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182B1 - 주차블록 및 주차블록들의 조립체 - Google Patents

주차블록 및 주차블록들의 조립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182B1
KR100919182B1 KR1020090029209A KR20090029209A KR100919182B1 KR 100919182 B1 KR100919182 B1 KR 100919182B1 KR 1020090029209 A KR1020090029209 A KR 1020090029209A KR 20090029209 A KR20090029209 A KR 20090029209A KR 100919182 B1 KR100919182 B1 KR 100919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arking
cell block
cell
porous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중
Original Assignee
김갑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중 filed Critical 김갑중
Priority to KR1020090029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주차장에 사용되는 주차블록 및 그들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차블록 상에 잔디를 식재 가능하고 그 일부를 나무로 마감하면서도 물빠짐이 양호한 친환경적이고 미감도 고려한 주차블록 및 그들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차블록은, 제1 셀블록(10); 상기 제1 셀블록과 인접하며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셀블록(20); 및 상기 셀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잔디식재용 요부(50); 를 포함하되, 상기 각 셀블록은, 다공성 콘크리트의 본체(12, 22)와, 상기 각 셀블록 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방부목 안착홈(11, 21)과, 상기 방부목 안착홈(11, 21)에 삽입되는 방부목(13, 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차블록 및 주차블록들의 조립체{A block used on the parking lot and the assembly thoreof}
본 발명은 주차장에 사용되는 주차블록 및 그들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차블록 상에 잔디를 식재 가능하고 그 일부를 나무로 마감하면서도 물빠짐이 양호한 친환경적이고 미감도 고려한 주차블록 및 그들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도 주차장에 사용되는 주차블록들은, 블록 사이를 이격시키거나 블록에 홀을 두어서 잔디를 식재함으로써, 주차장의 바닥에 잔디가 식생가능하도록 하여 친환경적이며 생태적 영향을 고려한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그러한 주차블록들은 콘크리트로만 형성되었기 때문에, 심미감에 대한 고려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차량 이용자가 주차장 바닥을 걸을 때의 질감 역시 딱딱한 느낌을 지울 수 없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잔디 식재가 가능하고 원지반과 통해 있어 생태적으로 우수하며, 목재를 사용함으로써 심미감이 뛰어나며 운전자가 도보로 걸어 이동할 때에 착지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시공이 용이한 주차블록 및 그들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다공성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목재 부분에는 통공을 두어 물빠짐도 양호한 주차블록 및 그들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주차블록은, 제1 셀블록(10); 상기 제1 셀블록과 인접하며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셀블록(20); 및 상기 셀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잔디식재용 요부(50); 를 포함하되, 상기 각 셀블록은, 다공성 콘크리트의 본체(12, 22)와, 상기 각 셀블록 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방부목 안착홈(11, 21)과, 상기 방부목 안착홈(11, 21)에 삽입되는 방부목(13, 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차블록은 4개의 셀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잔디식재용 요부(50)는 열십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부목 안착홈의 종단면 형상은 홈의 중앙이 더욱 함몰된 구조로서, 흘러들어온 빗물이나 물기가 상기 안착홈의 함몰부(31a)에 고여 있다가 저부의 다공성 콘크리트를 통해 원지반층으로 서서히 빠져나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의 본체(12, 22)의 저부는 다공성 콘크리트부(12a)로 구성되고, 상부는 미감을 고려하여 인조석부(12b)로 구분하며,
상기 잔디식재용 요부(50)의 각 변에는 잔디보다는 다소 큰 식물을 식재가능한 중앙 식재홈이 형성되어, 원지반층까지 뚫려 있도록 하여, 보다 큰 식물의 뿌리 자람이 가능하고, 많은 비가 내릴 경우 배수를 더욱 원할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부목(13, 23)의 중간 부위에 배수홈(14, 24)을 형성하여, 방부목 상의 빗물이나 유수가 상기 배수홈(14, 24)을 통해 방부목 안착홈의 함몰부에 고인 후, 다공성 콘크리트 본체를 통해 지하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잔디식재용 요부(50)의 단부가 주차블록의 안쪽으로 들어가 있는 집개홈(50a)이 형성되어 있어, 시공 시에 이 부분을 통해 집개로 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주차블록들의 조립체는, 상기 주차블록(1, 1')들을 전후 좌우 방향으로 배열하여 주차장의 바닥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차블록들의 조립체의 일측에 차선을 대신할 수 있는 직선상의 무늬를 갖는 경계블록(2, 3)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블록 및 주차블록들의 조립체에 의하면, 주차블록 상에 잔디 식재가 가능하고 원지반과 통해 있어 생태적으로 우수하며, 목재를 사용함으로써 심미감이 뛰어나며 운전자가 도보로 걸어 이동할 때에 착지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다공성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목재 부분에는 통공을 두는 경우, 물빠짐도 양호한 장점을 더욱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의 주차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주차블록과 같이 사용되는 제1 보조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주차블록과 같이 사용되는 제2 보조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과 보조블록을 결합한 주차블록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에 잔디를 식재한 상태의 측면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의 실제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 조립체의 실제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주차블록의 모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 : 주차블록 2,3 : 경계블록
4 : 잔디 5 : 주차블록 경계틈새
6 : 원지반층 7 : 모래층
10,20,30,40 : 셀블록 11,21,31,41 : 방부목 안착홈
12,22,32,42 : 본체 12a : 인조석부
12b : 다공성콘크리트 기부 13,23,33,43 : 방부목
14,24,34,44 : 배수홈 50 : 잔디식재용 요부
51,52,53,54 : 중앙 식재홈 50a : 집개홈
본 발명에 대한 주차블록 및 주차블록들의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주차블록 및 주차블록들의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의 측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의 주차블록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및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주차블록과 같이 사용되는 제1 보조블록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주차블록과 같이 사용되는 제2 보조블록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과 보조블록을 결합한 주차블록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에 잔디를 식재한 상태의 측면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의 실제 사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 조립체의 실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1)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셀블록(10, 20, 30, 40)의 4개의 셀블록 및 각 셀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열십자형의 잔디식재용 요부(50)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 셀블록은, 저부에서 상호 연결되며 상부 프레임을 형성하는 다공성 콘크리트의 본체(12, 22, 32, 42)를 포함하며, 각 본체의 중앙에는 바람직하게 사각 도우넛 형의 방부목(13, 23, 33, 43)이 삽입되는 방부목 안착홈(11, 21, 31, 41)이 형성되어, 여기에 방부목이 놓여진다.
방부목 안착홈의 종단면 형상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홈의 중앙이 더욱 함몰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한바, 방부목과 콘크리트 본체 사이의 틈으로 흘러들어온 빗물이나 물기가 상기 안착홈(31)의 함몰부(31a)에 고여 있다가 저부의 다공성 콘크리트를 통해 원지반층으로 서서히 빠져나가게 된다.
도 2a는 이상의 제1 실시예의 주차블록의 측면도인 바, 제1 실시예의 주차블록의 경우에는 중앙에 잔디식재용 요부(50)를 갖도록 하면서, 각 셀블럭의 본체 전체가 다공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한편으로는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부는 다공성 콘크리트부(12a)로 구성되고, 상부는 미감을 고려하여 인조석부(12b)로 구분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열십자형의 잔디식재용 요부(50)의 각 변의 대체로 중앙에는 잔디보다는 다소 큰 식물을 식재하는 중앙 식재홈(51, 52, 53, 54)을 형성하되, 도 3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지반층까지 뚫려 있도록 하여, 보다 큰 식물의 뿌리 자람이 가능하고, 많은 비가 내릴 경우 배수를 더욱 원할하게 하는 고려가 바람직하다.
이제, 이상의 주차블록들을 조립하여 실제 주차장에 적용한 주차블록 조립체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4개의 셀블록(10, 20, 30, 40)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 형태의 주차블록(1)들을 전후 좌우 방향으로 배열하여 주차장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 이들 주차블록 조립체의 경계면은 페인트를 사용하여 차선을 도색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5 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경계블록(2, 3)을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차선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일례로, 도 5의 제1 경계블록(2)은 주차장의 차선 간의 폭이 2.3m인 경우에 적용되고, 도 6의 제2 경계블록(3)은 주차장의 차선 간의 폭이 2.5m로서 광폭인 경우에 적용된다.
이들 경계블록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61329호 "다공성 인조자연석 호안블록"의 블록들이나 기타 다공성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는 바, 일측에 차선을 대신할 수 있는 직선상의 무늬를 갖는 다공성블록들을 사용하면 된다.
도 9는 이상의 주차블록(1)의 잔디식재용 요부에 실재 잔디(4)를 식재한 상태의 사진으로서, 흑갈색의 다공성콘크리트 본체와 방부목(13)이 전통 무늬를 넣은 방석의 느낌을 주게 되며, 중앙에 열십자 모양으로 식재된 잔디(4)로 인하여, 시각적 촉각적으로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으며, 도 10은 이상의 주차블록(1)들과 경계블록들의 조립체가 단순히 전후 좌우 방향으로 배열하고 테두리에는 경계블록(3)을 대어 배치함으로써, 주차용 차선까지 자동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판하고 경제적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도 8은 그러한 주차블록들의 조립체를 원지반층에 시공한 단면도로서, 원지반층(6) 상에 모래층(7)을 형성하고, 그 위에 본 발명의 주차블록을 설치하는 바, 본 발명의 다공성 콘크리트(12a 참조)는 19-25mm의 기공을 갖는 포러스코크리트로 투수성이 뛰어나며, 상부의 인조 자연석(12b)과 방부목이 새로운 미감을 일으키면서 주차장 바닥의 쿠션 기능을 좋게 한다는 장점이 있음과 동시에 각 주차블록 간의 경계틈새(5)와 중앙 식재홈(50)에는 잔디(4)나 그외 식물을 식재할 수 있어, 여름철 지열 발생을 억제하면서 생태적으로도 양호한 주차장의 확보가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원지반층(6)과 모래층(7) 중간에 보조기층을 형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제,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주차블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1')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차블록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A-A선 단면도 및 도 14는 도 1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주차블록의 모형도이다.
기본 개념은 제1 실시예의 주차블록(1)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방부목(13, 23, 33, 43)의 중간 부위에 배수홈(14, 24, 34, 44)을 두어, 방부목 상의 빗물이나 유수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수홈(14, 24, 34, 44)을 통해 방부목 안착홈(31)의 함몰부(31a)에 고인 후, 다공성 콘크리트 본체(32)를 통해 지하로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이 추가된다. 아울러, 도 13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잔디식재용 요부(50)의 단부가 주차블록의 안쪽으로 들어가 있는 집개홈(50a)이 형성되어 있어, 시공 시에 이 부분을 통해 집개로 집을 수 있으므로, 시공이 보다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제1 셀블록(10);
    상기 제1 셀블록과 인접하며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셀블록(20); 및
    상기 셀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잔디식재용 요부(50); 를 포함하되,
    상기 각 셀블록은, 다공성 콘크리트의 본체(12, 22)와, 상기 각 셀블록 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방부목 안착홈(11, 21)과, 상기 방부목 안착홈(11, 21)에 삽입되는 방부목(13, 23)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부목 안착홈의 종단면 형상은 홈의 중앙이 더욱 함몰된 구조로서, 흘러들어온 빗물이나 물기가 상기 안착홈의 함몰부(31a)에 고여 있다가 저부의 다공성 콘크리트를 통해 원지반층으로 서서히 빠져나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블록.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블록은 4개의 셀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잔디식재용 요부(50)는 열십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블록.
  3. 삭제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의 본체(12, 22)의 저부는 다공성 콘크리트부(12a)로 구성되고, 상부는 미감을 고려하여 인조석부(12b)로 구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블록.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식재용 요부(50)의 각 변에는 잔디보다는 다소 큰 식물을 식재가능한 중앙 식재홈이 형성되어, 원지반층까지 뚫려 있도록 하여, 보다 큰 식물의 뿌리 자람이 가능하고, 많은 비가 내릴 경우 배수를 더욱 원할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블록.
  6. 제1 셀블록(10);
    상기 제1 셀블록과 인접하며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셀블록(20); 및
    상기 셀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잔디식재용 요부(50); 를 포함하되,
    상기 각 셀블록은, 다공성 콘크리트의 본체(12, 22)와, 상기 각 셀블록 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방부목 안착홈(11, 21)과, 상기 방부목 안착홈(11, 21)에 삽입되는 방부목(13, 23)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부목(13, 23)의 중간 부위에 배수홈(14, 24)을 형성하여, 방부목 상의 빗물이나 유수가 상기 배수홈(14, 24)을 통해 방부목 안착홈의 함몰부에 고인 후, 다공성 콘크리트 본체를 통해 지하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블록.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식재용 요부(50)의 단부가 주차블록의 안쪽으로 들어가 있는 집개홈(50a)이 형성되어 있어, 시공 시에 이 부분을 통해 집개로 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블록.
  8. 제1 항 또는 제6 항의 주차블록들을 전후 좌우 방향으로 배열하여 주차장의 바닥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블록들의 조립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블록들의 조립체의 일측에 차선을 대신할 수 있는 직선상의 무늬를 갖는 경계블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블록들의 조립체.
KR1020090029209A 2009-04-06 2009-04-06 주차블록 및 주차블록들의 조립체 KR100919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209A KR100919182B1 (ko) 2009-04-06 2009-04-06 주차블록 및 주차블록들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209A KR100919182B1 (ko) 2009-04-06 2009-04-06 주차블록 및 주차블록들의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182B1 true KR100919182B1 (ko) 2009-09-28

Family

ID=4135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209A KR100919182B1 (ko) 2009-04-06 2009-04-06 주차블록 및 주차블록들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1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3684A (zh) * 2019-03-21 2019-05-17 河南理工大学 一种绿色停车坪
US10415260B2 (en) 2017-11-13 2019-09-17 Strata Innovations Pty Limited Structural cells, matrices and methods of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06U (ja) * 1992-09-28 1994-05-06 三菱マテリアル建材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3009910U (ja) * 1994-10-06 1995-04-18 桜井建材産業株式会社 駐車場等の敷板
KR200386231Y1 (ko) * 2005-03-03 2005-06-08 신천희 식생용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
KR200418592Y1 (ko) * 2006-03-24 2006-06-14 (주)거화이에스알 잔디보호용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06U (ja) * 1992-09-28 1994-05-06 三菱マテリアル建材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3009910U (ja) * 1994-10-06 1995-04-18 桜井建材産業株式会社 駐車場等の敷板
KR200386231Y1 (ko) * 2005-03-03 2005-06-08 신천희 식생용 다공질 콘크리트 블록
KR200418592Y1 (ko) * 2006-03-24 2006-06-14 (주)거화이에스알 잔디보호용 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5260B2 (en) 2017-11-13 2019-09-17 Strata Innovations Pty Limited Structural cells, matrices and methods of assembly
CN109763684A (zh) * 2019-03-21 2019-05-17 河南理工大学 一种绿色停车坪
CN109763684B (zh) * 2019-03-21 2024-01-23 河南理工大学 一种绿色停车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001B1 (ko) 다목적 친환경 식생블록
US20080010940A1 (en) Building-above-land for protecting vegetation and environment
KR100919182B1 (ko) 주차블록 및 주차블록들의 조립체
KR101116242B1 (ko) 벽면 속성 녹화 공법
JP2005348669A (ja) 人工土壌構造
KR100646814B1 (ko) 식생용 보도블록
KR200406872Y1 (ko) 식생용 보도블록
CN212505705U (zh) 一种扁盒式人造草坪块
KR200420453Y1 (ko) 인조잔디 식재용 보도블록
KR200254952Y1 (ko) 수목의 수분 공급 장치
CN203057920U (zh) 一种护栏花槽
Lekareva et al. Gardening as vector of a humanization of high-rise building
KR20110112494A (ko) 주차장용 식생블럭 및 그 시공방법
CN209276924U (zh) 一种道路转角结构
CN210621370U (zh) 一种多功能异形植草砖
KR100942250B1 (ko) 조립식 목재블럭을 이용한 목재옹벽
KR100538541B1 (ko)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200379935Y1 (ko) 교체 가능한 주차장 잔디 보호대
CN218951880U (zh) 一种用于风景园林的生态步道结构
KR200291855Y1 (ko) 철망 블럭을 이용한 식생 방음벽
KR200363528Y1 (ko) 옹벽식생호안블록
KR200385502Y1 (ko) 잔디블럭
CN201256570Y (zh) 新型环保护树板
KR101013072B1 (ko)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및 그 제조방법
JP3570934B2 (ja) 植物栽培領域のボーダー部処理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