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169Y1 - 인조잔디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169Y1
KR200444169Y1 KR2020080014740U KR20080014740U KR200444169Y1 KR 200444169 Y1 KR200444169 Y1 KR 200444169Y1 KR 2020080014740 U KR2020080014740 U KR 2020080014740U KR 20080014740 U KR20080014740 U KR 20080014740U KR 200444169 Y1 KR200444169 Y1 KR 200444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ermeable
grass
artificial turf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제
유수정
Original Assignee
김광제
유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제, 유수정 filed Critical 김광제
Priority to KR2020080014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1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1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잔디 표면에 발생하는 복사열을 저감하여 인조잔디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열섬현상을 배제하여 쾌적한 표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인조잔디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반 위에 형성하는 쇄석층과, 상기 쇄석층의 상면에 형성하는 투수층과, 상면에 베이스에 심어진 잔디파일과 상기 잔디파일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규사와 고무칩을 채운 잔디층을 상기 투수층의 상면에 형성하여 구성되는 인조잔디에 있어서;
상기 투수층은 판상형태로 구비하는 투수베이스의 상면에 수분배출이 용이하도록 중간크기의 굵기로 채워지는 모래와, 상기 투수베이스의 표면에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많은 수의 배수공과, 상기 투수베이스의 상면에 형성하여 모래를 충진하여 배출되는 수분을 함습하여 햇빛조사시 증발하여 잔디층에 발생하는 복사열 또는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함습컵과, 상기 투수베이스와 인접한 투수베이스를 연결하여 쉽게 분리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Figure R2020080014740
인조잔디, 충격, 온도, 열섬, 투수층, 완충층

Description

인조잔디 시공구조{AN ARTIFICIAL TURF}
본 고안은 인조잔디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의 용이성은 물론 투수성과 수분함수로 인한 지열감소 및 재활용성이 우수하도록 한 개선된 시공구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는 천연잔디 대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주로 체육경기를 수행하는 운동장이나 산책로 또는 주택의 마당이나 건물의 옥상정원 등에 시공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인조잔디는 기술의 발전으로 거의 천연잔디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시공되고 있으며, 학교, 공설, 또는 축구장, 풋살경기장 등과 같은 운동장에 많이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운동장에 많이 시공되는 인조잔디의 구조를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1)에 심어진 잔디파일(2)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용자들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규사(3)와 고무칩(4)을 일정한 높이로 채운 잔디층(5)과, 상기 잔디층(5)의 하방에 투수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구성되는 투수 층(6)을 형성하고, 상기 투수층(6)과 지반(7) 사이에는 쇄석층(8)을 형성하여 인조잔디(10)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인조잔디는 이용자들이 운동과정 또는 보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의 흡수를 잔디층을 구성하는 규사와 고무칩에 의해서만 흡수하도록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충격 또는 진동흡수가 원활하지 못하여 이용자들의 신체에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된다.
특히, 축구, 야구 등과 같이 순간적인 순발력을 필요로 하거나 슬라이딩, 점프 후 착지등과 같이 과격한 운동경기에서 신발 등을 착용하고 있는 상태이나 특히 심한 충격과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인조잔디가 충분하게 흡수하지 못하고 잔디층 하방에 위치한 투수층과 이용자의 신체가 거의 직접적으로 닿는 형태가 됨으로서 경질의 투수층에 의하여 충격이 심화되어 신체적인 손상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투수층을 투수콘크리트로 전체면적에 대하여 현장에서 타설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운동장의 특성상 넓은 면적 전체를 평탄하게 유지하여야 하는 시공의 어려움이 있는 것은 물론, 시공비용이 상승하는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어느 한 부위의 지반이 침하될 경우에는 타설 시공에 의하여 전체가 연결된 특성에 의하여 지반의 침하부위는 물론 주변 전체에 대하여 연속하여 침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침하된 부위를 보수하고자 할 경우에도 침하된 부위만 제거한 후 신속 하게 보수하지 못하고, 침하된 부위보다 많은 면적을 절단하여 절개한 후 보수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고, 특히 보수 후에는 절단면의 기존시공부위와 보수한 시공부위와의 다짐정도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동일한 평평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강우 및 강설로 발생하는 수분은 투수층을 통하여 지반까지 이동된 후 최종 배출되는 데, 강우가 끝난 후 햇빛이 잔디층에 조사될 때 상당한 복사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용과정에서 잔디층이 쉽게 손상되는 원인이 되는 것은 물론, 인조잔디가 시공된 위치가 다른 지역보다 온도가 상승하는 열섬현상이 발생하여 이용자들에게 상당한 불편을 주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지반 위에 형성하는 쇄석층과, 상기 쇄석층의 상면에 형성하는 투수층과, 상면에 베이스에 심어진 잔디파일과 상기 잔디파일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규사와 고무칩을 채운 잔디층을 상기 투수층의 상면에 형성하여 구성되는 인조잔디에 있어서;
상기 투수층은 판상형태로 구비하는 투수베이스의 상면에 수분배출이 용이하도록 중간크기의 굵기로 채워지는 모래와, 상기 투수베이스의 표면에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많은 수의 배수공과, 상기 투수베이스의 상면에 형성하여 모래를 충진하여 배출되는 수분을 함습하여 햇빛조사시 증발하여 잔디층에 발생하는 복사열 또는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함습컵과, 상기 투수베이스와 인접한 투수 베이스를 연결하여 쉽게 분리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잔디 표면에 발생하는 복사열을 저감하여 인조잔디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열섬현상을 배제하여 쾌적한 표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인조잔디를 구성하는 투수층을 개선하여 우수 및 강설로 인한 배수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결속력을 높여 지반의 침하현상을 방지하면서 수분 중 일정량을 함수하여 증발시켜 인조잔디 표면의 온도를 저감시켜 열섬현상을 배제하여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시공과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인조잔디 시공구조를 도시한 단면상태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인조잔디 시공구조의 투수층을 발췌한 일부생략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인조잔디 시공구조의 투수층을 발췌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인조잔디 시공구조의 투수층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인조잔디(100)는 지반(101) 위에 배수와 하중지지를 목적으로 쇄석층(102)을 형성하고, 상기 쇄석층(102)의 상면에는 우수 등에 의하여 인조잔디 표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투수층(103)을 형성한다.
상기 투수층(103)의 상면에는 베이스(104)에 심어진 잔디파일(105)과 상기 잔디파일(105)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용자들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규사(106)와 고무칩(107)을 일정한 높이로 채운 잔디층(108)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투수층(103)을 개선하고 투수층(103)과 잔디층(108) 사이에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층(110)을 더 구비하여 시공과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투수층(103)을 합성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는 판상형태의 투수베이스(111)를 구비하고, 상기 투수베이스(111)의 상면에는 2∼10㎜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모래 또는 잔자갈(112, 이하 모래라 한다.)를 채워 강우 또는 강설로 발생하는 수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투수층의 공극을 없게 하여 잔디층, 완충층,투수층, 쇄석층의 일체형으로 경기감을 향상시킨다.한다.
상기 투수베이스(111)의 표면에는 모래(112)가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많은 수(다수 개)의 배수공(113)을 형성하여 잔디층(108)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투수베이스(111)의 상면에는 등 간격을 유지시켜 상향 돌출되고 배수공이 형성되지 않은 함습컵(114,115)을 다수 개 형성하여 모래(112)를 충진하여 배출되는 수분 중 일부를 함습한 상태에서 햇빛의 조사에 의하여 자연증발하여 잔디층(108)에 발생하는 복사열 또는 표면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함습컵(114,115)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 가능할 것이며, 예시하지 않은 형상이라 하여도 모래(112)을 담을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투수베이스(111)에는 인접한 투수베이스(111)와 결속수단(116)에 의하여 견고한 결속상태를 유지하여 쉽게 분리 또는 붕괴되는 현상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수단(116)은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투수베이스(111)의 가장자리에 형성하는 결합돌기(117)외 결합홈(118)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투수베이스(111)를 서로 맞대기 또는 겹치기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핀 또는 고정와이어 또는 고정클립 등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거나 하방의 쇄석층(102)에 박아서 고정하는 등 다양한 실시가 있을 것이다.
상기 완충층(110)은 폐타이어 등을 분쇄하여 만들어진 고무칩이나 우레탄칩 등과 같이 폐자재를 재활용하여 만들어지져 충격흡수력이 우수한 칩 사이 사이에 배수공극을 가지는 블럭 또는 시트타입으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인조잔디 시공구조는,
지반(101)위에 형성되는 쇄석층(102)의 상면에 투수층(103)을 구성하는 투수베이스(111)를 결속수단(116)을 이용하여 인접한 투수베이스(111)와 견고하게 결속시켜 일체화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투수베이스(111)의 상면에는 모래(112)를 함습컵(114,115) 와 동일한 높이 또는 함습컵(114,115)보다 높은 높이로 채우고, 함습컵(114,115) 내부에도 모래(112)가 채워지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모래(112)가 채워진 투수베이스(111)의 상면에는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된 된 칩(120)으로 구성되어 투수공극(121)을 가지는 완충층(110)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층(110)의 상면에는 잔디층(108)을 형성하여 인조잔디(100)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인조잔디(100)는 이용자들이 운동 등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이 잔디층(108)의 하방에 더 형성하는 완충층(110)에 의하여 완화하고 흡수하게 되므로 신체적인 손상을 유발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 할 것이다.
그리고, 지반의 이상으로 일부지반이 침하되더라도 투수층(103)을 구성하는 투수베이스(111)가 서로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지속적인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실질적으로 지반침하로 인하여 복구하여야 할 경우에도 이상이 발생한 부위의 잔디층(108)과 완충층(110), 투수층(103)을 제거하여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곳으로 모아둔다.
그런후, 쇄석층(102)을 제거한 후 지반(101)을 다짐하고, 지반(101)의 상면에 쇄석층(102)을 형성하고, 분리하였던 투수층(103)과 완충층(110) 및 잔디층(108)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하면 유지, 보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는 투수층(103)과 완충층(110)이 쉽게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운동장의 폐쇄 등으로 인하여 인조잔디(100)가 필요 없게 된 경우에는 쇄석층(102)을 제외한 잔디층(108)과 완충층(110) 및 투수층(103)은 분리하여 다른 곳에 재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자원의 폐기처분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르는 페기비용의 절감 및 폐기물의 무단방치로 야기될 수 있는 환경보전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투수층(103)을 구성하는 투수베이스(111)에 형성되는 함습컵(114,115)에는 배수공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잔디층(108)과 완충층(110)으로부터 투수된 수분이 함습컵(114,115)에 채워진 모래(112)에 함습된 상태에 있다가 햇빛이 잔디층(108)에 조사될 경우에는 증발되면서 잔디층(108)의 표면온도를 낮추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잔디층(108)의 표면온도가 낮아지고 주변의 온도와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여 열섬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용자들의 활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투수층의 개별사용도 포함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인조잔디 시공구조를 도시한 단면상태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인조잔디 시공구조의 투수층을 발췌한 일부생략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인조잔디 시공구조의 투수층을 발췌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인조잔디 시공구조의 투수층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인조잔디 시공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인조잔디
103; 투수층
108; 잔디층
110; 완충층
111; 투수베이스
114,115; 함습컵

Claims (2)

  1. 지반(101) 위에 형성하는 쇄석층(102)과;
    상기 쇄석층(102)의 상면에 형성하는 투수층(103)과;
    상면에 베이스(104)에 심어진 잔디파일(105)과 상기 잔디파일(105)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규사(106)와 고무칩(107)을 채운 잔디층(108)을 상기 투수층(103)의 상면에 형성하여 구성되는 인조잔디(100)에 있어서;
    상기 투수층(103)은 판상형태로 구비하는 투수베이스(111)와;
    상기 투수베이스(111)의 상면에 수분배출이 용이하도록 채워지는 모래(112)와;
    상기 투수베이스(111)의 표면에 모래(112)가 빠져나가지 않으면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 개의 배수공(113)과;
    상기 투수베이스(111)의 상면에 형성하여 모래(112)를 충진하여 배출되는 수분을 함습하여 햇빛조사시 증발하여 잔디층(108)에 발생하는 복사열 또는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함습컵(114,115)과;
    상기 투수베이스(111)와 인접한 투수베이스(111)를 연결하여 쉽게 분리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수단(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시공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층(103)과 잔디층(108) 사이에는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의 칩 사이 사이에 배수공극을 가지는 블럭 또는 시트타입의 완충층(11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시공구조.
KR2020080014740U 2008-11-04 2008-11-04 인조잔디 시공구조 KR200444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740U KR200444169Y1 (ko) 2008-11-04 2008-11-04 인조잔디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740U KR200444169Y1 (ko) 2008-11-04 2008-11-04 인조잔디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169Y1 true KR200444169Y1 (ko) 2009-04-17

Family

ID=4134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740U KR200444169Y1 (ko) 2008-11-04 2008-11-04 인조잔디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1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938B1 (ko) 2010-02-04 2010-10-28 (주)필드테크 배수판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KR101973489B1 (ko) 2018-05-17 2019-04-29 하승희 열차단성을 구비하는 인조잔디 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4755A1 (en) * 1992-08-18 1994-03-03 Bowers, Jacqueline, Mary Recreational surface
KR980008267U (ko) * 1998-02-09 1998-04-30 윤석구 인조잔디구장의 인조잔디구조체
KR200414447Y1 (ko) * 2006-02-07 2006-04-20 (주)대종체육건설 인조잔디구장의 투수형 탄성포장바닥
JP2006207336A (ja) * 2005-01-31 2006-08-10 Sekisui Jushi Co Ltd 人工芝の下地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4755A1 (en) * 1992-08-18 1994-03-03 Bowers, Jacqueline, Mary Recreational surface
KR980008267U (ko) * 1998-02-09 1998-04-30 윤석구 인조잔디구장의 인조잔디구조체
JP2006207336A (ja) * 2005-01-31 2006-08-10 Sekisui Jushi Co Ltd 人工芝の下地構造
KR200414447Y1 (ko) * 2006-02-07 2006-04-20 (주)대종체육건설 인조잔디구장의 투수형 탄성포장바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938B1 (ko) 2010-02-04 2010-10-28 (주)필드테크 배수판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KR101973489B1 (ko) 2018-05-17 2019-04-29 하승희 열차단성을 구비하는 인조잔디 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167B1 (ko) 인조잔디를 포함하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KR20110000261U (ko) 인조잔디 시공용 탄성매트
KR100578039B1 (ko) 운동장용 기층재
US7563052B2 (en) Sports floo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a sports floor
US8221029B2 (en) Water drainage and harvesting system for an artificial turf environment
HUT74233A (en) Structure of a walking surface for horses, in particular for a riding area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100036016A (ko) 담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와 탄성바닥재 시공방법
EP3256645B1 (en) Artificial lawn
KR100989938B1 (ko) 배수판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JP4746654B2 (ja) 表層体及び表層体の施工方法
KR200444169Y1 (ko) 인조잔디 시공구조
KR100621678B1 (ko) 인조잔디 운동장용 배수블록 설치 방법
NO855068L (no) Hurtig drenerende kunstgress- idrettsbane.
KR102249169B1 (ko) 인조잔디용 충격흡수 배수판
KR101206728B1 (ko) 빗물 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019181B1 (ko) 도로용 블록을 이용한 도로의 포장구조
KR101689380B1 (ko) 인조잔디파일이 식모된 투수블록
KR200444170Y1 (ko) 인조잔디 시공구조
KR100946156B1 (ko) 간이 골프용 인조그린 설치방법
CN104594604A (zh) 镶嵌粘接复合型弹性橡胶地砖及其铺设、更换的方法
CN207582236U (zh) 足球场草坪
KR100644386B1 (ko) 하단부 돌출형 고무블록이 구비된 탄성 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1689381B1 (ko) 투수블록
JP2009257055A (ja) 人工芝グラウンドの施工方法
KR102305411B1 (ko) 빗물 지중 저류침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