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565A - 절토부의 옹벽 - Google Patents

절토부의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8565A
KR20120078565A KR1020110071736A KR20110071736A KR20120078565A KR 20120078565 A KR20120078565 A KR 20120078565A KR 1020110071736 A KR1020110071736 A KR 1020110071736A KR 20110071736 A KR20110071736 A KR 20110071736A KR 20120078565 A KR20120078565 A KR 20120078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tiles
concrete tiles
retaining wall
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석
Original Assignee
비더씨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더씨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더씨건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78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토체의 경사면에 지지되는 콘크리트 타일로 조립식 옹벽을 시공하여 시공성과 조경성을 개선한 절토부의 옹벽을 개시하며, 상기 절토부의 옹벽은 소일네일들이 설치되는 절토체; 상기 절토체의 표면에 타설되는 숏크리트; 상기 절토체의 앞쪽에 터파기된 지반 상에 설치되며 상부에 경사면을 갖는 기초 블럭; 및 상기 기초 블럭의 상기 경사면에 지지되며 앞면에 문양이나 색채를 가지며 뒷면에 볼트가 설치되는 콘크리트 타일들이 수평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복수의 층으로 조립되며 상하로 맞물리는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은 핀을 이용하여 결합되며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의 뒷면의 상기 볼트가 상기 숏크리트 상부로 노출되는 상기 소일 네일들의 단부와 결합되는 벽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토부의 옹벽{Retaining Wall of cutting the ground}
본 발명은 절토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토체의 경사면에 지지되는 콘크리트 타일로 조립식 옹벽을 시공하여 시공성과 조경성을 개선한 절토부의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또는 건축 현장에는 암반부 또는 대지를 절개함에 따라 형성되는 절개 경사면에 대한 보강 또는 지반을 성토하는 과정에서 고도가 다른 영역 간에 발생하는 성토 경사면에 대한 보강이 고려되어야 한다.
절토부는 암반부 또는 대지의 임의적인 절개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절개 경사면에 대한 구조물이며, 성토부는 성토하는 과정에서 고도가 다른 영역 간에 발생하는 성토 경사면에 대한 구조물이다.
절토부와 성토부의 경사면에 대한 옹벽은 다양한 시공 방법이 개발된 바 있으며 절개 경사면 및 성토 경사면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하게 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절토부와 성토부의 옹벽은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구조물 또는 자연석을 이용한 구조물로 시공된다.
그러나,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옹벽은 설치대상 경사지 및 암반 등의 형태에 대응한 유연성 및 가변성이 부족하다. 그리고, 유연성 및 가변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지기반이 필요한데 지지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공간의 확보는 뒷채움 작업 등을 많이 필요로 하며 그에 따라서 공사기간이 연장되고 공사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차후 옹벽의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한 경우에 보수가 곤란하며, 미관을 고려한 조경적인 측면이 충족되기 어렵다.
또한,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은 조경적인 측면이 충족되고 설치대상 경사지 및 암반 등의 형태에 대한 유연성 및 가변성이 확보될 수 있으나 돌을 쌓는 경우 자연석이 직립 상태로 유지되기 어렵고 다단으로 돌을 쌓는 경우 고도로 숙련된 시공자가 아닌 경우 자연석이 쉽게 무너질 수 있다. 또한, 옹벽을 형성하는데 많은 양의 자연석이 소요된다. 자연석은 채취해서 얻을 수 있는 자원의 일종으로 공급될 수 있는 양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고, 발파하여 채취함에 따라서 이차적인 자연 훼손 및 자원 고갈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면서 절토부의 경사면에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절토부의 옹벽을 위한 소재는 조경적인 면을 충족하면서 양호한 시공성을 가지고 공사기간 및 비용이 저렴하고 유지관리가 쉬운 것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일을 조립하여 다단으로 벽체를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 타일을 이용한 벽체와 절토체가 일체로 구조체를 이룸으로써 시공성, 공사기간, 비용 및 유지 관리에 이점을 갖는 절토부의 옹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면이 조경면으로 이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일을 이용하여 옹벽이 시공됨으로써 조경적인 측면이 해결될 수 있는 절토부의 옹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면에 장식 패널이 결합되는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하여 옹벽이 시공됨으로써 조경적인 측면이 해결될 수 있는 절토부의 옹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의 옹벽은, 소일네일들이 설치되는 절토체; 상기 절토체의 표면에 타설되는 숏크리트; 상기 절토체의 앞쪽에 터파기된 지반 상에 설치되며 상부에 경사면을 갖는 기초 블럭; 및 상기 기초 블럭의 상기 경사면에 지지되며 앞면에 문양이나 색채를 가지며 뒷면에 볼트가 설치되는 콘크리트 타일들이 수평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복수의 층으로 조립되며 상하로 맞물리는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은 핀을 이용하여 결합되며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의 뒷면의 상기 볼트가 상기 숏크리트 상부로 노출되는 상기 소일 네일들의 단부와 결합되는 벽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벽체는, 하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부층과 맞닿은 상면이 이단의 제1 단차면들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단의 제1 단차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복수 개의 제1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기초 블럭의 상기 경사면 상에 수평 방향으로 이어지게 조립되는 최하층의 제1 콘크리트 타일들; 하면에 상기 제1 콘크리트 타일의 상면과 대응되는 이단의 제2 단차면들과 상기 제1 고정홈들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2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제2 단차면들과 상응하는 제3 단차면들과 상기 제3 단차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복수 개의 제3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콘크리트 타일들로 이루어진 층의 상부에 한 층 이상으로 적층되는 제2 콘크리트 타일들; 및 상기 제1 콘크리트 타일 및 상기 제2 콘크리트 타일이 적층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 타일들이 적층됨에 따라서 서로 연통되는 상기 제1 고정홈 및 상기 제2 고정홈과 상기 제2 고정홈 및 제3 고정홈들 내부에 삽입되고 콘픽스로 고착되는 상기 핀을 포함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초 블럭의 상면과 그에 맞닿는 상기 제1 콘크리트 타일들의 하면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제4 고정홈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4 고정홈들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콘픽스로 고착되는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은 연결 플레이트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인접한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 양쪽에 걸쳐지게 배치되면서 각 콘크리트 타일들에 대응되는 관통구들을 가지고, 볼트들이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서 일 단부가 상기 콘크리트 타일 내로 삽입되면서 콘픽스로 고착되며 타 단부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성되며, 그리고 너트들이 상기 볼트들에 나사 결합되어서 상기 볼트들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 간의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의 뒷면에 설치되는 상기 볼트는 상기 소일네일의 단부와 너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일을 조립하여 다단으로 옹벽을 형성하고 지오그리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일을 절토체와 일체로 구조체를 이룸으로써 시공성, 공사기간, 비용 및 유지 관리에 이점을 갖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일의 앞면을 조경면으로 이용하여 다양한 문양을 표현함으로써 시공된 옹벽이 조경미를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의 옹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 타일을 다양한 경사각으로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적용한 콘크리트 타일의 전면을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콘크리트 타일의 후면을 바라본 사시도.
도 5은 전면에 같은 층으로 배열되는 인접한 콘크리트 타일 간의 연결 방법을 설명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연결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7는 콘크리트 타일을 적층하여 조립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조립도.
도 8은 콘크리트 타일을 절토체의 소일네일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의 옹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10는 도 9의 콘크리트 타일을 다양한 경사각으로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도 9의 실시예에 적용한 모르타르를 이용한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일의 전면을 바라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콘크리트 타일의 후면을 바라본 사시도.
도 13은 도 9의 실시예에 적용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일의 전면을 바라본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콘크리트 타일의 후면을 바라본 사시도.
도 15은 전면에 같은 층으로 배열되는 인접한 콘크리트 타일 간의 연결 방법을 설명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연결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7는 콘크리트 타일을 적층하여 조립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조립도.
도 18은 콘크리트 타일을 절토체의 소일네일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지반(10) 상에 터파기가 이루어지며 옹벽은 터파기한 상부에 형성된다. 도 1에서 지반(10) 상에 지표 이하로 터파기가 이루어진 터파기 선(12)이 도시되어 있다.
터파기한 지반(10) 상부에 기초 블럭(14)이 배치되며 기초 블럭(14)의 앞 쪽은 앞채움 토사(16)에 의하여 매립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초 블럭(14)은 하부의 지반(10)이 연약 지반인 경우 하부에 별도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반(10)을 보강한 후 그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꾀할 수 있다.
기초 블럭(14)은 상부 일측 모서리에 경사면(18)이 상향하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블럭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초 블럭(14)에 형성되는 경사면(18)은 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면이며 기울기는 벽체를 시공할 각도와 직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기초 블럭(14)의 경사면(18)은 벽체를 이루기 위하여 다층으로 적층되는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 중 최하위의 콘크리트 타일(20)의 저면과 도 2의 (a) 내지 (c)와 같이 맞닿을 수 있다.
콘크리트 타일(20)의 저면은 하면이 평면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기초 블럭(14)의 경사면(18)의 기울기가 도 2의 (a)와 같이 완만하면 콘크리트 타일(20)이 시공되는 경사는 가팔라지고, 기초 블럭(14)의 경사면(18)의 기울기가 도 2의 (b) 및 (c)와 같이 점차적으로 가팔라지면 콘크리트 타일(20)이 시공되는 경사는 완만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의 옹벽의 벽체의 기울기는 콘크리트 블럭으로 구성되는 기초 블럭(14)의 경사면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기초 블럭(14)은 도 2의 (a) 및 (b)와 같이 상면과 경사면(18) 간에 단차가 형성되거나 도 2의 (c)와 같이 상면과 경사면(18)이 꺽어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초 블럭(14)의 경사면(18)과 콘크리트 타일(20)의 하면에는 서로 맞닿아 연통되는 고정홈(30, 32)가 각각 형성되며, 연통되는 고정홈(30, 32) 내에 핀(36)이 삽입되고 콘픽스(34)와 같은 고착제가 충진됨으로써 기초 블럭(14)과 콘크리트 타일(20) 간의 결합력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콘크리트 타일(20)이 경사짐으로써 형성되는 기초 블럭(14)의 단턱과 콘크리트 타일(20)의 간극은 모르타르(38)가 충진됨으로써 결합 상태를 보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콘크리트 타일(20)은 벽체의 최하부를 이루는 것이며 상면은 자신의 상부에 적층되는 다른 콘크리트 타일(22)들의 상면과 동일하게 이단의 단차면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벽체를 이루는데 이용되는 최상층의 콘크리트 타일(24)의 하면은 자신의 하부에 적층되는 콘크리트 타일(22)의 하면과 동일하게 이단의 단차면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콘크리트 타일(20)의 상면과 콘크리트 타일(24)의 하면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콘크리트 타일(22)의 구성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타일(20)은 상면과 하면에 이단의 단차면들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외측으로 융기된 단차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내측으로 융기된 단차가 형성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타일(22)은 상면과 하면의 이단의 단차면들(50, 52)에는 고정홈들(54)이 형성될 수 있고 앞면에 문양이나 색채를 갖는 조경면(5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타일(22)의 뒷면에는 다수의 볼트(36)가 설치되며 도 8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볼트(36)는 절토체(40)의 소일네일(70)의 단부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벽체는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은 복수의 층을 이룬다. 그리고 각 층의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은 복수 개가 수평 방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수평 방향으로 이어지는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은 도 5 및 도 6에 개시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 5 및 도 6은 콘크리트 타일(22)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결합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즉, 수평 방향으로 이어지는 콘크리트 타일들(22)은 연결 플레이트(60)에 의하여 결합된다.
여기에서, 연결 플레이트(60)는 인접한 콘크리트 타일들(22) 양쪽에 걸쳐지게 배치되면서 각 콘크리트 타일들(22)의 후면에 형성되는 고정홈(23)에 대응되는 관통구들을 갖는다. 그리고, 볼트들(66)이 연결 플레이트(60)의 관통구를 관통하여서 일 단부가 콘크리트 타일(22) 내로 삽입되면서 콘픽스(64)로 고착되며 타 단부가 연결 플레이트(6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너트(66)들이 볼트(62)들에 나사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이 수평으로 이어지면서 복수의 층으로 조립되어 상하로 맞물림으로써 벽체를 이룬다.
그리고, 벽체를 이루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들이 도 7과 같은 방법으로 적층되고, 콘크리트 타일(20)과 콘크리트 타일(22), 적층된 콘크리트 타일들(22) 또는 콘크리트 타일(22)과 콘크리트 타일(24)은 서로 맞물려서 마주하는 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홈들(54)이 적층에 의하여 연통될 수 있으며, 연통된 고정홈들(54) 내에 도 2처럼 핀(34)이 삽입되고 콘픽스(34)와 같은 고착제가 충진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벽체의 뒷면에는 절토체(40)가 구성되며, 절토체(40)에는 일정한 단위로 소일네일(70)이 설치되고 소일네일(70)이 설치된 절토체(40)의 표면에는 숏크리트(72)가 표면 마무리를 위하여 타설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숏크리트(72) 상부로 노출되는 소일네일(70)의 단부는 콘크리트 타일(20, 22, 24)에 설치되는 볼트(36)와 너트(38)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볼트(36)는 콘크리트 타일(20, 22, 24)의 뒷면의 고정홈(347)에 충진되는 콘픽스(39)와 같은 고착제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도 8은 너트(38)로써 콘크리트 타일(20, 22, 24)이 숏크리트(72)가 타설된 절토체(40)의 소일네일(70)과 결합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으나 너트(38) 대신 용접으로 이들 간을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토체(40)와 결합된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이 벽체로 구성될 수 있어서 절토체의 옹벽의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이 조립식으로 시공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이나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유지 관리가 손쉽다.
또한, 각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은 조경면(56)을 가짐으로써 조경미가 제공될 수 있다.
---------------------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지반(10) 상에 터파기가 이루어지며 옹벽은 터파기한 상부에 형성된다. 도 9에서 지반(10) 상에 지표 이하로 터파기가 이루어진 터파기 선(12)이 도시되어 있다.
터파기한 지반(10) 상부에 기초 블럭(14)이 배치되며 기초 블럭(14)의 앞쪽은 앞채움 토사(16)에 의하여 매립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초 블럭(14)은 하부의 지반(10)이 연약 지반인 경우 하부에 별도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반(10)을 보강한 후 그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꾀할 수 있다.
기초 블럭(14)은 상부 일측 모서리에 경사면(18)이 상향하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블럭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초 블럭(14)에 형성되는 경사면(18)은 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면이며 기울기는 벽체를 시공할 각도와 직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기초 블럭(14)의 경사면(18)은 벽체를 이루기 위하여 다층으로 적층되는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 중 최하위의 콘크리트 타일(20)의 저면과 도 10의 (a) 내지 (c)와 같이 맞닿을 수 있다.
콘크리트 타일(20)의 저면은 하면이 평면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기초 블럭(14)의 경사면(18)의 기울기가 도 10의 (a)와 같이 완만하면 콘크리트 타일(20)이 시공되는 경사는 가팔라지고, 기초 블럭(14)의 경사면(18)의 기울기가 도 10의 (b) 및 (c)와 같이 점차적으로 가팔라지면 콘크리트 타일(20)이 시공되는 경사는 완만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의 옹벽의 벽체의 기울기는 콘크리트 블럭으로 구성되는 기초 블럭(14)의 경사면(18)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기초 블럭(14)은 도 10의 (a) 및 (b)와 같이 상면과 경사면(18) 간에 단차가 형성되거나 도 10의 (c)와 같이 상면과 경사면(18)이 꺽어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초 블럭(14)의 경사면(18)과 콘크리트 타일(20)의 하면에는 서로 맞닿아 연통되는 고정홈(30, 32)가 각각 형성되며, 연통되는 고정홈(30, 32) 내에 핀(36)이 삽입되고 콘픽스(34)와 같은 고착제가 충진됨으로써 기초 블럭(14)과 콘크리트 타일(20) 간의 결합력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콘크리트 타일(20)이 경사짐으로써 형성되는 기초 블럭(14)의 단턱과 콘크리트 타일(20)의 간극은 모르타르(38)가 충진됨으로써 결합 상태를 보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콘크리트 타일(20)은 벽체의 최하부를 이루는 것이며 상면은 자신의 상부에 적층되는 다른 콘크리트 타일(22)들의 상면과 동일하게 이단의 단차면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벽체를 이루는데 이용되는 최상층의 콘크리트 타일(24)의 하면은 자신의 하부에 적층되는 콘크리트 타일(22)의 하면과 동일하게 이단의 단차면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콘크리트 타일(20)의 상면과 콘크리트 타일(24)의 하면은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콘크리트 타일(22)의 구성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의 앞면에는 장식 패널(100)이 설치되며, 장식 패널(100)은 자신의 앞면에 문양이나 색채를 가지면서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에 일대일로 대응되게 구성된다.
여기에서, 장식 패널(100)은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모르타르를 이용한 접착으로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에 결합될 수 있다.
장식 패널(100)은 세라믹 패널 등 앞면에 문양이나 색채를 가질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타일(22)은 상면과 하면에 이단의 단차면들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외측으로 융기된 단차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내측으로 융기된 단차가 형성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타일(22)은 상면과 하면의 이단의 단차면들(50, 52)에는 고정홈들(54)이 형성되고 앞면에 장식 패널(1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장식 패널(100)은 콘크리트 타일(22)의 앞면에 도포되는 모르타르의 접착력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장식 패널(100)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접착력을 갖는 고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타일(22)의 뒷면에는 다수의 볼트(36)가 설치되며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볼트(36)는 절토체(40)의 소일네일(70)의 단부와 결합된다.
또한, 장식 패널은 도 13 및 도 14과 같이 볼트와 너트의 체결로써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장식 패널(100)의 뒷면에 볼트들(102)이 설치되고 콘크리트 타일(22)의 앞면에 볼트들(104)이 설치된다. 이때 장식 패널(100)의 뒷면에 설치되는 볼트들(102)과 콘크리트 타일(22)의 앞면에 설치되는 볼트들(104)의 위치는 서로 대응되어서 마주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들은 너트(106)를 이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즉, 장식 패널(100)과 콘크리트 타일(22)은 볼트(102, 104) 및 너트(106)의 체결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3 및 도 14의 너트(106) 대신 장식 패널(100)의 뒷면에 설치되는 볼트들(102)과 콘크리트 타일(22)의 앞면에 설치되는 볼트들(104)이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벽체는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은 복수의 층을 이룬다. 그리고 각 층의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은 복수 개가 수평 방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수평 방향으로 이어지는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은 도 15 및 도 16에 개시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 15 및 도 16은 콘크리트 타일(22)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결합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즉, 수평 방향으로 이어지는 콘크리트 타일들(22)은 연결 플레이트(60)에 의하여 결합된다.
여기에서, 연결 플레이트(60)는 인접한 콘크리트 타일들(22) 양쪽에 걸쳐지게 배치되면서 각 콘크리트 타일들(22)의 후면에 형성되는 고정홈(23)에 대응되는 관통구들을 갖는다. 그리고, 볼트들(66)이 연결 플레이트(60)의 관통구를 관통하여서 일 단부가 콘크리트 타일(22) 내로 삽입되면서 콘픽스(64)로 고착되며 타 단부가 연결 플레이트(6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너트(66)들이 볼트(62)들에 나사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이 수평으로 이어지면서 복수의 층으로 조립되어 상하로 맞물림으로써 벽체를 이룬다.
그리고, 벽체를 이루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들이 도 17와 같은 방법으로 적층되고, 콘크리트 타일(20)과 콘크리트 타일(22), 적층된 콘크리트 타일들(22) 또는 콘크리트 타일(22)과 콘크리트 타일(24)은 서로 맞물려서 마주하는 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홈들(54)이 적층에 의하여 연통될 수 있으며, 연통된 고정홈들(54) 내에 도 10처럼 핀(34)이 삽입되고 콘픽스(34)와 같은 고착제가 충진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벽체의 뒷면에는 절토체(40)가 구성되며, 절토체(40)에는 일정한 단위로 소일네일(70)이 설치되고 소일네일(70)이 설치된 절토체(40)의 표면에는 숏크리트(72)가 표면 마무리를 위하여 타설된다.
도 18을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숏크리트(72) 상부로 노출되는 소일네일(70)의 단부는 콘크리트 타일(20, 22, 24)에 설치되는 볼트(36)와 너트(38)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볼트(36)는 콘크리트 타일(20, 22, 24)의 뒷면의 고정홈(347)에 충진되는 콘픽스(39)와 같은 고착제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도 18은 너트(38)로써 콘크리트 타일(20, 22, 24)이 숏크리트(72)가 타설된 절토체(40)의 소일네일(70)과 결합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으나 너트(38) 대신 용접으로 이들 간을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토체(40)와 결합된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이 벽체로 구성될 수 있어서 절토체의 옹벽의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이 조립식으로 시공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이나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유지 관리가 손쉽다.
또한, 각 콘크리트 타일들(20, 22, 24)은 장식 패널(100)이 설치됨으로서 조경미가 제공될 수 있다.
10 : 지반 14 : 기초 블럭
18 : 경사면 20, 22, 24 : 콘크리트 타일
34 : 핀 40 : 절토체
50, 52 : 단차면 60 : 연결 플레이트
62 : 볼트 66 : 노트
70 : 소일네일 72 : 숏크리트
100 : 장식 패널

Claims (15)

  1. 소일네일들이 설치되는 절토체;
    상기 절토체의 표면에 타설되는 숏크리트;
    상기 절토체의 앞쪽에 터파기된 지반 상에 설치되며 상부에 경사면을 갖는 기초 블럭; 및
    상기 기초 블럭의 상기 경사면에 지지되며 앞면에 문양이나 색채를 가지며 뒷면에 볼트가 설치되는 콘크리트 타일들이 수평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복수의 층으로 조립되며 상하로 맞물리는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은 핀을 이용하여 결합되며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의 뒷면의 상기 볼트가 상기 숏크리트 상부로 노출되는 상기 소일 네일들의 단부와 결합되는 벽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의 옹벽.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하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부층과 맞닿은 상면이 이단의 제1 단차면들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단의 제1 단차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복수 개의 제1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기초 블럭의 상기 경사면 상에 수평 방향으로 이어지게 조립되는 최하층의 제1 콘크리트 타일들;
    하면에 상기 제1 콘크리트 타일의 상면과 대응되는 이단의 제2 단차면들과 상기 제1 고정홈들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2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제2 단차면들과 상응하는 제3 단차면들과 상기 제3 단차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복수 개의 제3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콘크리트 타일들로 이루어진 층의 상부에 한 층 이상으로 적층되는 제2 콘크리트 타일들; 및
    상기 제1 콘크리트 타일 및 상기 제2 콘크리트 타일이 적층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 타일들이 적층됨에 따라서 서로 연통되는 상기 제1 고정홈 및 상기 제2 고정홈과 상기 제2 고정홈 및 제3 고정홈들 내부에 삽입되고 콘픽스로 고착되는 상기 핀을 포함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절토부의 옹벽.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블럭의 상면과 그에 맞닿는 상기 제1 콘크리트 타일들의 하면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제4 고정홈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4 고정홈들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콘픽스로 고착되는 핀을 더 포함하는 절토부의 옹벽.
  4. 제1 항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은 연결 플레이트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인접한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 양쪽에 걸쳐지게 배치되면서 각 콘크리트 타일들에 대응되는 관통구들을 가지고, 볼트들이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서 일 단부가 상기 콘크리트 타일 내로 삽입되면서 콘픽스로 고착되며 타 단부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성되며, 그리고 너트들이 상기 볼트들에 나사 결합되어서 상기 볼트들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 간의 결합력을 제공하는 절토부의 옹벽.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의 뒷면에 설치되는 상기 볼트는 상기 소일네일의 단부와 너트로 결합되는 절토부의 옹벽.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의 뒷면에 설치되는 상기 볼트는 상기 소일네일의 단부와 용접으로 결합되는 절토부의 옹벽.
  7. 소일네일들이 설치되는 절토체;
    상기 절토체의 표면에 타설되는 숏크리트;
    상기 절토체의 앞쪽에 터파기된 지반 상에 설치되며 상부에 경사면을 갖는 기초 블럭;
    상기 기초 블럭의 상기 경사면에 지지되며 콘크리트 타일들이 수평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복수의 층으로 조립되며 상하로 맞물리는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은 핀을 이용하여 결합되며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의 뒷면의 상기 볼트가 상기 숏크리트 상부로 노출되는 상기 소일 네일들의 단부와 결합되는 벽체; 및
    자신의앞면에 문양이나 색채를 가지면서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에 일대일로 대응되면서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의 앞면에 결합되는 장식패널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의 옹벽.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하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부층과 맞닿은 상면이 이단의 제1 단차면들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단의 제1 단차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복수 개의 제1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기초 블럭의 상기 경사면 상에 수평 방향으로 이어지게 조립되는 최하층의 제1 콘크리트 타일들;
    하면에 상기 제1 콘크리트 타일의 상면과 대응되는 이단의 제2 단차면들과 상기 제1 고정홈들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2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제2 단차면들과 상응하는 제3 단차면들과 상기 제3 단차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복수 개의 제3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콘크리트 타일들로 이루어진 층의 상부에 한 층 이상으로 적층되는 제2 콘크리트 타일들; 및
    상기 제1 콘크리트 타일 및 상기 제2 콘크리트 타일이 적층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 타일들이 적층됨에 따라서 서로 연통되는 상기 제1 고정홈 및 상기 제2 고정홈과 상기 제2 고정홈 및 제3 고정홈들 내부에 삽입되고 콘픽스로 고착되는 상기 핀을 포함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절토부의 옹벽.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블럭의 상면과 그에 맞닿는 상기 제1 콘크리트 타일들의 하면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제4 고정홈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4 고정홈들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콘픽스로 고착되는 핀을 더 포함하는 절토부의 옹벽.
  10. 제7 항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은 연결 플레이트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인접한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 양쪽에 걸쳐지게 배치되면서 각 콘크리트 타일들에 대응되는 관통구들을 가지고, 볼트들이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서 일 단부가 상기 콘크리트 타일 내로 삽입되면서 콘픽스로 고착되며 타 단부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성되며, 그리고 너트들이 상기 볼트들에 나사 결합되어서 상기 볼트들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 간의 결합력을 제공하는 절토부의 옹벽.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의 뒷면에 설치되는 상기 볼트는 상기 소일네일의 단부와 너트로 결합되는 절토부의 옹벽.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일들의 뒷면에 설치되는 상기 볼트는 상기 소일네일의 단부와 용접으로 결합되는 절토부의 옹벽.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패널들은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타일에 접착됨으로써 결합되는 절토부의 옹벽.
  14.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패널들의 뒷면과 상기 콘크리트 타일의 앞면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가 구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볼트가 너트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장식 패널과 상기 콘크리트 타일이 결합되는 절토부의 옹벽.
  15.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패널들의 뒷면과 상기 콘크리트 타일의 앞면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가 구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볼트가 용접됨으로써 상기 장식 패널과 상기 콘크리트 타일이 결합되는 절토부의 옹벽.
KR1020110071736A 2010-12-31 2011-07-20 절토부의 옹벽 KR201200785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40527 2010-12-31
KR1020100140527 2010-12-31
KR1020100140520 2010-12-31
KR20100140520 2010-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565A true KR20120078565A (ko) 2012-07-10

Family

ID=46711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736A KR20120078565A (ko) 2010-12-31 2011-07-20 절토부의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856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811B1 (ko) * 2015-02-12 2015-06-25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장식판재 결합체를 구비한 옹벽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655077B1 (ko) * 2016-05-12 2016-09-07 주식회사 장평건설 옹벽용 블럭의 시공방법
KR101877748B1 (ko) * 2017-10-19 2018-08-07 그린이엔지 주식회사 패널식 옹벽의 패널 설치방법
CN108411852A (zh) * 2018-02-01 2018-08-17 浙江水利水电学院 一种净水型生态护岸的施工方法
KR101983650B1 (ko) * 2018-11-21 2019-06-03 주식회사 티에프이앤씨 직벽형 블록 조립식 옹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811B1 (ko) * 2015-02-12 2015-06-25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장식판재 결합체를 구비한 옹벽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655077B1 (ko) * 2016-05-12 2016-09-07 주식회사 장평건설 옹벽용 블럭의 시공방법
KR101877748B1 (ko) * 2017-10-19 2018-08-07 그린이엔지 주식회사 패널식 옹벽의 패널 설치방법
CN108411852A (zh) * 2018-02-01 2018-08-17 浙江水利水电学院 一种净水型生态护岸的施工方法
KR101983650B1 (ko) * 2018-11-21 2019-06-03 주식회사 티에프이앤씨 직벽형 블록 조립식 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5571A (ko) 강재 덕트 및 강관을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로 조립된 psc 교각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20078565A (ko) 절토부의 옹벽
KR101419863B1 (ko) 사면보강용 현장타설 계단식옹벽 대체시공법이 적용되는 거푸집이 필요없는 pc 판넬
KR20050025301A (ko) 절개사면의 옹벽설치방법
KR102112388B1 (ko) 절토부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에 의해 시공된 절토부 옹벽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4599423B2 (ja)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090007144A (ko) 산석을 이용한 옹벽
KR101278326B1 (ko) 조형석 및 그를 이용한 조형석 옹벽
CN201746850U (zh) 一种装配整体式悬臂式挡土墙
KR101570938B1 (ko) 강관 말뚝 기초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하천내 댐 건설 방법
KR20080025107A (ko) 개량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12715012U (zh) 高凸榫基础重力挡土墙
KR20120078581A (ko) 성토부의 옹벽
KR101088477B1 (ko)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공법
KR101679727B1 (ko) 판상 마찰앵커체에 의한 앵커지지식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129150A (ko)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97490B1 (ko) 인공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인공암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205306B1 (ko) 조경석을 이용한 옹벽 구조
CN106939616B (zh) 装配式土钉墙钢板结构施工方法
KR102263958B1 (ko) 옹벽용 조립식 블록 시공방법
KR101265079B1 (ko)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
JP5430912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積み擁壁
KR20160006305A (ko)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KR19990068283A (ko) 자연석을이용한옹벽구조물및그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