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766B1 -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 - Google Patents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766B1
KR100797766B1 KR1020060114181A KR20060114181A KR100797766B1 KR 100797766 B1 KR100797766 B1 KR 100797766B1 KR 1020060114181 A KR1020060114181 A KR 1020060114181A KR 20060114181 A KR20060114181 A KR 20060114181A KR 100797766 B1 KR100797766 B1 KR 100797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s
fixed
wall block
suppor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만
Original Assignee
솔렌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렌스(주) filed Critical 솔렌스(주)
Priority to KR1020060114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7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eans incorporating sheet piles or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나 주택가 등의 절개면이나 굴토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되는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는 전면에는 콘크리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자연석을 접합할 수 있도록 접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및 하면에는 요홈 및 앵커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굴토면에 다수 적층되어 있는 옹벽블록들과; 적층된 상기 옹벽블록들이 토압에 의하여 전방측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일측은 상기 옹벽블록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굴토면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와이어와; 상기 지지와이어가 상기 옹벽블록에 고정되도록 상기 앵커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속봉과; 상기 지지와이어가 굴토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굴토면에 매립되어 있는 고정말뚝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굴토면, 옹벽블록, 자연석, 지지와이어

Description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REVETMENT-BLOCK STRUCTURE USING NATURAL STON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를 난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가 시공된 사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연석 10 : 옹벽블록
20 : 지지와이어 21 : 결속봉
23 : 지지와이어 23 : 지지판
본 발명은 도로나 주택가 등의 절개면이나 굴토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되는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개면이나 굴토면에 옹벽을 시공할 때 상기 옹벽의 외면에 자연석을 접합시킴으로써, 옹벽의 외관을 보다 아름답게 형성함과 동시에 그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옹벽은 도로와 경계를 이루는 주택부지, 도로 등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토사가 자체무게 및 우수 등의 자연조건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옹벽구조물은, 그 종류에 따라,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 시멘트 벽돌 등을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콘크리트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등으로 나뉠 수 있으며, 최근에는 공기의 단축 및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콘크리트를 이용한 옹벽구조물이 많이 반영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전원주택의 공급이 급속하게 증가되면서 산등성이를 굴토한 후, 그 곳 주택을 건설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서 옹벽은 단순히 토사의 붕괴만을 방지하는 기능은 물론 주위의 자연과 조화를 이루도록 축조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즉, 옹벽의 축조시 주변의 지형이나 건축물과 잘 조화를 이루도록 옹벽을 축조하는데 더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택부지 등에 옹벽구조물을 설치할 경우에는, 그 외관의 미를 창출하기 위해 자연석 예를 들어 바위 등을 이용한 옹벽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이 증가하고 있다.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전면에 배치되는 장식석의 후방에 별도의 지지석을 배치하고 브래킷 등을 이용하여 장식석과 지지석을 상호 연결지지함으로써 시공이 완료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에 있어서는, 장식석을 지지하는 지지석의 설치작업 자체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전체적인 시공이 그다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을뿐더러 시공작업 후, 안정성 및 견고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지지석을 사용함으로써 장식석을 다단으로 높게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그 높이에 제한을 받을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에 자연석이 접합되어 있는 콘크리트블록을 적층하여 옹벽을 형성함으로써, 옹벽을 시공한 후, 안정성 및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석으로 인하여 옹벽의 외관을 보다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는 전면에는 콘크리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자연석을 접합할 수 있도록 접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및 하면에는 요홈 및 앵커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굴토면에 다수 적층되어 있는 옹벽블록들과; 적층된 상기 옹벽블록들이 토압에 의하여 전방측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일측은 상기 옹벽블록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굴토면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와이어와; 상기 지지와이어가 상기 옹벽블록에 고정되도록 상기 앵커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속봉과; 상기 지지와이어가 굴토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굴토면에 매립되어 있는 고정말뚝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와이어의 타측에는 상기 지지와이어와 굴토면과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지지판이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하수관 보강구조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를 난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가 시공된 사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택부지, 도로 등의 경사면에는 토사가 자체무게 및 우수 등의 자연조건에 의해 주택부지나 도로로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옹벽블록구조가 시공되어 있다. 상기 옹벽블록구조는 다수의 옹벽블록(10)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옹벽블록(10)의 전면에는 콘크리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자연석(1)을 접합할 수 있도록 접합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옹벽블록(10)의 외면을 보다 자연석을 이용하여 보다 아름답게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옹벽블록(10)은 다수가 적층되어 옹벽블록주조를 형성하게 된다. 옹벽블록(1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적층된 옹벽블록(10)이 지지와이어(20)에 의하여 굴토면에 지지되도록 결속봉(21)이 삽입되는 앵커홈(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앵커홈(13)이 형성된 옹벽블록(10)의 부위 에는 지지와이어(20)가 옹벽블록(10)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요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앵커홈(13)은 요홈(15)의 내면에 형성되어 결속봉(21)이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옹벽블록(10)의 상면 테두리부에는 결합홈(17)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옹벽블록(10)의 결합홈(17)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9)가 형성되어 있다. 옹벽블록(10)은 하나의 옹벽블록(10)이 적층될 때마다 설치되는 지지와이어(20)에 의하여 절개면에 지지된다.
지지와이어(20)의 일단은 옹벽블록(10)의 요홈(15)에 삽입되어 결속봉(21)에 체결되어 있다. 지지와이어(20)는 요홈(15)에 의하여 옹벽블록(10)이 적층되어도 옹벽블록(10)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지지와이어(20)의 타단은 고정말뚝(23)에 지지되어 굴토면에 매립되며, 그 타단에는 지지와이어(20)와 굴토면과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지지판(25)이 더 부착되어 있다. 즉, 지지와이어(20)는 그 일단이 결속봉(21)에 의하여 옹벽블록(10)에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말뚝(23) 및 지지판(25)에 의하여 굴토면에 지지되므로, 적층된 상기 옹벽블록(10)들이 토압에 의하여 전방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에 의하면, 전면에 자연석이 접합되어 있는 콘크리트블록을 적층하여 옹벽을 형성함으로써, 옹벽을 시공한 후, 안정성 및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석으로 인하여 옹벽의 외관을 보다 아름답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면에는 콘크리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자연석(1)을 접합할 수 있도록 접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및 하면에는 요홈(15) 및 앵커홈(13)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테두리부에는 결합홈(17)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 테두리부에는 상기 결합홈(19)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9)가 형성되어 굴토면에 다수 적층되어 있는 옹벽블록(10)들과, 적층된 상기 옹벽블록들이 토압에 의하여 전방측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일측은 상기 옹벽블록에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판(25)이 부착되어 상기 굴토면에 고정되는 지지와이어(20)와, 상기 지지와이어가 상기 옹벽블록에 고정되도록 상기 앵커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속봉(21)으로 구성된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와이어(20)는 그 타측 끝단에 고정말뚝(23)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말뚝(23)은 굴토면에 수직으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
  2. 삭제
KR1020060114181A 2006-11-18 2006-11-18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 KR100797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181A KR100797766B1 (ko) 2006-11-18 2006-11-18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181A KR100797766B1 (ko) 2006-11-18 2006-11-18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766B1 true KR100797766B1 (ko) 2008-01-24

Family

ID=3921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181A KR100797766B1 (ko) 2006-11-18 2006-11-18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7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98020C2 (ru) * 2011-07-29 2013-11-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Трансгаз Краснодар" Противооползневое защитное сооружение
RU2649356C1 (ru) * 2016-12-30 2018-04-0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Анкерное крепление подпорной стены
AU2016221315B2 (en) * 2015-02-21 2019-09-19 Rajendra Vithal LADKAT A retaining wall method of precast block to prevent landsli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113A (ko) * 1998-05-13 1999-12-06 이정수 보강토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
KR200315991Y1 (ko) 2003-03-19 2003-06-11 오상홍 보강토 옹벽 적재용 자연석형 블럭
JP2003334807A (ja) * 2002-05-21 2003-11-25 稔 ▲高▼橋 ブロック製造用型枠及び該型枠を用いた自然石化粧面を有する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2004124394A (ja) * 2002-09-30 2004-04-22 Kankyo Kogaku Kk 擁壁構造及び擁壁構造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113A (ko) * 1998-05-13 1999-12-06 이정수 보강토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
JP2003334807A (ja) * 2002-05-21 2003-11-25 稔 ▲高▼橋 ブロック製造用型枠及び該型枠を用いた自然石化粧面を有する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2004124394A (ja) * 2002-09-30 2004-04-22 Kankyo Kogaku Kk 擁壁構造及び擁壁構造の施工方法
KR200315991Y1 (ko) 2003-03-19 2003-06-11 오상홍 보강토 옹벽 적재용 자연석형 블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98020C2 (ru) * 2011-07-29 2013-11-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азпром Трансгаз Краснодар" Противооползневое защитное сооружение
AU2016221315B2 (en) * 2015-02-21 2019-09-19 Rajendra Vithal LADKAT A retaining wall method of precast block to prevent landslide
RU2649356C1 (ru) * 2016-12-30 2018-04-0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Анкерное крепление подпорной стен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76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
JP2011144615A (ja) 組立式親環境植生ブロック
KR101807504B1 (ko) 시공이 편리한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KR100751585B1 (ko) 축조블록의 설치구조
KR101385172B1 (ko) 식재수단이 형성된 옹벽구조물
KR102263958B1 (ko) 옹벽용 조립식 블록 시공방법
KR101072286B1 (ko) 조립식 옹벽
KR100400170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
KR20160006305A (ko)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KR100696297B1 (ko) 도로의 친환경적인 옹벽구조물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KR101168859B1 (ko) 조형석 옹벽 및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
KR200461591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20090073330A (ko) 조경 옹벽구조물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KR200461055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CN201943244U (zh) 建筑用空心砌块
KR200448481Y1 (ko) 식재 가능한 절토사면 옹벽 구조
KR200396208Y1 (ko)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200334296Y1 (ko) 옹벽 블록을 이용한 응벽구조
JP2002220834A (ja) 補強土構造物および補強土ブロック
KR20210000098A (ko) 보도인접 방음벽 기초 구조물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73914B1 (ko) 평석을 구비한 뒷돌 고정식 산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38829B1 (ko) 옹벽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