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370Y1 - 잔디 블록 - Google Patents

잔디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370Y1
KR200175370Y1 KR2019990023584U KR19990023584U KR200175370Y1 KR 200175370 Y1 KR200175370 Y1 KR 200175370Y1 KR 2019990023584 U KR2019990023584 U KR 2019990023584U KR 19990023584 U KR19990023584 U KR 19990023584U KR 200175370 Y1 KR200175370 Y1 KR 200175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wall
block
grass block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왕진
Original Assignee
박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왕진 filed Critical 박왕진
Priority to KR2019990023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3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3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02D2200/1657Shapes polygonal made from singl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잔디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절토부, 성토부, 제방 등의 기반 보호와 보행자 도로나 주차장의 잔디 조성공사에 사용되는 잔디 블록에 관한 것으로,
종횡으로 상호 조립이 가능하도록 다각 형태를 이루고 본체에는 벽(10)에 의해 잔디가 심어지는 공간부(12)가 형성되는 잔디 블록에 있어서;
상기 벽(10)의 상부에는 사방으로 홈(14)이 형성되고 홈(14)이 형성된 벽(10)의 저면에는 박힘 돌기(16)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블록를 제공하여,
근경(根莖)이 옆으로 벋고 각 마디에서 수근(水根)이 나오는 잔디의 특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사방으로 벽에 홈을 형성하고 벽의 저면에 지면에 박히는 박힘 돌기를 형성하여, 잔디가 잘 자라기 때문에 흙이 침수에 의해 유실되지 않고 요동이 잘 안되지 않으며 유수등 침수에 의해 잔디 블록 하부의 흙이 부분적으로 침식될 경우에도 잔디 블록이 해체되지 않고 잔디가 유실되지 않는 잔디 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잔디 블록 {TURF BLOCK}
본 고안은 잔디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절토부, 성토부, 제방 등의 기반 보호와 보행자 도로나 주차장의 잔디 조성공사에 사용되는 잔디 블록에 관한 것이다.
잔디는 포아풀과의 다년초로서 뿌리 및 줄기(근경(根莖))가 옆으로 벋고 각 마디에서 물 속의 양분을 빨아 들이는 뿌리(수근(水根))가 나오며 줄기는 더부룩하게 무더기로 나(총생(叢生)) 흙의 붕괴를 막거나 미관을 더하는 데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도로 공사나 조경 공사 과정에는 절토부나 성토부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절토부나 성토부 및 제방에는 우수(雨水) 및 홍수등 침수에 의해 침식되고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잔디 및 수목을 조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절토부나 성토부면을 편탄하게 고른 후 잔디 블록을 종횡으로 연속하여 배열한 후 이 블록의 공간부내에 흙을 채우고 잔디를 줄떼나 평떼 형태로 이식하고 주변에 화훼 묘목등을 함께 심어 침수에 의한 유실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잔디 블록(1)은 도 1에서 처럼 종래에는 블록 형태를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 형태로 구성하여 블록 상호간에 종횡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내부에는 벽(10)에 의해 생긴 공간부(12)를 다수 형성하여 이 공간부(12)에 잔디를 심었다.
그런데 종래의 잔디 블록(1)은 근경이 옆으로 벋고 각 마디에서 수근이 나오는 잔디의 특성을 이용하지 못한 것으로, 일측의 공간부(12)에서 자란 뿌리나 줄기가 벽(10)을 넘어 다른 쪽 공간부(12)로 벋지 못하여(벋더라도 밟히게 되어 마디에서 수근이 나오지 못함) 그리고 습기 조절이 불가능하여 잔디가 잘 자라지 못하고 결국 흙이 침수에 의해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더운 날씨에는 잔디 블록(1) 자체에서 습기를 흡수하여 공간부(12)내에는 건조하여 잔디가 말라 잘 자라지 못하였다.
또한 잔디 블록(1)이 지면 위에 단순히 얹어 지기 때문에 요동이 심하고 유수등 침수에 의해 잔디 블록(1) 하부의 흙이 부분적으로 침식될 경우에는 잔디 블록(1)이 해체되어 잔디가 유실됨으로써 잔디 블록(1)을 재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근경이 옆으로 벋고 각 마디에서 수근이 나오는 잔디의 특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사방으로 벽에 홈을 형성하고 벽의 저면에 지면에 박히는 박힘 돌기를 형성하여 잔디가 잘 자라기 때문에 흙이 침수에 의해 유실되지 않고 요동이 잘 안되지 않으며 유수등 침수에 의해 잔디 블록 하부의 흙이 부분적으로 침식될 경우에도 잔디 블록이 해체되지 않고 잔디가 유실되지 않는 잔디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종횡으로 상호 조립이 가능하도록 다각 형태를 이루고 본체에는 벽에 의해 잔디가 심어지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잔디 블록에 있어서;
상기 벽의 상부에는 사방으로 홈이 형성되고 홈이 형성된 벽의 저면에는 박힘 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잔디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잔디 블록, 10: 벽, 12: 공간부, 14: 홈, 16: 박힘 돌기.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종횡으로 상호 조립이 가능하도록 다각 형태를 이루고 본체에는 벽(10)에 의해 잔디가 심어지는 공간부(12)가 형성되는 잔디 블록에 있어서;
상기 벽(10)의 상부에는 사방으로 홈(14)이 형성되고 홈(14)이 형성된 벽(10)의 저면에는 박힘 돌기(16)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잔디 블록(1)을 삼각형, 사각형등 다각 형태로 구성하여 종횡으로 배열, 잔디 블록(1) 상호간에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본체에는 벽(10)에 의해 생긴 공간부(12)를 다수 형성하되 상기 공간부(12)에 잔디가 심어진다.
이때 공간부(12)는 도 4에서 처럼 상부로 갈수록 넓게 형성하여 줄기가 총생하는데 유리하게 할 수도 있고 라운드를 주어 줄기를 보호할 수도 있다.
벽(10)의 상부에는 사방으로 홈(14)이 형성되고 홈(14)이 형성된 벽(10)의 저면에는 박힘 돌기(16)가 돌설된다.
상기 박힘 돌기(16)는 지면에 박히게 되어 잔디 블록(1)을 요동하지 않게 되는 역할과 홈(14)의 형성으로 인해 약해진 벽(10)을 보강해주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사각형으로 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삼각형, 오각형, 도 5의 육각형등 다각 형태로 구성시킬 수 있고 또한 박힘 돌기(16)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잔디 블록(1) 외벽에 요철을 형성하여 상호 조립이 가능하도록 변형이 가능하며, 또한 단위 잔디 블록(1)에 형성되는 공간부(12)의 수량이나 형상도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 역시 본 고안에 포함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잔디 블록(1)에 의하면, 일측의 공간부(12)에서 자란 뿌리나 줄기가 벽(10)에 형성된 홈(14)을 타고 다른 쪽 공간부(12)로 벋어 다른 쪽 공간부(12)의 마디에서 수근이 나와 잔디가 자라게 되고 홈(14)이 형성되어 있어서 잔디 블록(1)간에 습기 조절이 가능하여 잔디가 잘 자라며 결국 흙이 침수에 의해 유실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잔디 블록(1)의 박힘 돌기(16)가 지면 속에 박히기 때문에 요동치 않으며 유수등 침수에 의해 잔디 블록(1) 하부의 흙이 부분적으로 침식될 경우에도 잔디 블록(1)이 해체되지 않아 잔디가 유실되지 않음으로써 잔디 블록(1)을 재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근경이 옆으로 벋고 각 마디에서 수근이 나오는 잔디의 특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사방으로 벽에 홈을 형성하고 벽의 저면에 지면에 박히는 박힘 돌기를 형성하여, 잔디가 잘 자라기 때문에 흙이 침수에 의해 유실되지 않고 요동이 잘 안되지 않으며 유수등 침수에 의해 잔디 블록 하부의 흙이 부분적으로 침식될 경우에도 잔디 블록이 해체되지 않고 잔디가 유실되지 않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종횡으로 상호 조립이 가능하도록 다각 형태를 이루고 본체에는 벽(10)에 의해 잔디가 심어지는 공간부(12)가 형성되는 잔디 블록에 있어서;
    상기 벽(10)의 상부에는 사방으로 홈(14)이 형성되고 홈(14)이 형성된 벽(10)의 저면에는 박힘 돌기(16)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12)는 상부로 갈수록 넓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블록.
KR2019990023584U 1999-10-29 1999-10-29 잔디 블록 KR200175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584U KR200175370Y1 (ko) 1999-10-29 1999-10-29 잔디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584U KR200175370Y1 (ko) 1999-10-29 1999-10-29 잔디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370Y1 true KR200175370Y1 (ko) 2000-03-15

Family

ID=19594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584U KR200175370Y1 (ko) 1999-10-29 1999-10-29 잔디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37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827B1 (ko) 2006-02-08 2007-07-23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잔디블록
KR100762203B1 (ko) 2005-11-09 2007-10-01 석성기업주식회사 잔디 주차장 구조
KR100983707B1 (ko) * 2010-02-22 2010-09-24 삼성물산 주식회사 잔디블록 조립체
KR20200109992A (ko) * 2019-03-15 2020-09-23 어스그린코리아(주) 이중 사출 잔디 보호 매트 블록
CN115443830A (zh) * 2022-09-28 2022-12-09 四川省交通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绿化构件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203B1 (ko) 2005-11-09 2007-10-01 석성기업주식회사 잔디 주차장 구조
KR100741827B1 (ko) 2006-02-08 2007-07-23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잔디블록
KR100983707B1 (ko) * 2010-02-22 2010-09-24 삼성물산 주식회사 잔디블록 조립체
KR20200109992A (ko) * 2019-03-15 2020-09-23 어스그린코리아(주) 이중 사출 잔디 보호 매트 블록
KR102257452B1 (ko) * 2019-03-15 2021-05-31 어스그린코리아(주) 이중 사출 잔디 보호 매트 블록
CN115443830A (zh) * 2022-09-28 2022-12-09 四川省交通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绿化构件
CN115443830B (zh) * 2022-09-28 2024-02-13 四川省交通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绿化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8102Y1 (ko)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KR200175370Y1 (ko) 잔디 블록
KR20060105916A (ko)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시공방법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0627039B1 (ko) 화분형태 식생축조호안블록
JPH1132568A (ja) 乾燥地・沙漠地における緑化方法
KR100224504B1 (ko)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100506980B1 (ko) 식생호안블럭
JP4538597B1 (ja) 法面の緑化工法および同工法に適した蓋装置
KR200386231Y1 (ko) 식생용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
KR20090000051U (ko) 잔디식생블럭
KR20060124528A (ko) 도로 암절개지 경사면의 수목 식재 구조
KR200272980Y1 (ko) 식재용호안블럭
KR200324523Y1 (ko) 보조키 역할블럭과 결합 가능한 호안블럭
KR20070000664U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KR200324831Y1 (ko) 식생옹벽
JP2009256967A (ja) 法面植生保護工
KR200288505Y1 (ko) 틈새 녹화용 블럭
KR200386555Y1 (ko) 화분형태 식생축조호안블록
KR100456355B1 (ko) 잔디 보호용 블록
KR200327823Y1 (ko) 잔디 보호용 블록
KR200363547Y1 (ko) 친환경 식생옹벽블록
KR200352883Y1 (ko)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JP2003325036A (ja) セダム類の植生方法及びその植生基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