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284Y1 -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 - Google Patents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284Y1
KR200386284Y1 KR20-2005-0006749U KR20050006749U KR200386284Y1 KR 200386284 Y1 KR200386284 Y1 KR 200386284Y1 KR 20050006749 U KR20050006749 U KR 20050006749U KR 200386284 Y1 KR200386284 Y1 KR 200386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fixed
awning
t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문광모
Original Assignee
김형준
문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준, 문광모 filed Critical 김형준
Priority to KR20-2005-0006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2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2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4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suspended type, e.g. from trees or from cantilever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22Stre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2015/326Frame members connected by elastic c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단지 또는 공원이나 야외 행사장 등에 설치되는 대형 천막조형물에 대한 것으로, 특히 상향 경사상으로 입설된 복수개의 방사상 지지기둥의 내측에 별도의 차양막을 지면으로부터 이격 설치하되, 그 차양막의 중앙에는 링상의 고정관에 의해 관통 취부되게 하고, 상기 고정관은 상기 지지기둥의 선단으로부터 와이에 의해 인장 고정되게 하며, 차양막의 하단 가장자리는 장력조절구로부터 그 지지기둥에 의해 고정되게 함으로서,
하늘을 향해 전개되는 형태의 지지기둥과 그 내측에 고정된 유선형의 차양막에 의해 역동적이면서도 부드러운 입체감을 갖는 조형물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며, 그 대형 차양막에 의해 충분한 면적의 그늘막을 제공하므로 각종 야외활동이나 공연, 행사, 휴식 등을 취할 수 있게 하며, 천막의 장력조절구에 의해 그 차양막의 장력을 지속적으로 부여할 수 있어 항상 긴장된 상태로 그 차양막이 설치되어 있게 한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 {Large tent structure with tension regulating system of awning}
본 고안은 아파트 단지 또는 공원이나 야외 행사장 등에 설치되는 대형 천막조형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입설되는 지지기둥의 내측에 대형의 차양막을 설치하되, 그 차양막은 그 중심부가 상향으로 완만한 곡선을 갖도록 와이어에 의해 입체적으로 설치하고, 그 차양막의 테두리는 상기 지지기둥으로부터 턴버클에 의한 장력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형 천막을 이용한 입체적인 조형물이 설치되게 하면서도 그 천막조형물의 아래에서 다양한 야외활동을 할 수 있도록 그늘을 제공하는 것이며, 차양막이 느슨해지는 경우 용이하게 그 차양막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어 그 관리가 손쉬운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천막은 실외에서의 각종 행사 및 작업을 하는 경우 직사광선을 피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비교적 크기가 작은 이동형 천막과 그 크기가 매우 큰 대형 천막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이동형 천막의 경우 내측 수용공간이 좁아 행사장이나 작업장 등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아니하고 소규모 가족단위의 인원이 캠핑이나 낚시 등을 즐길때 사용하는 것이고,
대형 천막의 경우에는 지면에 직접 고정되고 견고한 프레임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보다 대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내부의 수용공간이 비약적으로 증대되어 각종 행사를 진행하거나 각종 작업 등을 그 내부에서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대형 천막은 통상적으로 수직 입설되는 지지기둥의 하단을 지면에 매설된 앵커볼트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상기한 지지기둥의 선단에는 다수의 지지대를 방사상으로 하향 결합하여 방사상의 지지대 상측에 비닐 또는 합성수지재의 차양막을 고정하여 완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대형 천막에 있어, 이러한 대형 천막은 대부분 차광이나 비 또는 눈 등을 피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기둥 상측에 지붕형의 천막을 덮어 씌우는 형태로 제작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않아 통상적으로 간이 작업장이나 대형 행사장에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등 그 사용범위가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아파트의 단지 내부나, 공원, 놀이터, 야외 행사장 등에는 그 입주자 및 방문객, 내방객들이 휴식을 취하거나 각종 야외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벤취나 그늘막 등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그늘막을 갖는 벤취 등을 조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과다한 경비가 지출될 뿐만 아니라, 개방형으로 제작하는데에는 많은 기술적, 경제적 어려움이 있어 정자와 같이 소규모의 개방형 그늘막을 형성하는데 그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일부에서는 파라솔과 같이 저렴하면서도 설치가 쉬운 그늘막을 다수 설치하여 야외공간을 조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파라솔의 경우에는 제한된 인원이 제한된 공간내에서만 활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종래에 사용되어오던 대형의 천막을 사용하게 되면 충분한 그늘막을 조성할 수 있으나 이러한 대형 천막은 디자인이 매우 단조롭고 주변 경관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그 설치를 꺼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근자에 들어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뛰어난 조형감을 갖는 대형 천막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상향 경사상으로 입설된 복수개의 방사상 지지기둥의 내측에 별도의 차양막을 지면으로부터 이격 설치하되, 그 차양막의 중앙에는 링상의 고정관에 의해 관통 취부되게 하고, 상기 고정관은 상기 지지기둥의 선단으로부터 와이에 의해 인장 고정되게 하며, 차양막의 하단 가장자리는 장력조절구로부터 그 지지기둥에 의해 고정되게 함으로서,
하늘을 향해 전개되는 형태의 지지기둥과 그 내측에 고정된 유선형의 차양막에 의해 역동적이면서도 부드러운 입체감을 갖는 조형물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며, 그 대형 차양막에 의해 충분한 면적의 그늘막을 제공하므로 각종 야외활동이나 공연, 행사, 휴식 등을 취할 수 있게 하며, 천막의 장력조절구에 의해 그 차양막의 장력을 지속적으로 부여할 수 있어 항상 긴장된 상태로 그 차양막이 설치되어 있게 한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천막조형물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천막조형물의 전체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천막조형물의 평면전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천막조형물의 저면전체도이다.
지면으로부터 상향 전개된 방사상의 지지기둥(1)(1')이 복수개 입설되고, 그 지지기둥(1)(1')의 하측에는 각각의 지지기둥(1)(1')을 서로 연결하는 횡상의 크로스바(2)(2')가 결합되며, 상기한 지지기둥(1)(1')의 내측에는 중앙에 링상의 고정관(3)에 의한 채광호울(4)이 형성된 차양막(5)을 결합하되,
상기한 차양막(5)의 가장자리는 별도의 장력조절수단(10)에 의해 상기 지지기둥(1)(1')의 내측에 각각 고정되게 하고, 상기한 고정관(3)은 별도의 인장와이어(6)(6')에 의해 지지기둥(1)(1')의 선단에 인장 고정되어 그 차양막(5)의 중앙이 유선형으로 융출되도록 하며, 상기 차양막(5)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관(3)과 지지기둥(1)(1')을 연결하는 별도의 지지와이어(7)(7')가 탄력적으로 위치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지지기둥(1)(1')과 차양막(5)을 연결하는 장력조절수단(10)은,
차양막(5)의 가장자리를 따라 봉입된 장력와이어(11)(11')의 단부에 형성된 외측턴버클(12)(12')과 그 차양막(5)의 단부에 상,하 밀착된 고정판(13)(13')으로부터 인출된 내측턴버클(14)(14')의 단부가 함께 고정된 힌지판(15)이, 상기 지지기둥(1)(1')으로부터 돌출된 연결편(16)에 핀(17)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한 각각의 턴버클을 회전시켜 이에 의해 그 차양막(5)의 장력이 조절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천막조형물은 그 선단이 외측으로 점차 벌이지는 형상을 갖는 경사상 지지기둥(1)(1')을 지면으로부터 상향 입설하되, 상기한 지지기둥(1)(1')을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하여 이에 의한 천막조형물의 기둥이 완성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각각의 지지기둥(1)(1')은 별도의 크로스바(2)(2')에 의해 지지 고정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한 크로스바(2)(2')는 지지기둥(1)(1')의 하부로부터 일정간격 상승되어 서로 이웃하는 지지기둥(1)(1')이 연결 고정되게 그 양단이 지지기둥(1)(1')의 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지지기둥(1)(1')과 크로스바(2)(2')의 견고한 고정력에 의해 그 지지기둥(1)(1')은 형태의 변화없이 견고한 설치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지기둥(1)(1')의 내측에는 차양막(4)이 설치되는데, 그 차양막(4)의 중앙부에는 링상의 고정관(3)이 형성되어 있고, 그 고정관(3)에 의해 차양막(5)의 중앙에는 일정크기의 채광호울(4)이 형성되어, 비교적 대형의 차양막 내부 및 하부가 너무 어둡지 않도록 상기한 채광호울(4)에 의해 외부의 빛이 그 내부로 들어오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되는 차양막(5)은, 상기한 고정관(3)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그 중앙부가 상향 융출되도록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한 고정관(3)의 측단과 각 지지기둥(1)(1')의 선단을 연결하고 있는 별도의 인장와이어(6)(6')를 팽팽하게 잡아당겨 고정하게 되면,
상기 인장와이어(6)(6')의 인장력에 의해 그 고정관(3)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며 그 차양막(5)의 중앙이 상측으로 융출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이러한 차양맛(5)의 형태는 그 천막 내부 공간을 보다 넓게 하면서도 외관상 입체적이고 역동적인 디자인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고정관(3)과 지지기둥(1)(1')의 하측에 연결되는 별도의 지지와이어(7)(7')는 차양막(5)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위치하는데, 상기한 인장와이어(6)(6')의 장력에 따라 그 고정관(3)이 상승하면 이를 연결하고 있는 차양막(5) 및 그 하부면에 위치한 지지와이어(7)(7')가 상향으로 유선형의 곡선을 이루며 융출되므로, 그 지지와이어(7)(7')에 의한 차앙막(5)의 거치력이 부여되어,
대형의 차양막(5)이 자체의 중량이나 하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차양막(5)의 가장자리는 별도의 장력조절수단(10)에 의해 그 지지기둥(1)(1')의 측단에 고정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한 장력조절수단(10)은,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차양막(5)의 테두리에 봉입된 장력와이어(11)(11')의 양단에 체결된 외측턴버클(12)(12')과, 장력와이어(11)(11')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차양막(5)의 상,하부면에 취부 고정되어진 고정판(13)(13')으로부터 인출되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측턴버클(14)(14')에 의해 상기 차양막(5)의 장력이 조절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외측턴버클(12)(12')과 내측턴버클(14)(14')의 각 단부는 별도의 힌지판(15)에 모두 고정되어 있고, 그 힌지판(16)은 지지기둥(1)(1')으로부터 돌출된 연결편(16)에 힌지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별도의 핀(17)을 축점으로 그 힌지판(15)이 회전 유동할 수 있는 체결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차양막(5)의 설치시 각각의 턴버클을 느슨하게 조정한 상태에서 고정관(3)의 융출 높이에 따라 이와 대응하며 그 차양막(5) 및 힌지판(15)이 함께 경사상으로 각도 조절된 상태에서, 차양막(5)의 설치가 종료되면 상기한 각각의 턴버클을 조여 그 차양막(5)의 전표면에 고른 장력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외측턴버클(12)(12')은, 차양막(5)의 테두리에 봉입된 장력와이어(11)(11')의 단부가 각각 노출되면, 그 노출단부에 외측턴버클(12)(12')을 클램핑하여 연결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한 외측턴버클(12)(12')을 회전시키면 상기한 장력와이어(11)(11')가 인장되면서 차양막(5)의 가장자리를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역할을 하게 되어 그 차양막(5)의 가장자리가 늘어지거나 처짐없이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내측턴버클(14)(14')은 상기 차양막(5)의 단부 일부분을 상,하 방향에서 취부 고정한 고정판(13)(13')으로부터 일측으로 인출 형성된 것으로서, 그 내측턴버클(14)(14')을 회전시키면 차양막(5)을 중심방향으로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외측턴버클(12)(12')과 내측턴버클(14)(14')의 회전에 따라 그 차양막(5)은 가장자리의 테두리는 물론 그 내측 전표면이 고르게 긴장된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설치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차양막(5)의 물성 변화에 의해 그 차양막(5)이 느슨해지거나 처짐이 발생하게 되면 즉시 그 외측턴버클(12)(12') 또는 내측턴버클(14)(14')을 회전시켜 필요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어 그 천막조형물의 안정된 설치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외측턴버클(12)(12')과 내측턴버클(14)(14')은 지지기둥(1)(1')으로부터 돌출된 연결편(16)에 핀(17)에 의해 힌지 고정된 힌지판(15)에 모두 체결되는 것으로서, 그 힌지판(15)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하 방향으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므로 차양막(5)의 설치각도나 장력부여량에 대응하여 적절한 고정각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대형 천막조형물은 그 외관이 역동적이면서도 미려하므로 아파트 단지나 공원 등에 설치되어 뛰어난 조형감은 물론 넓은 그늘막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장력조절수단(10)은 그 차양막(5)의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로 기재된 것이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장력조절수단(10) 이외에도 다양한 장력조절구 또는 조절수단을 통해 본 고안 천막조형물의 차양막 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공지된 다양한 장력조절수단이 적용된 본 고안 천막조형물은 모두 본 고안의 취지에 부합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은, 하늘을 향해 전개되는 형태의 지지기둥과 그 내측에 고정된 유선형의 차양막에 의해 역동적이면서도 부드러운 입체감을 갖는 조형물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며, 그 대형 차양막에 의해 충분한 면적의 그늘막을 제공하므로 각종 야외활동이나 공연, 행사, 휴식 등을 취할 수 있게 하며, 천막의 장력조절구에 의해 그 차양막의 장력을 지속적으로 부여할 수 있어 항상 긴장된 상태로 그 차양막이 설치되어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천막조형물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천막조형물의 전체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천막조형물의 평면전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천막조형물의 저면전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천막조형물의 차양막 결합부 확대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부분확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지지기둥 2,2' : 크로스바
3 : 고정관 4 : 채광호울
5 : 차양막 6,6' : 인장와이어
7,7' : 지지와이어
10 : 장력조절수단 11,11' : 장력와이어
12,12' : 외측턴버클 13,13' : 고정판
14,14' : 내측턴버클 15 : 힌지판
16 : 연결편 17 : 핀

Claims (2)

  1. 지면으로부터 상향 전개된 방사상의 지지기둥(1)(1')이 복수개 입설되고, 그 지지기둥(1)(1')의 하측에는 각각의 지지기둥(1)(1')을 서로 연결하는 횡상의 크로스바(2)(2')가 결합되며, 상기한 지지기둥(1)(1')의 내측에는 중앙에 링상의 고정관(3)에 의한 채광호울(4)이 형성된 차양막(5)을 결합하되,
    상기한 차양막(5)의 가장자리는 별도의 장력조절수단(10)에 의해 상기 지지기둥(1)(1')의 내측에 각각 고정되게 하고, 상기한 고정관(3)은 별도의 인장와이어(6)(6')에 의해 지지기둥(1)(1')의 선단에 인장 고정되어 그 차양막(5)의 중앙이 유선형으로 융출되도록 하며, 상기 차양막(5)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관(3)과 지지기둥(1)(1')을 연결하는 별도의 지지와이어(7)(7')가 탄력적으로 위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
  2. 제 1항에 있어서,
    장력조절수단(10)은,
    차양막(5)의 가장자리를 따라 봉입된 장력와이어(11)(11')의 단부에 형성된 외측턴버클(12)(12')과 그 차양막(5)의 단부에 상,하 밀착된 고정판(13)(13')으로부터 인출된 내측턴버클(14)(14')의 단부가 함께 고정된 힌지판(15)이, 상기 지지기둥(1)(1')으로부터 돌출된 연결편(16)에 핀(17) 고정되어 이루어져,
    상기한 각각의 턴버클을 회전시켜 이에 의해 그 차양막(5)의 장력이 조절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
KR20-2005-0006749U 2005-03-14 2005-03-14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 KR200386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749U KR200386284Y1 (ko) 2005-03-14 2005-03-14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749U KR200386284Y1 (ko) 2005-03-14 2005-03-14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284Y1 true KR200386284Y1 (ko) 2005-06-10

Family

ID=49297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749U KR200386284Y1 (ko) 2005-03-14 2005-03-14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28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18B1 (ko) * 2007-12-05 2008-11-17 문광모 장력의 분산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천막조형물의 차양막고정설치구
KR101139907B1 (ko) 2011-08-09 2012-04-30 (주)가온시스템 차양막 주름 방지를 위한 경첩형 장력조절장치
KR200466062Y1 (ko) 2010-11-24 2013-03-26 유승준 해먹 설치용 구조물
KR101315932B1 (ko) * 2013-05-30 2013-10-08 주식회사 동아스트 보호막이 접착된 채광수단을 구비한 막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30431B1 (ko) * 2015-02-25 2016-06-14 이건영 대형 차양 구조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18B1 (ko) * 2007-12-05 2008-11-17 문광모 장력의 분산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천막조형물의 차양막고정설치구
KR200466062Y1 (ko) 2010-11-24 2013-03-26 유승준 해먹 설치용 구조물
KR101139907B1 (ko) 2011-08-09 2012-04-30 (주)가온시스템 차양막 주름 방지를 위한 경첩형 장력조절장치
KR101315932B1 (ko) * 2013-05-30 2013-10-08 주식회사 동아스트 보호막이 접착된 채광수단을 구비한 막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30431B1 (ko) * 2015-02-25 2016-06-14 이건영 대형 차양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918B1 (ko) 장력의 분산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천막조형물의 차양막고정설치구
US5477876A (en) T-pole support for fabric structure
WO2021093382A1 (zh) 一种装配式可移动光敏调节快速拆建太阳能仿生景观亭
KR200386284Y1 (ko)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
WO1992012312A1 (en) Nest-like tent
US6814094B1 (en) Canopy fabric tensioning apparatus
KR20150026425A (ko) 전동 접이식 어닝을 구비한 파고라
KR101618302B1 (ko) 텐트용 차광막 받침대
KR100904545B1 (ko) 이동장치를 구비한 건축단지 내에 설치되는 파고라
KR101742476B1 (ko) 몽골텐트형 조립식 천막
KR100893107B1 (ko) 옥외용 천막 구조물
KR102178362B1 (ko) 횡단보도용 접이식 파라솔
KR200390342Y1 (ko) 원추형 막구조를 갖는 야외용 조경물
KR101817663B1 (ko) 조립식 차양막 구조
CN210563723U (zh) 一种弹簧悬架式休闲帐篷
KR200320121Y1 (ko) 파고라 조형물의 차양막 장력조절구조
KR101837002B1 (ko) 조립식 차양막 구조
AU2011100415B9 (en) Awning and frame assembly therefor
JP5984034B1 (ja) テントおよびテントの組立方法
KR101630431B1 (ko) 대형 차양 구조물
JP2003513182A (ja) 日光及び雨に対するモジュール式シェルタ及びその設置方法
KR101266186B1 (ko) 차광막 구조물
KR200262067Y1 (ko) 이동식 차양
CN217975002U (zh) 一种开合采光屋面装置
CN213597634U (zh) 一种篷顶高度便于调节的帐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