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818Y1 - 옹벽용 블록 조립체 - Google Patents

옹벽용 블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818Y1
KR200482818Y1 KR2020140009666U KR20140009666U KR200482818Y1 KR 200482818 Y1 KR200482818 Y1 KR 200482818Y1 KR 2020140009666 U KR2020140009666 U KR 2020140009666U KR 20140009666 U KR20140009666 U KR 20140009666U KR 200482818 Y1 KR200482818 Y1 KR 200482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rner
blocks
fastening
portion 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377U (ko
Inventor
육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팔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팔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팔마
Priority to KR2020140009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81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3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3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8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 조립체는,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하부 블록,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 및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하는 상부 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옹벽용 블록 조립체{Block Assembly for Retaining Wall}
본 고안은 옹벽용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블록을 축조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 구조물은 도로, 하천 등의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토사 유출로 인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돌, 콘크리트, 콘크리트 패널,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구축되며, 규모 및 시공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재질의 옹벽 구조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재질의 옹벽은 콘크리트 특유의 색상 및 획일적인 형태로 인하여 위화감을 주게 되고, 자연경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아파트 단지, 공원, 박물관 및 전시관 등과 같은 공동생활단지 및 공공시설 등의 경사면, 절개지 및 계단 등을 이루는 옹벽 구조물에 콘크리트 재질의 옹벽을 설치할 경우, 자연친화적인 주거환경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취향에 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옹벽구조물은 토사에 의한 옹벽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옹벽높이 및 경사를 고려하여 구조 계산을 하고, 이에 따라 블록을 상단면이 평탄하도록 소정 높이로 축조한 후, 평탄하게 축조된 블록의 상면에 연결하여 후방으로 보강그리드를 설치하고, 상기 보강그리드가 매설되도록 토사를 매우고 다짐 작업을 한 다음, 다시 이러한 작업의 반복에 의해 옹벽구조물을 축조하였다.
그래서, 블록을 축조하고 보강그리드를 설치한 후 토사 매움 및 다짐 작업을 반복하는 시공은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작업이었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을 축조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경우, 토사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콘크리트 블록들을 철근 등으로 이루어진 연결핀과 연결바 등으로 연결하여 고정해야 하므로, 조립 구성품이 많아져서 생산성과 경제성이 떨어지고 조립 및 시공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작 및 조립이 매우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블록 축조 후 토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조립된 블록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 조립체는,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하부 블록,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 및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하는 상부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블록,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 상부 블록은, 각각 체결구에 의해 이웃하는 하부 블록,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 상부 블록과 연결되어 볼트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블록,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 상부 블록은, 각각 그 상면에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블록,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 상부 블록은, 각각 콘크리트로 성형시 상기 체결홈에 인서트 몰딩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블록,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 상부 블록은, 각각 지게차로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양측면에 마련된 한 쌍의 운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블록,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 상부 블록은, 각각 전면에 울퉁불퉁하게 형성되어 자연석과 같은 느낌을 주는 패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 조립체는,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일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는 제1코너블록, 및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일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코너블록과 코너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제2코너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코너블록 및 상기 제2코너블록은 각각, 상면에 상기 하부 블록,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 상부 블록 중 하나와 연결되어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1체결홈과, 상면에 상기 코너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2체결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너 체결구는 중간부가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코너블록은, 전면에 울퉁불퉁하게 형성되어 자연석과 같은 느낌을 주는 제1패턴부와, 일측면에 울퉁불퉁하게 형성된 제2패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코너블록은 상기 제2패턴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패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 조립체에 의하면, 블록을 제작하고 운반 및 적층하면서 연결하여 시공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토압에 견디는 지지력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옹벽이 평면인 경우뿐만 아니라 곡면이나 절곡면인 경우에도 블록들을 그에 맞추어 배열하고 적층하여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적층된 블록 조립체의 전면에 형성된 패턴은 자연석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록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중간 블록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록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한 쌍의 중간 코너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한 쌍의 중간 코너블록이 서로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 조립체(10)는 아래에서부터 하부 블록(100), 그 위에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200) 및 최상층에 상부 블록(300)이 적층된다.
상기 하부 블록(100)은 상면에 돌출부(120)가 형성되고, 그 위의 중간 블록(200)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230)에 상기 돌출부(120)가 삽입된다.
상기 중간 블록(200)은 하면에 상기한 오목부(230)가 형성됨은 물론, 상면에 돌출부(220)도 형성된다.
상기 상부 블록(300)은 하면에 오목부(330)만 형성되고 상면은 평탄면을 이룰 수 있다.
각 돌출부(120, 220)는 블록마다 2개 이상 마련될 수 있고, 사각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 오목부(230, 330)는 각 돌출부(120, 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뿔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각 돌출부(120, 220)는 2개 이상의 사각뿔대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는 반면에, 각 오목부(230, 330)는 좌우방향으로 양 측면까지 연속된 하나의 오목한 홈을 이룰 수 있다.
만약, 각 오목부(230, 330)가 각 돌출부(120, 220)와 같은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치수 공차에 의해 돌출부가 오목부에 삽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오목부(230, 330)는 각 돌출부(120, 220)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되, 좌우 측면까지 연속된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 블록(200)은 옹벽의 높이에 따라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중간 블록(200)은 그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한 돌출부(220)와 오목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반면에, 상기 하부 블록(100)은 그 하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상부 블록(300)은 그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각 블록들은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고 블록 성형용 몰드 내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3가지 블록(100, 200, 300)은 옹벽용 블록 조립체를 구성하는 단위체로서 각 블록의 옆으로 동일한 블록들을 배열하면서 적층할 수 있다.
그렇게 이웃하는 블록들을 배치한 다음에, 상기 하부 블록(100),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200), 상부 블록(300)은, 각각 체결구(400)에 의해 이웃하는 하부 블록,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 상부 블록과 연결되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구(400)는 충분한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해 주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두 블록 사이에 각각 볼트(450)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400)는 길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볼트(450)가 관통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체결공(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블록(100),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200), 상부 블록(300)은, 각각 그 상면에 상기 체결구(450)가 삽입되는 체결홈(150, 250, 350)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홈(150, 250, 350)은 각 블록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양측면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400)의 폭과 두께보다 큰 폭을 가져서 상기 체결구(400)가 상기 체결홈(150, 250, 350)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블록(100),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200), 상부 블록(300)은 각각 콘크리트로 성형시 상기 체결홈(150, 250, 350)에 인서트 몰딩되는 너트(160, 260, 3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트(160, 260, 360)는 상기한 볼트(450)와 체결되는 것이므로, 상기 체결구(400)의 체결공(41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인서트 너트(160, 260, 360)가 각 블록의 체결홈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체결구(400)를 볼트(450)로 체결할 때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을 뚫는 등의 추가 작업이 필요 없고 조립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각 블록은 각각 전면에 울퉁불퉁하게 형성되어 자연석과 같은 느낌을 주는 패턴부(110, 210, 3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부(110, 210, 310)는 각 블록을 콘크리트로 성형할 때 틀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이 그대로 전사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10, 210, 310)에 의해 블록들을 적층하였을 때 인공 석재의 느낌이 아니라 자연석을 쌓아올린 듯한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블록(100, 200, 300)은 각각 지게차로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양측면에 마련된 한 쌍의 운반홈(180, 280, 38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블록(100, 200, 300)은 전후방향 길이와 좌우방향 길이가 약 1000mm, 그 높이가 약 500mm로 상당히 크게 형성될 수 있는바, 콘크리트로 만든 각 블록의 무게가 상당하다.
따라서, 각 블록을 운반하는 것이 블록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데, 각 블록의 양측면에 상기한 한 쌍의 운반홈(180, 280, 380)이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게차로 블록을 쉽게 운반하여 적층할 수 있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반홈(280)은 전체적으로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후단부의 높이가 점점 커져서 벌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반홈(280)이 벌어져 있기 때문에 지게차의 포크가 상기 운반홈(280)에 쉽게 들어갈 수 있어서, 블록의 운반 작업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블록의 양측면은 전면의 폭이 후면의 폭보다 크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의 폭은 약 1000mm이고, 후면의 폭은 약 800mm로 형성될 수 있다.
각 블록의 측면을 소정 각도 경사지게 함으로써 블록들을 적층할 때 인접하는 블록과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열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400)는 상기 체결홈(150, 250, 350)보다 작은 폭을 가져서, 두 블록이 경사지게 배치될 경우에도 두 블록 사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구(400)의 체결공(410)은 장공 형태로 이루어져서 볼트(45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위치가 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400) 자체가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구(400)의 중간이 5도, 10도, 15도, 20도로 절곡된 것을 제작하고 필요한 각도로 절곡된 체결구(400)를 두 블록 사이에 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블록 조립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지그재그로 엇갈리게 적층될 수도 있다.
즉, 하부 블록(100)의 위에 중간 블록(200)이 포개지도록 적층되는 것이 아니라 2개의 하부 블록(100)의 위에 상기 중간 블록(200)이 걸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오목부(230, 330)가 좌우로 뚫려 있는 형태이므로, 블록이 적층될 때 엇갈리게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블록들을 적층할 때 엇갈리게 적층하면서도 인접하는 블록들이 서로 경사지게 배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목부(230, 330)는 상기 돌출부(120, 22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120, 220)가 정사각뿔대 형태로 이루어질 때 그 상단의 한 변 길이는 150mm, 하단의 한 변 길이는 250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목부(230, 330)는 그 상단 폭이 170mm, 그 하단 폭이 270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블록을 인접하는 다른 블록과 경사지게, 그리고 블록들을 엇갈리게 적층할 경우에도 상기 돌출부(120, 220)가 상기 오목부(230, 330)에 삽입되어 상층의 블록이 하층의 블록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체결구(400)는 인접하는 한 층의 블록들을 연결하여 블록들이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블록 조립체(10)는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530)와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520)와 일측면에 형성된 경사면(570)을 구비하는 제1코너블록(500)과,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630)와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620)와 일측면에 형성된 경사면(670)을 구비하고, 상기 제1코너블록과 코너 체결구(700)에 의해 체결되는 제2코너블록(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코너블록(500)과 상기 제2코너블록(600)은 블록 조립체(10)가 약 90도로 배치되는 곳에 적층되고, 상기한 일반적인 각 블록(100, 200, 300)과도 인접하게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코너블록(500)과 상기 제2코너블록(600)도 각각 하부 코너블록과 중간 코너블록과 상부 코너블록으로 나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상기 제1코너블록(500)과 상기 제2코너블록(600)의 중간 코너블록이 도시되어 있는데, 중간 코너블록에는 상면에 하나씩의 돌출부(520, 620)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530, 6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530, 630)는 일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고, 그 반대쪽 측면에는 경사면(570, 670)이 형성되어 두 경사면(570, 670)이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경사면(570, 670)이 블록의 꼭지점까지 연장되는 경우 뾰족한 모서리 형태에 의해 블록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상기 경사면(570, 670)은 꼭지점에서 소정 거리까지만 연장되어 뾰족한 부위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코너블록(500) 및 상기 제2코너블록(600)은 각각, 상면에 상기 하부 블록(100),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200), 상부 블록(300) 중 하나와 연결되어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구(400)가 삽입되는 제1체결홈(540, 640)과, 상면에 상기 코너 체결구(700)가 삽입되는 제2체결홈(550, 6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홈(540, 640)은 상기 일반적인 각 블록의 체결홈(150, 250, 35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홈(550, 650)은 상기 제1체결홈(540, 640)보다 각 코너블록(500, 600)의 전면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경사면(570, 670)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코너 체결구(700)는 상기 두 제2체결홈(550, 650)이 서로 약 90도의 각도로 배치되기 때문에 약 90도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너 체결구(700)의 적어도 두 곳에 체결공(710)이 마련되어 볼트(750)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두 제2체결홈(550, 650)이 직선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코너 체결구(700)도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체결홈(540, 640)과 상기 제2체결홈(550, 650)에도 콘크리트로 성형시에 인서트되는 너트(560, 660)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코너블록(500)과 상기 제2코너블록(600)도 각각 자연석 무늬의 패턴부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코너블록(500)은 전면에 울퉁불퉁하게 형성되어 자연석과 같은 느낌을 주는 제1패턴부(510)와, 일측면에 울퉁불퉁하게 형성된 제2패턴부(58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코너블록(600)은 상기 제2패턴부(580)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패턴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패턴부(510)는 상기한 일반적인 각 블록의 패턴부(110, 210, 310)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패턴부(580)는 상기 경사면(570)의 앞쪽에서 우측방으로 형성된 부위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코너블록(600)의 제2패턴부(580)는 상기 제1코너블록(500)의 제1패턴부(510)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부(580)와 함께 조립된 두 코너블록(500, 600)의 우측면 패턴부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일반적인 블록들(100, 200, 300)을 엇갈리게 적층하는 경우라면, 상기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그 폭이 절반으로 형성된 것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코너블록(500, 600)은 엇갈리게 적층되지 않고 포개지는 형태로 적층되므로, 상기 일반적인 블록들(100, 200, 300)을 엇갈리게 적층하고 상기 코너블록(500, 600)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절반의 폭을 가진 블록이 필요하다.
이 경우, 상기 절반 블록은 하나의 돌출부를 가지고 오목부도 좌우로 연통되지만 절반의 길이를 갖고 인서트 너트가 2개 배치될 수 있다.
체결구도 그에 맞추어 상기한 일반 체결구(400)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것이다.
이렇게 일반 블록을 엇갈리게 적층하고 코너블록과 연결하는 경우, 전면에 더욱 다양한 패턴을 구현할 수 있고, 포개지도록 적층하는 경우보다 토압에 견디는 지지력이 더욱 커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블록 조립체에 의하면, 옹벽이 평면이나 곡면 또는 절곡면을 이루더라도 블록들을 운반하고 조립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블록 조립체의 뒤에 매워지는 토사의 압력을 견디는 지지력이 매우 커서 튼튼한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
10: 블록 조립체
100: 하부 블록
110: 패턴부
120: 돌출부
150: 체결홈
160: 너트
180: 운반홈
200: 중간 블록
210: 패턴부
220: 돌출부
230: 오목부
250: 체결홈
260: 너트
280: 운반홈
300: 상부 블록
310: 패턴부
330: 오목부
350: 체결홈
360: 너트
380: 운반홈
400: 체결구
410: 체결공
450: 볼트
500: 코너 제1블록
510: 제1패턴부
520: 돌출부
530: 오목부
540: 제1체결홈
550: 제2체결홈
560: 너트
570: 경사면
580: 제2패턴부
600: 코너 제2블록
610: 패턴부
620: 돌출부
630: 오목부
640: 제1체결홈
650: 제2체결홈
660: 너트
670: 경사면
700: 코너 체결구
710: 체결공
750: 볼트

Claims (10)

  1.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하부 블록;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하는 상부 블록;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일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는 제1코너블록; 및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일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코너블록과 중간부가 절곡된 형태를 가진 코너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제2코너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블록,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 상부 블록은, 각각 그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구에 의해 이웃하는 블록과 연결되어 볼트로 체결되며,
    상기 하부 블록,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 상부 블록은, 각각 그 양측면이 전면의 폭이 후면의 폭보다 크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하부 블록, 중간 블록, 상부 블록의 각 체결홈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체결구에는 상기 볼트가 통과하는 2개 이상의 체결공이 마련되고, 상기 체결공은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코너블록 및 상기 제2코너블록은 각각, 상면에 상기 하부 블록,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 상부 블록 중 하나와 연결되어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1체결홈과, 상면에 상기 코너 체결구가 삽입되는 제2체결홈을 더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블록,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 상부 블록은, 각각 콘크리트로 성형시 상기 체결홈에 인서트 몰딩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블록,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 상부 블록은, 각각 지게차로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양측면에 마련된 한 쌍의 운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블록,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 상부 블록은, 각각 전면에 울퉁불퉁하게 형성되어 자연석과 같은 느낌을 주는 패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중간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너블록은, 전면에 울퉁불퉁하게 형성되어 자연석과 같은 느낌을 주는 제1패턴부와, 일측면에 울퉁불퉁하게 형성된 제2패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코너블록은 상기 제2패턴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패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조립체.
KR2020140009666U 2014-12-30 2014-12-30 옹벽용 블록 조립체 KR200482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666U KR200482818Y1 (ko) 2014-12-30 2014-12-30 옹벽용 블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666U KR200482818Y1 (ko) 2014-12-30 2014-12-30 옹벽용 블록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377U KR20160002377U (ko) 2016-07-08
KR200482818Y1 true KR200482818Y1 (ko) 2017-03-07

Family

ID=5649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666U KR200482818Y1 (ko) 2014-12-30 2014-12-30 옹벽용 블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8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492U (ko) 2017-12-11 2019-06-19 정재우 조명기능을 구비한 옹벽블록
KR101975502B1 (ko) * 2018-11-07 2019-05-08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388Y1 (ko) * 2004-06-09 2004-10-01 김현덕 옹벽용 블록구조체
KR100801017B1 (ko) * 2007-09-04 2008-02-04 주식회사 광명기업 조립식 수로용 옹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4018A (ja) * 1989-10-27 1991-06-19 Nippon Nachiyurotsuku Kk コーナー用化粧ブロック
JPH11350886A (ja) * 1998-06-11 1999-12-21 Kumagai Gumi Co Ltd 側面封入式継手構造及びセグメン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388Y1 (ko) * 2004-06-09 2004-10-01 김현덕 옹벽용 블록구조체
KR100801017B1 (ko) * 2007-09-04 2008-02-04 주식회사 광명기업 조립식 수로용 옹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377U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2107B2 (ja) ブロックの製造方法
US7396190B2 (en) Extended width retaining wall block
US9951490B2 (en) Block, flood protection barri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barrier of this type
KR200482818Y1 (ko) 옹벽용 블록 조립체
JP2017515026A (ja) 壁またはヴォールト用の型枠堰板
KR101116393B1 (ko) 보강토 옹벽용 블럭
WO2012015791A1 (en) Process for casting concrete wall blocks for use with geogrids
KR20200007335A (ko)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WO2011132082A2 (en) High strength low density multi purpose panel
KR20090088479A (ko)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벽체
US20140037389A1 (en) Structural Unit and Positioning Member
KR20090012897U (ko) 복합형 옹벽 블록
JP4933867B2 (ja) 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部材、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体、及び、これらを用いた雨水等貯留浸透施設
CN103352478A (zh) 自锁式加筋土挡墙面块及挡墙系统
KR200396208Y1 (ko)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10254662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KR200363388Y1 (ko) 옹벽용 블록구조체
KR102112678B1 (ko) 결속블록을 구비한 보강토 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20200000273U (ko) 경사 조절이 가능한 옹벽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블록식 옹벽
KR20190115571A (ko) 건축물의 내벽 건축을 위한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KR101025326B1 (ko) 축대용 블록
JP3972364B2 (ja) 擁壁
JP3048627B2 (ja) ブロックを用いた凹凸曲線状擁壁
KR101075851B1 (ko)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
JP2006022582A (ja) 擁壁用組ブロック及び擁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