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295B1 -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295B1
KR101205295B1 KR1020120031507A KR20120031507A KR101205295B1 KR 101205295 B1 KR101205295 B1 KR 101205295B1 KR 1020120031507 A KR1020120031507 A KR 1020120031507A KR 20120031507 A KR20120031507 A KR 20120031507A KR 101205295 B1 KR101205295 B1 KR 101205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legs
blocks
layer
coastal er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제철
심재홍
권재혁
Original Assignee
류제철
주식회사동인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5654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0529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류제철, 주식회사동인건설 filed Critical 류제철
Priority to KR1020120031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블록 구조체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판형의 블록 본체와, 상기 블록 본체의 모서리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서리에 하방향으로 수직 형성되는 다리와, 상기 블록 본체의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다리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으로 이루어지는 블록과,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블록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 로드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 로드를 보호하도록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연결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블록을 수평방향으로 배열함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일체형 구조로 고정됨으로써, 콘크리트 블록을 손상시키지 않고, 파력에 의해 복수개의 블록이 분리되지 않아 해안 또는 연안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인공어초의 기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A Block Assembly for Preventing Erosion of Coast Equipped with Function of the Artificial Fish-ree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블록을 패드 및 로드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콘크리트 블록을 손상시키지 않고, 파력에 의해 복수개의 블록이 분리되지 않아 해안 또는 연안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의 침식 작용은 폭풍우나 너울성 풍랑 등의 일시적이고 국부적인 기상조건에 의한 발생요인과, 연속적인 파랑에너지와 조수 간만의 차에 의한 장기적인 발생요인으로 인해 연속적인 침식작용이 진행되고 있으며, 연안 개발과 인공구조물에 의한 해빈의 침식과 퇴적의 불균형의 초래는 침식 작용을 더욱 가속화 시키고 있다.
방파제, 방조제, 해안 도로 등의 인위적인 구조물 증축이 하나의 원인이지만,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동으로 인해 상황은 악화 일로에 있다. 특히 동해안에서는 지속적인 해수면 상승과 철모르는 해일로 안정적인 삶을 위협하는 실정이다.
기후변화의 심화로 인한 사빈해안(沙濱海岸)의 침식의 발생 및 정도가 점점 심각해짐에 따라 침식 방지를 위한 여러 가지 대책을 검토, 시행하고 있지만, 대부분이 자연경관을 훼손시키고, 장기적인 해안거동을 저해하여 인근지역에 이차적인 피해를 유발시키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해안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 중 몇 가지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방사제는 해빈에서 물속으로 돌출된 구조물로, 해류에 실려가는 모래를 가두어서 침식을 막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방사제는 상류쪽에 모래를 쌓아, 모래를 빼앗긴 하류쪽의 침식은 더욱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의 (b)에 도시한 해안 제방은 해안의 침식으로부터 재산을 일시적으로 보호해 준다. 그러나, 이것들도 역시 파도의 에너지를 앞과 옆의 모래로 휘어서 침식을 증가시킨다. 또한, 높은 파도는 해안 제방을 넘어서 제방과 재산을 함께 파괴할 수 있다.
도 1의 (c) 양빈작업은 가장 좋은 침식 대응책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새로운 모래는 종종 외해에서 퍼오기도 하며, 비용이 주기적이며 고가인 단점이 있다. 특히 새로 보충한 모래가 해빈의 모래보다 세립인 경우 침식이 가속화되어 효과가 미비해지기도 한다.
그래서, 최근 양빈과 아울러 대두되고 있는 침식 방지 대책은 잠제(潛堤)이다. 잠제는 해안의 모래의 침식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해안에서 접근하는 파도의 에너지를 저감시켜 해안의 침식을 방지하는 이차적인 기술이다.
이러한 잠제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762474호에는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잠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서의 잠제는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된 블럭벽이 삽입결합된 블럭판체가 삼각의 형태로 결합되어 단위삼각블럭을 이루며, 상기 단위삼각블럭이 피라미드구조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된 블럭벽 사이로 제공되는 공간을 통해 물이 순환되도록 하여 어패류가 용이하게 서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파도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잠제는 그 구성요소가 많고, 구조가 너무 복잡하며, 이에 따라 조립 및 시공이 까다로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피라미드구조로 결합되므로, 잠제가 설치되는 면적에 대비하여 잠제의 높이가 높게 설치되어, 강한 파력에 안정적인 구조라고 보기는 어려운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인공어초의 기능을 가지면서도 해안의 침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이 용이한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블록이 해안 또는 바다 속에 안정적으로 놓여 시공 후 강한 파력에도 블록이 훼손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블록을 패드 및 로드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콘크리트 블록을 손상시키지 않고 파력에 의해 복수 개의 블록이 분리되지 않는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블록의 시공방법이 용이하고 시공된 구조가 매우 안정적인 블록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판형의 블록 본체와, 상기 블록 본체의 모서리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서리에 하방향으로 수직 형성되는 다리와, 상기 블록 본체의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다리가 삽입가능한 형상의 삽입공과, 상기 다리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으로 이루어지는 블록과,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블록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 로드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연결 로드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연결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블록을 수평방향으로 배열함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일체형 구조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는 육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는 서로 인접하지 않은 3개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리가 형성된 모서리를 중심으로 3개의 블록을 합치면 3개의 다리가 모아진 형태가 상기 삽입공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어, 하층의 블록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에 상층에 설치되는 3개의 블록의 다리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블록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본체의 모서리에는 물의 유출입을 가능케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절곡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블록 본체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면 상기 절곡홈부들이 모아져 이루는 공간이 유출입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블록은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로드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패드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방사형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와 연결 패드는 2개의 상기 다리를 연결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시공방법은 육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인접하지 않은 3개의 모서리에 하방향으로 다리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다리가 삽입가능한 형상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리에는 수직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되는 블록을 상기 다리가 형성된 모서리가 모아지도록 방사형으로 배열하여 n층을 축조하는 단계와, (n+1)층을 축조할 블록을 상기 다리가 형성된 모서리를 중심으로 3개씩 합쳐 3개의 다리를 상기 n층의 블록의 삽입공에 삽입하여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결속하면서 (n+1)층을 축조하는 단계와, (n+2)층을 축조할 블록을 상기 다리가 형성된 모서리를 중심으로 3개씩 합쳐 3개의 다리를 상기 (n+1)층의 블록의 삽입공에 삽입하여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결속하면서 (n+2)층을 축조하는 단계와, 상기 n층의 블록의 다리에 형성되는 결합공과, (n+2)층의 블록의 다리에 형성된 결합공에 연결 로드를 삽입하여 수직방향으로 결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은 1 이상의 정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리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연결 로드를 삽입하여 수직방향으로 결속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연결 로드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 로드를 보호하기 위한 연결 패드를 상기 결합공에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n층을 축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블록의 다리가 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블록을 뒤집은 상태로 n층을 축조할 수 있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블록을 설치하면, 해안의 침식을 방지하여 천연의 자연경관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하고, 인근 지역의 2차 침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블록의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이 용이할 뿐 아니라, 블록을 패드 및 로드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콘크리트 블록을 손상시키지 않고 파력에 의해 복수개의 블록이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공어초로서의 역할을 하므로, 어족 자원 보호 및 배양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해안 침식 방지를 위한 대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블록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블록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연결 로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블록 구조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블록 구조체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블록 구조체가 3층으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블록 구조체가 3층으로 적층되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의 조립 측면도이다.
도 13 내지 14는 본 발명을 통해 해안침식을 방지할 수 있는 활용사례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블록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블록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연결 로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블록 구조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블록 구조체는 복수 개의 블록들을 별도의 연결수단으로 결합하여 일체형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다각형 형상을 갖는 블록(10)과, 상기 블록(1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로드(20)와, 상기 연결 로드(20)의 외부를 감싸기 위한 연결 패드(30)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10)은 다각형 형상을 갖는 판형의 블록 본체(12)와, 상기 블록 본체(12)의 모서리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서리에 하방향으로 수직 형성되는 다리(14)와, 상기 블록 본체(12)의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는 삽입공(16)과, 상기 다리(14)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18)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블록(10)은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는 골재, 모래, 시멘트, 철근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되, 이들 재료의 최적의 배합 비율을 도출하여 강재 거푸집을 통해 성형하기 때문에, 그 제작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압축강도로의 성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일실시예로 제시한 상기 블록 본체(12)는 육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14)는 서로 인접하지 않은 3개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육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본체(12)는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블록(10)이 배열되거나 적층되어 하나의 구조체로 일체화될 때 매우 안정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으므로, 가장 최적화된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16)은 블록(10)들을 적층하여 쌓을 때 상층의 블록(10)의 다리(14)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으로서, 상기 삽입공(16)의 형상은 상기 다리(14)가 3개 합쳐진 형상과 동일한 모양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다리(14)가 형성된 모서리를 중심으로 3개의 블록(10)을 합치면 3개의 다리(14)가 모아진 형태가 상기 삽입공(16)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하층의 블록(10)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16)에 상층에 설치되는 3개의 블록(10)의 다리(14)를 삽입함으로써,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블록(10)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 본체(12)의 모서리에는 물의 유출입을 가능케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절곡홈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홈부(11)는 상기 블록 본체(12)의 모서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단면형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절곡홈부(11)가 모서리에 형성된 블록(10)을 수평방향으로 배열하면, 상기 절곡홈부(11)들이 모아져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 공간을 통해 물이 순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절곡홈부(11)는 물의 유출입공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블록 구조체는 상기 블록(10)을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상기 결합공(18)을 통해 상기 블록(10)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로드(20)와, 상기 연결 로드(20)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 로드(20)를 보호하도록 상기 결합공(18)에 삽입되는 연결 패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로드(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로드(20)는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패드(30)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로드(20)의 외부를 감싸도록 내부에는 상기 연결 로드(20)가 삽입가능한 홈(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패드(3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방사형의 돌기(3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기(34)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지만, 둥근 형상의 돌기(34)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 패드(30)에는 상기 연결 로드(2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또한, 연결 로드(20)와의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일측부에 절개부(36)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36)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36)에 끼워지도록 상기 연결 로드(20)의 일측부에는 결합돌기(2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결 로드(20)와 연결 패드(30)는 상기 절개부(36)와 결합돌기(22)로 인해 결합된 상태가 더욱 견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20)와 연결 패드(30)는 2개의 다리(14)를 연결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로드(20)와 연결 패드(30)는 2개의 다리(14)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블록(10) 간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블록 구조체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블록 구조체가 3층으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에서는 3층으로 블록이 축조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블록 구조체 시공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블록 구조체의 시공방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각각의 블록을 영문자 A~E의 부호로 지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블록(E)을 나란하게 배열하여 1층을 축조한다.
이때, 상기 블록(E)의 다리(14)가 형성된 모서리가 모아지도록 방사형으로 배열한다. 편의상 도 9 및 도 10에서는 1층에 축조되는 블록(E)을 하나만 도시하였다.
여기서, 상기 블록(E)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리(14-1)(14-2)(14-3)가 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뒤집혀진 상태로 축조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다리(14-1)(14-2)(14-3)가 하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블록을 배열하여 1층을 축조할 수도 있다.
이후, 2층으로 적층할 상기 블록(B)(C)(D)을 각각의 다리(14-1)(14-2)(14-3)가 인접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3개의 다리(14-1)(14-2)(14-3)를 상기 1층의 블록(E)의 삽입공(16-5)에 삽입하여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결속하면서 2층을 축조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3층을 축조한다.
즉, 상기 다리(14-1)(14-2)(14-3)가 형성된 모서리를 중심으로 3개씩 합쳐 3개의 다리(14-1)(14-2)(14-3)를 상기 2층의 블록(B)(C)(D)의 삽입공(16)에 삽입하여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결속하면서 3층을 축조한다.
도면에는 편의상 3층의 블록(A)을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블록의 배열구조 및 결합구조는 2층의 블록(B)(C)(D)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블록(10)을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블록(10)을 일체화하면서 보다 더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블록(10)의 다리(14)에 형성되는 결합공(18)에 연결 로드(20)를 삽입한다.
구체적으로, 1층을 이루는 블록(10)의 다리(14)에 형성된 결합공(18)과, 3층을 이루는 블록(10)의 다리(14)에 형성된 결합공(18)에 연결 로드(20)를 삽입하여 수직방향으로 결속한다.
이때, 상기 연결 로드(20)의 외부를 감싸도록 연결 패드(30)를 상기 결합공(18)에 삽입하여 연결 로드(2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시공방법에 의해 축조된 본 발명의 블록 구조체를 도 11과 도 12에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블록 구조체는 육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상태가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된 다리(14)와 삽입공(16) 간의 결합을 통해 콘크리드 블록 자체의 결합과 아울러 별도의 연결수단으로서, 연결 로드(20) 및 연결 패드(30)를 사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블록 간의 수직방향으로의 결합도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 내지 14는 본 발명을 통해 해안침식을 방지할 수 있는 활용사례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을 통해 해안침식을 방지할 수 있는 활용사례로서, 인공어초 및 침식방지용 잠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활용사례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침식이 강한 해안에 본 발명의 블록 구조체를 잠제 형태로 설치하면, 잠제형 블록 부분을 지나면서 해안으로 접근하는 파는 감소하면서 파랑에너지 감쇄한다.
이 경우, 해안의 모래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파도의 에너지를 저감시킴으로써 2차적인 침식 발생이 없고, 본 발명의 블록 구조체는 모두 체결되어 있어 단일 구조체로 작용하므로 해일이나 태풍 시의 강한 파도에도 블록이 견고하게 유지되어 내구성을 가진다.
또한, 블록 구조체 사이에 공간이 있어 인공 어초 기능을 동시 수행한다.
도 14는 본 발명을 통해 해안침식을 방지할 수 있는 활용사례로서, 침식방지용 호안블럭(투수 블록 구조물)로서 본 발명의 블록 구조체를 설치하면, 해안도로나 해안과 평행한 구조물을 보호하고, 파도에 의한 해안 침식에 대한 직접적인 방어가 가능하다.
기존에도 호안 블록 등을 사용하고 있지만, 기존의 블록의 경우 개별로 적층하여 자중(自重)으로 구조물 유지하는데 반해, 본 발명의 경우 블록이 모두 체결되어 단일 구조체역할을 함으로 안전성과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블록 11 : 절곡홈부
12 : 블록 본체 14 : 다리
16 : 삽입공 18 : 결합공
20 : 연결 로드 30 : 연결 패드

Claims (12)

  1. 다각형 형상을 갖는 판형의 블록 본체와, 상기 블록 본체의 모서리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서리에 하방향으로 수직 형성되는 다리와, 상기 블록 본체의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다리가 삽입가능한 형상의 삽입공과, 상기 다리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블록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로드; 및
    상기 연결 로드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연결 로드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연결 패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블록을 수평방향으로 배열함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는 육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는 서로 인접하지 않은 3개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리가 형성된 모서리를 중심으로 3개의 블록을 합치면 3개의 다리가 모아진 형태가 상기 삽입공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어,
    하층의 블록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에 상층에 설치되는 3개의 블록의 다리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블록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의 모서리에는 물의 유출입을 가능케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절곡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블록 본체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면 상기 절곡홈부들이 모아져 이루는 공간이 유출입공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패드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방사형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드와 연결 패드는 2개의 상기 다리를 연결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9. 육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인접하지 않은 3개의 모서리에 하방향으로 다리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복수개의 상기 다리가 삽입가능한 형상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리에는 수직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되는 블록을 상기 다리가 형성된 모서리가 모아지도록 방사형으로 배열하여 n층을 축조하는 단계;
    (n+1)층을 축조할 블록을 상기 다리가 형성된 모서리를 중심으로 3개씩 합쳐 3개의 다리를 n층에 축조된 블록의 삽입공에 삽입하여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결속하면서 (n+1)층을 축조하는 단계;
    (n+2)층을 축조할 블록을 상기 다리가 형성된 모서리를 중심으로 3개씩 합쳐 3개의 다리를 상기 (n+1)층의 블록의 삽입공에 삽입하여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결속하면서 (n+2)층을 축조하는 단계; 및
    상기 n층의 블록의 다리에 형성되는 결합공과 (n+2)층의 블록의 다리에 형성된 결합공에, 연결 로드와 상기 연결 로드를 보호하기 위해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연결 패드를 상기 연결 로드의 외부를 감싸도록 하여 상기 결합공에 삽입하여 수직방향으로 결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n은 1 이상의 정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시공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n층을 축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블록의 다리가 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블록을 뒤집은 상태로 n층을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시공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031507A 2012-03-28 2012-03-28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205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507A KR101205295B1 (ko) 2012-03-28 2012-03-28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507A KR101205295B1 (ko) 2012-03-28 2012-03-28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295B1 true KR101205295B1 (ko) 2012-11-29

Family

ID=4756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507A KR101205295B1 (ko) 2012-03-28 2012-03-28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2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698B1 (ko) * 2015-12-21 2016-06-30 송도희 세굴방지와 생태보호 호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호안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653965B1 (ko) * 2016-02-03 2016-09-05 디엔씨건설 주식회사 조립식 어도구조물
CN108661007A (zh) * 2018-07-05 2018-10-16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人工鱼巢近自然护滩结构
KR20190025118A (ko) 2017-08-29 2019-03-11 주식회사 원일개발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KR20190025119A (ko) 2017-08-29 2019-03-11 주식회사 원일개발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710B1 (ko) * 2005-07-25 2007-01-09 김준식 인공어초용 블럭 및 인공어초
KR100828222B1 (ko) * 2007-04-11 2008-05-07 신강하이텍(주) 육각형상의 다기능 블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710B1 (ko) * 2005-07-25 2007-01-09 김준식 인공어초용 블럭 및 인공어초
KR100828222B1 (ko) * 2007-04-11 2008-05-07 신강하이텍(주) 육각형상의 다기능 블럭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698B1 (ko) * 2015-12-21 2016-06-30 송도희 세굴방지와 생태보호 호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호안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653965B1 (ko) * 2016-02-03 2016-09-05 디엔씨건설 주식회사 조립식 어도구조물
KR20190025118A (ko) 2017-08-29 2019-03-11 주식회사 원일개발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KR20190025119A (ko) 2017-08-29 2019-03-11 주식회사 원일개발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CN108661007A (zh) * 2018-07-05 2018-10-16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人工鱼巢近自然护滩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295B1 (ko)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EP0583500B1 (en) Erosion protection device
JP2016211312A (ja) 混成津波防潮堤構築法
JP6049382B2 (ja) 耐震耐越流堤体構造
KR100513270B1 (ko) 하천 생태 보호용 물고기 집
JP5322068B1 (ja) 潜堤の構築方法
JP2013023874A (ja) 防波壁構造
EP3249102A1 (en) Wave absorbing block for breaking waves
KR100645322B1 (ko) 하천 호안 생태보호 시설물
JP5949643B2 (ja) ケーソン式混成堤の補強構造および該補強構造の構築方法
KR101193578B1 (ko) 생태복원형 망태 및 그 제작방법
KR101052295B1 (ko)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KR100743550B1 (ko) 세굴방지블럭
KR200413124Y1 (ko)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CN103122624B (zh) 一种防护勾连体
CN203113280U (zh) 一种防护勾连体及由其组成的堆砌空间结构
KR102155033B1 (ko) 개량형 자연석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침식방지 구조
JP6739558B2 (ja) ブロック、該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該ブロックを用いた構造体
KR101939019B1 (ko) 돌망태 및 테트라포드를 포함하는 방파제 구조물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200350402Y1 (ko) 하천생태계 보호를 위한 육각형 생태블록 설치구조
KR200364472Y1 (ko) 하천의 일체형 자연석 구조를 형성하는 고정판 구조물
JP2881725B2 (ja) 消波敷設体とそれを使用した消波構造物
KR101077624B1 (ko) 하천용 옹벽
Yamanaka et al. EFFECTIVENESS OF TSUNAMI MITIGATION STRUCTURES ON UNDERUTILIZED URBAN AREAS: A CASE STUDY ON REDUCING DAMAGE CAUSED BY TSUNAMI TO BUILDINGS
JP6114188B2 (ja) 堤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