막의 중심부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고, 환기용 송풍기를 채용하기 위한 천막의 구조 변경에 소요되는 추가 비용 역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송풍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설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송풍팬이 설치되는 천막(1)은 다수의 지주들(10, 2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상기 지주들(10, 20)은 하나의 중심지주(10)와 그 중심지주(10)를 중심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어 천막의 외곽을 지지하는 복수의 외곽지주들(2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중심지주(10)는 상단에 동일한 형상의 침부(12)가 구비되어 천막(1)을 지지하게 된다.
물론, 외곽지주들(20)의 단부에는 중심지주(10)의 침부(12)와 등일한 형상으로 제작함도 가능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지주들(20)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지주(22)와 연결구(21)로 연결함으로써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주들(10, 20, 22)은 목재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곽지주들(20)의 하단에는 지지부(25)가 형성되어 지면지지구(26)를 이용해 지면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막(1)은 중앙에 환기용 송풍팬(110)이 구비되며 중앙 하단에 중심지주(10)의 침부(12)가 끼워지는 침부지지공(102)이 형성되는 환기용 송풍기(100)가 일체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천막(1)은 외곽지주들(20)의 상단에 침부(미도시됨)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침부가 끼워지는 지지구(미도시됨)를 일체로 구비하여, 지지구에 외곽지주들(20)의 침부가 천막에 직접 끼워지는 경우 천막(1)이 찢어지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구는 통상적으로 금속재 링들 사이에 천막(1)을 삽입하고 결합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천막(1)에 고정되는 것으로 공지(公知)의 구성에 해당되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중심지주(10) 상단의 침부(12)는 천막(1)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천막(1) 중앙에는 환기용 송풍기(100)가 설치되며 상기 환기용 송풍기(100)에 중심지주(10) 상단의 침부(12)가 지지된다.
이와 같은 환기용 송풍기(100)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제1공기순환공(112)이 형성되어 상기 천막(1)의 중앙 관통부 테두리 하부면이 밀착되는 제1천막고정부재(110)와,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제2공기순환공(122)이 형성되어 상기 천막(1)의 중앙 관통부 테두리 상부면이 밀착되며 중심부에 중심지주(10)의 침부(12)가 끼워지는 침부지지공(102)이 형성되는 제2천막고정부재(120)와,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1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공기순환공(112,122)을 통해 천막(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작동하는 송풍팬(130)이 고정되는 송풍팬 고정부재(140)와, 상기 송풍팬 고정부재(140)의 상측에 일체로 고정되어 빗물이 천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커버체(15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천막고정부재(110)는 천막(1) 내부의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제1공기순환공(112)이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제1체결공(111)이 형성되어 제1체결수단(113)이 관통된다.
이와 같은 제1천막고정부재(110)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제1벽부(114)가 형성되는데, 이는 제1천막고정부재(110)의 상측에 포개지도록 위치하는 제2천막고정부재(120)가 안정적으로 제1천막고정부재(110) 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120)는 제1천막고정부재(110)에 안착되며 천막(1) 내부의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천막고정부재(110)의 제1공기순환공(112)과 연통되는 제2공기순환공(122)이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제2체결공(12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제1천막고정부재(110)와 제2천막고정부재(120) 사이에 상기 천막(1)의 중앙 관통부 테두리 상부면 및 하부면을 밀착시키고 제1 및 제2체결공(111,121)에 체결수단(113)을 관통시켜 체결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체결수단(113)은 볼트(113a)와 너트(113b)를 이용하며, 필요에 따라 리벳 등을 이용함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120)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제2벽부(124)가 형성되는데, 이는 송풍팬 고정부재(140)를 일체로 결합하기 위해 제3체결공(125)이 형성되어 제2체결수단(126)이 관통된다.
한편,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120)의 내부에는 제2공기순환공(122)의 중심부에 중심지주(10)의 침부(12)가 끼워지는 침부지지공(102)을 갖는 지지대(123)로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120)의 내부에는 제2공기순환공(122)의 중심부에 중심지주(10)의 침부(12)가 끼워지는 침부지지공(102)은 3개의 지지대(123)의 후단부를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120)의 제2벽부(124)에 120°간격으로 고정하고 전단부를 인접한 지지대의 전반부 일측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일체로 결합하는 구조에 의해 형성되므로 침부지지공(102)의 단면은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송풍팬 고정부재(140)는 중앙에 송풍팬(130)이 고정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으로 복수의 간격유지용 다리(142)가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130)은 천막(1) 내외부의 공기 흐름에 의해 자연적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나, 천막(1) 내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모터(132) 구동에 의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모터(132)는 상기 송풍팬 고정부재(140)에 고정되며, 모터(132)의 회전축에 송풍팬(130)이 고정되는 구조를 채택한다.
상기 간격유지용 다리(142)의 상단부는 상기 송풍팬 고정부재(140)에 일체로 고정되고, 간격유지용 다리(142)의 일측에는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120)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용 다리(142)의 일측에는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120)의 제2벽부(124)에 형성되는 제3체결공(125)에 대응되는 제4체결공(142a)이 형성되어 제2체결수단(126)에 의해 상기 간격유지용 다리(142)가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120)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간격유지용 다리(142)의 상단에는 제3체결수단(145)인 나사를 이용해 송풍팬 고정부재(14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5체결공(143a)이 형성되는 플랜지부(143)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간격유지용 다리(142)의 상단부는 상기 송풍팬 고정부재(140)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채택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간격유지용 다리(142)에 의해 제2천막고정부재(120)와 송풍팬 고정부재(140) 사이에는 천막(1) 내외부의 공기 흐름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송풍팬(130)이 회전시에 천막(1) 내 공기가 외부로 강제 배출시 안내된다.
한편, 상기 송풍팬 고정부재(140)의 상측에는 송풍팬(130) 및 모터(132)를 보호하고 빗물이 천막(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커버체(150)가 일체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커버체(150)는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제6체결공(151)이 형성되어, 상기 간격유지용 다리(142)의 플랜지부(143)의 제5체결공(143a) 및 송풍팬 고정부재(140)의 표면을 관통한 제3체결수단(145)의 단부가 제6체결공(151)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환기용 송풍기(100)는 천막의 중앙에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로 인해 천막(1)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지주(10, 20, 22)를 설치하고 그 중앙의 중심지주(10)의 침부(12)를 제2천막고정부재(120)의 중앙에 형성되는 침부지지공(102)에 끼워주고, 나머지 외곽지주들(20)의 침부(22)는 천막(1)의 나머지 지지구(1a)에 끼워 줌으로서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심지주(10)는 하단부에 십자로 교차되는 지지홈(13a)이 형성되고, 상기 외곽지주들(20) 및 수평지주들(22)을 연결하는 연결구(21)에는 고정공(21a)이 형성되어 로프(30)가 고정되며, 상기 로프(30)가 중심지주(10)의 하단을 받쳐주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중심지주(10)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단의 끼움공(12a)에는 십자로 교차되는 지지홈(13a)이 형성되는 받침구(13)가 끼워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로프(30)가 중심지주(10)의 하단을 받쳐주어 중심지주(10)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천막(1) 내부에서 사람이 활동하는데 중심지주(10)가 제한을 가하지 않게 되어 천막 내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팬(130)의 인위적 구동을 위한 전원은 가정용 전원(미도시됨)의 공급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정용 전원의 공급이 용이하지 않은 곳에 천막(1)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송풍팬(130)의 강제 구동이 가능토록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라셀(solar cell)모듈(170)이 구비되어 솔라셀모듈(170)을 통해 획득하는 전력은 배터리(171)에 충전되어 모터(132)의 구동 전력으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솔라셀 모듈(170)은 제2천막고정부재(120)의 제2벽부(124)를 감싸며 고정되는 고정부재(172)와, 상기 고정부재(172)의 측면으로 수평돌출되어 솔라셀(173)이 고정되는 솔라셀 고정돌부(174)로 구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재(172)는 림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이 가능해 솔라셀(173)의 수평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솔라셀(173)의 후면에는 솔라셀 고정돌부(174)가 관통되는 힌지공(174a)이 구비되어 솔라셀(173)이 솔라셀 고정돌부(174)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해 태양의 고도에 따른 수직방향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솔라셀모듈(170)을 필요에 따라 환기용 송풍기(100)에 설치하여 필요 전원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천막 10: 중심지주
20: 외곽지주 22: 수평지주
30: 로프 100: 환기용 송풍기
102: 침부지지공 110: 제1천막고정부재
120: 제2천막고정부재 130: 송풍팬
132: 모터 140: 송풍팬 고정부재
150: 커버체 170: 솔라셀 모듈

Claims (10)

  1. 중심지주(10)가 지지되는 천막(1) 중앙에는 천막(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130)이 구비되는 환기용 송풍기(100)가 고정되고, 상기 환기용 송풍기(100)에는 침부지지공(102)이 형성되어 상기 중심지주(10)의 상단이 끼워지는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환기용 송풍기(100)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제1공기순환공(112)이 형성되어 상기 천막(1)의 중앙 관통부 테두리 하부면이 밀착되는 제1천막고정부재(110)와,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제2공기순환공(122)이 형성되어 상기 천막(1)의 중앙 관통부 테두리 상부면이 밀착되며 중심부에 중심지주(10)의 침부(12)가 끼워지는 침부지지공(102)이 형성되는 제2천막고정부재(120)와,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1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공기순환공(112,122)을 통해 천막(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작동하는 송풍팬(130)이 고정되는 송풍팬 고정부재(140)와, 상기 송풍팬 고정부재(140)의 상측에 일체로 고정되어 빗물이 천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커버체(150)로 구성되며;
    상기 송풍팬 고정부재(140)에는 상기 송풍팬(130)을 회전시키는 모터(132)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120)는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제2벽부(124)가 형성되고 제3체결공(125)이 형성되어 제2체결수단(126)이 관통되며,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120)의 내부에는 제2공기순환공(122)의 중심부에 중심지주(10)의 침부(12)가 끼워지는 침부지지공(102)을 갖는 지지대(123)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순환공(122)의 중심부에 중심지주(10)의 침부(12)가 끼워지는 침부지지공(102)은 3개의 지지대(123)의 후단부를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120)의 제2벽부(124)에 120°간격으로 고정하고 전단부를 인접한 지지대(123)의 전반부 일측에 일체로 결합하여 삼각형상의 침부지지공(1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 고정부재(140)는 중앙에 상기 송풍팬(130)이 고정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으로 복수의 간격유지용 다리(142)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간격유지용 다리(142)의 일측은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120)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천막고정부재(120)의 제2벽부(124)를 감싸며 고정되는 고정부재(172)와, 상기 고정부재(172)의 측면으로 수평돌출되어 솔라셀(173)이 고정되는 솔라셀 고정돌부(174)로 구성되는 솔라셀모듈(17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72)는 림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이 가능해 솔라셀(173)의 수평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솔라셀(173)의 후면에는 솔라셀(173)이 솔라셀 고정돌부(174)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솔라셀 고정돌부(174)가 관통되는 힌지공(174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지주(10)는 하단부에는 십자로 교차되는 지지홈(13a)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지주(10)를 중심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천막(1)의 외곽을 지지하는 복수의 외곽지주들(20)이 배치되며,
    상기 외곽지주들(20)은 수평지주들(22)과 연결구(21)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구(21)에는 고정공(21a)이 형성되어 로프(30)가 고정되며, 상기 로프(30)가 상기 중심지주(10)의 지지홈(13a)에 끼워져 상기 중심지주(10)의 하단을 받쳐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지주(10)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단의 끼움공(12a)에는 십자로 교차되도록 지지홈(13a)이 형성되는 받침구(13)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60555A 2012-06-05 2012-06-05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KR101457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555A KR101457103B1 (ko) 2012-06-05 2012-06-05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555A KR101457103B1 (ko) 2012-06-05 2012-06-05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841A KR20130136841A (ko) 2013-12-13
KR101457103B1 true KR101457103B1 (ko) 2014-10-31

Family

ID=4998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555A KR101457103B1 (ko) 2012-06-05 2012-06-05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943U (ko) * 2019-02-26 2020-09-03 김선희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402B1 (ko) * 2023-03-16 2023-11-09 주식회사 선도기술 지하 구조물의 환기장치
KR102600403B1 (ko) * 2023-03-16 2023-11-09 주식회사 선도기술 지하 구조물의 환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6901U (ko) * 1989-12-25 1991-09-03
JPH08284255A (ja) * 1995-04-16 1996-10-29 Koushirou Noguchi 組立式家屋
KR200352979Y1 (ko) * 2004-03-25 2004-06-09 송근성 천막용 배기장치
JP2008308942A (ja) 2007-06-18 2008-12-25 Kazuaki Fukushima 簡易テン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6901U (ko) * 1989-12-25 1991-09-03
JPH08284255A (ja) * 1995-04-16 1996-10-29 Koushirou Noguchi 組立式家屋
KR200352979Y1 (ko) * 2004-03-25 2004-06-09 송근성 천막용 배기장치
JP2008308942A (ja) 2007-06-18 2008-12-25 Kazuaki Fukushima 簡易テン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943U (ko) * 2019-02-26 2020-09-03 김선희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KR200493368Y1 (ko) * 2019-02-26 2021-03-22 김선희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841A (ko) 201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7129U (ja) モジュール化可能なソーラエネルギ施設の温室棚
KR101457103B1 (ko) 천막의 환기용 송풍팬 체결구조
KR101270564B1 (ko) 조립식 정자
US10760297B2 (en) Tent
KR200448602Y1 (ko) 온실용 중앙개폐식 지붕구조물
KR102431997B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그늘막 구조체
EP2489811B1 (en) Screen construction with improved cable passage
KR101533773B1 (ko) 빔 고정형 태양광 어레이의 조립식 지붕 고정 구조물
US20070245639A1 (en) Circular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200386284Y1 (ko)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
KR101039644B1 (ko) 조립식 돔 하우스
CN207501453U (zh) 底板组件、水箱及热水器
KR200493368Y1 (ko)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KR20170000167A (ko) 조립식 천막
KR101482716B1 (ko) 몽골식 천막
KR20220105352A (ko) 조립식 돔 하우스 및 이의 천정 구조
JP2014163167A (ja) 杭柱及びその施工方法
US20190338984A1 (en) Dry open window (dow) apparatus
CN207838126U (zh) 室外健身器
KR101425169B1 (ko) 시설재배하우스의 환기장치
KR102044215B1 (ko) 태양열 집열기를 적용한 야외 테라스용 천장부재
KR102077549B1 (ko) 농사용 태양광 발전장치
JP2010222955A (ja) 屋根体及び簡易建物
CN220085634U (zh) 一种多功能旗帜
NZ735861A (en) Wind pow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