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319B1 -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 - Google Patents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319B1
KR101532319B1 KR1020140086688A KR20140086688A KR101532319B1 KR 101532319 B1 KR101532319 B1 KR 101532319B1 KR 1020140086688 A KR1020140086688 A KR 1020140086688A KR 20140086688 A KR20140086688 A KR 20140086688A KR 101532319 B1 KR101532319 B1 KR 101532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membrane
pipe member
rotation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만호
Original Assignee
엠엠라이트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엠라이트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엠엠라이트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6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의 상단에 연결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막 연결부, 및 상기 막 연결부에 연결되며 막이 고정되는 막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는 콘크리트 기초에 결합되며, 브래킷(111a)이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1); 상기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록(113); 상기 연결블록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브래킷(115a)이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부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블록의 회전방향과 직각방향을 회전방향으로 가지는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 원통형구조이며, 하부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높이조절관 부재의 나사산에 맞물리는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높이조절관 부재와 스크류결합하고, 상부 내측면에는 하부의 나사산과 역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119); 및 하부외측면에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리는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와 스크류결합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의 회동에 따라 제1 높이조절관 부재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결합되는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Membrane structure freely controlled height and angle}
본 발명은 막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막의 설치 방향에 따라 지주부의 높이와 각도를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막이 고정부위로부터 상하, 전후,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막의 고정방향을 다양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천막은 실외에서의 각종 행사 및 작업을 하는 경우 직사광선이나 비, 눈 등을 피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서, 이동형 천막과 고정형 천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동형 천막은 야외 행사나 야영, 작업 등이 있을 때 필요에 따라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한 것으로, 가족단위의 인원이 캠핑이나 낚시 등을 즐길 때나 운동회나 집회와 같은 각종 행사 등에서 사용하게 된다.
고정형 천막은 공원이나 휴게소 등에 사람들의 휴식을 위하여 지면에 직접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철거가 불가능하고 이동형 천막에 비하여 견고하고 대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최근에는 레져 활동이나 여가를 즐기는 사람이 많아 지면서 공원, 놀이시설, 휴게소 등에서 고정형 천막의 설치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은 물론 아파트 단지, 놀이터, 야외 행사장 등에도 입주자, 방문객, 내방객들의 편안한 휴식처를 제공하기 위하여 벤치나 그늘막 등을 설치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고정형 천막은 통상적으로 수직 입설되는 지지기둥의 하단을 지면에 매설된 앵커볼트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지지기둥의 선단에 지지대를 결합하고, 지지대 상측에 막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막으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1016호의 "천막"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284호의 "차양막 장력조절구조를 갖는 대형 천막조형물"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고정식 막은 막을 지지하는 지주가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어 막의 설치위치가 변경될 경우 지주의 설치를 다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막은 지주와 막을 연결하는 연결판 부재가 지주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만 회전되므로, 막의 고정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막 시공 후 막의 변형에 따라 연결판 부재의 위치가 조절되지 않으므로, 막의 변형시 막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변형된 형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26618호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광막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발명내용 역시 높이를 조절하려면 일일이 높이조절부를 상하로 이동시킨 후 볼트를 끼워 조절하여야 하므로, 막 시공 후 막의 변형시 상부에 천막이 설치된 상태에서 높이를 조절하려면 다수의 인부가 필요하고 게다가 높이 지지장치를 필요하므로 시공과정 및 보수과정에서 어려움이 있다. 또한, 미세한 높이 조절이 어렵고 구조물 유동이나 바람 등에 의한 천막의 유동시 구조상 이를 보완하지 못하지 점에서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1016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284호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2661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막의 설치 방향에 따라 지주부의 높이와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막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막이 고정부위로부터 상하, 전후,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막의 고정방향을 다양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후 막의 변형에 따른 지지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막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은,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의 상단에 연결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막 연결부, 및 상기 막 연결부에 연결되며 막이 고정되는 막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는
콘크리트 기초에 결합되며, 브래킷(111a)이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1);
상기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록(113);
상기 연결블록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브래킷(115a)이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부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블록의 회전방향과 직각방향을 회전방향으로 가지는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
원통형구조이며, 하부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높이조절관 부재의 나사산에 맞물리는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높이조절관 부재와 스크류결합하고, 상부 내측면에는 하부의 나사산과 역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119); 및
하부외측면에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리는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와 스크류결합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의 회동에 따라 제1 높이조절관 부재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결합되는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에서,
상기 지주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연결 브래킷(115a)의 말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제1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 브래킷과 대칭되는 위치인 상기 제1 높이조절관 부재의 하단부에도 외측으로 절곡된 제2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에서,
상기 높이조절부(119)는 상기 지주부(110)의 상부쪽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부(110)는 상기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가 상기 연결블록(113)의 회전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기초(10)에 대해 전후로 회전되고, 상기 연결블록(113)을 기준으로 상기 콘크리트 기초(10)의 좌우로 회전되며, 상기 높이조절부(119)의 회동을 통해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가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에 대해 상하로 이동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에서,
구조물의 유동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관(119)이나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가 회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부(119)와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 및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의 연접부위에는 다수개의 톱니홈(h)을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톱니홈에는 편(m)을 착탈식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에서,
상기 막 연결부(120)는 상기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기 프레임(103)에 상하, 전후, 좌우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에서,
상기 막 연결부(120)는
상기 프레임(103)에 용접을 통해 접합되는 고정 플레이트 부재(121);
상기 고정 플레이트 부재(121)에 고정체결되며 내부에 둥근 중공홀을 구비한 지지체부재(122);
상기 지지체부재(122)에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구 부재(123);
상기 회전구 부재(123)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연결볼트 부재(125);
상기 연결볼트 부재(125)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고정핀 부재(127); 및
상기 고정핀 부재(12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 부재(121)는 상기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에 양립되며,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 부재(122)는 후미는 폭이 좁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에는 내부에 둥근 중공홀이 형성되며, 전단부에는 상기 중공홀과 연통되는 입구가 중공홀의 직경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 부재(123)는 상기 지지체 부재(122)의 중공홀에 삽입되어 회동하며, 상기 회전구 부재(123)가 결합하도록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 부재(127)는 상기 연결볼트 부재(125)가 체결되도록 중앙부에 나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는 중앙부에 가이드홀(129a)이 형성되며, 상기 막 클램핑부(130)가 상기 회전구 부재(123)의 회전방향과 다른 회전방향을 가지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은,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의 상단에 연결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막결합 패스너를 통해 고정된 막을 포함하는 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는
콘크리트 기초에 결합되며, 브래킷(111a)이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1);
상기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록(113);
상기 연결블록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브래킷(115a)이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부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블록의 회전방향과 직각방향을 회전방향으로 가지는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
원통형구조이며, 하부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높이조절관 부재의 나사산에 맞물리는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높이조절관 부재와 스크류결합하고, 상부 내측면에는 하부의 나사산과 역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119); 및
하부외측면에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리는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와 스크류결합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의 회동에 따라 제1 높이조절관 부재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결합되는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은 막의 설치 방향에 따라 지주부의 높이와 각도를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막의 고정부위를 상하, 좌우로 절곡할 수 있도록 하여 막의 고정방향을 다양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구조물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구조물의 요부인 지주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a),(b)는 3a, 3b의 높이조절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막 연결부와 막 클램핑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도 6의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구조물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구조물의 요부인 지주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a),(b)는 3a, 3b의 높이조절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 연결부와 막 클램핑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100)은 지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기초(10), 이 콘크리트 기초(10)에 앵커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지주부(110), 지주부(1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막 연결부(120) 및 이 막 연결부(120)에 막(101)을 고정하기 위한 막 클램핑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막 구조물(100)은 이격된 지주부(110)를 사이를 연결하는 프레임(103)에 막(101)을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한 막 고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막 구조물(100)은 막(101)의 크기와 설치위치에 따라 지주부(110)가 콘크리트 기초(10)에서 각도가 조절됨은 물론 높이가 조절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주부(110)는 도 2 및 도 3a,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초(10)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1), 이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록(113), 연결블록(1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와 연동되어 높이가 조절되며 프레임(103)이 결합되는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 및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와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높이 조절부(119)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콘크리트 기초(10)에 인서트되는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상면에 연결블록(11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래킷(111a)이 형성된다. 이때, 브래킷(111a)에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연결블록(113)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볼트가 삽입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된다.
연결블록(113)은 볼트 및 너트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 및 하단부에 볼트 삽입구멍이 수직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된다. 또한, 연결블록(113)은 상단부에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블록(113)은 베이스 플레이트(111)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는 연결블록(113)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는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연결블록(113)의 상단부에 연결블록(113)의 회전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볼트가 관통하는 연결 브래킷(115a)이 형성되고, 이 연결 브래킷(115a)에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다.
이때, 연결 브래킷(115a)의 말단에는 외측으로 소정각도로 절곡된 제1 지지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연결블록의 전후방향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고 한계치를 넘는 회전에 대해 지주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브래킷과 대칭되는 제1 높이조절관 부재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소정각도로 절곡된 제2 지지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제1 높이조절관 부재의 좌우방향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고 좌우방향으로의 한계치를 넘는 회전각도에 대해 지주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a의 일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의 상부에는 외측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도 3b의 다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의 상부에는 중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는 후술하는 높이조절부(119)에 의해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에 대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 것으로, 상단부에 프레임(103)이 용접이나 볼팅과 같은 결합방식을 통해 결합되고, 이 프레임(103)에는 본 발명과 같은 막 연결부(120)나 막결합 패스너(미도시)가 결합 고정되어 천막이 연결된다. 또한, 도 3a의 일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의 하부에는 외측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의 내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구조와 제2 높이조절관 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구조는 서로 역방향임은 명백하다. 이와 같은 역방향 구조는 높이조절부의 일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제2 높이조절관 부재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와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는 높이 조절부(119)를 통해 결합된다.
높이조절부(119)는 막(101)의 설치위치에 따라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와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를 결합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중공의 원통형 형상이며, 도 3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 상부쪽에는 제2 높이조절관 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스크류 결합하도록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 하부쪽에는 제1 높이조절관 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스크류 결합하도록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 상부쪽에는 제2 높이조절관 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스크류 결합하도록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 하부쪽에는 제1 높이조절관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스크류 결합하도록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높이조절부의 회동에 따라 제2 높이조절관 부재가 상하 이동되어 높낮이가 조절된다.
또한, 높이조절부(119)의 외측면에는 손잡이(119a)를 더 구비하여, 높이조절부의 회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는 작동의 용이성 및 지주부가 힘을 받는 지주부의 무게중심점 위치를 고려할 때, 지주부의 상부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높이조절부(119)와 제1 높이조절관 부재 및 제2 높이조절관 부재의 연접부위에는, 높낮이를 조절한 후 구조물의 유동에 의해 높이조절관이나 제2 높이조절관 부재가 회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톱니홈(h)을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 톱니홈에는 편(m)을 착탈식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지주부(110)는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가 연결블록(113)의 회전을 통해 콘크리트 기초(10)에서 전후로 회전됨은 물론 연결블록(113)을 기준으로 콘크리트 기초(10)의 좌우로 회전된다. 또한, 지주부(110)는 높이조절부(119)의 회동을 통해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가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에 대해 상하로 이동되어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지주부(110)에 의하면, 막(101)의 크기, 설치높이 등에 따라 그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막(101)을 교체할 때 막(101)의 크기를 정확하게 재단하지 않아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보수 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막 연결부(120)는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의 상단부에 결합된 프레임(103)에 상하, 전, 좌우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막 연결부(120)는 막 클램핑부(13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막(101)의 시공 후, 장력을 조절하거나 구조물 유동에 따른 막(101)의 변형된 위치에 따라 막 클램핑부(13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이를 위하여, 막 연결부(120)는 프레임(103)에 용접을 통해 접합되는 고정 플레이트 부재(121), 고정 플레이트 부재(121)에 고정체결되며 내부에 둥근 중공홀을 구비한 지지체부재(122; 122a,122b), 이 지지체부재(122)에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구 부재(123), 이 회전구 부재(123)에 결합되는 연결볼트 부재(125), 연결볼트 부재(125)의 단부가 결합되는 고정핀 부재(127) 및 고정핀 부재(12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를 포함한다.
고정 플레이트 부재(121)는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에 양립되며, 체결구멍이 형성된다.
지지체 부재(122)는 다면체로서, 후미는 폭이 좁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에는 내부에 둥근 중공홀이 형성되며, 전단부에는 중공홀과 연통되는 입구가 중공홀의 직경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 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을 이루는 제1 지지체 부재(122a)와 제2 지지체 부재(122b)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구 부재(123)는 지지체 부재(122)의 중공홀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것으로, 회전구 부재(123)가 스크류 결합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볼트 부재(125)는 일단부가 회전구 부재(123)의 삽입구멍에 스크류결합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구 부재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구멍이 형성된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구 부재내에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삽입구멍과 연통되되 회전구 부재 내측에 위치하는 직경이 큰 홀을 형성하여 삽입된 연결볼트 부재를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연결볼트 부재(125)는 회전구 부재(123)의 회전을 통해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에서 상하, 전후, 좌우방향으로 회전된다.
고정핀 부재(127)는 연결볼트 부재(125)가 체결되도록 중앙부에 나사홈이 형성되며,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는 고정핀 부재(127)에서 회전할 때 연결볼트 부재(125)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중앙부에 가이드홀(129a)이 형성되며, 막 클램핑부(130)가 회전구 부재(123)의 회전방향과 다른 회전방향을 가지도록 결합된다.
즉, 연결볼트 부재(125)와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는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에서 상하, 전후, 좌우로 회전하고, 막 클램핑부(130)는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의 회전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는 "ㄷ"자 형상을 가지며 단부에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볼트에 막 클램핑부(1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막 클램핑부(130)는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플레이트(131)와, 이 메인 플레이트(131)에 막(101)이 고정되도록 볼트 및 너트를 통해 메인 플레이트(131)에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133)을 포함한다.
또한, 막 클램핑부(130)는 막(101)의 테두리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 지지부(135)를 더 포함한다.
보조 지지부(135)는 메인 플레이트(131)에 결합되는 관부재(135a)와, 이 관부재(135a)를 관통하는 볼트부재(135b)와, 볼트부재(135b)의 단부에 접합되는 케이블(135c)을 구비한다. 이러한, 보조 지지부(135)는 막(101)을 지주부(110)측으로 잡아 당길 수 있도록 볼트부재(135b)가 너트의 체결을 통해 관부재(135a)에서 이동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막 구조물 110 : 지주부
111 : 베이스 플레이트 113 : 연결블록
115 : 제1 높이조절관 부재 117 : 높이조절관 부재
119 : 높이조절부 120 : 막 연결부
121 : 고정 플레이트 부재 122: 지지체 부재
123 : 회전구 부재 127 : 고정핀 부재
129 : 회전 플레이트 부재 130 : 클램핑부
131 : 메인 플레이트 133 : 고정 플레이트

Claims (8)

  1.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의 상단에 연결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막 연결부, 및 상기 막 연결부에 연결되며 막이 고정되는 막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는
    콘크리트 기초에 결합되며, 브래킷(111a)이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1);
    상기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록(113);
    상기 연결블록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브래킷(115a)이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부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블록의 회전방향과 직각방향을 회전방향으로 가지는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
    원통형구조이며, 하부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높이조절관 부재의 나사산에 맞물리는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높이조절관 부재와 스크류결합하고, 상부 내측면에는 하부의 나사산과 역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높이조절부(119); 및
    하부외측면에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리는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와 스크류결합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의 회동에 따라 제1 높이조절관 부재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결합되는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막 연결부(120)는
    상기 프레임(103)에 용접을 통해 접합되는 고정 플레이트 부재(121);
    상기 고정 플레이트 부재(121)에 고정체결되며 내부에 둥근 중공홀을 구비한 지지체부재(122);
    상기 지지체부재(122)에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구 부재(123);
    상기 회전구 부재(123)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연결볼트 부재(125);
    상기 연결볼트 부재(125)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고정핀 부재(127); 및
    상기 고정핀 부재(12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를 포함하여, 상기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기 프레임(103)에 상하, 전후, 좌우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구조물의 유동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관(119)이나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가 회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부(119)와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 및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의 연접부위에는 다수개의 톱니홈(h)을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톱니홈에는 편(m)을 착탈식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119)는 상기 지주부(110)의 상부쪽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부(110)는 상기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가 상기 연결블록(113)의 회전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기초(10)에 대해 전후로 회전되고, 상기 연결블록(113)을 기준으로 상기 콘크리트 기초(10)의 좌우로 회전되며, 상기 높이조절부(119)의 회동을 통해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가 제1 높이조절관 부재(115)에 대해 상하로 이동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 부재(121)는 상기 제2 높이조절관 부재(117)에 양립되며,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 부재(122)는 후미는 폭이 좁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에는 내부에 둥근 중공홀이 형성되며, 전단부에는 상기 중공홀과 연통되는 입구가 중공홀의 직경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 부재(123)는 상기 지지체 부재(122)의 중공홀에 삽입되어 회동하며, 상기 회전구 부재(123)가 결합하도록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 부재(127)는 상기 연결볼트 부재(125)가 체결되도록 중앙부에 나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 부재(129)는 중앙부에 가이드홀(129a)이 형성되며, 상기 막 클램핑부(130)가 상기 회전구 부재(123)의 회전방향과 다른 회전방향을 가지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
  8. 삭제
KR1020140086688A 2014-07-10 2014-07-10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 KR101532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688A KR101532319B1 (ko) 2014-07-10 2014-07-10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688A KR101532319B1 (ko) 2014-07-10 2014-07-10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319B1 true KR101532319B1 (ko) 2015-06-29

Family

ID=53520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688A KR101532319B1 (ko) 2014-07-10 2014-07-10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443A (ko) * 2018-04-26 2019-11-05 (주)건설기술개발공사 세굴 방호공을 이용한 태양 전지판 설치용 기초 및 그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953Y1 (ko) * 2002-09-25 2002-12-13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옥외용 조립식 소주택의 천막 장력조절구조
KR20090085188A (ko) * 2008-02-04 2009-08-07 형진랜드(주)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
KR101266186B1 (ko) * 2012-06-27 2013-05-21 마크막스코리아(주) 차광막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953Y1 (ko) * 2002-09-25 2002-12-13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옥외용 조립식 소주택의 천막 장력조절구조
KR20090085188A (ko) * 2008-02-04 2009-08-07 형진랜드(주)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
KR101266186B1 (ko) * 2012-06-27 2013-05-21 마크막스코리아(주) 차광막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443A (ko) * 2018-04-26 2019-11-05 (주)건설기술개발공사 세굴 방호공을 이용한 태양 전지판 설치용 기초 및 그 시공 방법
KR102142853B1 (ko) * 2018-04-26 2020-08-13 (주)건설기술개발공사 세굴 방호공을 이용한 태양 전지판 설치용 기초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74461A1 (en) Adjustable shade-providing building structure
KR200488363Y1 (ko) 낚시좌대의 높이조절용 지주
US9155364B2 (en) Sunshade positioning device
US7481232B2 (en) Main event umbrella
KR200482795Y1 (ko) 파라솔 각도 조절 장치
KR102156673B1 (ko) 목재 펜스용 하이브리드 브래킷
KR20110079219A (ko) 파라솔 지지장치
KR101532319B1 (ko)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막 구조물
KR101407657B1 (ko) 파라솔
KR101913683B1 (ko) 파라솔 각도 조절장치
KR200452590Y1 (ko) 만능 파라솔 거치대
KR102070711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펜스의 가로대 고정구
KR100959876B1 (ko) 이동식 퍼걸러
CN212671286U (zh) 古建筑修复用支撑装置
KR101594454B1 (ko) 경사각과 높이조절이 되는 비치파라솔
KR100982571B1 (ko) 이동식 퍼걸러
KR101651323B1 (ko) 파라솔의 각도 조절장치
CN215055397U (zh) 一种公路工程用基坑安全防护装置
KR200297953Y1 (ko) 옥외용 조립식 소주택의 천막 장력조절구조
KR101782561B1 (ko) 파라솔 각도 조절장치
KR200458590Y1 (ko) 갯바위용 파라솔받침대
KR20140131149A (ko) 파라솔 장치
KR101266186B1 (ko) 차광막 구조물
CN203547229U (zh) 营柱固定座
KR200320121Y1 (ko) 파고라 조형물의 차양막 장력조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