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231Y1 - 식생용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 - Google Patents

식생용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231Y1
KR200386231Y1 KR20-2005-0005632U KR20050005632U KR200386231Y1 KR 200386231 Y1 KR200386231 Y1 KR 200386231Y1 KR 20050005632 U KR20050005632 U KR 20050005632U KR 200386231 Y1 KR200386231 Y1 KR 200386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lock
planting
concrete block
immer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천희
Original Assignee
신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천희 filed Critical 신천희
Priority to KR20-2005-0005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2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2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의 호안이나 도로가 또는 단지 주변의 사면을 자연 생태적으로 안정시키기 위한 구조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다공질의 식생용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블록의 전면에 다양한 형태의 요철면이 구성되도록 하여 돌출되는 철면(凸面)에는 관목류를 식재할 수 있는 다수의 식재용 포트공을 구성하고 철면(凸面) 이외의 요면(凹面)에는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공법을 통해 잔디같은 초(草)류가 식생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하나의 블록에 2가지의 식생방식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종의 식생 대상물을 하나의 블록에서 식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자연스럽고 생동감있는 녹화상태를 표현할 수 있고 종자가 블록의 표면에서 몰입된 위치에 부착되어 철면에 의해 보호되도록 함으로써 활착율의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생용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Concrete block for vegetation}
본 고안은 하천의 호안이나 도로가 또는 단지 주변의 사면을 자연 생태적으로 안정시키기 위한 구조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다공질의 식생용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블록의 전면에 다양한 형태의 요철면이 구성되도록 하여 돌출되는 철면(凸面)에는 관목류를 식재할 수 있는 다수의 식재용 포트공을 구성하고 철면(凸面) 이외의 요면(凹面)에는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공법을 통해 초(草)류가 식생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하나의 블록에 2가지의 식생방식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종의 식생 대상물을 하나의 블록에서 식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자연스럽고 생동감 있는 녹화상태를 표현할 수 있고 종자가 블록의 표면에서 몰입된 위치에 부착되어 철면에 의해 보호되도록 함으로써 활착율의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식생용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호안이나 도로가 또는 단지 주변의 사면을 안정시키기 위한 공사는 주로 콘크리트 블록이나 콘크리트 옹벽 또는 돌쌓기(찰쌓기)를 위주로 시공하여 왔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또는 돌쌓기 구조로 구축된 사면은 사면의 구조적 안전성은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었으나 주변의 자연경관과 어울리지 않는 무미건조한 경관을 형성하여 도시미관을 해치고 있으며, 식물의 생장이 불가능하므로 자연 생태적인 단절을 가져오고 있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축된 하천 제방의 경우 수변에 수생식물이 생육될 수 없으므로 하천의 수질이 심각하게 오염되고 있으며, 물고기와 수서생물의 생육공간이 확보되기 어려우므로 하천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최근에 이르러 하천 제방이나 도로가 사면 또는 단지 주변 사면의 환경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게 되고, 환경친화적인도회경관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가 높아지면서, 훼손된 자연환경을 재생, 복구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경사면 보호기능을 수행하면서 식물이 자랄 수 있게 하여 환경친화적인 하천 호안과 도로가 사면 및 단지주변 사면을 조성할 수 있는 사면안정용 콘크리트 블록이 여러 가지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사면 안정용 콘크리트 블록의 한 유형으로서, 콘크리트 블록에 상하로 관통하는 식재공을 내고 그 안에 토사를 채워 시공함으로써, 식재공으로 노출되는 토사를 통해 식물의 생육을 유도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블록은 식재공이 한, 두개의 포인트 상태로 구성됨으로서 주로 꽃 종류나 키가 작은 관목류를 식생하게 되는 것이어서 적용될 수 있는 식물의 대상이 한정되어 녹화 면이 부자연스럽고, 전체 시공면적에 비해 식생면적이 턱없이 부족하여 여백으로 남아있는 많은 비녹화된 콘크리트면이 노출되는 것이어서 녹화상태가 지저분하고 빈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블록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블록에 2가지의 식생방식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종의 식생 대상물을 하나의 블록에서 식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자연스럽고 생동감 있는 녹화상태를 표현할 수 있고 종자가 블록의 표면에서 몰입된 위치에 부착되어 철면에 의해 보호되도록 함으로써 활착율의 향상을 기할 수 있는 식생용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블록을 이용하여 초목류를 식생한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본 고안은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1)의 전면에 다양한 형태로 돌출 구성되는 다수의 철면(10)과;
상기 철면(10)이외의 부분에 상대적으로 몰입되게 구성되는 요면(20)과;
상기 철면(10)과 요면(20)에 선택적으로 천공되어 화초(F)나 관목류를 식재시키기 위한 소정 직경의 식재용 포트공(30)을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 도면 중 미설명 부호 〉
(S)는 시드 스프레이 층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4에서와 같이 식재용 포트공(30)에 토사를 충입시켜 가면서 경사진 사면에 연결 시공되는 것으로써 블록의 시공이 완료되면 도 3에서와 같이 식재용 포트공(30)에는 화초(F)류나 관목류를 심어 식생케 하는 것이며,
그리고, 요면(20)에는 주로 초(草)류의 종자와 비료, 피복 양생제, 침식방지안정제, 착색제, 청수 등을 살포기를 통해 살포하는 시드 스프레이 공법을 행하여 식생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종자의 종류는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나 주로 잔디 종류가 무난하다.
참고적으로 상기 시드 스프레이 공법은 주로 도로, 철도연변, 사방공사, 하천, 사지, 초지, 땜, 공원, 토목용 녹지조성, 비행장, 운동장, 목장, 골프장, 스키장, 택지, 공원, 정원미화 등의 녹지 및 치산치수에 적용되는 것이며, 장점으로는 발아 및 생장이 빨라 급속 녹화가 가능하며, 기계화 공법으로 넓은 면적도 신속히 시공하고, 혹한기를 제외하고는 항시 파종 가능하며, 절토면 및 성토면 등에 파종 용이하다.
또한 기계화 작업으로 인력과 시간이 절약되어 시공비가 저렴하게 되며, 풍화암지역, 암반돌출 지역에도 녹화가능하고, 인력으로 잔디 식재가 불가능한 지역도 시공이 가능하게 되며, 현장여건에 알맞은 초종선택과 배합이 가능함으로 항상 푸르고 좋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블록은 토사를 수용하는 식재용 포트공(30)이 철부(10)에 구성됨으로써 입구가 바닥 면인 요면(20)보다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강우 시에도 물의 유입이 감소되어 토사의 유실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요면(20)에 부착 시공되는 종자는 주변을 철면(10)이 감싸고 있게 됨으로써 바람이나 외부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부착상태의 안정화를 통해 발아율과 활착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하나의 블록에 2가지의 식생방식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종(異種)의 식생 대상물을 하나의 블록에서 식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자연스럽고 생동감 있는 녹화상태를 표현할 수 있으며 또한 종자가 블록의 표면에서 몰입된 위치에 부착되어 철면에 의해 안정되게 보호되는 것이므로 발아율과 활착율의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 블록을 이용하여 초목류를 식생한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을 사면에 적용시킨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
10: 철면
20: 요면
30: 식재용 포트공

Claims (1)

  1.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1)의 전면에 다양한 형태로 돌출 구성되는 다수의 철면(10)과;
    상기 철면(10)이외의 부분에 상대적으로 몰입되게 구성되는 요면(20)과;
    상기 철면(10)과 요면(20)에 선택적으로 천공되어 화초(F)나 관목류를 식재시키기 위한 소정 직경의 식재용 포트공(30)을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
KR20-2005-0005632U 2005-03-03 2005-03-03 식생용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 KR200386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632U KR200386231Y1 (ko) 2005-03-03 2005-03-03 식생용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632U KR200386231Y1 (ko) 2005-03-03 2005-03-03 식생용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231Y1 true KR200386231Y1 (ko) 2005-06-08

Family

ID=4368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632U KR200386231Y1 (ko) 2005-03-03 2005-03-03 식생용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2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182B1 (ko) * 2009-04-06 2009-09-28 김갑중 주차블록 및 주차블록들의 조립체
KR101092340B1 (ko) 2009-09-15 2011-12-09 덕산콘크리트(주) 친환경 세굴방지블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182B1 (ko) * 2009-04-06 2009-09-28 김갑중 주차블록 및 주차블록들의 조립체
KR101092340B1 (ko) 2009-09-15 2011-12-09 덕산콘크리트(주) 친환경 세굴방지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55280B (zh) 一种高陡岩质边坡植被种植方法
CN103931371B (zh) 一种石质边坡的生物防治方法
KR100665965B1 (ko) 호안블록 녹화용 식생매트
Kraebel Erosion control on mountain roads
CN110383972A (zh) 一种红树林湿地生态系统修复方法
KR200386231Y1 (ko) 식생용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
CN111733834B (zh) 一种破损山体修复绿化用复合型复绿装置
CN101720643A (zh) 一种固沙保墒技术
CN104612102B (zh) 一种河道生态过滤系统及其施工方法
CN108385702A (zh) 一种公路两缘生态护坡结构及其构建方法
KR100427226B1 (ko)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KR100496118B1 (ko) 접착성 도로비탈면 녹화공법
KR100427588B1 (ko)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녹화시공방법
Rogers et al. The dune book
CN206380417U (zh) 一种具有水土保持及树木支撑作用的生物篱围堰
KR20060009068A (ko) 도로변의 비탈면 보호 공법
KR200163470Y1 (ko) 자연형호안블럭
KR100509643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해안제방의 법면 녹화방법
CN209185142U (zh) 一种树木种植区土层防护结构
CN208072424U (zh) 一种公路边坡生态护坡砖
CN220571091U (zh) 一种用于隧道口坡体绿化结构
KR20070000664U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KR20010090091A (ko) 녹화토를 이용한 돌망태와 그 제조공법
KR200366907Y1 (ko) 도로변의 비탈면 보호층
KR200408101Y1 (ko) 식생 플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