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446A - 배수용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배수용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446A
KR20160116446A KR1020150044151A KR20150044151A KR20160116446A KR 20160116446 A KR20160116446 A KR 20160116446A KR 1020150044151 A KR1020150044151 A KR 1020150044151A KR 20150044151 A KR20150044151 A KR 20150044151A KR 20160116446 A KR20160116446 A KR 20160116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auxiliary
grating
rim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255B1 (ko
Inventor
고의환
양홍표
Original Assignee
필립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산업 (주) filed Critical 필립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50044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25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8Gully gratings with means for enhancing water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배수용 그레이팅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배수용 그레이팅은 그레이팅 본체를 갖되, 상기 그레이팅 본체는, 합성수지제로 되며, 중앙에 블랭크부를 갖는 사각틀; 상기 사각틀의 상부에 씌움 결합된 채, 상기 사각틀과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금속제 상판으로 구성됨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제 상판은, 상기 사각틀에 씌움 결합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에 비해 함몰되게 형성되는 배수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과 배수부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경사진 가이드부;로 구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두 장변 사이를 연결하고 있으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보조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구비되는 보조 배수부; 및 상기 보조 배수부의 사이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보조 배수부에 비해 함몰되게 배치되며, 다수의 주 배수홀이 형성된 주 배수부;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용 그레이팅{Drainage grating}
본 발명은 배수용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로변의 협잡물, 특히 담배꽁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수홀을 작게 구성하는 대신 구조개선을 통해 배수효율을 극대화한 점, 배수면이 요철구조로 구성되어 배수시에 배수로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점, 수평한 주 배수홀의 양 단부에 상향 배구홀을 형성하여 주 배수홀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을 갖는 배수용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그레이팅(grating)은 도로나 인도의 노면에 고여있는 빗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노면에서 일정 크기로 형성된 배수용 개구부를 덮는 상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그레이팅은, 일정 두께를 갖는 금속 막대 형상의 연결판들을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 고정하여 각 연결판들 사이에 배수 통로들이 형성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그레이팅 구조는 노면의 배수용 개구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그레이팅은 노면에 고여있는 빗물 이외에도 담배꽁초나 껌, 휴지, 낙엽, 돌멩이, 폐종이와 같이 일정크기를 가지는 각종 이물질들이 상기 배수 통로들을 통해서 지하의 배수 관로 내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배수 통로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들은 배수 관로 내부에 점차 쌓이면서 관로가 막히는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하 배수 관로가 막히게 되면 특히 장마철에 노면에 고인 빗물을 원활하게 배수하지 못하여 침수를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그레이팅 구조는, 연결판 사이의 배수 통로 내측에 보행자의 신발이나 구두의 바닥 부분이 쉽게 끼워지면서 각종 보행 안전 사고를 유발 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국내공개특허 제2009-0006350호(인용문헌 1)에서는 그레이팅 본체의 배수통로 내에 투수용 공극을 갖는 필터를 설치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위의 인용문헌 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 본체(10)의 배수홀(11) 내부에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투수용 공극이 형성된 필터수단(12)을 설치하여, 도로나 인도의 노면에 있는 낙엽이나 담배꽁초, 껌 등의 이물질들이 지하 배수 관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토록 함과 아울러, 필터수단(12)에 의해 배수홀(11)이 메워짐으로써 보행자의 구두나 신발의 뒷굽이 끼이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인용문헌 1은 배수홀(11)의 필터수단(12)에 의해 배수유효공간이 줄어듦에 따라 배수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더욱이, 장마철과 같이 우수량이 많아지는 경우에는 더더욱 이러한 문제점이 심화될 수 있다.
또한, 인용문헌 1과 같은 종래의 그레이팅 본체(10)는 안전성 차원에서 통상 전(全) 부분을 금속제로 구성하기 때문에 가격이 고가이고, 중량이어서 취급 및 보관에 어려움이 있었다.
인용문헌 1 : 국내공개특허 제2009-00063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변의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수홀을 작게 구성하는 대신 구조개선을 통해 배수효율을 극대화한 배수용 그레이팅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면을 요철구조로 하여 배수시에 배수로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게 함으로써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배수용 그레이팅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 배수홀의 양 단부에 상향 배구홀을 형성하여 주 배수홀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수용 그레이팅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그레이팅 본체를 갖는 배수용 그레이팅으로서, 상기 그레이팅 본체는, 장방형의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상기 테부리부의 상면에 비해 함몰되게 형성되는 배수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과 배수부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경사진 가이드부;로 구성됨을 포함하되, 상기 배수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두 장변 사이를 연결하고 있으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보조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구비되는 보조 배수부; 및 상기 보조 배수부의 사이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보조 배수부에 비해 함몰되게 배치되며, 다수의 주 배수홀이 형성된 주 배수부;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는 배수용 그레이팅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은, 그레이팅 본체를 갖는 배수용 그레이팅으로서, 상기 그레이팅 본체는, 합성수지제로 되며, 중앙에 블랭크부를 갖는 사각틀; 상기 사각틀의 상부에 씌움 결합된 채, 상기 사각틀과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금속제 상판으로 구성됨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제 상판은, 상기 사각틀에 씌움 결합 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에 비해 함몰되게 형성되는 배수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과 배수부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경사진 가이드부;로 구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두 장변 사이를 연결하고 있으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보조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구비되는 보조 배수부; 및 상기 보조 배수부의 사이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보조 배수부에 비해 함몰되게 배치되며, 다수의 주 배수홀이 형성된 주 배수부;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는 배수용 그레이팅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 배수홀의 양단에는 상기 보조 배수부의 양 측면까지 연장된 상향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배수홀들 사이사이에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로변의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배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배수면이 요철구조로 되어 있어 배수로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배수를 병행하게 되므로 배수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수평한 주 배수홀의 양 단부에 상향 배수홀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배수되는 물에 의해 주 배수홀을 막고 있는 이물질에 부력이 작용하여 주 배수홀의 막힘을 방지하게 되고, 설사, 주 배수홀이 막히더라도 상향 배수홀을 통해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다.
또한, 일부가 플라스틱 구조물로 되어 있어서 기존 대비 중량이 가볍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도 1은 종래 배수용 그레이팅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그레이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그레이팅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그레이팅의 결합 단면도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그레이팅은 그레이팅 본체(100)를 갖되, 상기 그레이팅 본체(100)는 사각틀(200) 및 금속제 상판(300)을 포함한다.
사각틀(200)은 상기 금속제 상판(300)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중앙에 블랭크부(21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사각틀(200)의 상면 내측 단부에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된 경사 받침부(220)가 구성된다. 이는 후술될 상기 금속제 상판(300)의 가이드부와 상응하는 형태로 되어 가이드부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사각틀(200)은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상기 금속제 상판(300)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만큼 강화 플라스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바닥용 그레이팅의 일부 부품인 사각틀(200)의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함에 따라 전체 중량을 감량할 수 있고, 또한, 전체를 금속으로 제작하는 것에 비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금속제 상판(300)은 상기 사각틀(200)의 상부에 씌움 결합된 채, 도로변의 우수를 배수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각틀(200)과 금속제 상판(300)은 나사에 의해 결속된다.
상기 금속제 상판(300)은 하측 내부에 상기 사각틀(200)에 씌움 결합 되는 테두리부(310)와, 상기 테두리부(310)의 내측에 상기 테두리부(310)의 상면에 비해 함몰되게 형성된 배수부(320)와, 상기 테두리부(310)의 상면과 배수부(320)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경사진 가이드부(330)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부(320)는 상기 테두리부(310)의 두 장변(311) 사이를 연결하고 있으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보조 배수홀(321a)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구비되는 보조 배수부(3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배수홀(321a)들 사이사이에는, 보조 배수홀(321a)으로 물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유로(321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320)는 상기 보조 배수부(321)의 사이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보조 배수부(321)에 비해 함몰되게 배치되며, 다수의 주 배수홀(322a)이 형성된 주 배수부(322)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주 배수홀(322a)의 양단에는 상기 보조 배수부(321)의 양 측면까지 연장된 상향 배수홀(32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배수용 그레이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과정을 보면, 금속제 상판(300)을 사각틀(200) 위에 덮어 씌운 후, 금속제 상판(300)의 측면에서 나사(s)를 체결하여 이들을 결속한다. 이렇게 결속된 그레이팅은 배구로의 배수구 상에 설치하면 된다.
설치상태에서 그레이팅으로 도로 주변의 물이 유입되기 시작하면, 금속제 상판(300)의 경사진 가이드부(330)에 의해 물이 원활히 유입되고, 가이드부(330)를 따라 유입되는 물은 가이드부(330)의 경사각도에 의해 주 배수홀(322a)을 통해 원활하게 배수되고, 일부는 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보조 배수홀(321a)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 보조 배수홀(321a)로는 배수로 내의 공기가 배기됨에 따라 주 배수홀(322a) 및 보조 배수홀(321a)으로의 배수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는 공기통로가 많으면 배수가 잘되는 일반적인 자연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한편, 상기 주 배수홀(322a)은 담배꽁초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되기 때문에 담배꽁초는 물론 이보다 큰 이물질은 통과되지 못하고 주 배수홀(322a) 상에 모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주 배수홀(322a)은 이물질에 의해 막힐 수 있으나, 주 배수홀(322a)의 양 단부에 연장 형성된 상향 배수홀(322b)로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배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제 상판(300)의 상기 주 배수부(322) 및 보조 배수부(321)는 테두리부(310)에 비해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금속제 상판(300)의 가운데 부분으로 도로 주변의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공간의 역할도 병행하게 된다. 이렇게 포집된 이물질은 쉽게 청소가 가능하므로 청소효율을 높여주는 부수적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그레이팅은 배수홀의 크기를 담배꽁초의 크기보다 작게 하여 담배꽁초 보다 큰 이물질은 유입되지 못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수홀을 적절히 배치 또는 형성하여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특징이 있으며, 특히, 배수면을 요철 형상으로 하여 와류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배수면에 수집된 이물질을 유동시킴에 따라 이물질이 배수홀을 막는 문제점도 해결하였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그레이팅 본체 200 : 사각틀
210 : 블랭크부 220 : 받침부
300 : 금속제 상판 310 : 테두리부
320 : 배수부 321 : 보조 배수부
321a : 보조 배수홀 321b : 가이드 유로
322 : 주 배수부 322a : 주 배수홀
322b : 상향 배수홀

Claims (4)

  1. 그레이팅 본체를 갖는 배수용 그레이팅으로서,
    상기 그레이팅 본체는, 장방형의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상기 테부리부의 상면에 비해 함몰되게 형성되는 배수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과 배수부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경사진 가이드부;로 구성됨을 포함하되,
    상기 배수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두 장변 사이를 연결하고 있으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보조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구비되는 보조 배수부; 및 상기 보조 배수부의 사이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보조 배수부에 비해 함몰되게 배치되며, 다수의 주 배수홀이 형성된 주 배수부;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는 배수용 그레이팅.
  2. 그레이팅 본체를 갖는 배수용 그레이팅으로서,
    상기 그레이팅 본체는,
    합성수지제로 되며, 중앙에 블랭크부를 갖는 사각틀;
    상기 사각틀의 상부에 씌움 결합된 채, 상기 사각틀과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금속제 상판으로 구성됨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제 상판은, 상기 사각틀에 씌움 결합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에 비해 함몰되게 형성되는 배수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과 배수부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경사진 가이드부;로 구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두 장변 사이를 연결하고 있으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보조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구비되는 보조 배수부; 및 상기 보조 배수부의 사이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보조 배수부에 비해 함몰되게 배치되며, 다수의 주 배수홀이 형성된 주 배수부;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는 배수용 그레이팅.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주 배수홀의 양단에는 상기 보조 배수부의 양 측면까지 연장된 상향 배수홀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배수용 그레이팅.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수홀들 사이사이에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배수용 그레이팅.
KR1020150044151A 2015-03-30 2015-03-30 배수용 그레이팅 KR101780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151A KR101780255B1 (ko) 2015-03-30 2015-03-30 배수용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151A KR101780255B1 (ko) 2015-03-30 2015-03-30 배수용 그레이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446A true KR20160116446A (ko) 2016-10-10
KR101780255B1 KR101780255B1 (ko) 2017-09-21

Family

ID=5714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151A KR101780255B1 (ko) 2015-03-30 2015-03-30 배수용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5903A (zh) * 2020-07-02 2020-09-25 唐姗姗 一种市政园林用防堵塞的雨水篦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350A (ko) 2007-07-11 2009-01-15 주식회사 대건산업 배수용 그레이팅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951Y1 (ko) * 1998-11-10 2001-11-22 권혁중 우수받이뚜껑및받침틀
JP5537530B2 (ja) * 2011-10-07 2014-07-02 光海陸産業株式会社 道路集水桝用蓋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350A (ko) 2007-07-11 2009-01-15 주식회사 대건산업 배수용 그레이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5903A (zh) * 2020-07-02 2020-09-25 唐姗姗 一种市政园林用防堵塞的雨水篦子
CN111705903B (zh) * 2020-07-02 2021-07-30 山东澳翔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市政园林用防堵塞的雨水篦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255B1 (ko)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1029A (ko) 교량용 녹화 및 우수 정화 구조체
KR101780255B1 (ko) 배수용 그레이팅
KR101626502B1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KR101179735B1 (ko) 배수구 덮개
KR102140440B1 (ko) 교량용 집수구의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186881B1 (ko)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KR101861353B1 (ko) 투수 성능을 갖는 집수정
JP3218559U (ja) 排水蓋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製側溝
KR101293048B1 (ko) 하수의 악취 방지시스템
KR20060070948A (ko) 배수관로
KR200409973Y1 (ko) 도로 사면의 배수구조
KR200324571Y1 (ko) 배수조가 부설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784699B1 (ko) 맨홀 뚜껑
KR200399238Y1 (ko) 빗물배수용 우수전
KR200476485Y1 (ko) 배수장치
KR102582393B1 (ko) 공공도로용 빗물받이 커버
KR200492849Y1 (ko) 배수용 그레이팅
JP2008184773A (ja) 縁石及び縁石部を備えた側溝用ブロック
KR102664188B1 (ko) 배수로용 덮개
KR20110005094U (ko) 집수정
JP6190588B2 (ja) 雨水桝蓋
JP2005313795A (ja) バン型車両における屋根隅部用コーナーカバーの構造
KR101178211B1 (ko) 경계석 측면 설치용 배수구
KR200446045Y1 (ko) 하수구 악취 역상방지 트랜치 커버
KR200454098Y1 (ko) 하수구 악취 역상방지 트랜치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