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186B1 - 차광막 구조물 - Google Patents

차광막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186B1
KR101266186B1 KR1020120069487A KR20120069487A KR101266186B1 KR 101266186 B1 KR101266186 B1 KR 101266186B1 KR 1020120069487 A KR1020120069487 A KR 1020120069487A KR 20120069487 A KR20120069487 A KR 20120069487A KR 101266186 B1 KR101266186 B1 KR 101266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film
light shielding
coupled
crossbar
tub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부환
Original Assignee
마크막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막스코리아(주) filed Critical 마크막스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20069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22Stretch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광막의 설치 방향에 따라 지주부의 높이와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광막의 고정부위를 상하, 좌우로 절곡할 수 있도록 하여 차광막의 고정방향을 다양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차광막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기초에 설치되어 전후, 좌우로 회전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지주부; 2곳 이상의 힌지점을 가지도록 상기 지주부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토글 연결부; 상기 토글 연결부의 회전방향으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토글 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차광막이 고정되는 차광막 클램핑부; 및 상기 지주부를 연결하는 크로스바에 상기 차광막의 테두리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차광막의 상면에서 상기 크로스바에 결합되며, 상기 차광막의 이물질 배출을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차광막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광막 구조물{SUNSHADE TENT STRUCTURE}
본 발명은 차광막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광막의 설치 방향에 따라 지주부의 높이와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광막의 고정부위를 상하, 좌우로 절곡할 수 있도록 하여 차광막의 고정방향을 다양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차광막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적으로, 천막은 실외에서의 각종 행사 및 작업을 하는 경우 직사광선이나 비, 눈 등을 피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서, 크게 이동형 천막과 고정형 천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동형 천막은 야외 행사나 야영, 작업 등이 있을 때 필요에 따라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한 것으로, 가족단위의 인원이 캠핑이나 낚시 등을 즐길때 운동회나 집회와 같은 같종 행사 등에서 사용하게 된다.
고정형 천막은 공원이나 휴게소 등에 사람들의 휴식을 위하여 지면에 직접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철거가 불가능하고 이동형 천막에 비하여 견고하고 대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최근에는 레져 활동이가 여가를 즐기는 사람이 많아 지면서 공원, 놀이시설, 휴게소 등에서 고정형 천막의 설치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은 물론 아파트 단지, 놀이터, 야외 행사장 등에도 입주자, 방문객, 내방객들의 편안한 휴식처를 제공하기 위하여 벤치나 그늘막 등을 설치하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고정형 천막은 통상적으로 수직 입설되는 지지기둥의 하단을 지면에 매설된 앵커볼트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지지기둥의 선단에 지지대를 결합하고, 지지대 상측에 차광막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차광막으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1016호의 "천막"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284호의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정식 차광막은 차광막을 지지하는 지주가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어 차광막의 설치위치가 변경될 경우 지주의 설치를 다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광막은 지주와 차광막을 연결하는 연결판 부재가 지주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만 회전되므로, 차광막의 고정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차광막 시공 후 차광막의 변형에 따라 연결판 부재의 위치가 조절되지 않으므로, 차광막의 변형시 차광막을 안정적으로 의 파손이 변형된 형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차광막의 설치 방향에 따라 지주부의 높이와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광막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부와 차광막의 고정부위를 상하, 좌우로 절곡가능하게 구성하여 차광막의 고정방향을 다양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후 차광막의 변형 따른 지지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차광막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광막의 상면에서의 이물질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이물질에 의한 차광막의 부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광막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기초에 결합되며, 브래킷이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록과 상기 연결블록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브래킷이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블록의 회전방향과 다른 회전방향을 가지는 회전관 부재와 상기 회전관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회전관 부재가 삽입되며, 상단부에 크로스바(103)가 결합되는 높이조절관 부재; 및 상기 높이조절관 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회전관 부재에 고정하는 높이조절부를 구비하는 지주부; 2곳 이상의 힌지점을 가지도록 상기 크로스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토글 연결부; 상기 토글 연결부의 회전방향으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토글 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차광막이 고정되는 차광막 클램핑부; 및 상기 크로스바에 상기 차광막의 테두리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차광막의 상면에서 상기 크로스바에 결합되며, 상기 차광막의 이물질 배출을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차광막 고정부를 포함하는 차광막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기초에 결합되며, 브래킷이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록; 상기 연결블록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브래킷이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블록의 회전방향과 다른 회전방향을 가지는 회전관 부재; 및 상기 회전관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회전관 부재가 삽입되며, 상단부에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토글 연결부가 결합되는 높이조절관 부재; 및 상기 높이조절관 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회전관 부재에 고정하는 높이조절부로 이루어진 상기 지주부를 포함하는 차광막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주부에 접합되는 고정 플레이트 부재; 상기 고정 플레이트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 부재; 상기 연결축 부재에 관통되어 너트를 통해 결합되는 연결볼트 부재; 상기 연결볼트 부재가 체결되는 고정핀 부재; 및 상기 연결축 부재가 관통하는 가이드홀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차광막 클램핑부가 상기 연결볼트 부재의 회전 방향과 다른 회전방향을 가지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부재로 이루어진 토글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광막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크로스바에 접합되며, 상기 차광막이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되는 부착 플레이트 부재; 양 측단에 상기 가이드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차광막의 상면에 접촉되며, 상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막 지지부재;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며, 고정부재의 관통을 통해 상기 부착 플레이트 부재에 결합되는 평철부재로 이루어진 차광막 고정부를 포함하는 차광막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광막 구조물에 의하면, 차광막의 설치 방향에 따라 지주부의 높이와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광막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주부와 차광막의 고정부위를 상하, 좌우로 회전되므로, 차광막의 고정방향을 다양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광막 시공 후 차광막이 변형되어도 차광막의 지지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광막을 크로스바에 고정하는 차광막 고정부에 가이드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빗물이나 눈에 의해 발생하는 물이 차광막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어 이물질에 의한 차광막의 부식을 저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광막 구조물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주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글 연결부와 차광막 클램핑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광막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광막 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차광막 구조물(100)은 지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기초(10), 이 콘크리트 기초(10)에 앵커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지주부(110), 지주부(1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토글 연결부(120) 및 이 토글 연결부(120)에 차광막(101)을 고정하기 위한 차광막 클램핑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차광막 구조물(100)은 이격된 지주부(110)를 사이를 연결하는 크로스바(103)에 차광막(101)을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한 차광막 고정부(14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차광막 구조물(100)은 차광막(101)의 크기와 설치위치에 따라 지주부(110)가 콘크리트 기초(10)에서 각도가 조절됨은 물론 높이가 조절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주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초(10)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1), 이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록(113), 연결블록(1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관 부재(115), 회전관 부재(115)에서 높이가 조절되며 크로스바(103)가 결합되는 높이조절관 부재(117) 및 호전관 부재(115)와 높이조절관 부재(117)를 결합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119)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콘크리트 기초(10)에 인서트되는 앵커볼트에 고정되며, 상면에 연결블록(11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래킷(111a)이 양립 형성된다. 이때, 브래킷(111a)에는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연결블록(113)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볼트가 삽입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된다.
연결블록(113)은 볼트 및 너트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 및 하단부에 볼트 삽입구멍이 수직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된다. 또한, 연결블록(113)은 상단부에 회전관 부재(11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블록(113)은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단부에 결합되는 회전관 부재(115)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관 부재(115)는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연결블록(113)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회전관 부재(115)는 하단부에 볼트가 관통하는 연결 브래킷(115a)이 형성되고, 이 연결 브래킷(115a)에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관 부재(115)는 연결블록(113)의 회전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결블록(113)에서 회전하며, 높이조절관 부재(117)에 삽입되도록 높이조절관 부재(117)와 결합된다.
높이조절관 부재(117)는 회전관 부재(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상단부에 크로스바(103)가 용접이나 볼팅과 같은 결합방식을 통해 결합되고, 이 크로스바(103)에 토글 연결부(120)가 설치된된다. 이러한, 높이조절관 부재(117)는 높이조절부(119)를 통해 회전관 부재(115)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높이조절부(119)는 차광막(101)의 설치위치에 따라 높이조절관 부재(117)의 높이조절이 완료되면 회전관 부재(115)와 높이조절관 부재(117)를 결합한다.
이를 위하여, 높이조절부(119)는 회전관 부재(115)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는 높이조절구멍(119a), 높이조절관 부재(117)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고정구멍(119b) 및 높이조절구멍(119a)과 고정구멍(119b)을 관통하는 결합부재(119c)를 포함한다.
높이조절구멍(119a)은 높이조절관 부재(117)의 높이를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관 부재(1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는 제1 구멍(119a-1)과, 이 제1 구멍(119a-1)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전관 부재(115)에 일렬로 형성되는 제2 구멍(119a-2)을 구비한다. 이때, 제2 구멍(119a-2)은 제1 구멍(119a-1)과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관 부재(1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고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지주부(110)는 회전관 부재(115)가 연결블록(113)의 회전을 통해 콘크리트 기초(10)에서 전후로 회전됨은 물론 연결블록(113)을 기준으로 콘크리트 기초(10)의 좌우로 회전된다. 더하여, 지주부(110)는 높이조절관 부재(117)가 높이조절부(119)를 통해 회전관 부재(115)에서 상하로 이동된 후 회전관 부재(115)에 고정된다.
이러한, 지주부(110)에 의하면, 차광막(101)의 크기, 설치높이 등에 따라 그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광막(101)을 교체할 때 차광막(101)의 크기를 정확하게 제단하지 않아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보수 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토글 연결부(120)는 2곳 이상의 힌지점을 가지도록 높이조절관 부재(117)의 상단부에 결합된 크로스바(10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토글 연결부(120)는 차광막 클램핑부(13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차광막(101)의 시공 후, 장력을 조절할 때 차광막(101)의 변형된 위치에 따라 차광막 클램핑부(13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이를 위하여, 토글 연결부(120)는 크로스바(103)에 용접을 통해 접합되는 고정 플레이트 부재(121), 고정 플레이트 부재(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 부재(123), 이 연결축 부재(123)에 결합되는 연결볼트 부재(125), 연결볼트 부재(125)의 단부가 결합되는 고정핀 부재(127) 및 고정핀 부재(12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를 포함한다.
고정 플레이트 부재(121)는 높이조절관 부재(117)에 양립되며, 연결축 부재(123)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된다.
연결축 부재(123)는 양단부가 고정 플레이트 부재(121)의 삽입구멍에 삽입되며, 중앙부에 연결볼트 부재(125)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볼트 부재(125)는 일단부가 연결축 부재(123)의 관통구멍을 관통하고, 너트의 체결을 통해 연결축 부재(123)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연결볼트 부재(125)는 연결축 부재(123)의 회전을 통해 높이조절관 부재(117)에서 회전되며, 타단부에 고정핀 부재(127)가 체결된다.
고정핀 부재(127)는 연결볼트 부재(125)가 체결되도록 중앙부에 나사홈이 형성되며,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는 고정핀 부재(127)에서 회전할 때 연결볼트 부재(125)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중앙부에 가이드홀(129a)이 형성되며, 차광막 클램핑부(130)가 연결축 부재(123)의 회전방향과 다른 회전방향을 가지도록 결합된다.
즉, 연결볼트 부재(125)와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는 높이조절관 부재(117)에서 상하로 회전하고, 차광막 클램핑부(130)는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의 회전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는 "ㄷ"자 형상을 가지며 단부에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볼트에 차광막 클램핑부(1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차광막 클램핑부(130)는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플레이트(131)와, 이 메인 플레이트(131)에 차광막(101)이 고정되도록 볼트 및 너트를 통해 메인 플레이트(131)에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133)을 포함한다.
또한, 차광막 클램핑부(130)는 차광막(101)의 테두리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 지지부(135)를 더 포함한다.
보조 지지부(135)는 메인 플레이트(131)에 결합되는 관부재(135a)와, 이 관부재(135a)를 관통하는 볼트부재(135b)와, 볼트부재(135b)의 단부에 접합되는 케이블(135c)을 구비한다. 이러한, 보조 지지부(135)는 차광막(101)을 지주부(110)측으로 잡아 당길 수 있도록 볼트부재(135b)가 너트의 체결을 통해 관부재(135a)에서 이동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차광막 고정부(140)는 지주부(110)의 높이조절관 부재(117)에 결합되는 크로스바(103)에 차광막(101)의 테두리부를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차광막(101)의 상면에서 크로스바(103)에 결합된다.
이러한, 차광막 고정부(140)는 차광막(101)의 빗물과 같은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함과 동시에 차광막(101)을 안정되게 고정한다.
이를 위하여, 차광막 고정부(140)는 크로스바(103)에 접합되며 접착부재(141a)를 통해 차광막(101)이 부착되는 부착 플레이트 부재(141), 양 측단에 가이드부(143a)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차광막(101)의 상면에 접촉되며, 상면에 안착홈(143b)이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막 지지부재(143), 안착홈부(143b)에 안착되며 고정부재(145)의 관통을 통해 부착 플레이트 부재(141)에 결합되는 평철부재(147)를 포함한다.
부착 플레이트 부재(141)는 용접을 통해 크로스바(103)에 접합되며, 상면에 차광막(101)이 부착된다.
접착부재(141a)로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막 지지부재(143)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차광막(101)의 상면에 간편하게 설치되며, 안착홈부(143b)에 의해 평철부재(147)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가이드부(143a)를 따라 이동하는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된다.
평철부재(147)는 고정부재(145)가 고무재질의 막 지지부재(143)를 관통할 때 막 지지부재(143)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차광막 고정부(140)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차광막(101)의 탄성에 의해 막 지지부재(143)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하여, 평철부재(147)는 막 지지부재(143)를 크로스바(103)에 고정할 때 고정부재(145)를 보다 강한 힘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막 지지부재(143)에 의한 차광막(101)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차광막(101)을 크로스바(103)에 더욱 안정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차광막 구조물 110 : 지주부
111 : 베이스 플레이트 113 : 연결블록
115 : 회전관 부재 117 : 높이조절관 부재
119 : 높이조절부(119); 120 : 토글 연결부
121 : 고정 플레이트 부재 123 : 연결축 부재
127 : 고정핀 부재 129 : 회전 플레이트 부재
130 : 클램핑부 131 : 메인 플레이트
133 : 고정 플레이트 140 : 차광막 고정부
141 : 부착 플레이트 부재 141 : 막 지지부재
147 : 평철부재

Claims (4)

  1. 콘크리트 기초에 결합되며, 브래킷(111a)이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상기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록(113)과 상기 연결블록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브래킷(115a)이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블록의 회전방향과 다른 회전방향을 가지는 회전관 부재(115)와 상기 회전관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회전관 부재가 삽입되며, 상단부에 크로스바(103)가 결합되는 높이조절관 부재(117); 및 상기 높이조절관 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회전관 부재에 고정하는 높이조절부(119)를 구비하는 지주부(110);
    2곳 이상의 힌지점을 가지도록 상기 크로스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토글 연결부(120);
    상기 토글 연결부의 회전방향으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토글 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차광막(101)이 고정되는 차광막 클램핑부(130); 및
    상기 크로스바에 상기 차광막의 테두리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차광막의 상면에서 상기 크로스바에 결합되며, 상기 차광막의 이물질 배출을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차광막 고정부(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구조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연결부는,
    상기 크로스바에 접합되는 고정 플레이트 부재(121);
    상기 고정 플레이트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 부재(123);
    상기 연결축 부재에 관통되어 너트를 통해 결합되는 연결볼트 부재(125);
    상기 연결볼트 부재가 체결되는 고정핀 부재(127); 및
    상기 연결축 부재가 관통하는 가이드홀(129a)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차광막 클램핑부가 상기 연결볼트 부재의 회전 방향과 다른 회전방향을 가지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 고정부는,
    상기 크로스바에 접합되며, 상기 차광막이 접착부재(141a)에 의해 부착되는 부착 플레이트 부재(141);
    양 측단에 상기 가이드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차광막의 상면에 접촉되며, 상면에 안착홈(143b)이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막 지지부재(143);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며, 고정부재(145)의 관통을 통해 상기 부착 플레이트 부재에 결합되는 평철부재(14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구조물.
KR1020120069487A 2012-06-27 2012-06-27 차광막 구조물 KR101266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487A KR101266186B1 (ko) 2012-06-27 2012-06-27 차광막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487A KR101266186B1 (ko) 2012-06-27 2012-06-27 차광막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186B1 true KR101266186B1 (ko) 2013-05-21

Family

ID=48666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487A KR101266186B1 (ko) 2012-06-27 2012-06-27 차광막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319B1 (ko) * 2014-07-10 2015-06-29 엠엠라이트 유한회사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18B1 (ko) 2007-12-05 2008-11-17 문광모 장력의 분산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천막조형물의 차양막고정설치구
KR101102904B1 (ko) 2011-06-10 2012-01-11 손영길 각도조절 막플레이트
KR101139907B1 (ko) 2011-08-09 2012-04-30 (주)가온시스템 차양막 주름 방지를 위한 경첩형 장력조절장치
KR101156606B1 (ko) 2012-01-06 2012-06-14 주식회사 에이맥스 케이블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18B1 (ko) 2007-12-05 2008-11-17 문광모 장력의 분산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천막조형물의 차양막고정설치구
KR101102904B1 (ko) 2011-06-10 2012-01-11 손영길 각도조절 막플레이트
KR101139907B1 (ko) 2011-08-09 2012-04-30 (주)가온시스템 차양막 주름 방지를 위한 경첩형 장력조절장치
KR101156606B1 (ko) 2012-01-06 2012-06-14 주식회사 에이맥스 케이블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319B1 (ko) * 2014-07-10 2015-06-29 엠엠라이트 유한회사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918B1 (ko) 장력의 분산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천막조형물의 차양막고정설치구
EP2642046B1 (fr) Système de clôture
CN112554293A (zh) 一种装配式移动厕所
KR10134892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및 휀스용 연결구
US10947735B2 (en) Pergola shade system for a pier
KR101266186B1 (ko) 차광막 구조물
KR101397640B1 (ko) 스탠드용 막 구조물
KR20120032785A (ko) 부력식 자동도복난간
KR20190114118A (ko) 목재 펜스용 하이브리드 브래킷
KR200386284Y1 (ko)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
JP3375897B2 (ja) オーニング装置
KR100886343B1 (ko)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
KR200437500Y1 (ko) 파고라가 구비된 운동기구 고정장치
KR101868579B1 (ko) 태양광 집광장치 지주 받침구
US20140017423A1 (en) Apparatus, system and/or a method for holding a pole
KR100765230B1 (ko) 천막구조물의 승강식 천막 장력조절구
US20070056222A1 (en) Extendable support braces for a screened enclosure
KR101532319B1 (ko)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
KR101923857B1 (ko) 천막구조물
KR101279775B1 (ko) 파고라
KR100592528B1 (ko) 지붕막 재인장 구조
JP2011208350A (ja) 防護柵及び防護柵の改修方法
FR2681623A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travaux sur toiture.
KR200320121Y1 (ko) 파고라 조형물의 차양막 장력조절구조
CN219316111U (zh) 一种天幕幕墙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