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572B1 - 식생형 축조블록 - Google Patents

식생형 축조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572B1
KR100620572B1 KR1020060052121A KR20060052121A KR100620572B1 KR 100620572 B1 KR100620572 B1 KR 100620572B1 KR 1020060052121 A KR1020060052121 A KR 1020060052121A KR 20060052121 A KR20060052121 A KR 20060052121A KR 100620572 B1 KR100620572 B1 KR 100620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lock
fitting
building block
typ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준
Original Assignee
대영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산업(주) filed Critical 대영산업(주)
Priority to KR1020060052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이나 하안 또는 호안 등에 축조되어 제방의 기능은 물론 사방공사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식생형 축조블록에 관한 것으로, 전광후협한 육면체 형상의 블록으로, 중공이 상하로 개구된 공간부를 이루고, 전면은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소정 체적의 식생공간을 구성하며, 상기 공간부를 횡단하도록 형성된 중심지지대의 상면에는 다수의 홈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식생공간의 양측단인 상기 전면의 양단에는 각각 홈부와 돌부가 이웃하게 형성되되, 상기 전면의 양단에서 상기 홈부와 돌부의 위치가 엇갈리도록 되고, 양측면 하단에는, 한 쌍의 끼움막대와 이 끼움막대를 연결하는 걸림대로 이루어진 'U'형상의 링커의 상기 끼움막대가 삽입되는 끼움구와 상기 걸림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한 안착대가 형성되어서, 상층과 하층으로 엇쌓이는 블록에서, 이웃하는 블록의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과 끼움구에 상기 링커의 걸림대와 끼움막대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이웃하는 블록을 결속하고, 상기 걸림대는 상기 삽입홈을 관통한 후 하층 블록의 상기 중심지지대의 홈으로 삽입되어 상층 블록과 하층 블록의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식생형 축조블록{Plantation building blo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형 축조블록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형 축조블록의 평면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형 축조블록의 정축조방식으로 엇쌓기 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형 축조블록의 후퇴축조방식으로 엇쌓기 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형 축조블록을 곡선으로 연결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형 축조블록의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식생형 축조블록을 뒤집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식생형 축조블록을 축조한 모습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100' ; 식생형 축조블록 110 ; 식생공간
111 ; 전면 112 ; 배수구
121, 124 ; 홈부 122, 123 ; 돌부
131 ; 삽입홈 132 ; 끼움구
133 ; 안착대 140 ; 뒤판
141 ; 끼움홈 150 ; 중심지지대
151, 152, 153, 154 ; 홈 170 ; 걸림용 돌기
180 ; 끼움라인 200 ; 링커
210 ; 끼움막대 220 ; 걸림대
본 발명은 해안이나 하안, 호안 또는 산비탈 등에 축조되어 제방의 기능은 물론 사방공사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식생형 축조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통상의 블록을 사용하였거나, 직육면체형상이나 사면체의 판형 호안블록을 사용하여 왔으나, 폭우에 의해 물이 불어나 하천의 호안 경사면이나 수중바닥면에 시공된 종래의 호안블록들은 쉽게 떠내려가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또한, 기존의 하천 정비 형태는 단순히 홍수피해를 경감시킬 목적으로 하천구조의 변화에 주안점을 두고 추진되어 시멘트계 호안블록이나 석축, 콘크리트 옹벽 등으로 하천을 정비하여 왔다.
시멘트계 호안블록이나 석축, 콘크리트 옹벽 등을 이용한 하천 정비는 내구적,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일면 유리한 점이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하천을 단순히 수로화 하는 기현상을 가져왔고, 하천부지와 하천을 콘크리트로 차단하여 하천 생태계의 단절과 고수부지의 생태환경 파괴, 자연미의 손상, 하천정화능력의 상실 등 환경적 측면에서 대단한 악영향을 초래하여 환경파괴라는 기상이변을 가져왔고, 뒤늦게나마 사람과 자연이 공존 공생하며 살아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면서 미약하지만 자연형 하천을 표방하는 시공법들이 대두되었다.
자연형 하천을 지향하는 공법 중 순수 식생공법은 하천의 자연상태에 가장 적합하나, 하천의 특성 및 토양의 특성에 따른 적합한 식물종의 선정이 어렵고, 치수 및 이수의 기능면에서 홍수소통 단면적의 감소, 조도계수의 증가, 홍수시 수류력에 의한 식물 및 호안의 유실 가능성 등 큰 단점을 안고 있다.
토목섬유나 야자섬유를 이용한 공법은 소류력에 대한 저항성이 없어 홍수시 유실로 치수안정상 문제가 대두되며, 석재를 이용한 공법은 재료의 구입이 용이치 않고 자연석을 대량 소모함으로서 인한 2차적 환경파괴의 문제가 있다.
결국, 자연형 하천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치수를 위한 견고한 구조와 더불어, 식생을 위한 충분한 식생공간을 제공하는 호안블록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경제적인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호안블록 간의 충분한 결속을 통해 견고한 호안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식재공간을 확충하여 해안, 하안, 호안은 물론, 일반 산비탈의 자연 친화적인 환경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식생형 축조블록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광후협한 육면체 형상의 블록으로, 중공이 상하로 개구된 공간부를 이루고, 전면은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소정 체적의 식생공간을 구성하며, 상기 공간부를 횡단하도록 형성된 중심지지대의 상면에는 다수의 홈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식생공간의 양측단인 상기 전면의 양단에는 각각 홈부와 돌부가 이웃하게 형성되되, 상기 전면의 양단에서 상기 홈부와 돌부의 위치가 엇갈리도록 되고, 양측면 하단에는, 한 쌍의 끼움막대와 이 끼움막대를 연결하는 걸림대로 이루어진 'U'형상의 링커의 상기 끼움막대가 삽입되는 끼움구와 상기 걸림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한 안착대가 형성되어서, 상층과 하층으로 엇쌓이는 블록에서, 이웃하는 블록의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과 끼움구에 상기 링커의 걸림대와 끼움막대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이웃하는 블록을 결속하고, 상기 걸림대는 상기 삽입홈을 관통한 후 하층 블록의 상기 중심지지대의 홈으로 삽입되어 상층 블록과 하층 블록의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식생형 축조블록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식생형 축조블록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의 내경은 상기 삽입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막대의 직경은 상기 걸림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식생형 축조블록에 있어서,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후면의 양단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형 축조블록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형 축조블록의 평면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형 축조블록(100)은 다층으로 축조되어 해안, 하안 또는 호안(이하 호안으로 통칭) 등에 배치되며, 상하 및 이웃하는 다른 식생형 축조블록(100)과의 견고한 결속을 위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식생형 축조블록(100)은 전광후협한 육면체 형상으로, Y전면이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소정 체적의 식생공간(110)을 이루고, 후단부에는 호안에 있는 각종 토사가 유입되어 상기 식생형 축조블록(100)을 자연스럽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하로 개구된 공간부(160)를 이룬다. 한편, 상기 공간부(160)의 중심을 횡단하여 상기 식생공간(110)까지 이어지는 중심지지대(15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중심지지대(150)의 상면에는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홈(151, 152, 153, 154)이 형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식생공간(110)의 양단에는 이웃하는 다른 식생형 축조블록과의 긴밀한 맞물림을 위한 돌부(122, 123) 및 홈부(121, 124)가 형성되는데, 각 면에 하나의 돌부(122, 123)와 하나의 홈부(121, 124)가 한 짝을 이루면 이어지듯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돌부(122, 123)와 홈부(121, 124)의 위치가 엇갈리게 형성되어서, 서로 이웃하는 식생형 축조블록의 각 돌부(122, 123)와 홈부(121, 124) 간 의 맞물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식생형 축조블록(100)의 양측면 하단에는 소정 두께의 안착대(133)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대(133)에는 삽입홈(131) 및 끼움구(13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31)은 식생형 축조블록(100)이 일렬로 배치되는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132)는 상기 삽입홈(131)의 폭보다 내경이 크게 되어 상기 삽입홈(131)과 연통될 수 있도록 된다. 이때, 상기 안착대(133)는 식생형 축조블록(10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31)과 끼움구(132)의 배치는 식생형 축조블록(100)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된다.
상기 전면(111)에 대향하는 후면은 후면(140)이 형성되며, 그 양단은 식생형 축조블록(100)의 측면으로부터 다소 돌출되어서, 상기 식생형 축조블록(100)이 호안을 따라 조적될 시 호안을 이루는 토사에 맞물려 전방으로 쓰러지거나 무너지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후면(140)의 양단이 돌출되면서 식생형 축조블록(100)의 측면부에 밀집한 토사가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형 축조블록의 정축조방식으로 엇쌓기 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형상을 갖는 식생형 축조블록(1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정축조되며, 식생공간(110)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층과 하층이 상호 어긋나는 엇쌓기로 축조된다.
상기 식생형 축조블록(100)은 이웃하는 다른 식생형 축조블록(100)과의 연결 을 상기 돌부(122, 123)와 홈부(121, 124)를 매개로 하며, 링커(200)를 매개로 상호 결속된다.
상기 링커(200)는 양단에 끼움막대(21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막대(210)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걸림대(220)로 연결되어 'U'형상을 이룬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끼움구(132)로 상기 끼움막대(210)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홈(131)으로 걸림대(220)가 맞물리는 것이다.
정축조로 조적된 식생형 축조블록(100)은 엇쌓기를 할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층의 식생형 축조블록 양단이 하층의 식생형 축조블록 중심에 위치한다. 결국, 상기 삽입홈(131)과 끼움구(132)를 갖춘 안착대(133)가 상기 중심지지대(150) 상에 형성된 홈(151, 152, 153, 154)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정축조된 상층의 식생형 축조블록(100)의 삽입홈(131)은 하층의 식생형 축조블록의 중심지지대(150)의 제1홈(151)과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어 상기 링커(200)를 통해 상하좌우의 모든 식생형 축조블록이 맞물려 결합된다. 물론, 상기 링커(200)의 걸림대(220)는 상기 삽입홈(131)을 관통하며서 상기 제1홈(151)으로 끼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링커(200)의 끼움막대(210)의 직경은 상기 걸림대(220)의 두께보다 크게 하여 이웃하는 식생형 축조블록의 각 끼움구(132)에 박혔을 경우, 상기 링커(200)의 지지력에 의해 식생형 축조블록들이 수평방향으로 저항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형 축조블록의 후퇴축조방식으로 엇쌓기 한 모습 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과 같은 정축조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식생형 축조블록은 후퇴축조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호안이 사면을 이루는 것을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식생형 축조블록(100)은 후퇴축조를 통해 호안의 특성을 그대로 살려 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생형 축조블록(100)에는 중심지지대(1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중심지지대(150)에는 다수의 홈(151, 152, 153, 154)이 형성된다. 상기 홈(151, 152, 153, 154)은 일정한 비율로 상층의 식생형 축조블록(100)을 후퇴축조할 수 있도록 되는데, 그 간격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링커(200)는 정축조 방식에서 제1홈(151)에 맞물렸던 것과 같이, 후퇴축조방식에서는 제2홈(152), 제3홈(153) 또는 제4홈(154)과 맞물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술한 정축조방식과 같이 상하층으로 된 식생형 축조블록(100)을 견고하게 조적할 수 있다.
도 4의 후퇴축조의 경우, 상기 삽입홈(131) 및 끼움구(132)를 제3홈(153)과 일직선상에 위치시켜셔, 상기 링커(200)를 매개로 견고하게 고정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형 축조블록을 곡선으로 연결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식생형 축조블록(100)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보인 바와 같이, 다수의 식생형 축조블록을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시켜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나,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다수의 식생형 축조블록을 곡선방향으로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이웃하는 식생형 축조블록은 식재공간(110)의 양측단에 위치한 돌 부(122, 123)와 홈부(121, 124)를 통해 맞물려 연결되며, 상기 링커(200)의 걸림대(220)가 갖는 두께보다 상기 삽입홈(131)의 폭을 넓혀, 소정각도로 연결되는 이웃하는 식생형 축조블록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형 축조블록의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식생형 축조블록을 뒤집어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형 축조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보면, 축조된 축조블록(100')의 상하층 연결을 보다 굳건히 하고, 이를 통해 전체적인 옹벽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축조블록(100')의 양측면에는 각각 소정깊이로 절개된 끼움라인(180)이 형성되고, 상기 뒤판(140)에는 상기 끼움라인(180)과 일직선으로 수평하게 이어지는 끼움홈(141)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지지대(150')의 저면은 하방으로 충분히 연장된 후 양측면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된 걸림용 돌기(170)가 형성된다.
즉, 도 8(도 6의 식생형 축조블록을 축조한 모습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층에 축조된 축조블록과 상층에 축조된 축조블록이 엇 쌓임으로서, 상층 축조블록의 중심인 중심지지대(150')가 하층 축조블록들 간의 연결지점과 상하로 일직선상으로 위치하게 되면, 상기 걸림용 돌기(170)가 하층 축조블록들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면서 양측방으로 돌출된 상기 걸림용 돌기(170)가 상기 끼움라인(180) 및 끼움홈(141)으로 맞물리게 된다. 결국, 상층에 위치하는 축조블록의 걸림용 돌기(170)와, 하층에 위치하는 축조블록의 끼움라인(180) 및 끼움 홈(141)이 서로 맞물리면서 축조블록(100')의 상하층 결속을 보완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용 돌기(170)는 상기 중심지지대(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라인(180) 또한 축조블록(100')의 측면에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축조블록(100')이 후퇴축조가 되더라도 양측방으로 돌출된 상기 걸림용 돌기(170)가 하층 축조블록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뒤판(140)에 형성된 끼움홈(141)과 상기 걸림용 돌기(170)가 항시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미설명 인출번호 "112"는 식생공간(110)의 배수구이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생형 축조블록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홈 및 끼움구는 이웃하는 다른 식생형 축조블록의 삽입홈 및 끼움구와 일직선상으로 마주하면서, 상기 끼움구 및 삽입홈을 각각 관통하는 끼움막대 및 걸림대를 포함하는 링커를 매개로 상호 견고하게 결속되고, 상층 식생형 축조블록과 하층 식생형 축조블록은 중심지지대에 형성된 다수의 홈들에 상기 링커의 걸림대가 맞물리면서 상하층간의 긴밀한 연결을 이루게 되어, 상하좌우에 대한 식생형 축조블록의 결속력을 링커 하나를 매개로 간단히 이룰 수 있고, 시공 또한 간편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광후협한 육면체 형상의 블록으로, 중공이 상하로 개구된 공간부를 이루고, 전면은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소정 체적의 식생공간을 구성하며, 상기 공간부를 횡단하도록 형성된 중심지지대의 상면에는 다수의 홈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식생공간의 양측단인 상기 전면의 양단에는 각각 홈부와 돌부가 이웃하게 형성되되, 상기 전면의 양단에서 상기 홈부와 돌부의 위치가 엇갈리도록 되고, 양측면 하단에는, 한 쌍의 끼움막대와 이 끼움막대를 연결하는 걸림대로 이루어진 'U'형상의 링커의 상기 끼움막대가 삽입되는 끼움구와 상기 걸림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한 안착대가 형성되어서, 상층과 하층으로 엇쌓이는 블록에서, 이웃하는 블록의 마주하는 상기 삽입홈과 끼움구에 상기 링커의 걸림대와 끼움막대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이웃하는 블록을 결속하고, 상기 걸림대는 상기 삽입홈을 관통한 후 하층 블록의 상기 중심지지대의 홈으로 삽입되어 상층 블록과 하층 블록의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축조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의 내경은 상기 삽입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막대의 직경은 상기 걸림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축조블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뒤판의 양단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축조블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형 축조블록의 측면은 수평하게 절개된 끼움라인이 형성되고, 양단이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뒤판의 양측단에는 상기 끼움라인과 일직선으로 수평하게 이어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지지대의 저면은 하방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된 후 양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용 돌기를 구비함으로서, 상층에 놓인 식생형 축조블록의 상기 걸림용 돌기가 하층에 놓인 식생형 축조블록의 상기 끼움라인 및 끼움홈으로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축조블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용 돌기는 상기 중심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축조블록.
KR1020060052121A 2006-06-09 2006-06-09 식생형 축조블록 KR100620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121A KR100620572B1 (ko) 2006-06-09 2006-06-09 식생형 축조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121A KR100620572B1 (ko) 2006-06-09 2006-06-09 식생형 축조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0572B1 true KR100620572B1 (ko) 2006-09-06

Family

ID=3762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121A KR100620572B1 (ko) 2006-06-09 2006-06-09 식생형 축조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5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033B1 (ko) 2006-06-23 2007-05-18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산수형 축조 옹벽블록과, 산수형 축조방식이 적용된옹벽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033B1 (ko) 2006-06-23 2007-05-18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산수형 축조 옹벽블록과, 산수형 축조방식이 적용된옹벽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572B1 (ko) 식생형 축조블록
KR100891738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101128783B1 (ko) 식생 호안블록
KR20120000137A (ko) 생태하천의 친환경적 호안 구조
KR101280330B1 (ko) 세굴방지용 기초블럭
KR200418683Y1 (ko) 생태블록
KR100866404B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KR100514086B1 (ko) 친환경 구축력 옹벽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200250172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세트
KR200381308Y1 (ko)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CN216839249U (zh) 一种复合式生态堤防结构
KR101075105B1 (ko) 어소겸용 식생블록
KR101185998B1 (ko) 해수유통구가 형성된 호안블럭의 시공방법
KR200247956Y1 (ko) 지지홀을 가지는 호안블록의 구조
KR200414892Y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100919614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20190025118A (ko)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KR200429329Y1 (ko) 자연 생태형 식생 블록
KR200413594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100796317B1 (ko) 조경 블럭
KR100934098B1 (ko)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
KR100402203B1 (ko)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