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350A - 배수용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배수용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350A
KR20090006350A KR1020070069602A KR20070069602A KR20090006350A KR 20090006350 A KR20090006350 A KR 20090006350A KR 1020070069602 A KR1020070069602 A KR 1020070069602A KR 20070069602 A KR20070069602 A KR 20070069602A KR 20090006350 A KR20090006350 A KR 20090006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grating
filter means
aggregat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민
안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건산업
주식회사 에코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건산업, 주식회사 에코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건산업
Priority to KR1020070069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350A/ko
Publication of KR2009000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안전한 보행을 할 수 있으며, 특히 노면(路面)에 있는 낙엽이나 껌, 담배꽁초, 돌멩이, 폐종이와 같은 각종 이물질들은 걸러지고 빗물만 배수될 수 있는 배수용 그레이팅을 개시한다.
그러한 배수용 그레이팅은, 여러 개의 연결판 사이로 배수 통로들이 형성되어 있는 그레이팅 본체와, 상기 각 배수 통로 내부에 충진되며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투수용 공극들을 가지는 필터수단을 포함한다.
노면에 고인 빗물의 배수, 그레이팅 본체, 배수 통로, 필터수단, 투수성 충진재, 투수용 공극, 노면의 이물질(껌, 낙엽, 담배꽁초, 돌멩이, 폐종이) 차단, 보행 안전사고 방지

Description

배수용 그레이팅{drain grating}
본 발명은 안전한 보행을 할 수 있고, 노면에 있는 낙엽이나 껌, 담배꽁초, 돌멩이, 폐종이와 같은 각종 이물질들은 걸러지고 빗물만 배수하는 배수용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그레이팅(grating)은 도로나 인도의 노면에 고여있는 빗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노면에서 일정 크기로 형성된 배수용 개구부를 덮는 상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그레이팅은, 일정 두께를 갖는 금속 막대 형상의 연결판들을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 고정하여 각 연결판들 사이에 배수 통로들이 형성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그레이팅 구조는 노면의 배수용 개구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그레이팅은 노면에 고여있는 빗물 이외에도 담배꽁초나 껌, 휴지, 낙엽, 돌맹이, 폐종이와 같이 일정 크기를 가지는 각종 이물질들이 상기 배수 통로들을 통해서 지하의 배수 관로 내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 통로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들은 배수 관로 내부에 점차 쌓이 면서 관로가 막히는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하 배수 관로가 막히게 되면 특히 장마철에 노면에 고인 빗물을 원활하게 배수하지 못하여 침수를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그레이팅 구조는, 연결판 사이의 배수 통로 내측에 보행자의 신발이나 구두의 바닥 부분이 쉽게 끼워지면서 각종 보행 안전 사고를 유발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여성들이 주로 착용하는 하이힐의 뒷굽이 끼워지면서 쉽게 파손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뒷굽이 끼어진 상태에서 보행자가 중심을 잃고 넘어지면서 신체 타박상 등을 입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그레이팅 구조가 갖는 문제점들은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물체들이 유입되거나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로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한 보행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외부로부터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한 배수용 그레이팅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 크기의 이물질들은 걸러지고 빗물만 배수되도록 하는 그레이팅으로서,
여러 개의 연결판 사이로 배수 통로들이 형성되어 있는 그레이팅 본체;
상기 각 배수 통로 내부에 충진되며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투수용 공극들을 가지는 필터수단;
을 포함하는 배수용 그레이팅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그레이팅 본체의 배수 통로 내부를 배수 가능하게 차단하도록 충진된 필터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도로나 인도의 노면에 있는 낙엽이나 담배꽁초, 껌, 돌맹이, 폐종이와 같은 각종 이물질들이 빗물과 함께 배수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이물질들이 지하 배수 관로 내부에 유입된 상태로 쌓이면서 배수로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수단은 그레이팅 본체의 배수 통로 내부를 메우면서 차단하도록 형성되므로 보행자의 구두나 신발의 밑 부분(뒷굽)이 끼워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보행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그레이팅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그레이팅 본체를 지칭한다.
상기 그레이팅 본체(2)는 여러 개의 연결판(P)을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하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P)들 사이에 배수 통로(H)가 각각 형성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그레이팅 본체(2)는 상기 연결판(P)들을 용접에 의해 통상의 방법으로 접합하여 둘레 내측에 일정 배열로 내부 통로(H)들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각 연결판(P)들은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지는 납작한 막대 형태의 금속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판(P)은 도금과 같은 작업을 거치면서 내부식성을 가지도록 통상의 방법으로 표면 처리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그레이팅 본체(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상기 그레이팅 본체(2)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여러 가지 모양의 원판이나 다각판 형상으로 상기 그레이팅 본체(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모양의 원판이나 다각판 형태를 가지도록 상기 그레이팅 본체(2)를 만드는 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그레이팅은 필터수단(4)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수단(4)은 상기 그레이팅 본체(2)의 배수 통로(H)들에 대응하여 일정 크기의 이물질들이 걸러지는 상태로 배수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필터수단(4)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투수용 공극(F1)들을 가지도록 일정 크기의 골재와 이 골재 중에 바인더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공극율이 30% 이상인 투수성 충진재(F)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수성 충진재(F)는, 골재 60∼75부피%, 폴리머 10∼23부피%, 경화제 0.5∼2부피% 범위로 혼합한 폴리머 골재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골재는 서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가지는 세골재와 중골재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입자 크기가 대략 1mm 내지 6mm인 세골재와, 입자 크기가 대략 7mm 내지 16mm인 중골재를 선별하여 사용한다.
상기 골재는 일반 파쇄석을 사용하거나 이외에도 강가 등에서 채취한 자갈이나 돌멩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가지는 두 가지의 골재를 사용하면, 일정 크기를 가지는 단일의 골재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할 때 상기 중골재들 사이사이에 상기 세골재들이 메워지면서 내구성 및 결속력이 증대된다.
그리고, 상기 두 가지의 골재를 적절하게 혼합하면서 상기 투수성 충진재(F)에 요구되는 투수성에 부합하는 크기로 투수용 공극(F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통상의 폴리머 관체(또는 "레진 관체"라고도 함.)를 제작하는데 사용하는 액상의 폴리머를 사용한다. 예를들어, (주)애경화학에서 생산 및 판매하고 브랜드명이 "폴리코트(Poly Coat)"인 폴리머를 바인더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화제는 상기 바인더와 같이 폴리머 관체를 제작하는데 사용하는 통상의 경화액을 사용한다.
상기 바인더는 상기 경화제와 함께 상기 골재 입자들을 결속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각 골재 외부면을 방수가 가능한 상태로 감싸는 일종의 방수막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동절기에 상기 골재 내부로 수분이 스며든 상태로 결빙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동파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분이 상기 투수용 공극(F1)들을 통과할 때 골재 외부면과 마찰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배수 성능이 증대된다.
상기 바인더는 상기한 혼합 범위 보다 적게 사용하면 각 골재들의 결속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인더는 상기한 혼합 범위보다 많이 사용하면 각 골재들 사이가 상기 바인더로 메워지면서 공극률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골재와 바인더 및 경화제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혼합 비율로 교반기에 투입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교반하여 폴리머 골재 혼합물 형태로 상기 투수성 충진재(F)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투수성 충진재(F)에는 착색제를 더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통상의 착색 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투수성 충진재(F)의 투수성이나 강도를 저하시키는 않은 통상의 범위 내로 혼합한다.
즉, 상기 착색제는 상기 그레이팅 본체(2)의 설치 장소나 주변 환경에 따라 상기 투수성 충진재(F)가 이에 부합하는 특정 색상(예:레드, 그린, 옐로우)을 가지도록 착색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투수성 충진재(F)를 상기 그레이팅 본체(2)측에 충진한 상태에서 시각적인 미감 향상은 물론이거니와 식별이 용이한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투수성 충진재(F)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진동(vibration) 성형용 몰드장치(M)를 이용하여 상기 그레이팅 본체(2)의 각 배수 통로(H)들 내부에 충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그레이팅 본체(2)를 몰드(M1) 내부에 얹은 상태에서 공급 호퍼(M2)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배수 통로(H) 내부에 상기 투수성 충진재(F)를 공 급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몰드(M1)측에 통상의 방법으로 진동을 발생하면 상기 투수성 충진재(F)가 상기 배수 통로(H)들 내부 공간에 골고루 채워지면서 각 골재들 사이사이에 배수를 위한 투수용 공극(F1)들을 가지는 상태로 충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투수성 충진재(F)를 충진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경화시키면 상기 배수 통로(H)들 내부에 충진된 상태로 굳으면서 상기 그레이팅 본체(2)의 각 배수 통로(H)들로 대응하도록 필터수단(4)이 형성된다.(도 4참조)
그리고, 상기 투수성 충진재(F)를 경화시키는 작업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들어,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것과 같이 자연 경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한 필터수단(4)은, 상기 그레이팅 본체(2)의 배수 통로(H)들 내부를 메우는 상태로 각각 채워져서 일종 유체 필터와 같은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그레이팅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면의 배수를 위해 매립 시공하는 통상의 배수용 관체(T)의 개구부(T1)를 덮는 상태로 설치한다.
그러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면에 고여있는 빗물(W)이 상기 그레이팅 본체(2)의 배수 통로(H)들을 통해 배수될 때 상기 필터수단(4)의 투수용 공극(F1)들을 통과하면서 상기 배수용 관체(T) 내부로 낙하하면서 배수된다.
그리고, 노면에 있는 담배꽁초나 껌, 낙엽, 휴지, 돌맹이, 폐종이와 같은 각종 이물질(W1)들은 상기 필터수단(4)에 의해 걸러진다.
즉, 상기 필터수단(4)은 이물질(W1)들은 걸러지고 빗물(W)만 배수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용 관체(T) 내부로 상기 이물질(W1)들이 유입되면서 지하 배수로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수단(4)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그레이팅 본체(2)에서 상기 각 배수 통로(H)의 내부 공간 전체를 메우면서 충진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들어, 보행자의 구두(하이힐) 뒷굽이 상기 배수 통로(H)측에 끼워져서 보행 중에 각종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종의 차단막 역할도 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그레이팅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P1)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판(P1)은 상기 그레이팅 본체(2)의 배수 통로(H)에서 상기 필터수단(4)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지지판(P1)은 일정 크기의 지지면(P2)을 가지는 금속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 통로(H) 내부면 일측과 고정하여 도 8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지지면(P2)이 수평한 자세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각 배수 통로(H) 내측에 형성한 상기 필터수단(4)이 각종 충격에 의해 상기 배수 통로(H) 아래쪽이나 위쪽으로 유동하면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거나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P1)은 상기 지지면(P2)에 의해 상기 각 배수 통로(H)의 배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필터수단(4)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 지지판(P1)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필터수단(4)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배수 통로(H) 내측에서 한 개 이상의 지지면(P2)을 제공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레이팅 본체(2)는 어느 한쪽면이 노면을 향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노면으로부터 상기 필터수단(4)의 투수용 공극(F1)들에 토사가 끼워져서 배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럴 때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들어, 상기 그레이팅 본체(2)를 일정 주기로 뒤집어서 설치한다. 그러면, 노면에 고인 빗물(W)의 배수시 상기 투수용 공극(F1)들에서 토사들이 원활하게 분리되면서 원래의 배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투수용 공극(F1)에 끼워져 있는 토사를 통상의 진공 청소기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그레이팅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그레이팅 본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그레이팅 본체의 다른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필터수단의 충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필터수단의 충진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그레이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그레이팅의 지지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7)

  1. 일정 크기의 이물질들은 걸러지고 빗물만 배수되도록 하는 그레이팅으로서,
    여러 개의 연결판 사이로 배수 통로들이 형성되어 있는 그레이팅 본체;
    상기 각 배수 통로 내부에 충진되며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투수용 공극들을 가지는 필터수단;
    을 포함하는 배수용 그레이팅.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 본체는,
    여러 개의 배수 통로들이 이격 형성된 원판이나 다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배수용 그레이팅.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은,
    배수를 위한 투수용 공극들을 가지는 투수성 충진재로 이루어지는 배수용 그레이팅.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충진재는,
    골재 60∼75부피%, 폴리머 10∼23부피%, 경화제 0.5∼2부피% 범위로 혼합한 폴리머 골재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그레이팅.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골재는,
    입자 크기가 1mm 내지 6mm인 세골재와, 입자 크기가 7mm 내지 16mm인 중골재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배수용 그레이팅.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용 그레이팅은,
    지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은, 일정 크기의 지지면을 가지며 이 지지면으로 상기 그레이팅 본체의 각 배수 통로에서 상기 필터수단의 지지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배수용 그레이팅.
  7. 개구부가 형성된 배수용 관체;
    상기 개구부를 덮는 상태로 위치하는 그레이팅 본체;
    상기 그레이팅 본체를 몰딩하는 투수성 충진재;
    을 포함하는 배수용 그레이팅.
KR1020070069602A 2007-07-11 2007-07-11 배수용 그레이팅 KR20090006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602A KR20090006350A (ko) 2007-07-11 2007-07-11 배수용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602A KR20090006350A (ko) 2007-07-11 2007-07-11 배수용 그레이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50A true KR20090006350A (ko) 2009-01-15

Family

ID=4048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602A KR20090006350A (ko) 2007-07-11 2007-07-11 배수용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35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446A (ko) 2015-03-30 2016-10-10 필립산업 (주) 배수용 그레이팅
CN106480973A (zh) * 2016-12-02 2017-03-08 无锡市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滤网板的地沟盖板
KR102035447B1 (ko) * 2019-01-17 2019-10-22 윤기로 투수성 혼합물을 이용한 배수구 그레이팅
KR102327191B1 (ko) * 2021-05-07 2021-11-17 주식회사 이엘산업 오물방지 투수형 그레이팅
KR20230026772A (ko) 2021-08-18 2023-02-27 유지현 그래이팅 커버 유닛
KR102522046B1 (ko) * 2022-02-08 2023-04-18 에코비젼21 주식회사 비점오염저감 배수구 그레이팅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446A (ko) 2015-03-30 2016-10-10 필립산업 (주) 배수용 그레이팅
CN106480973A (zh) * 2016-12-02 2017-03-08 无锡市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滤网板的地沟盖板
KR102035447B1 (ko) * 2019-01-17 2019-10-22 윤기로 투수성 혼합물을 이용한 배수구 그레이팅
KR102327191B1 (ko) * 2021-05-07 2021-11-17 주식회사 이엘산업 오물방지 투수형 그레이팅
KR20230026772A (ko) 2021-08-18 2023-02-27 유지현 그래이팅 커버 유닛
KR102522046B1 (ko) * 2022-02-08 2023-04-18 에코비젼21 주식회사 비점오염저감 배수구 그레이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7874B2 (en) Traffic bearing structure with permeable pavement
KR20090006350A (ko) 배수용 그레이팅
US20060222458A1 (en) Overside drain system for roadways and like surface areas
CN210458853U (zh) 一种市政道路透水铺砌路面结构
KR102419419B1 (ko) 조립식 배수로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152978B1 (ko)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KR100500957B1 (ko) 투수성 포장재를 가진 도로 경계용 측구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008421B1 (ko) 독립된 배수관 및 배수구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제어용 배수시설
CN108239905A (zh) 一种防积水道路及其施工方法
KR101043662B1 (ko) 배수용 측구 조립체
KR101019181B1 (ko) 도로용 블록을 이용한 도로의 포장구조
CN107044081B (zh) 生态型街道排水结构
KR20100118259A (ko) 친환경 트랜치 커버
US20140021144A1 (en) Filtering Device and Method
CN210561536U (zh) 一种防堵塞的透水行道
KR101894740B1 (ko) 투수식 맨홀
KR101593907B1 (ko)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KR100966473B1 (ko) 비노출 배수로의 기층구조 및 유공관을 포함하는 비노출 배수로의 시공방법
JP6173370B2 (ja) 分散型貯水工法
KR200291922Y1 (ko) 투수성 포장재를 가진 도로 경계용 측구
JP2016079592A (ja) 舗装構造
KR200224492Y1 (ko)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AU2020101094A4 (en) Paving Device
KR101019180B1 (ko) 줄눈 일체형 블록
JP4883507B2 (ja) 越流ろ過浸透兼用排水ブロック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