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326B1 - 원추형 기초용기 - Google Patents

원추형 기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326B1
KR101069326B1 KR1020100029476A KR20100029476A KR101069326B1 KR 101069326 B1 KR101069326 B1 KR 101069326B1 KR 1020100029476 A KR1020100029476 A KR 1020100029476A KR 20100029476 A KR20100029476 A KR 20100029476A KR 101069326 B1 KR101069326 B1 KR 101069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ical
container
base container
protrusions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1778A (ko
Inventor
이정영
홍기채
Original Assignee
시지엔지니어링(주)
이정영
홍기채
시지이엔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지엔지니어링(주), 이정영, 홍기채, 시지이엔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지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00029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3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51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92Shapes conical or convex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형상을 개선하여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공간부의 용적을 축소함으로써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킨 원추형 기초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추형 기초용기는 콘크리트가 채우지는 공간부의 용적이 커서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추부가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원추부의 하측에 파일부가 형성된 원추형 기초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추부(21)의 상측 외주면에는 복수의 돌출부(23)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3)에는 상측통공(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추형 기초용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원추부의 상측에 4개의 돌출부를 방사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공간부의 용적이 최소화되고, 반면에 쇄석이 채워지는 용기의 외측은 최대가 되어 비용이 높은 콘크리트의 양은 줄고,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쇄석의 양은 증가하여 자재량 감소에 의한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추형 기초용기{Mould for cone type foundation}
본 발명은 현장에서 타설되어 건축물의 기초바닥구조를 이루는 원추형 기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추형 기초용기의 형상을 개선하여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공간부의 용적을 축소함으로써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킨 원추형 기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톱 베이스(top-base)'로 불리는 '원추형 기초용기' 공법은 지지력이 부족한 연약지반에 지상구조물을 세울 때 활용되는 공법으로, 기초 지반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면서 구조물의 전체 침하와 부등침하를 억제하고, 시공장소의 협소와 대형장비의 시설에 구애받지 않으며, 건설공해가 없으면서 기초에 흡진 및 방진효과와 내진성을 고려하여야 하는 경우에 주로 적용된다. 초경량화된 팽이말뚝의 용이한 현장반입과 저렴한 자재비, 이로 인한 간편한 시공성 때문에 총공사비가 매우 저렴하여 혁신적인 신기술 신공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종래에 의한 원추형 기초의 시공방법은 현장타설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11)가 형성된 복수의 원추형 기초용기(10)를 사방으로 나란히 밀착시켜 배열한 후, 상·하측 철근(2)(1)을 이용하여 견고히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상측철근(2)은 원추형 기초용기용기(10)의 상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4개의 절개홈(12)에 십자형으로 설치되는데, 연장된 상측철근(2)은 인접한 원추형 기초용기(10)의 절개홈(12)에 삽입되어 복수의 원추형 기초용기(10)를 결속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11)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4개의 원추형 기초용기(10)가 서로 인접하면서 형성된 공간에는 쇄석을 채워넣고, 그 위로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을 완료한다.
이러한 종래의 원추형 기초용기(10)는 공간부(11)의 상측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4개의 원추형 기초용기(10)가 인접하며 형성된 공간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비용이 높은 많은 양의 콘크리트가 공간부(11)에 채워지고, 비용이 비교적 저렴한 쇄석은 원추형 기초용기(10)의 외측에 적은 양이 채워짐으로써 자재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원추형 기초용기(10)가 절개홈(12)에 십자형으로 설치되는 긴 상측철근(2)에 의해 결속됨으로써 인력과 자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원추형 기초용기의 형상을 개선하여 공간부의 용적을 축소함으로써 비용이 높은 콘크리트의 양은 줄이고, 비용이 저렴한 쇄석의 양은 늘려 자재비용이 감소하는 경제적인 원추형 기초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접한 원추형 기초용기를 짧은 철근으로 결속할 수 있도록 개선함으로써 공기단축과 자재량을 감소시키는 원추형 기초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추형 기초용기는 일정크기의 지름(D)을 갖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원추부가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원추부의 하측에는 일정길이의 파일부가 형성된 팽이형상의 원추형 기초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추부(21)의 상측 외주면에는 전후좌우에 걸쳐 각각 90도 각도를 이루어 4개의 돌출부(23)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3)에는 인접한 원추형 기초용기(20)의 다른 돌출부가 서로 수평상태로 면접촉할 수 있도록 수평면의 편평부(23a)가 형성되며, 상기 편평부(23a)에는 짧은 상측철근(27)이 각각 관통하여 결속될 수 있도록 상측통공(24)이 형성되되, 상기 짧은 상측철근(27)은 서로 면접촉되는 편평부(23a)들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상측통공(24)만을 관통하여 결속하도록 짧은 길이인 것이 적용되고, 상기 전후좌우에 형성되는 4개의 돌출부들 중, 전후 또는 좌우에 대향되는 두 개의 편평부(23a)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일정크기의 지름(D)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돌출부(23)들의 편평부(23a)들 사이의 원추부(21) 사이 지름(d)은 상기 일정크기의 지름(D)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 기초용기에 의하면, 원추부의 상측에 4개의 돌출부를 방사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공간부의 용적이 최소화되고, 반면에 쇄석이 채워지는 용기의 외측은 최대가 되어 비용이 높은 콘크리트의 양은 줄고,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쇄석의 양은 증가하여 자재량 감소에 의한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출부의 전면에 편평부와 상측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짧은 상측철근의 사용이 가능해져 공기단축, 자재량 감소에 의한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짧은 상측철근을 이용하여 돌출부의 전면에 형성된 편평부의 상측통공을 통해 서로 인접하는 원추형 기초용기들을 결속시키게 됨으로써, 짧은 상측철근이 종방향 즉 윗방향으로 빠지지 않아 인접하는 원추형 기초용기들의 결속력이 증대되고, 또 서로 인접하는 원추형 기초용기들은 각각 돌출부의 편평부가 수평면을 이루어 면접촉을 이루고 있는바, 회전에 따른 어긋남이 전혀 발생되지 않고 정렬되게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어느 하나의 원추형 기초용기는 전후좌우에 각각 형성된 4개의 돌출부 편평부가 각각 다른 원추형 기초용기의 대향되는 돌출부 편평부와 수평면을 이루어 면접촉을 이루고 있으므로, 각각 밀찰되는 편평부들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원추형 기초용기가 회전이 전혀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어긋남 없이 정렬된 결속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원추형 기초용기를 철근으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추형 기초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추형 기초용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추형 기초용기를 철근으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원추형 기초용기를 이용한 건축물의 기초바닥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종래용기 지름과 본 발명의 원추부 지름을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추형 기초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원추형 기초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원추형 기초용기를 철근으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원추형 기초용기를 이용한 건축물의 기초바닥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원추형 기초용기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 원추형상의 원추부(2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원추부(21)의 내측에는 콘크리트(3)가 채워지는 공간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추부(21)의 상측에는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돌출된 4개의 돌출부(23)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23)의 전면에는 편평부(23a)가 형성되고, 상기 편평부(23a)에는 상측철근(27)이 관통되는 상측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원추부(21)의 하측에는 하방으로 형성된 파일부(25)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일부(25)의 일측에는 하측철근(1)이 관통되는 4개의 하측통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원추형 기초용기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기초바닥에 설치되는데, 복수의 원추형 기초용기(20)를 전후, 좌우로 나란히 배열하고, 상·하측 철근(27)(1)을 사용하여 견고히 결속한다.
이때 인접하는 원추형 기초용기(20)는 돌출부(23)의 편평부(23a)가 서로 긴밀히 밀착하도록 설치하고, 하측통공(26)에는 길이가 긴 하측철근(1)을 관통시켜 파일부(25)를 결속한다.
그리고 두 개의 돌출부(23)가 밀착함으로써 대향하게 설치된 상측통공(24)에는 길이가 짧은 상측철근(27)을 삽입하여 원추부(21)를 결속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돌출부(23)가 면접촉에 의해 긴밀히 밀착하여 원추부(21)의 측방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짧은 상측철근(27)을 사용하더라도 원추부(21)를 견고히 결속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따라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재량이 감소되어 시공성이 향상된다.
기존에는 긴 철근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해 상측이 개방된 절개홈(12)을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편평부(23a)에 의해 측방유동이 방지되어 짧은 철근의 사용이 가능해져 통공으로 형성하였으며, 기존과 같이 긴 철근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조립된 원추형 기초용기(20)에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22)에 콘크리트(3)를 타설하고, 외측에는 쇄석(4)을 채워넣어 매설함으로써 건축물의 기초바닥을 이루게 된다.
이때 도면에 이점쇄선으로 표현하여 비교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간부(22)의 용적은 돌출부(23)로 인해 종래의 원추형 기초용기(10)의 용적보다 현격히 축소되고, 이와는 반대로 외측의 쇄석이 채워지는 공간은 확대된다.
따라서 비용이 높은 콘크리트는 공간부(22)의 용적이 축소됨에 따라 투입량이 감소하게 되고, 반대로 비용이 저렴한 쇄석의 양은 증가함으로써 자재비용이 감소하게 되어 더욱 경제적이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두 개의 편평부(23a) 사이의 거리는 종래의 기초용기(10) 지름(D)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원추부(21)의 지름(d)은 종래의 기초용기(10) 지름(D)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4개의 돌출부(23)에 의한 결합방식으로 인하여 공간부(22)의 용적이 축소되어 비용이 높은 콘크리트의 투입량이 감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 : 하측철근 3 : 콘크리트
4 : 쇄석 20 : 원추형 기초용기
21 : 원추부 22 : 공간부
23 : 돌출부 23a: 편평부
24 : 상측통공 25 : 파일부
26 : 하측통공 27 : 상측철근
D : 종래의 기초용기 지름 d : 원추부의 지름

Claims (3)

  1. 일정크기의 지름(D)을 갖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원추부가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원추부의 하측에는 일정길이의 파일부가 형성된 팽이형상의 원추형 기초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추부(21)의 상측 외주면에는 전후좌우에 걸쳐 각각 90도 각도를 이루어 4개의 돌출부(23)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3)에는 인접한 원추형 기초용기(20)의 다른 돌출부가 서로 수평상태로 면접촉할 수 있도록 수평면의 편평부(23a)가 형성되며, 상기 편평부(23a)에는 짧은 상측철근(27)이 각각 관통하여 결속될 수 있도록 상측통공(24)이 형성되되,
    상기 짧은 상측철근(27)은 서로 면접촉되는 편평부(23a)들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상측통공(24)만을 관통하여 결속하도록 짧은 길이인 것이 적용되고,
    상기 전후좌우에 형성되는 4개의 돌출부들 중, 전후 또는 좌우에 대향되는 두 개의 편평부(23a)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일정크기의 지름(D)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돌출부(23)들의 편평부(23a)들 사이의 원추부(21) 사이 지름(d)은 상기 일정크기의 지름(D)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추형 기초용기.
  2. 삭제
  3. 삭제
KR1020100029476A 2010-03-31 2010-03-31 원추형 기초용기 KR101069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476A KR101069326B1 (ko) 2010-03-31 2010-03-31 원추형 기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476A KR101069326B1 (ko) 2010-03-31 2010-03-31 원추형 기초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120A Division KR101068857B1 (ko) 2007-09-13 2007-09-13 원추형 기초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778A KR20100051778A (ko) 2010-05-18
KR101069326B1 true KR101069326B1 (ko) 2011-10-05

Family

ID=4227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476A KR101069326B1 (ko) 2010-03-31 2010-03-31 원추형 기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3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2760A (zh) * 2018-04-13 2018-07-31 张家港天工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金刚石切割线用上砂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068B1 (ko) * 2006-06-16 2007-06-12 시지이엔씨주식회사 연결홈이 형성된 현장 타설 팽이파일 및 이를 이용한복합기초공법
KR100728932B1 (ko) * 2006-09-26 2007-06-14 박노환 연약지반의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068B1 (ko) * 2006-06-16 2007-06-12 시지이엔씨주식회사 연결홈이 형성된 현장 타설 팽이파일 및 이를 이용한복합기초공법
KR100728932B1 (ko) * 2006-09-26 2007-06-14 박노환 연약지반의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778A (ko) 201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77087A1 (en) The vegetation block frame and the vegetation block
CN205663075U (zh) 一种预制混凝土叠合楼板
KR20150005300A (ko) 철근간섭을 방지한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코핑 시공방법
KR101068857B1 (ko) 원추형 기초용기
KR101284122B1 (ko)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069326B1 (ko) 원추형 기초용기
KR100799848B1 (ko) 결합구조를 보강한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
KR102008623B1 (ko) 보강토 옹벽
KR101072286B1 (ko) 조립식 옹벽
KR101164989B1 (ko) 지반 보강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JP5394554B1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及び建物の基礎構造
KR200366898Y1 (ko) 콘크리트 팽이파일
KR20070005775A (ko) 옹벽격자블록
KR102217090B1 (ko) 보강토 블록
RU2561396C2 (ru) Стеновой блок, угол стены и стена
KR200398018Y1 (ko) 옹벽격자블록
GB2454259A (en) Interlocking building brick
KR20150059918A (ko) 지중압입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통로 구조물
KR101716313B1 (ko) 연약지반의 기초 팽이파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CN216892346U (zh) 一种微桩土工格栅
KR100872999B1 (ko) 결속 수단을 구비한 보강토 블록
KR20130095872A (ko) 팽이형 파일
GB2435484A (en) Post support
KR100573684B1 (ko) 친환경적인 도로 옹벽구조물
JP6378563B2 (ja) コンクリート用ボイド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