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118A -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 Google Patents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118A
KR20190025118A KR1020170109520A KR20170109520A KR20190025118A KR 20190025118 A KR20190025118 A KR 20190025118A KR 1020170109520 A KR1020170109520 A KR 1020170109520A KR 20170109520 A KR20170109520 A KR 20170109520A KR 20190025118 A KR20190025118 A KR 20190025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gabion
pulling
erosion
blo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섭
유혜숙
김병철
김종훈
임영희
최정열
김창준
홍관배
노정협
김복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일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일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일개발
Priority to KR1020170109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5118A/ko
Publication of KR20190025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후변화에 따른 폭풍우 등의 기상조건에 의한 파랑에너지와 조수간만의 차에 의한 해안 침식작용이 진행되고, 또한 해안의 주변 환경파괴와 난개발로 인한 침식작용 및 해안의 모래가 유실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해수면에 잠제되는 개비온이 구성되도록 채움돌이 충진되는 개비온에 중량체인 콘크리트블럭을 구성하되, 개비온(10)과 함께, 개비온(10)이 일정 깊이로 수용되는 수납부(21)를 형성하는 바닥면(25)과 사면의 측벽(22)이 구성되는 콘크리트블럭(20)으로 구성됨과 함께, 상기 콘크리트블럭(20)의 수납부(21) 바닥면(25)에 개비온(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수단과,
상기 결속수단으로 결속된 개비온(10)과 콘트리트블럭(20)을 견인할 수 있도록 한 견인수단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으로 구성하여 콘크리트블럭과 개비온을 결속하는 구성, 그리고 결속된 콘크리트블럭과 개비온을 견인하는 견인수단으로 구성되어 해수면에 잠제되는 효과로 외해로부터 오는 파도, 해일 등의 파랑에너지로부터 해안제방과 호안시설물의 보호와, 해안 침식 및 모래 유실방지와 함께 어초,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Submarine type marine erosion prevention gabion combined with weight}
본 발명은 파도나, 태풍, 해일로부터 해안제방과 호안시설물의 보호와 해안 침식 및 모래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에 관한 것이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 해안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폭풍우 등의 기상조건에 의한 파랑에너지와 조수간만의 차에 의한 해안 침식작용이 진행되고, 또한 해안의 주변 환경파괴와 난개발로 인한 침식작용 및 해안의 모래가 유실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해안 침식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해안가에 방파제 등의 구조물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해안구조물은 너울성 파도의 파랑에너지를 저감시켜 넓은 공간의 정온화 해역을 창출하고 해안선을 효율적으로 보호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이와 달리 방파제 구조물은 일반인들이 접할 수 있는 낚시터와 같은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이점은 있으나, 구조적으로 파랑에너지의 흡수 및 분산효과가 미흡하여 파랑에너지가 방파제 구조물에 부딪혀 반사되면서 중복파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심각한 침식을 유발함과 아울러 심하게는 방파제 구조물의 붕괴로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방파제 구조물은 수면위로 돌출되도록 시공함으로써, 자연경관이 미려하지 못함과 아울러 관광자원의 손실로 지역경제에 이바지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우리나라는 삼면의 해역별로 다양한 해안선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최근에는 관광산업과 연안재해의 방지 및 항만시설, 그리고 해안도시 인프라 구축을 위한 다양한 연안 구조물 축조로 인해 해안선은 외적으로 큰 변화를 겪어 오면서 해안을 이루고 있는 해빈(sand beach) 및 백사장 침식이 심각한 상태이다.
또한편, 대량 포획으로 고갈되는 수산자원의 보호와 확보하기 위하여 바닷속에 다양한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인공어초를 바닷속에 투입하여 구축되는 인공어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인공어초를 바닷속에 잠제(潛堤)시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어초는 콘트리트블럭을 무작위로 쌓아 놓거나, 특정한 형상모양으로 구성시켜 어초로 구성하고, 또는 폐어선 등을 수장하는 한편, 채움돌이 채움된 육각망의 개비온을 수장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해안침식, 모래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해양침식, 모래유출 방지 개비온과 인공어초는 채움돌이 채움된 개비온, 또는 콘트리트 블럭을 해안가에 구축하거나 바닷속에 잠제시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고 있으나, 육각망으로 구성되는 개비온은 파도의 파랑에너지에 의해 쉽기 찌그러지고 파손으로 변형이 발생되며 특히, 파랑에너지에 의한 부상과 이동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콘크리트 블럭은 많은 구멍에 의한 파랑에너지를 흡수, 분산 및 회절시키는 효과가 적을 뿐만 아니라 커다란 구멍으로 센물길을 형성하여 모래유출을 가증하고 또한 파랑에너지와 충돌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고 어류 서식처 및 산란공간을 제공하기에 부적절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들로 등록특허 제 10-1692041호의 해안 침식 방지용 개비온 구조에서는 한쌍의 파형으로 구성한 바닥망태와 연결된 이웃 바닥망태 사이에 돌출망태를 적층시켜 파도 형상으로 구성한 개비온을 해안으로부터 바닷속 수중까지 구축하여 외해로부터 오는 파랑에너지가 산형의 개비온을 거치면서 감쇠되고 해안의 모래유실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단순히 해안가를 덮는 것에 불과하고 파랑에너지를 근본적으로 감쇠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등록특허 제 10-1039658호 해안사구 생태복원 구조에서는 해안사구의 해수면 끝으로부터 조류 이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을 쌓아 조류에 의해 모래나 토사가 바다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제형 개비온과, 세로형 개비온, 그리고 날림 모래를 포집하는 모래포집망과 수생식물류가 식생할 수 있는 개비온을 순차적으로 구축하여 모래 날림을 방지하는 침식 방지를 이루고 식물이 활착되어 안정화로 해양침식방지를 이루도록 한 바 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해안가에 단순히 개비온은 날열한 구성에 불과하여 파랑에너지의 감쇠 기능과는 거리가 있다 할 것이다.
이와 함께 등록특허 제 10-0895525호 해안침식 방지 및 어장 형성을 위한 다골 다공형 잠제는 특정한 형상모양으로 구성된 블럭을 연안해역의 해저지반에 파도형으로 쌓아 외해로부터 오는 파랑에너지를 흡수, 분산 및 회절시키면서 효과적으로 감쇠시키고 또한 블록의 공극에 의해 어류의 이동과 서식처 및 산란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이나 이러한 구성은 단순히 다양한 형태의 블럭을 단순히 수중에 산 형상으로 쌓아 놓는 것에 불과하여 그 작용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등록번호 제 10-1205295호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판형의 블록들을 다양한 형태로 결합한 블럭체를 해안 또는 연안 침식이 발생되는 수중에 잠제시켜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술은 상기한 등록특허 제 10-0895525호와 함께 수중에 잠제시켜 구축할 때 돌채움 개비온이 수중에서 부상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지 못함으로 부득 중량체인 콘크리트 블럭을 적용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잠제(潛堤)형 또는 해안구축형 개비온 및 블럭 들은 해양침식방지를 목적으로 설치하여 해수의 심해파를 안정시키고 표면파를 조절하고 해수면의 끝 부분 영역에 설치되며, 바람과 파랑의 유속을 감소시켜 모래의 퇴적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들은 상기와 같이 해안가 모래에 구축됨으로써 파랑에너지를 감쇠 하는데 한계가 있고 수중에 설치될 경우 해수의 부력으로 가벼워지면서 부상됨으로 파랑에너지에 의한 위치변형과 파손으로 파랑에너지를 감쇠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 10-1692041호 등록특허 제 10-1039658호 등록특허 제 10-0895525호 등록번호 제 10-1205295호
본 발명은 파도, 태풍, 해일로부터 해안제방과 호안시설물의 보호와, 해안 침식 및 모래 유실방지 그리고 어초, 산란처를 제공할 목적에 부합하도록 부식방지 철선소재로 이루어지는 육각 망체 개비온에 자연석 채움돌로 구성시켜 변형성 소파성, 파도의 감쇠 기능 및 안정성과 굴요성을 충족하도록 함과 함께 운반과 수중구축이 용이하도록 하며 또한 수중에 구축되는 돌채움 개비온이 안정되게 구축되고 파랑, 파고 등에 의한 부상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량체의 콘크리트블럭을 결합함으로서 잠제와 견고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내식성 철선소재로 구성되는 망체(11)를 묶음철선(12)으로 결합시켜 구성된 육면체에 채움돌(13)이 채움되는 개비온(10)으로 이루어지는 해양침식방지 개비온으로 구성되되,
상기 개비온(10)과 함께, 개비온(10)이 일정 깊이로 수용되는 수납부(21)를 형성하는 바닥면(25)과 사면의 측벽(22)이 구성되는 콘크리트블럭(20)으로 구성됨과 함께,
상기 콘크리트블럭(20)의 수납부(21) 바닥면(25)에 개비온(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수단과,
상기 결속수단으로 결속된 개비온(10)과 콘트리트블럭(20)을 견인할 수 있도록 한 견인수단에 의해 중량체인 콘크리트블럭(20)을 구성함으로써 해저지반에 본 발명이 투하되어 구축되면 개비온(10)과 함께 중량체이면서 견고한 콘크리트블럭(20)이 수중에서 자중에 의해 해저지반으로 가라앉으며 부상되지 않고 또한 외해로부터 오는 파랑에너지로 인한 이동이 발생되지 않는 견고한 구축과 잠제(潛堤)를 유지하게 되는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후변화에 따른 폭풍우, 파도, 조수간만의 차 등의 기상조건에 의한 파랑에너지와 밀물과 썰물로 인한 해안 침식작용이 진행되고, 또한 해안의 주변 환경파괴와 난개발로 인한 해수의 흐름방해 등으로 침식작용 및 해안 모래가 유실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해수면에 잠제되는 개비온을 구성하되, 채움돌이 충진되는 개비온과 중량체인 콘크리트블럭을 결합하는 간단한 구성과,
상기 콘크리트블럭과 개비온을 결속하는 구성, 그리고 결속된 콘크리트블럭과 개비온을 견인하는 견인수단으로 구성시켜 이송 및 투하작업이 용이하고 중량으로 해수면에 잠제되는 효과로부터 외해로부터 오는 파도, 해일 등의 파랑에너지로부터 견고한 형상 및 위치를 유지하는 한편 파랑에너지를 미쇄하게 분할시키고 감쇠, 그리고 어류의 서식과 산란처를 제공하는 하는 효과 및 중량체인 콘크리트블럭의 잠제성과 개비온에 형성되는 다양한 공간으로 파랑에너지를 감쇠, 분할로 해안 침식 및 모래 유실방지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에 1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 2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 3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 4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 5의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 6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9 (a)는 도 8의 결합단면도이고 (b), (c)는 실시예 6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결합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 7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 8의 단면도.
도 12는 실시예 6 내지 8에 대한 사용상태의 설명도.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에 의한 제작과 구축(構築)이 용이하고 구축 후의 견고성 및 외해로부터 오는 파랑에너지를 미쇄하게 분할시켜 에너지를 감쇠하고 각종 어류의 서식과 산란처를 제공하는 한편 수중에 잠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파도, 태풍, 해일로부터 해안제방과 호안시설물의 보호와, 해안 침식 및 모래 유실방지와 함께 어초, 산란처를 제공할 목적에 부합하도록 부식방지 철선소재로 이루어지는 육각 망체 개비온에 자연석 채움돌로 채움되어 형성된 다양한 공간으로 파랑에너지를 감쇠, 분할, 분산 및 회절시켜 파력(波力)과 충격을 흡수하고 중량체 콘크리트블럭의 하중에 의해 잠제효과를 증대하여 파랑, 파고 등에 의한 부상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량체의 콘크리트블럭을 결합함을 특징으로 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도시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중요부분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고 내식성 철선소재로 구성되는 망체(11)를 묶음철선(12)으로 결합시켜 구성되는 육면체에 채움돌(13)이 채움되는 개비온(10)과,
상기 개비온(10)이 일정 깊이로 수용되는 수납부(21)를 형성하는 바닥면(25)과 사면의 측벽(22)이 구성되는 콘크리트블럭(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블럭(20) 내에는 견고성과 파열방지용 철근(23)이 형성되고, 수납부(21) 바닥면(25)에는 개비온(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수단인 복수로 돌출된 체결고리(30)와,
측벽(22) 상부로 돌출되어 견인와이어(40)를 체결할 수 있는 견인수단인 견인링(24)이 각각의 측벽(22) 상면에서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블럭(20)의 저면 바닥면(25) 또는 측벽(22)의 두께는 중량과 구축에서의 간격유지 등을 고려함과 함께 해안의 침식면적과 파랑에너지의 파고 높이, 물결의 세기 등 다양한 조건하에 따른 중량으로 조절할 필요성에 따라 두께, 높이 등을 고려한 설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5는 육각망을 사각형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테두리 철선이며, 41은 훅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상기 제 1실시예의 작용효과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블럭(20) 측벽(22)으로 형성된 요입된 수납부(21) 내에 채움돌(13)이 채움되지 않고, 또한 상판 망체(11)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비온(10)을 수납함과 함께 개비온(10)의 저면 망체(11)와 수납부(21) 바닥면(25)에서 돌출된 결속수단의 체결고리(30)와 미도시한 체결 철선 등을 이용하여 견고히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개비온(10) 내에 채움돌(13)을 채움으로 충진 한 후 상부 상판 망체(11)를 덮고 사면을 사면 측면 망체(11)와 묶음철선(12)으로 견고히 체결시키면 본 발명의 중량체 콘크리트블럭(20)과 개비온(10)이 일체로 결합된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된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차량에 적재하고 또는 하차 및 해수면에 투하로 구축할 때, 견인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견인수단인 견인링(24)에 크래인 등의 견인와이어(40) 또는 견인와이어(40)에 구성된 훅(41)을 연결하여 크래인에 의해 간편하고 용이한 견인하여 차량에 승, 하차와 연안해역의 해저지반에 본 발명을 투하로 구축할 수 있고 이러한 구축으로 해안침식 방지 및 해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과 투하작업이 크래인을 이용하여 간단히 작업할 수 있어 구축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해저지반에 본 발명의 투하로 구축되면 개비온(10)과 함께 중량체이면서 견고한 콘크리트블럭(20)이 수중에서 자중에 의해 해저지반으로 가라앉으며 부상되지 않고 또는 외해로부터 오는 파랑에너지로 인한 이동이 발생되지 않는 견고한 구축과 잠제(潛堤)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축은 본 발명의 도 7에서 도시한 구축상태를 보인 실시예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좌우로 나열하고 상하로 구축함으로써 콘크리트블럭(20)이 밀착된 상부로 개비온(10)과 개비온(10) 사이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공간은 파랑에너지를 분할, 분산 및 회절시켜 파랑에너지의 파력(波力)과 충격을 흡수하고, 에너지파를 감쇠하며 동시에 상부의 개비온(10)에 채움된 채움돌(13) 사이의 소형으로 형성된 다양한 공간은 파랑에너지를 흡수와 분산효과를 발휘하여 감쇠 된 파랑에너지로 통과시킴으로써 구축된 정렬상태가 파괴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또한 모래 유출방지를 이룰 수 있으면서 다양하게 형성된 틈새 공간 들은 최적의 어류 서식처와 산란 장소로의 기능이 발휘되는 어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해수의 흐름을 조절하여 모래 유실과 침식의 복원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파랑에너지와 파고를 감쇠, 분할, 분산, 회절시켜 해안 사빈(沙濱)에서 세력이 완화되므로 해안침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에너지흡수로 어류의 이동과 어류의 서식처 및 산란공간을 제공하는 수생식물이 원활하게 성장할 수 있는 어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이룰 수 있고 이에 대한 실시예 2는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실시예 2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망체(11)를 묶음철선(12)으로 체결시켜 채움돌(13)이 채움되는 개비온(10)과,
상기 개비온(10)이 일정 깊이로 수용되는 수납부(21)와 바닥면(25)을 형성하도록 측벽(22)이 구성되는 콘크리트블럭(20)으로 구성되되,
상기 콘크리트블럭(20)의 수납부(21) 바닥면(25)에 복수의 관통공(26)을 뚫어 결속수단인 결속와이어(31)를 관통하고 수납부(21)에 적재 수납된 개비온(10)을 함께 관통시켜 상부에서 결속하는 실시예 2의 구성이다.
상기 실시예 2의 도 3은 상기 콘크리트블럭(20)의 관통공(26)과 개비온(10)을 관통하는 결속와이어(31)를 개비온(10) 상부에서 결속시켜 콘크리트블럭(20)과 고정하며 또한 결속와이어(31)와 함께 견인와이어(40)를 관통하거나, 각각의 위치로 관통시켜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견인와이어(40)를 이용한 견인작업을 하거나, 또는 측벽(22)에 구성된 견인링(24)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개비온(10)은 콘크리트블럭(20)의 수납부(21) 바닥면(25)에 구성된 결속수단인 체결고리(30)와 더 결속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실시예 3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블럭(20)의 수납부(21) 바닥면(25)에 복수의 관통공(26)을 뚫은 수납부(21)에 개비온(10)을 수납 적재하고 상기 관통공(26)과 개비온(10)을 관통하는 기다란 체결나봉(32)을 체결함과 함께 너트(33)로 결속하는 결속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나봉(32) 상단에는 견인와이어(40)를 결속하는 결속링(34)이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의한 작용효과는 상기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블럭(20)의 수납부(21)에 수납 적재된 개비온(10)과 콘크리트블럭(20)에 뚫린 관통공(26)을 관통하는 기다란 체결나봉(32)을 너트(33)로 체결시켜 결속하는 간단한 결속과, 상기 체결나봉(32) 상단에 구성된 결속링(34)에 견인와이어(40)를 이용한 견인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견인와이어(40)에 의해 차량에 승, 하차 및 크래인을 이용한 연안해역의 해저지반에 본 발명을 투하로 구축하여 해안침식 방지 및 해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4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망체(11)를 묶음철선(12)으로 결합과 채움돌(13)이 채움되는 개비온(10)과,
상기 개비온(10)이 일정 깊이로 수용되는 수납부(21)와 바닥면(25)을 측벽(22)으로 구성하는 콘크리트블럭(20)으로 구성되되,
상기 콘크리트블럭(20)의 바닥면(25)에 결속수단인 체결고리(30)가 복수로 구성되어 개비온(10)을 결속함과 함께 바닥면(25)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견인수단인 결속링(34)을 구성한 견인봉(35)을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견인봉(35) 양단의 결속링(34)에 견인수단인 견인와이어(40)를 체결하여 견인하도록 함으로서 구성이 간단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승, 하차 및 크래인을 이용한 연안해역의 해저지반에 본 발명을 투하로 구축하여 해안침식 방지 및 해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5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망체(11)를 묶음철선(12)으로 결합과 채움돌(13)이 채움되는 개비온(10)과,
상기 개비온(10)이 일정 깊이로 수용되는 바닥면(25)과 수납부(21)를 구성하는 측벽(22)이 구성되는 콘크리트블럭(20)으로 구성되되,
상기 콘크리트블럭(20) 양측 측벽(22)에 견인수단인 결속공(36)을 뚫은 견인판(37)을 체결볼트(38)로 체결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콘트리트블럭(20)의 결속수단인 체결고리(30)에 의해 결속된 개비온(10)을 견인할 때 상기 콘트리트블럭(20)의 측벽(22)에 체결된 견인판(37)의 결속공(36)에 견인와이어(40) 또는 훅(41)을 결속시켜 견인함으로써 개비온(10)이 결속수단으로 고정된 콘크리트블럭(20)을 간단히 견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견인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승, 하차 및 크래인을 이용한 연안해역의 해저지반에 본 발명을 투하로 구축하여 해안침식 방지 및 해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 1 내지 5의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도 7과 같이 연안해역의 해저지반에 투하로 구축하여 해안침식 방지 및 해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되는 것이며, 또한 파랑에너지와 파고를 감쇠시켜 해안 사빈(沙濱/砂濱)에서 세력이 완화되므로 해안 침식 모래유출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흡수로 어류의 이동과 어류의 서식처 및 산란공간을 제공하는 수생식물이 원활하게 성장할 수 있는 어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7의 구축으로 발생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실시예 1에서 상세히 기재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이상의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은 또다른 변형된 콘크리트블럭(20)을 구성하는 실시예 6으로 한 실시예들을 더 볼 수 있다.
즉, 도 8과 도 9의 (a), (b), (c),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예 1 내지 5에서의 콘크리트블럭(20)을 본 발명의 실시예 6에서는 개비온(10)과 동일한 크기의 사각체로 구성한 콘크리트블럭판(20-1)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 6은 도 8과 도 9의 (a), (b), (c), (d)에서와 같이 고 내식성 철선소재로 구성되는 망체(11)를 묶음철선(12)으로 결합시켜 구성되는 육면체에 채움돌(13)이 채움되는 개비온(10)과,
상기 개비온(10)과 대응하는 크기로 구성된 사각체로 구성한 콘크리트블럭판(20-1)을 구성하여 개비온(10)과 결속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에서 설명한 실시예 1 내지 5에서 설명한 결속수단인 체결고리(30)를 구성하여 개비온(10)과 체결하는 실시예 1을 적용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상기 콘크리트블럭판(20-1)에 복수의 관통공(26)을 뚫어 실시예 2의 결속와이어(31), 실시예 3의 체결나봉(32) 중 선택된 결속수단으로 실시하거나, 이와 달리 상기 실시예 4와 같이 콘크리트블럭판(20-1) 내부로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견인수단인 결속링(34)을 구성한 견인봉(35)을 구성하는 실시예, 또는 실시예 5에서와 같이 콘크리트블럭판(20-1) 양측면에 견인수단인 결속공(36)을 뚫은 견인판(37)을 체결볼트(38)로 체결하는 구성 중 선택된 구성의 실시예를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함께 또다른 실시예 7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망체(11)로 구성되는 개비온(10)의 망체(11) 내부 저면측에 콘크리트블럭판(20-1)을 수납하고 이 콘크리트블럭판(20-1) 상부로 채움돌(13)이 충진되는 개비온(10)으로 구성함으로써 개비온(10) 전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거나, 작업의 편리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도면에서와 같이 콘크리트블럭판(20-1)에 뚫린 관통공(26)에 결속와이어(31) 또는 체결나봉(32)을 관통하여 개비온(10)과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결속와이어(31)는 견인와이어(40)로 이용될 수 있고, 또는 각각의 와이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서 설명된 개비온(10)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8로 견고성을 증대할 수 있다,
즉, 견고성이 충족되도록 모서리부를 앵글(50)로 구성한 육면체를 구성하고 앵글(50) 내에 콘크리트블럭판(20-1)과 개비온(10)이 상하로 적층시켜 각 모서리부 외부에서 앵글(50)이 감싸는 구성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블럭판(20-1)과 개비온(10)을 앵글(50)로 수납과 결속하여 견고성을 충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육면체로 형성된 앵글(50) 내에 콘크리트블럭판(20-1)과 망체(11)로 구성되는 개비온(10)을 수납하고 개비온(10)에 채움돌(13)을 충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 망체(11)와 상부 앵글(50)을 체결함으로써 앵글(50) 내로 콘크리트블럭판(20-1)와 개비온(10)이 수납되는 구성으로 제작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중량체인 콘크리트블럭판(20-1)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잠제 능력을 증대하여 부상되거나 이동을 방지하고 파랑에너지로부터 받는 충격에서 개비온(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 8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수단은 상기 앵글(50)에 견인 훅(41)을 체결하거나, 제 2실시예와 같이 콘크리트블럭판(20-0)을 관통하는 견인와이어(40) 및 제 3실시예의 기다란 체결볼트(38)를 이용하는 것으로 변형시켜 실시 또는 상기 앵글(50) 측면에 체결볼트(38)를 체결하고 이 체결볼트(38)에 견인와이어(40) 또는 훅(41), 견인링(24) 중 선택된 견인수단을 이용하여 견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콘크리트블럭판(20-1)은 상기 실시예와 같이 견고성을 충족하기 위한 철근(23)이 구성됨과 함께 해안의 침식면적과 파랑에너지의 파고 높이, 물결의 세기 등 다양한 조건하에 중량을 조절할 필요에 따른 두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콘크리트블럭은 콘크리트로 한정되지 않고 자연, 인조석 또는 합성수지 등 중량과 견고성을 유지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 들을 도 12에서의 구축상태로 실시되며 이러한 구축은 도면과 같이 개비온(10)과 콘크리트블럭판(20-1)이 동일한 크기로 구성됨으로 구축에서 개비온(10)과 개비온(10) 및 콘크리트블럭판(20-1)과 콘크리트블럭판(20-1)이 밀착되어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사이로 형성되는 공간을 배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외해로부터 오는 파랑에너지가 해안으로 도달되는 힘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개비온(10)에 채움된 채움돌(13) 간에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소공에 의해 파랑에너지가 작고 약하게 분할, 분산, 회절 등으로 감쇠시켜 파력(波力)과 충격을 흡수하고 중량체 콘크리트블럭판(20-1)의 하중에 의한 잠제효과를 증대하며 크거나 센 파랑에너지를 차단하므로 해안의 모래 등이 외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명칭과 부합되는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뿐만 아니라, 방파제, 테트라포드(Tetrapod) 등의 지반용과, 비탈면, 절개지의 방벽(防壁), 또는 호안(revetment)용과 함께 견고성과 외형적인 미려성을 이용한 인테리어 및 조경용 담장이나 옹벽 등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고 또한 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10 : 개비온 11 : 망체 12 : 묶음철선
13 : 채움돌 20 : 콘크리트블럭 20-1 : 콘크리트블럭판
21 : 수납부 22 : 측벽 23 : 철근
24 : 견인링 25 : 바닥면 26 : 관통공
30 : 체결고리 31 : 결속와이어 32 : 체결나봉
33 : 너트 34 : 결속링 35 : 견인봉
36 : 결속공 37 : 견인판 38 : 체결볼트
40 : 견인와이어

Claims (7)

  1. 내식성 철선소재로 구성되는 망체(11)를 묶음철선(12)으로 결합시켜 구성된 육면체에 채움돌(13)이 채움되는 개비온(10)으로 이루어지는 해양침식방지 개비온으로 구성되되,

    상기 개비온(10)과,
    개비온(10)이 일정 깊이로 수용되는 수납부(21)를 형성하는 바닥면(25)과 사면의 측벽(22)이 구성되는 콘크리트블럭(20)으로 구성됨과 함께,
    상기 콘크리트블럭(20)의 수납부(21) 바닥면(25)에 개비온(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수단,

    상기 결속수단으로 결속된 개비온(10)과 콘트리트블럭(20)을 견인할 수 있도록 한 견인수단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10)을 일정 깊이로 수용하는 콘크리트블럭(20)은 측면 높이를 형성하는 측벽(22)으로 형성된 바닥면(25)에 의해 내부로 개비온(10)이 수납되는 수납부(21)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블럭(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10)과 결합되는 중량체인 콘크리트블럭판(20-1)은 개비온(10)과 크기를 같이하여 결속되도록 한 콘크리트블럭판(20-1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4. 제 1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럭(20), 또는 콘크리트블럭판(20-1)과 개비온(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수단은 콘크리트블럭(20) 또는 콘크리트블럭판(20-1) 바닥면(25)에서 돌출 구성되는 체결고리(30)와,

    상기 콘크리트블럭(20) 또는 콘크리트블럭판(20-1)에 뚫린 관통공(26)과 개비온(10)을 관통하는 결속와이어(31), 또는 상부로 결속링(34)이 구성되고 하단에 너트(33)로 체결되는 체결나봉(32)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5.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으로 결속된 콘크리트블럭(20) 또는 콘크리트블럭판(20-1)과 개비온(10)을 견인하는 견인수단은 콘크리트블럭(20) 또는 콘크리트블럭판(20-1) 측벽(22) 상면 또는 양측면에 고정된 견인링(24)과,

    상기 콘크리트블럭(20), 또는 콘크리트블럭판(20-1)에 뚫린 관통공(26)과 개비온(10)을 관통하는 견인와이어(40), 또는 상부로 결속링(34)이 구성되고 하단에 너트(33)로 체결되는 체결나봉(32) 및 상기 콘크리트블럭(20), 또는 콘크리트블럭판(20-1)을 수평으로 관통하고 양측으로 결속링(34)을 구성하는 견인봉(35), 그리고 콘크리트블럭(20), 또는 콘크리트블럭판(20-1) 양측면에 체결볼트(38)로 체결되고 훅 걸이 결속공(36)을 형성한 견인판(37)으로 구성되는 견인수단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6. 제 1항과 제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10)의 망체(11) 내로 콘크리트블럭판(20-1)과 함께 채움돌(13)이 채움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7. 제 1항과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럭판(20-1)과 개비온(10)을 앵글(50)로 구성되는 육면체 내로 수납적층 한 개비온(1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KR1020170109520A 2017-08-29 2017-08-29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KR20190025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520A KR20190025118A (ko) 2017-08-29 2017-08-29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520A KR20190025118A (ko) 2017-08-29 2017-08-29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118A true KR20190025118A (ko) 2019-03-11

Family

ID=6575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520A KR20190025118A (ko) 2017-08-29 2017-08-29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51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87232A1 (en) * 2020-09-21 2022-03-24 Th Products, Llc Fish attracting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25B1 (ko) 2009-03-11 2009-04-30 우암종합건설(주) 해안침식 방지 및 어장 형성을 위한 다골다공형 잠제
KR101039658B1 (ko) 2011-01-12 2011-06-08 (주)에코원 해안사구 생태복원 구조
KR101205295B1 (ko) 2012-03-28 2012-11-29 류제철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692041B1 (ko) 2015-04-17 2017-01-05 주식회사 빌드 해안 침식 방지용 개비온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25B1 (ko) 2009-03-11 2009-04-30 우암종합건설(주) 해안침식 방지 및 어장 형성을 위한 다골다공형 잠제
KR101039658B1 (ko) 2011-01-12 2011-06-08 (주)에코원 해안사구 생태복원 구조
KR101205295B1 (ko) 2012-03-28 2012-11-29 류제철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692041B1 (ko) 2015-04-17 2017-01-05 주식회사 빌드 해안 침식 방지용 개비온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87232A1 (en) * 2020-09-21 2022-03-24 Th Products, Llc Fish attracting systems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4196B1 (en) Biologically-dominated artificial reef
US47100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up beaches and protecting shorelines
US11492771B2 (en) Erosion control apparatus
US20230002988A1 (en) Erosion control apparatus
JP2012520402A (ja) 海岸侵食防止と魚場形成のための多谷多孔型潜堤および潜堤用環境調和型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190025119A (ko)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KR100513270B1 (ko) 하천 생태 보호용 물고기 집
KR20190025118A (ko)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US20220178100A1 (en) Breakwater
US9279223B2 (en) Sand retention system
KR101062728B1 (ko) 필터층과 너울제어구조체를 이용한 해안 양빈 및 이의 시공방법
Harris et al. The evolution of multi-celled sand-filled geosynthetic systems for coastal protection and surfing enhancement
GB2595013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rosion prevention
KR101162842B1 (ko) 하천둑 및 그 축조방법
KR200413124Y1 (ko)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CN219343265U (zh) 一种红树林牡蛎壳生态围堰
CN220079887U (zh) 沿海生态复合韧性堤岸结构
JP2810374B2 (ja) 非コンクリート柔構造部材とこの柔構造部材による臨海施設の構築方法
CN216617128U (zh) 一种防止水土流失的深水区生态岛体环保围栏
Charlier et al. Beach protection and restoration part I: hard structures and beach erosion
US20230051607A1 (en) Securable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the same
JP6066636B2 (ja) 籠体マット及びその敷設方法
KR100788950B1 (ko)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JPH02157309A (ja) 侵食防止・堆砂促進装置とその施工方法
JP2881725B2 (ja) 消波敷設体とそれを使用した消波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