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326B1 - 축대용 블록 - Google Patents

축대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326B1
KR101025326B1 KR1020100068468A KR20100068468A KR101025326B1 KR 101025326 B1 KR101025326 B1 KR 101025326B1 KR 1020100068468 A KR1020100068468 A KR 1020100068468A KR 20100068468 A KR20100068468 A KR 20100068468A KR 101025326 B1 KR101025326 B1 KR 101025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plate
block body
desig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채석
Original Assignee
전채석
주식회사 디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채석, 주식회사 디플러스 filed Critical 전채석
Priority to KR1020100068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본체, 결속판, 디자인판으로 구성되고, 블록본체의 전면에 디자인판이 결속판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어 제품의 용도 및 기능에 따라 디자인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축대용 블록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대용 블록은 디자인판이 용이하게 조립 및 교체되기 때문에 블록 전면의 디자인 및 질감을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하고 고급스럽게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 전면이 파손되었을 때 용이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축대용 블록{BLOCK}
본 발명은 축대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본체의 전면에 별도의 디자인판이 조립되되 디자인판은 제품의 용도 및 기능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제품의 다양성 및 고급화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한 축대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대용 블록(또는 옹벽용 블록)은 경사면이 급한 지대에 토사가 붕괴되거나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벽체 식으로 축조되는 블록을 말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단순히 축대용의 기능뿐 아니라 주변 미관을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통상의 축대용 블록은 직사각 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입방체로 디자인되고, 상하로 적층이 가능하게 설계되며, 블록의 중간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상하로 적층된 블록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축대용 블록들은 제품에 따라 전면의 디자인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디자인의 다양성 및 고급화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축대용 블록은 운반 또는 시공 중에 블록의 전면 일부분이 파손되면 축대용 블록을 전체적으로 파기해야 하였으며,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축대용 블록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재질로만 제조가 되기 때문에 제품의 디자인 및 기능성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블록본체의 전면에 다양한 재질의 디자인판이 교체 가능하게 조립되어 디자인 상의 다양성 및 고급화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고, 운반 또는 시공 중에 충격에 의해 디자인판의 일부분이 파손되면 블록본체는 그대로 사용하고 디자인판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 경제적 이득을 실현한 축대용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상하로 적층 가능한 구조를 갖고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결속돌기가 형성된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결속돌기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속홈이 형성된 결속판; 및 상기 결속판의 전면에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디자인이 표현된 디자인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축대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결속돌기는 전면보다 후면의 폭이 좁은 역각 형상을 갖도록 하여 결속판에 형성된 결속홈을 통해 디자인판을 블록본체에 결합하였을 때 디자인판이 블록본체의 전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되고, 상기 결속돌기의 상단은 블록본체의 상면에서 1㎜ 내지 10㎜ 정도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시작하며, 상기 결속홈은 하단이 개구되어 결속돌기에 끼워지되 상단은 막혀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하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구성되며, 상기 결속판의 상단과 결속홈의 사이의 막혀 있는 부분은 결속돌기의 상단과 블록본체의 상면 사이의 간격보다 작거나 동일한 폭을 갖도록 하여 결속판이 블록본체에 결합되었을 때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블록본체는 결속돌기를 디자인화하여 디자인판을 결합하지 않고 블록본체 자체를 축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블록본체의 전면에 조립되는 디자인판을 다수 개로 구성하여 하나의 블록본체에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갖는 다수의 디자인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대용 블록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축대용 블록은 블록본체와 디자인판이 별도로 제작되어 서로 조립 및 결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블록 전면의 디자인 및 질감을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하고 고급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대용 블록은 디자인판의 소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기존 블록의 한계점을 극복한 새로운 방식의 축대용 블록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대용 블록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전면 일부분이 파손되면 디자인판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시공된 상태에서 파손된 축대용 블록을 전체적으로 교환하려면 작업이 어렵고 비효율적이지만 본 발명은 파손된 축대용 블록의 디자인판만 분리하여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대용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대용 블록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대용 블록에 대한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대용 블록에서 결속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대용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축대용 블록은 블록본체(10), 결속판(20), 디자인판(30)으로 구성된다.
블록본체(10)는 상하로 적층 가능한 구조를 갖으며, 전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결속돌기(12)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하로 적층 가능한 구조는 공지의 기술을 적용하면 되는데, 예를 들면 상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이 요철부와 대응되는 요홈부를 형성하여 요철부가 요홈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방식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고, 다른 방식으로 적층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수의 결속돌기(12)는 블록본체(10)의 전면에서 좌우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되게 형성되며, 결속돌기(12)는 전면보다 후면이 폭이 좁은 역각 형상을 갖도록 하여 후술하는 결속판(20)의 결속홈(22)이 상부에서 수직으로 끼워져 결합되었을 때 전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결속돌기(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각 기둥의 형상을 갖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의 형상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도 2와 도 4에 도시된 결속돌기(12)의 형상은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역각 형상을 갖는다면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블록본체(10)의 전면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을 갖도록 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을 갖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블록본체(10)의 전면 형상도 상기 실시예 외에 다른 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속판(20)은 블록본체(10)와 디자인판(30) 사이에 개재되어 블록본체(10)와 디자인판(3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후면에 블록본체(10)의 결속돌기(12)와 대응되는 결속홈(22)이 형성되고, 이 결속홈(22)을 통해 블록본체(10)의 결속돌기(12)에 조립되어 고정되게 구성된다. 여기에서, 결속판(20)은 결합하고자 하는 결속돌기(12)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하여 다수 개로 구분되게 구성할 수도 있고, 다수 개의 결속판(20)이 한 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결속판(20)의 결속홈(22)도 결속판(20)의 전후로 관통되게 구성할 수도 있고, 결속판(20)의 후면에만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자인판(30)은 결속판(20)의 전면에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디자인판(30)의 전면(32)에는 제품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 표현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결속판(20)과 디자인판(30)은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고,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통상의 용접 방식, 볼트 방식, 인서트 방식 또는 접착 방식 등에 의해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블록본체(10)의 결속돌기(12)는 그 상단이 블록본체(10)의 상면에서 1㎜ 내지 10㎜ 사이의 간격(G)을 두고 시작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속판(20)의 결속홈(22)은 하단이 개구되어 결속돌기(12)에 끼워지되 상단은 막혀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결속홈(22)을 결속돌기(12)에 끼워 넣으면 반대 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구성되며, 결속판(20)의 상단과 결속홈(22)의 사이의 막혀 있는 부분은 결속돌기(12)의 상단과 블록본체(10)의 상면 사이의 간격(1㎜ 내지 10㎜ 사이의 간격)보다 작거나 동일한 폭을 갖도록 하여 결속판(20)이 블록본체(10)에 결합되었을 때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블록본체(10)를 상하로 적층하였을 때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블록본체(10)의 결속돌기(12)에 결속판(12)의 결속홈(22)이 결합될 때 결속판(12)이 결합되지 않는 나머지 결속돌기(12)들은 디자인판(30)의 후면에 밀착되어 디자인판(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재질을 설명하면, 블록본체(10)는 콘크리트로 제조되고, 디자인판(30)은 석재, 철판, 플라스틱, 콘크리트, 목재, 유리, 점토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되고, 결속판(20)은 디자인판(30)과 동일한 재질로 한 번에 성형하거나, 디자인판(30)과 다른 재질로 제조하여 서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디자인판(30)의 전면(32) 디자인은 디자인판(30)의 전면에 직접 무늬를 형성하여 표현할 수도 있고, 디자인판(30)의 전면에 유리구슬, 스팽글, 타일, 조약돌들이 부착되어 일체감을 갖도록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디자인판(30)을 전면층, 중간층, 후면층이 서로 포개지게 구성되되, 전면층은 투명하게 구성되고, 중간층은 다양한 컬러 및 디자인의 색상지, 홀로그램, 반짝이, 반사지로 구성되어 색다른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디자인판(30)의 전면(32)은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디자인판(30)은 블록본체(10)와 대응되게 전체가 하나로 일체화된 구조 대신 다수 개가 분리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10)의 전면이 다각형인 경우에는 절곡된 면마다 별도의 디자인판(30)이 결합되도록 하여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갖는 디자인판(30)이 하나의 블록본체(10)에 결합되어 새로운 느낌 또는 심미감을 주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10)의 전면이 직선형일 때에도 좌측과 우측(또는 좌측, 중간, 우측)의 디자인판(30)을 각각 분리하여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갖는 디자인판(10)이 좌측과 우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느낌 또는 심미감을 주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축대용 블록은 블록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결속돌기(12)에 디자인판(30)과 일체로 형성된 결속판(20)의 후면에 형성된 결속홈(22)이 끼워지도록 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다수의 축대용 블록은 현장에 맞게 적층 방식으로 쌓아가면서 시공하면 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축대용 블록은 블록본체(10)를 먼저 적층 방식으로 쌓은 상태에서 디자인판(30)을 각각 조립하는 방식으로 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디자인판(30)을 결합하지 않고 블록본체(10)만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블록본체(10)의 결속돌기(12)는 자체적으로 디자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디자인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블록본체 12: 결속돌기
20: 결속판 22: 결속홈
30: 디자인판

Claims (7)

  1. 상하로 적층 가능한 구조를 갖고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결속돌기가 형성된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결속돌기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속홈이 형성된 결속판; 및 상기 결속판의 전면에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디자인이 표현된 디자인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축대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결속돌기는 전면보다 후면의 폭이 좁은 역각 형상을 갖도록 하여 결속판에 형성된 결속홈을 통해 디자인판을 블록본체에 결합하였을 때 디자인판이 블록본체의 전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되고,
    상기 결속돌기의 상단은 블록본체의 상면에서 1㎜ 내지 10㎜ 정도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시작하며, 상기 결속홈은 하단이 개구되어 결속돌기에 끼워지되 상단은 막혀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하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구성되며, 상기 결속판의 상단과 결속홈의 사이의 막혀 있는 부분은 결속돌기의 상단과 블록본체의 상면 사이의 간격보다 작거나 동일한 폭을 갖도록 하여 결속판이 블록본체에 결합되었을 때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블록본체는 결속돌기를 디자인화하여 디자인판을 결합하지 않고 블록본체 자체를 축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블록본체의 전면에 조립되는 디자인판을 다수 개로 구성하여 하나의 블록본체에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갖는 다수의 디자인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대용 블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는 콘크리트로 제조되고,
    상기 디자인판은 석재, 철판, 플라스틱, 콘크리트, 목재, 유리, 점토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되고,
    상기 결속판은 상기 디자인판과 동일한 재질로 디자인판과 함께 한 번에 성형되거나, 디자인판과 다른 재질로 제조하여 볼트나 용접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게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축대용 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판은 전면층, 중간층, 후면층로 구성되되, 전면층은 투명하게 구성되고, 중간층은 다양한 컬러 및 디자인의 색상지, 홀로그램, 반짝이, 반사지로 구성되어 색다른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대용 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판은 전면에 유리구슬, 스팽글, 타일, 조약돌 중 어느 하나가 부착되어 일체감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대용 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의 전면은 다각형으로 절곡되게 제조되고, 블록본체의 절곡된 면마다 별도의 디자인판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대용 블록.
  7. 삭제
KR1020100068468A 2010-07-15 2010-07-15 축대용 블록 KR101025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468A KR101025326B1 (ko) 2010-07-15 2010-07-15 축대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468A KR101025326B1 (ko) 2010-07-15 2010-07-15 축대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326B1 true KR101025326B1 (ko) 2011-03-29

Family

ID=4393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468A KR101025326B1 (ko) 2010-07-15 2010-07-15 축대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3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543B1 (ko) * 2021-08-27 2022-04-25 강병준 보강토 옹벽용 콘크리트 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932A (ja) * 1995-06-20 1997-01-07 Daikichi Suematsu デザインパネル
KR200344106Y1 (ko) * 2003-11-26 2004-03-10 합자회사 대덕산업 옹벽용 블럭어셈블리
KR20090011944U (ko) * 2008-05-21 2009-11-25 최경동 옹벽 블록
KR100930886B1 (ko) * 2009-04-17 2010-01-06 강선욱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932A (ja) * 1995-06-20 1997-01-07 Daikichi Suematsu デザインパネル
KR200344106Y1 (ko) * 2003-11-26 2004-03-10 합자회사 대덕산업 옹벽용 블럭어셈블리
KR20090011944U (ko) * 2008-05-21 2009-11-25 최경동 옹벽 블록
KR100930886B1 (ko) * 2009-04-17 2010-01-06 강선욱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543B1 (ko) * 2021-08-27 2022-04-25 강병준 보강토 옹벽용 콘크리트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85064B2 (en) Wall block with interlock
US7165374B2 (en) Wall system and method
US6233897B1 (en) Landscaping block
USD662225S1 (en) Precast panel for use in a live-fire training structure
CA2692333A1 (en) Method of making wall block
CA2060379A1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JP5597105B2 (ja) 建築用板材
KR200396205Y1 (ko) 친환경 식생블럭
KR101116393B1 (ko) 보강토 옹벽용 블럭
KR101025326B1 (ko) 축대용 블록
US9091081B2 (en) Exterior-wall structure
ATE401470T1 (de) Stapelbares baupaneel
KR200198228Y1 (ko) 조립식 입체 판블록
KR200482818Y1 (ko) 옹벽용 블록 조립체
CA2654366A1 (en) Improvement in interlocking toy bricks
KR20070067979A (ko) 자석을 이용한 입체형 자석완구
KR20150127016A (ko) 외면 장식재 장착형 옹벽 블럭
JP3930016B2 (ja) 建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US20220178142A1 (en) Column cover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KR20130006024U (ko)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
USD588209S1 (en) Toy building block
KR101069326B1 (ko) 원추형 기초용기
KR100770042B1 (ko) 조립식 옹벽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
CA2555692C (en) Interlocking rubber mat resembling a paving stone surface
KR940005650Y1 (ko) 구축용 조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