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380B1 -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 Google Patents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380B1
KR101689380B1 KR1020150175118A KR20150175118A KR101689380B1 KR 101689380 B1 KR101689380 B1 KR 101689380B1 KR 1020150175118 A KR1020150175118 A KR 1020150175118A KR 20150175118 A KR20150175118 A KR 20150175118A KR 101689380 B1 KR101689380 B1 KR 101689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block
collecting member
fill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주
Priority to KR1020150175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380B1/ko
Priority to PCT/KR2016/011251 priority patent/WO201709934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natural stones, e.g. sett 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은, 블록 본체; 상기 블록 본체 내부에 채워지는 충전재; 상기 블록 본체 내부에 충전재가 채워진 상태에서 블록 본체 하부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블록 본체에 식모되는 인조잔디파일;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WATER PERMEABLE BLOCK WITH TRANSPLANTED ARTIFICIAL GRASS}
본 발명은 도로, 보도, 공원 산책로 및 야외 체육시설이 설치되는 장소 등에 시공하는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 보도블록, 고강도 블록, 인터로킹 블록은 화강석, 대리석 등의 비투수 석재를 사용하는 경우 투수성이 미약하여 지하로의 우수침투가 적고 이는 지하수의 고갈을 초래하면서 지반의 변형 및 지반약화를 야기 시키며, 이외에도 우수가 하천으로만 유입되어 우기에는 하천유역에 범람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토양 생물 및 수목의 발육저하를 일으켜 생태계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투수성을 갖춘 보도나 도로의 포장용 부재가 개발되고 있으며 실제로 도로상에 적용되어 어느 정도 실효성을 거두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출시되고 있는 잔디 블록은 천연잔디의 주기적인 유지관리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투수 포장재는 시공 후 시간이 지날수록 투수성능이 저하되고 투수성능 저하시점 이후 유지관리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요즘 학교나 지자체에서 많이 설치되고 있는 인조잔디는 내구연한이 8년이 채 못되고 내구연한이 지나면 전량 폐기되는 실정이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27006호는 "투수블록 구조체"를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블록 본체와 커버를 분리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고 블록 본체 중앙에 토사 포집 부재를 구비하여 투수성이 우수하고 사후관리가 매우 편리한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은, 블록 본체; 상기 블록 본체 내부에 채워지는 충전재; 상기 블록 본체 내부에 충전재가 채워진 상태에서 블록 본체 하부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블록 본체에 식모되는 인조잔디파일;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본체의 외면에는 격자형 엠보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본체의 외면에는 관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엠보싱 끝단 사이는 물이 흐를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본체의 상면은 중심 부위가 가장 낮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본체 중앙에는 토사 포집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토사 포집 부재는 토사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고 상부는 분리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사 포집 부재는 하부가 블록 본체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사 포집 부재의 최상단 부위는 블록 본체의 가장자리 부위와 일치되도록 블록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사 포집 부재의 상면에는 관통공과 격자형 엠보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사 포집 부재의 측면에는 관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재는 쇄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바닥에는 관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재와 커버 사이에는 부직포 및 관통공이 천공된 탄성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본체와 커버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본체 상면에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격자형 엠보싱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에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에 의하면, 보도, 차도 시공용 블록, 야외 체육시설 장소 시공용 블록, 공원 산책로 시공용 블록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콘크리트 보도블록이나 고무탄성 포장재에 비하여 우수가 신속하게 투수되는 등 배수성이 탁월하다.
또한, 블록 본체와 커버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어서 추후 유지관리 및 교체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탄성패드가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보행감이나 차량 운행시 승차감이 우수하다.
또한, 시공 장소에서 사람이 투수블록에 부딪치더라도 탄성패드가 충격을 흡수하므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롤 형태의 인조잔디 구조는 내구연한이 지나면 전량폐기해야 하며, 인조잔디를 블록형태로 만든다 하더라도 인조잔디를 접착하는 형태로 구성되므로 향후에 내구연한이 다하면 전체를 폐기해야 하나 본 발명은 인조잔디파일만 교체하면 되므로 인조잔디교체 비용이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은, 블록 본체(10), 블록 본체(10) 내부에 채워지는 충전재(30), 블록 본체(10) 내부에 충전재(30)가 채워진 상태에서 블록 본체(10) 하부에 결합되는 커버(40) 및 블록 본체(40)에 식모되는 인조잔디파일(111)을 포함한다.
블록 본체(10) 외면에는 격자형 엠보싱(11)이 구비된다. 블록 본체(10) 상면에 구비되는 엠보싱(11)에는 관통공(100)이 구비된다. 관통공(100)에는 인조잔디파일(111)이 식모된다.
블록 본체(10) 상면에 인조잔디파일(111)을 식모하면 인조잔디가 식모된 투수블록이 형성되고, 그 블록들을 연결하면 아주 우수한 인조잔디운동장을 만들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토사 포집 부재(20)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구조가 유사하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은, 블록 본체(10), 블록 본체(10)의 중앙에 결합되는 토사 포집 부재(20), 블록 본체(10) 내부에 채워지는 충전재(30), 블록 본체(10) 내부에 충전재(30)가 채워진 상태에서 블록 본체(10) 하부에 결합되는 커버(40) 및 충전재(30)와 커버(40) 사이에 위치하는 관통공(100)과 탄성패드(6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블록 본체(10)는 외형이 사각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 본체(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 본체(10)의 하부는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 본체(10)의 개구된 하부를 통해 충전재(30)가 채워진다. 블록 본체(10)의 상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외면에는 격자형 엠보싱(11)이 구비된다. 엠보싱(11)은 블록 본체(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블록 본체(10)의 외면에는 블록 본체(10)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100)이 천공된다. 관통공(100)은 엠보싱(embossing)이 형성되는 면을 제외한 블록 본체(10) 외면에 구비된다.
도 2와 같이 블록 본체(10) 외면에 형성되는 각 엠보싱(11) 끝단 사이는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엠보싱(11) 끝단 사이를 연결하지 않고 간격을 둠으로써 각 엠보싱(11) 끝단 사이를 통해 물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도 3과 같이 블록 본체(10) 상면은 중심 부위가 가장 낮도록 오목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블록 본체(10) 상면을 오목한 형태로 형성할 경우 빗물과 토사(200)가 자연스럽게 블록 본체(10) 가장자리에서 중심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블록 본체(10)의 상면 중심으로 빗물과 함께 이동한 토사, 각종 이물질은 블록 본체(10)의 중앙에 결합된 토사 포집 부재(20) 내부로 모이게 된다.
블록 본체(10) 상면의 중심 부위가 가장 낮게 형성되어 있어 토사 및 각종 이물질이 블록 본체(10) 오목한 상면을 따라 블록 본체(10)의 중앙에 모이기 때문에 토사 포집 부재(20)는 블록 본체(10)의 중앙 부위에 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토사 포집 부재(20)는 토사를 수거하는 역할을 한다.
토사 포집 부재(20)는 내부에 토사(200)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토사 포집 부재(20)의 하부는 블록 본체(10) 내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토사 포집 부재(20)의 상부에는 격자형 엠보싱(11)과 배수를 위한 관통공(100)이 구비될 수 있다. 토사 포집 부재(20)의 상부는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토사 포집 부재(20) 내부에 토사가 포집 용량 이상으로 쌓이면 토사 포집 부재(20)를 블록 본체(10)로부터 분리한 다음 토사 포집 부재(20) 상부를 개방하여 토사 포집 부재(20) 내부의 토사를 제거한다.
토사 포집 부재(20)의 상면에는 블록 본체(10)와 같은 격자형 엠보싱(11)과 관통공(1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사 포집 부재(20) 측면에는 관통공(1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사 포집 부재(20)는 외형이 원통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재(30)는 돌을 잘게 깨뜨린 쇄석일 수 있다. 블록 본체(10) 내부에 충전재(30)는 블록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블록 본체(10) 내부에 채워지는 충전재(30)는 블록 본체(10) 상면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블록 본체(1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는 역할을 한다. 충전재(30)에 사용되는 쇄석은 대략 30% 내외의 공극율을 가지고 있어 블록 본체(10) 내부에 쇄석을 충진하여 공극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한편, 충전재(30)인 쇄석을 우레탄 바인더로 부분 접착하여 쇄석의 유동성과 분리 또는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충전재(30)로 쇄석이 가장 바람직하나 다른 종류의 충전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커버(40)는 블록 본체(10) 내부에 충전재(30)가 채워진 상태에서 블록 본체(10) 하부에 결합 된다. 구체적으로 블록 본체(10)를 개구된 하부가 위를 향하도록 뒤집은 다음 블록 본체(10) 내부를 충전재(30)로 채우고 블록 본체(10) 하부에 커버(40)를 결합한다. 커버(40)의 바닥면에는 배수를 위한 관통공(100)이 구비될 수 있다.
충전재(30)와 커버(40) 사이에는 부직포(50)와 탄성패드(6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직포(50)는 충전재(30)와 커버(40) 바닥 사이에 위치된다. 부직포(50)는 이물질을 걸러주어 먼지나 토사 등의 이물질로 인해 커버(40)의 관통공(10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패드(60)는 부직포(50)와 커버(40) 바닥 사이에 위치한다. 탄성패드(60)에는 배수를 위한 관통공(100)이 구비된다. 탄성패드(60)는 블록 본체(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하고 커버(40)와 블록 본체(10) 사이의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패드(60)를 여러 장으로 결합하거나 탄성패드(60)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탄성패드(60)의 탄성을 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의 크기는, 중량과 시공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가로 30 내지 50 cm, 세로 30 내지 50 cm, 높이 6 내지 30 cm 내외가 적당하다. 바람직하게는 기존 보도블록과 유사한 규격인 가로 30 cm, 세로 30 cm, 높이 6 cm 가 이상적이다.
한편, 블록 본체(10)와 커버(40)는 연질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블록 본체(10)와 커버(40)를 연질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이유는 블록 본체(10) 및 커버(40)와 충전재(30)인 쇄석와의 밀착력을 높이고 블록 본체(10)가 외력에 쉽게 깨지지 않고 적절한 탄성을 유지하여 보행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의 조립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블록 본체(10)의 개구된 하부가 위를 향하도록 블록 본체(10)를 뒤집은 다음 블록 본체(10) 내부에 충전재(30)를 채워 넣는다. 블록 본체(10) 내부를 충전재(30)로 채운 다음 충전재(30) 위에 부직포(50)를 올려놓고 부직포(50) 위에 탄성패드(60)를 놓는다. 이 상태에서 커버(40)를 블록 본체(10) 하부에 결합한다. 조립이 완료된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은 블록 본체(10)의 상면이 위를 향하도록 보도, 도로 등에 시공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의 작용을 설명한다.
빗물의 일부는 블록 본체(10) 외면의 관통공(100)을 통해 블록 본체(10) 내부로 유입되고, 일부는 토사, 이물질 등과 함께 오목한 블록 본체(10)의 상면을 따라 블록 본체(10)의 상면 중심으로 모이게 된다. 블록 본체(10) 상면으로 모인 빗물과 토사는 토사 포집 부재(20)에 구비된 관통공(100)을 통해 토사 포집 부재(20) 내부로 수거 된다.
이와 같이 토사와 이물질을 토사 포집 부재(20) 내부로 수거함으로써 토사에의 의해 블록 본체(10)와 커버(40)에 구비된 관통공(10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사 포집 부재(20) 내부의 토사가 용량 이상으로 쌓일 경우 토사 포집 부재(20)를 블록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토사 포집 부재(20) 내부의 토사를 제거 한다. 블록 본체(10) 외면 구비된 격자형 엠보싱(11)은 보행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블록 본체(10) 상면에 인조잔디파일(111)을 식모하면 인조잔디가 식모된 투수블록이 형성되고 그 블록들을 연결하면 아주 우수한 인조잔디운동장을 만들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은, 보도, 차도 시공용 블록, 야외 체육시설 장소 시공용 블록, 공원 산책로 시공용 블록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콘크리트 보도블록이나 고무탄성 포장재에 비하여 우수가 신속하게 투수되는 등 배수성이 탁월하다. 또한, 블록 본체와 커버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어서 추후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교체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탄성패드가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보행감이나 차량 운행시 승차감이 우수하다. 또한, 시공 장소에서 사람이 투수블록에 부딪치더라도 탄성패드가 충격을 흡수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되고 탄성패드가 부착된 투수블록은 탄성과 배수가 뛰어난 인조잔디운동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블록 본체 11:엠보싱
20:토사 포집 부재 30:충전재
40:커버 50:부직포
60:탄성패드 100:관통공
111:인조잔디파일 200:토사

Claims (15)

  1. 블록 본체; 상기 블록 본체 내부에 채워지는 충전재; 상기 블록 본체 내부에 충전재가 채워진 상태에서 블록 본체 하부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블록 본체에 식모되는 인조잔디파일; 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 본체의 외면에는 격자형 엠보싱이 구비되고,
    상기 각 엠보싱 끝단 사이는 물이 흐를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블록 본체의 상면은 중심 부위가 가장 낮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블록 본체 중앙에는 토사 포집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토사 포집 부재는 토사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고 상부는 분리 가능한 구조이며,
    상기 토사 포집 부재는 하부가 블록 본체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토사 포집 부재의 측면에는 관통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의 외면에는,
    관통공이 구비되는 것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사 포집 부재의 최상단 부위는,
    블록 본체의 가장자리 부위와 일치되도록 블록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사 포집 부재의 상면에는,
    관통공과 격자형 엠보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쇄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바닥에는,
    관통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와 커버 사이에는,
    부직포 및 관통공이 천공된 탄성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와 커버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 상면에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격자형 엠보싱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에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KR1020150175118A 2015-12-09 2015-12-09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KR101689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118A KR101689380B1 (ko) 2015-12-09 2015-12-09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PCT/KR2016/011251 WO2017099343A1 (ko) 2015-12-09 2016-10-07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118A KR101689380B1 (ko) 2015-12-09 2015-12-09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380B1 true KR101689380B1 (ko) 2016-12-23

Family

ID=5773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118A KR101689380B1 (ko) 2015-12-09 2015-12-09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9380B1 (ko)
WO (1) WO201709934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721B1 (ko) 2019-09-17 2020-10-19 주식회사 세주 식모장치를 이용한 인조잔디파일 식모방법
KR102167720B1 (ko) 2019-09-17 2020-10-19 주식회사 세주 인조잔디파일 식모장치
KR102180813B1 (ko) * 2020-05-20 2020-11-20 주식회사 필드테크 일체형 배수판과 이를 사용한 모듈형 배수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096Y1 (ko) * 2003-04-17 2003-07-07 이인숙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
KR100661623B1 (ko) * 2006-05-19 2006-12-27 (주) 한백종합기술공사 도로 가로수 주위에 설치되는 급수 기능을 가진 블럭조합체.
KR20090000051U (ko) * 2007-06-28 2009-01-07 박희자 잔디식생블럭
KR101124608B1 (ko) * 2011-09-05 2012-03-20 박건호 통수성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380A (ja) * 1992-11-10 1994-05-27 Hiroshi Kachi 浸透桝を埋設する道路構築工法
KR101176040B1 (ko) * 2012-04-03 2012-08-24 에스닷디자인(주) 투수코어가 결합된 지속가능한 배수성 투수블럭과 그 시공방법
KR101375070B1 (ko) * 2012-06-01 2014-03-14 주식회사 데코페이브 투수코어가 결합된 투수저류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096Y1 (ko) * 2003-04-17 2003-07-07 이인숙 가로수 급수용 합성수지 블록
KR100661623B1 (ko) * 2006-05-19 2006-12-27 (주) 한백종합기술공사 도로 가로수 주위에 설치되는 급수 기능을 가진 블럭조합체.
KR20090000051U (ko) * 2007-06-28 2009-01-07 박희자 잔디식생블럭
KR101124608B1 (ko) * 2011-09-05 2012-03-20 박건호 통수성 블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721B1 (ko) 2019-09-17 2020-10-19 주식회사 세주 식모장치를 이용한 인조잔디파일 식모방법
KR102167720B1 (ko) 2019-09-17 2020-10-19 주식회사 세주 인조잔디파일 식모장치
WO2021054624A1 (ko) * 2019-09-17 2021-03-25 주식회사 세주 식모장치를 이용한 인조잔디파일 식모방법
KR102180813B1 (ko) * 2020-05-20 2020-11-20 주식회사 필드테크 일체형 배수판과 이를 사용한 모듈형 배수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9343A1 (ko)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6540B2 (en) Transport corridor infiltration system
KR101689380B1 (ko)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KR101286583B1 (ko) 우수저장 블록
CA2523849C (en) Sports floo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a sports floor
EP0504536A1 (de) Beton-Formsteine
KR101458540B1 (ko)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KR101689381B1 (ko) 투수블록
KR101206057B1 (ko)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KR101043662B1 (ko) 배수용 측구 조립체
US10131773B2 (en) Permeable material
JP6362998B2 (ja) 運動場の排水構造
KR20090006350A (ko) 배수용 그레이팅
US20140021144A1 (en) Filtering Device and Method
KR101940561B1 (ko) 빗물 집수장치
KR200460322Y1 (ko) 배수홈통을 이용한 배수구조
KR20150124591A (ko) 투수형 인조잔디
KR100966468B1 (ko) 보강매트와 유공관이 결합된 무 배수로 투수 기층구조 의 시공방법.
KR101715196B1 (ko) 무막힘 표면여과 탄성블럭
CN111535098A (zh) 一种城镇道路绿化带、人行道雨水排水系统及施工方法
KR102235676B1 (ko) 다용도 모듈형 블록틀
KR100966473B1 (ko) 비노출 배수로의 기층구조 및 유공관을 포함하는 비노출 배수로의 시공방법
JPH04203002A (ja) 運動競技場等の排水構造
KR200444170Y1 (ko) 인조잔디 시공구조
KR200444169Y1 (ko) 인조잔디 시공구조
CN218813865U (zh) 一种生态保护挡土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