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671B1 - 황토 식생블록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토 식생블록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671B1
KR100726671B1 KR1020050005574A KR20050005574A KR100726671B1 KR 100726671 B1 KR100726671 B1 KR 100726671B1 KR 1020050005574 A KR1020050005574 A KR 1020050005574A KR 20050005574 A KR20050005574 A KR 20050005574A KR 100726671 B1 KR100726671 B1 KR 100726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cher
water
natural
reduc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3830A (ko
Inventor
김재만
Original Assignee
유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태 filed Critical 유한태
Priority to KR1020050005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671B1/ko
Publication of KR20060083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 B28B1/265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pressure being applied on the slip in the filled mould or on the moulded article in the mould, e.g. pneumatically, by compressing slip in a closed mou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2Water reducers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의 상류 주변의 법면에 설치하여 물의 흐름에 의해 법면이 씻겨 내려감을 방지하고 잡초나 꽃들이 식생되어 법면 주변을 자연 친화적으로 가꾸기 위해 사용하는 식생블록에 있어 식생블록을 설치하는 법면으로 흐르는 물의 요염을 방지하고 주변에 물고기가 서식하도록 원적위선을 방사하는 황토를 이용한 황토 식생블록 제조방법에 관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연 상태의 황토 30~50 중량%와 활성황토 5~15 중량%, 모래 5~15 중량%, 석분 5~15 중량%를 교반하며,
상기 재료에 보통(1종) 포틀랜드 시멘트 7~18 중량%, 이수석고 2~9 중량%, 생석회 2~9 중량%, 미분말상태의 고로 슬래그 2~9 중량%, 메타 카올린 1~4 중량%, 플라이 애쉬 0.5~2 중량%, 닥나무 페이퍼 슬러지 0.5~2 중량%를 다시 교반하며,
상기 재료를 지속적으로 진행함과 동시에 다른 용기에 폴리나프탈렌계 감수제 0.1~0.9중량%, 폴리 카르폭시레이트계 감수제 0.1~0.5중량%을 총 중량의 10~20 중량%의 물과 혼합하여 교반기에 투입 후 3~4분간 교반하여 성형몰드에 재료를 투입 후 4.9MPa의 압력으로 진동 성형 후 성형 된 제품을 자연 음지에서 4~10시간 사이로 자연 양생 후 스팀 양생실에서 80℃의 온도를 유지시켜 8~10시간 정도 양생시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자연 상태의 황토 활성황토 모래 석분 보통(1종) 포틀랜드 시멘트 이수석고 생석회 고로 슬래그 메타 카올린 플라이 애쉬 닥나무 페이퍼 슬러지 폴리나프탈렌계 감수제 폴리 카르폭시레이트 감수제

Description

황토 식생블록 제조방법{yellow earth planting block making manner}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의 상류 주변의 법면에 설치하여 물의 흐름에 의해 법면이 씻겨 내려감을 방지하고 잡초나 꽃들이 식생되어 법면 주변을 자연 친화적으로 가꾸기 위해 사용하는 식생블록에 있어 식생블록을 설치하는 법면으로 흐르는 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주변에 물고기가 서식하도록 원적위선을 방사하는 황토를 이용한 황토 식생블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하천이나 강 상류의 법면에 설치하는 식생블록에 있어서는 전부 시멘트 제품으로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시멘트와 석분, 모래와 물을 적당량 희석하여 진동 성형으로 제조하고 있다.
이의 시멘트 식생블록은 생산하기는 쉬우나 양생 후 자연 상태에서 오랫동안 풍화 작용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절개 법면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시멘트에 섞여 있는 유독물이 물에 섞여 흘러내려 식생블록 주변에는 물고기들이 서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주변의 물의 수질에는 유독성 물질이 함유되어 흘러내리고 있어 자연 환경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시멘트는 단순히 생석회뿐만이 아니고 여러가지 화학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는 접착제나 소독약등으로 사용되는 성분도 포함되어 있다.
시멘트의 주성분은 생석회 CaO, 실리카 SiO2, 알루미나 Al2O3 및 산화철 Fe2O3 등이다. 포틀랜드 시멘트 클링커의 구성화합물은 규산삼석회 3CaO·SiO2, 규산이석회 2CaO·SiO2, 알루민산삼석회 3CaO·Al2O3 및 철(鐵)화합물 4CaO·Al2O3· Fe2O3이다.
이러한 시멘트는 상당한 독성을 지니고 있고, 오랫동안 이 독성을 내뿜는다.
일예로 시멘트 자재가 들어가서 건축한 박물관은 시멘트의 독성으로 인해 유물의 보존상태가 급격히 나빠지기 때문에 5년 이상 경과해야 유물을 전시할 정도이다.
그래서 시멘트로 집을 짓고 나면 생명력이 강한 바퀴벌레도 강한 시멘트의 독성으로 인해 살아갈 수가 없기 때문에 새로 지은 지 약 3년 동안은 바퀴벌레가 없는 것도 이 때문 이다.
그리고 시멘트와 모래가 섞여 있는 모르타르를 맨손으로 만지면 그 독성으로 인해 손바닥 피부가 갈라지고 다 벗겨질 정도이다.
예전에 물고기 양식장을 시멘트가 함유된 콘크리트로 만들어 물고기를 넣었다가 시멘트의 독성으로 전부 폐사한 적이 있어 지금은 물을 가두어 몇 달씩 시멘트 독성을 우려낸 후에야 물고기를 집어 넣어 기른다.
이렇게 시멘트의 독성 성분을 우려낸 다 하여도 그 독성 성분이 장기간 조금씩 조금씩 흘러내려 자연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이 오랫동안 지속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시멘트로 만든 식생블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 황토와 활성황토, 모래, 석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자연 친화적인 식생블록을 생산하여 주변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오랜 풍화 작용을 거쳐 자연스럽게 마모되어도 자연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토록 한 것으로 이를 제조 공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연 상태의 황토 30~50 중량%와 활성황토 5~15 중량%, 모래 5~15 중량%, 석분 5~15 중량%를 교반하며, 다시 보통(1종) 포틀랜드 시멘트 7~18 중량%, 이수석고 2~9 중량%, 생석회 2~9 중량%, 미분말상태의 고로 슬래그 2~9 중량%, 메타 카올린 1~4 중량%, 플라이 애쉬 0.5~2 중량%, 닥나무 페이퍼 슬러지 0.5~2 중량%를 교반하며, 상기와 같은 교반 후 다른 용기에 폴리나프탈렌계 감수제 0.1~0.9 중량%, 폴리 카르폭시레이트계 감수제 0.1~0.5중량%을 총중량의 10~20 중량%의 물과 혼합하여 교반기에 투입후 3~4분간 교반하여 성형몰드에 재료를 투입 후 4.9MPa의 압력으로 진동 성형 후 성형 된 제품을 자연 음지에서 4~10시간 사이로 자연 양생 후 스팀 양생실에서 80℃의 온도를 유지시켜 8~10시간 정도 양생시켜 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실시예
자연 상태의 황토 30~50 중량%와 활성황토 5~15 중량%, 모래 5~15 중량%, 석분 5~15 중량%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약 2~3분 가량 교반한다.
상기에서 활성황토 5~15%(무게%)를 자연 상태의 황토 30~50%와 교반한 것은 활성황토가 보통(1종) 포틀랜드 시멘트 및 첨가제와 포졸란 반응이 잘 일어나게 하기 위함으로 ,모래 5~15%와 석분 5~15%를 희석 교반한다.
이와 같이 교반을 끝낸 교반기에, 보통(1종) 포틀랜드 시멘트 7~18 중량%, 이수석고 2~9 중량%, 생석회 2~9 중량%, 미분말상태의 고로 슬래그 2~9 중량%, 메타 카올린 1~4 중량%, 플라이 애쉬 0.5~2 중량%, 닥나무 페이퍼 슬러지 0.5~2 중량%를 각각 투입후 다시 3~4분 정도 교반 한다.
상기와 같은 교반 처리 후 일정한 용기에서 폴리나프탈렌계 감수제 0.1~0.9 중량%, 폴리 카르폭시레이트계 감수제 0.1~0.5중량%을 총 재료의 10~20 중량%의 물과 희석 후 교반기에 투입 후 3~4분간 교반 한다.
상기와 같이 재료의 희석시 재료에 따라 몇가지로 구분한 것은 재료의 혼합시 발생하는 반응과정에서 발생되는 현상 단계를 구분한 것으로 상기 재료를 일시에 희석시에 발생하는 교반기에 과도한 힘이 요구되며 희석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완벽하게 교반 하고자 함으로 1차단계 교반에서 2차단계 교반으로 넘어갈 때도 교반기는 계속적으로 작동하는 상태에서 재료가 투입되며, 2차단계 교반이 완료되는 시점에 3차단계 교반을 할 때도 교반기는 계속 작동하는 상태에서 3차단계 교반 재료가 투입되어 교반되는 것입니다.
상기의 과정을 거치며 8~11분가량 교반기로 교반 한 상태에서 진동 성형기의 성형몰드에 재료를 투입 후 4.9MPa의 압력을 가한 진동 성형 기계로 성형 된 제품을 자연 음지에서 10시간 정도 자연 양생후 스팀 양생실에서 80℃의 온도를 유지시켜 8~10시간 정도 양생시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1차 반응단계에서는 주원료의 배합단계로 자연 상태의 황토 30~50 중량%와 활성황토 5~15 중량%, 모래 5~15 중량%, 석분 5~15 중량%를 골고루 교반하여 황토성분이 2차 반응단계에서 첨가되는 보통(1종) 포틀랜드 시멘트 7~18 중량%, 이수석고 2~9 중량%, 생석회 2~9 중량%, 미분말상태의 고로 슬래그 2~9 중량%, 메타 카올린 1~4 중량%, 플라이 애쉬 0.5~2 중량%, 닥나무 페이퍼 슬러지 0.5~2 중량%를 2차 교반하여 포즐란 반응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3차 반응단계는 감수제의 첨가로 인해 반응열이 급격히 발생하고 감수제로 인해 배합된 원료가 벌크 상태로 응집 되어지는 단계이다.
특히 3차 반응구간은 감수제 투입후 급격한 반응열의 발생과 응집 현상의 발생으로 인해 교반 과정이 수월하지 않아 균일한 교반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원료를 모으고 섞는 작업이다.
상기 자연 상태의 황토와 활성황토에 첨가되는 모래는 식생블록의 뼈대 역활을 하기 위하여 첨가한 것이고,
석분과 시멘트, 석고, 생석회 재료는 주재료인 자연 상태의 황토와 활성황토와 모래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구성 재료이다.
상기 구성 재료에 있어 본원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성분비로 첨가된 경우가 가장 결합성이 우수하여 강도가 높게 나타나는 조건으로 배합한 것이다.
또한, 감수제의 첨가는 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만약 감수제가 사용되지 않는다면 물의 사용량을 많이 사용하여야 하므로물의 량을 줄이기 위해 감수제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감수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많이 사용할 경우 가압 성형시 성분이 소지 내에 다량 존재하게 되어 성형제품의 강도가 다소 취약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합한 재료를 진동 성형기의 성형몰드 투입 후 4.9MPa의 압력을 가한 진동 성형 기계로 성형 된 제품을 성형몰드에서 분리하여 자연 음지에서 10시간 정도 자연 양생 후 스팀 양생실에서 80℃의 온도를 유지시켜 8~10시간 정도 양생시켜 된 것이다.
상기처럼 성형 된 제품을 자연 음지에서 10시간 정도 자연 양생시키는 것은 일정 습도를 자연 건조시키기 위함이며 이 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건조실에서 건조시킬 경우 성형 된 블록이 비틀리거나 터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불량품이 많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식생블록은 압축강도는 재령 28일 210kg/㎠와 흡수율 7.2%의 월등함을 입증할 수 있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주 성분인 황토에서 발산하는 미네랄 성분에 의해 오염되어 흐르는 물을 정화하여 줌과 동시에 자연을 오염시키는 시멘트의 독소 성분을 중화시켜 요염을 방지하며 무분별한 골재 채취로 인한 강물 오염 및 생태계 파괴를 최소한으로 예방할 수 있고 오랜 사용으로 인한 자연풍화 작용을 하여도 황토의 성분이 자연 친화적으로 흡수되어 자연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개발 된 것이다.

Claims (1)

  1. 자연 상태의 황토 30~50 중량%와 활성황토 5~15 중량%, 모래 5~15 중량%, 석분 5~15 중량%를 교반하며,
    상기 재료에 보통(1종) 포틀랜드 시멘트 7~18 중량%, 이수석고 2~9 중량%, 생석회 2~9 중량%, 미분말상태의 고로 슬래그 2~9 중량%, 메타 카올린 1~4 중량%, 플라이 애쉬 0.5~2 중량%, 닥나무 페이퍼 슬러지 0.5~2 중량%를 다시 교반하며,
    상기 재료를 지속적으로 진행함과 동시에 다른 용기에 폴리나프탈렌계 감수제 0.1~0.9중량%, 폴리 카르폭시레이트계 감수제 0.1~0.5중량%을 총 중량의 10~20 중량%의 물과 혼합하여 교반기에 투입 후 3~4분간 교반하여 성형몰드에 재료를 투입 후 4.9MPa의 압력으로 진동 성형 후 성형 된 제품을 자연 음지에서 4~10시간 사이로 자연 양생 후 스팀 양생실에서 80℃의 온도를 유지시켜 8~10시간 정도 양생시켜 됨을 특징으로 한 황토 식생블록 제조방법.
KR1020050005574A 2005-01-18 2005-01-18 황토 식생블록 제조방법 KR100726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574A KR100726671B1 (ko) 2005-01-18 2005-01-18 황토 식생블록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574A KR100726671B1 (ko) 2005-01-18 2005-01-18 황토 식생블록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830A KR20060083830A (ko) 2006-07-21
KR100726671B1 true KR100726671B1 (ko) 2007-06-12

Family

ID=37174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574A KR100726671B1 (ko) 2005-01-18 2005-01-18 황토 식생블록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67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241B1 (ko) * 2007-10-04 2008-05-14 (주)대양콘크리트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WO2009154405A2 (ko) * 2008-06-19 2009-12-2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비소성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황토벽돌
CN102248590A (zh) * 2011-05-24 2011-11-23 欧阳忠贞 一种蜂巢底板的制作方法
KR101233807B1 (ko) 2011-02-07 2013-02-18 강은경 시멘트 블록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멘트 블록의 제조방법
KR101304576B1 (ko) 2013-05-27 2013-09-05 이상우 황토를 함유하는 타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타일
KR101436831B1 (ko) 2012-06-15 2014-09-0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화단용 황토블록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638B1 (ko) * 2006-10-30 2008-02-26 백우현 황토와 천연소재를 이용한 건강 벽타일 제조방법과 그벽타일
KR100947073B1 (ko) * 2009-07-14 2010-03-10 아세아산업개발 주식회사 황토 생태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664226B (zh) * 2013-12-12 2015-05-13 绥中广元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发泡硅钙混凝土墙体砌块配料方法
CN105036677A (zh) * 2015-07-03 2015-11-11 李宁 一种蒸压加气混凝土砌块或板及其制备方法
KR101882486B1 (ko) * 2018-02-27 2018-07-27 (주) 두산포천에너지 폐수오니의 재활용성을 증대시킨 인공어초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807Y1 (ko) 2003-04-14 2003-07-22 김종철 자연토 투수블럭
KR200321367Y1 (ko) 2003-04-14 2003-07-31 김종철 비탈사면 생태블럭
KR20040032135A (ko) * 2004-03-24 2004-04-14 서동혁 황토 몰탈을 이용한 호안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0361711Y1 (ko) 2004-06-18 2004-09-13 강정용 기능성 천연재료로 표면처리된 생태블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807Y1 (ko) 2003-04-14 2003-07-22 김종철 자연토 투수블럭
KR200321367Y1 (ko) 2003-04-14 2003-07-31 김종철 비탈사면 생태블럭
KR20040032135A (ko) * 2004-03-24 2004-04-14 서동혁 황토 몰탈을 이용한 호안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0361711Y1 (ko) 2004-06-18 2004-09-13 강정용 기능성 천연재료로 표면처리된 생태블럭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241B1 (ko) * 2007-10-04 2008-05-14 (주)대양콘크리트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WO2009154405A2 (ko) * 2008-06-19 2009-12-2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비소성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황토벽돌
KR100941912B1 (ko) * 2008-06-19 2010-02-1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비소성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WO2009154405A3 (ko) * 2008-06-19 2010-03-25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비소성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황토벽돌
KR101233807B1 (ko) 2011-02-07 2013-02-18 강은경 시멘트 블록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멘트 블록의 제조방법
CN102248590A (zh) * 2011-05-24 2011-11-23 欧阳忠贞 一种蜂巢底板的制作方法
KR101436831B1 (ko) 2012-06-15 2014-09-0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화단용 황토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304576B1 (ko) 2013-05-27 2013-09-05 이상우 황토를 함유하는 타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타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830A (ko) 200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671B1 (ko) 황토 식생블록 제조방법
Ballester et al. Use of limestone obtained from waste of the mussel cannery industry for the production of mortars
Uzal et al. High-volume natural pozzolan concrete for structural applications
Mohamadien The effect of marble powder and silica fume as partial replacement for cement on mortar
BR9007277A (pt) Processo para a mistura de oxido de silicio a uma pasta de cimento hidraulico e pasta de cimento hidraulico para cimentacao de pocos de petroleo
US20120037043A1 (en) 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of production
Lin et al. Hydration characteristics of waste sludge ash that is reused in eco-cement clinkers
JP2007314661A (ja) セメント系固化材および固化処理方法
Wardhono The effect of sodium hydroxide molarity on strength development of non-cement class C fly ash geopolymer mortar
Olonade et al. Effects of sulphuric acid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blended cement-cassava peel ash concrete
HUP0100212A2 (hu) Vegyszer a talaj mechanikai tulajdonságainak javítására
Basit et al. A review on partial replacement of cement by egg shell powder
Oyebisi et al. Rheology of slag-based geopolymer concrete using corncob ash as a pozzolanic material
JPH0337145A (ja) セメント用急結剤
KR20170112114A (ko) 폐자원을 이용한 콘크리트용 시멘트 조성물
JP2003277111A (ja) 硬化促進剤及びセメント組成物
JP2003095717A (ja) セメント混和材、セメン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
CN105776945B (zh) 粘土屏蔽剂及其制备方法
Garg et al. Development of fly ash-based composite binder and its application in construction materials
JP2001114541A (ja) セメント混和材及びセメント組成物
JP4786220B2 (ja) 木質セメント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ivesey Succeeding with hydraulic lime mortars
JP2006188398A (ja) セメント組成物
Jena et al. Parametric study on sustainable geopolymer concrete
Paing et al. Thelepung (Thelethong Clay) as Wisdom Local Plesterant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