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072B1 -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072B1
KR101013072B1 KR1020090132432A KR20090132432A KR101013072B1 KR 101013072 B1 KR101013072 B1 KR 101013072B1 KR 1020090132432 A KR1020090132432 A KR 1020090132432A KR 20090132432 A KR20090132432 A KR 20090132432A KR 101013072 B1 KR101013072 B1 KR 101013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ase
vegetation
grass
mol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캠
정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캠, 정영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캠
Priority to KR1020090132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디의 생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양호한 배수가 이루어지는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천연잔디 식생기반제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고정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는 식생기반제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천연잔디 식생기반제의 제조방법은 정형 또는 부정형의 몰드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몰드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몰드에 다공질의 쇄석과 접착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투입한 후 진동을 가해 기포가 제거된 식생기반제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식생기반제를 양생하는 단계, 상기 양생된 식생기반제로부터 상기 몰드를 탈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공질로 된 식생기반에 의해 우기 등과 같이 많은 양의 비가 내리게 되더라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잔디가 생육되는 최적의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잔디의 생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식생기반제, 와이어, 식생토, 잔디 식재부

Description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및 그 제조방법{Natural Grass Vegetation Basis, and Manufacture Thereof}
본 발명은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잔디가 생육하는데 최적의 환경을 갖도록 하는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잔디는 정원이나 공원 또는 축구장, 야구장, 운동장 등과 같은 장소에 심어 조경 등의 역할을 하게 됨이 일반적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야외 공연장의 광장이나 주차장 등에도 식재되어 친환경적인 공간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바, 이렇듯 사람의 왕래가 잦거나 자동차가 주행하게 되는 주차장 등과 같은 장소에 잔디를 식재할 경우에는 잔디의 줄기나 뿌리가 쉽게 손상될 뿐만 아니라 폭우가 잦은 계절에는 토양이 유실되어 잔디가 손상되는 폐단이 야기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녹지조성을 위해 상기 잔디를 주차장이나 공원의 광장 등 지면에 식재하되, 식재된 잔디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잔디블럭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의 잔디블럭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세로대(11) 및 상기 세로대(11)와 교차되어 교차부(13)를 이루면서 연속되게 격자를 형성하는 가로대(12)로 이루어진 베이스 망(10)이 구성되어 있다.
또 저면에 상기 교차부(13)가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교차홈(21) 및 상기 교차홈(21)과 연장되어 상기 가로대(12)와 세로대(11)가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고정홈(22)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망(10)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블럭 본체(20)와 상기 베이스 망(10)과 블럭 본체(20)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잔디 식재부(40)는 상기 블럭 본체(20)와 이웃하는 블럭 본체(20) 사이 간격에 형성되고, 상기 잔디 식재부(40)에 자갈, 모래, 흙 등의 잔디 식재층을 덮고 그 상부에 잔디가 식재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 망(10)의 세로대(11)와 가로대(12)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사각의 평강 구조 또는 원형의 봉강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가로대(12)는 세로대(11)의 상부에 교차부(13)가 용접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가로대(12)의 하부에 위치되는 세로대(11)는 설치되는 시공 부지에 놓여 교차부(13)에 끼워져 설치되는 블럭 본체(20)의 상면 높이가 이웃하는 블럭 본체(20)의 상면 높이와 동일 선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잔디블록은 블록 본체와 블록 본체 사이의 공간에 잔디식재부(40)가 형성되므로 잔디가 식재되는 공간이 매우 협소하게 형성되며, 블록 본체는 장마철 또는 호우가 내리게 되는 경우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잔디블록은 가로대와 세로대의 교차부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므로 베이스 망을 시공한 다음 수작업에 의해 하나씩 끼워 고정시켜야 되므로 베이스 망 및 블록 본체의 시공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잔디블록에는 잔디가 식재되지 않아 잔디를 빈틈없이 식재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잔디의 생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양호한 배수 및 수분이 보습되는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리캐스트(precast) 형태로 미리 제작되어 시공되므로 식생기반제 및 잔디를 보다 신속하게 식재할 수 있는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천연잔디 식생기반제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고정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는 식생기반제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에는 상기 식생기반제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생기반제는 다공질을 갖는 쇄석과 상기 쇄석을 접착시키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생기반제 사이에는 식생토가 채워지는 잔디 식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잔디 식재부에는 접착제에 의해 다공질의 쇄석이 접착되어 있고, 상기 잔디 식재부에는 잔디 생육에 필요한 질소, 인, 칼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포함된 식생토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식생기반제가 고정되도록 가로, 세로 방향 및 인접한 식생기반제가 연결 고정되도록 다수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천연잔디 식생기반제의 제조방법은 일정 크기와 깊이를 갖는 정형 또는 부정형의 식생기반제가 형성되는 식생기반제홈과 상기 식생기반제홈 사이에 와이어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몰드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몰드의 식생기반제홈에 다공질의 쇄석과 접착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투입한 후 진동을 가해 기포가 제거된 식생기반제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식생기반제를 양생하는 단계, 상기 몰드로부터 상기 와이어가 일체로 고정된 식생기반제를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천연잔디 식생기반제의 다른 제조방법은 일정 크기와 깊이를 갖는 정형 또는 부정형의 식생기반제가 형성되는 식생기반제홈과 상기 식생기반제홈 사이에 와이어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몰드의 식생기반제홈에 다공질의 쇄석과 접착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상기 식생기반제홈의 일정 높이까지 1차 투입하는 단계, 상기 몰드의 식생기반제홈에 채워진 혼합물의 상면 및 고정홈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다공질의 쇄석과 접착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2차 투입하여 식생기반제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식생기반제를 상측에서 눌러 가압하는 단계, 상기 식생기반제를 양생하는 단계, 상기 식생기반제로부터 몰 드를 탈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생기반제 성형 단계에는 쇄석 50~62중량%와 시멘트 38~50중량%를 혼합하는 건배합 혼합단계, 상기 건배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40~50중량부의 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공질로 된 식생기반제에 의해 우기 등과 같이 많은 양의 비가 내리게 되더라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다공질의 쇄석에 수분이 함유되어 있어 잔디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해 주게 되며, 이에 따라 잔디가 생육되는 최적의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잔디의 생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 식생기반제층 및 부직포층과 쇄석층에 의해 배수가 이루어져 최적의 배수환경을 제공하게 되고, 식생기반제 사이의 잔디 식재부에 잔디가 식재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어 운반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잔디의 식재 장소에 곧바로 고정됨으로써 잔디 식재에 따른 인건비 및 작업 시간을 줄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천연잔디 식생기반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연잔디 식생기반제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와이어(110)와 상기 와이어(110)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식생기반제(120)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110)는 가로 및 세로 방향의 격자 형태로 배열되거나 상기 정형 또는 부정형의 식생기반제(120)에 따라 방사상 등 다양한 형태로 배열 고정된다. 즉, 와이어(110)는 인접한 식생기반제(120)를 고정하는 것으로, 정형 또는 부정형의 인접한 식생기반제(120)를 서로 연결 고정하게 된다.
또한 와이어(110)에는 식생기반제(120)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돌기(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돌기(111)는 식생기반제(120) 내측에 위치하며, 식생기반제(120)가 임의로 유동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게 한다.
상기 와이어(110)에는 각각의 교차되는 부위에 식생기반제(120)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식생기반제(120)에는 다공질의 쇄석과 접착제 및 잔디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인 질소, 인, 칼륨 등이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쇄석은 다공질을 갖는 현무암, 화산암, 제올라이트, 규조토, 부석 등을 사용하며, 접착제로는 시멘트, 모르타르 등을 사용하거나 바인더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식생기반제(120)는 와이어(110)의 교차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식생기반제(120) 사이에는 식생토가 채워지는 잔디 식재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잔디 식재부(130)에는 식생토가 채워지며, 식생토는 현무암과 같은 다공질의 쇄석과 쇄석을 접착시키는 접착제와 함께 잔디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인 질소, 칼륨, 인 등의 잔디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이 선택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110)와 식생기반제(120)는 일정 크기를 갖는 프리캐스트(precast)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때 잔디 식재부(130)에는 잔디가 식재될 수 있다.
즉, 식생기반제(1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 배열 고정되며, 이러한 와이어(110)와 식생기반제(120)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천연잔디 식생기반제의 제조방법으로는 건식과 습식으로 만들 수 있는데, 만들고자 하는 식생기반제(120)의 형상에 따라 정형 또는 부정형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즉, 식생기반제(120)는 사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하트 모양, 별 모양 등 만들고자 하는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먼저 습식 제조방법으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도면상 미도시됨)를 준비하며, 몰드에는 일정 크기와 깊이를 갖는 정형 또는 부정형의 식생기반제(120)가 형성되는 식생기반제홈과 상기 식생기반제홈 사이에 와이어(110)가 고정되는 고정홈을 형성한다(S10).
상기 몰드의 고정홈에는 와이어(110)를 끼워 고정한다(S11).
그리고 몰드의 식생기반제홈에는 다공질의 쇄석과 접착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투입하게 되는데(S12). 혼합물은 입도 3~20㎜의 쇄석 50~62중량%와 시멘트 38~50중량%를 건배합한 후 건배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40~5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몰드에 투입하고서 몰드를 흔들어주게 된다.
이때 쇄석의 건조 비중은 0.4가 바람직하나, 건조 비중은 0.4 보다 높거나 낮을 수도 있다.
아울러 혼합물에는 잔디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인 질소, 인, 칼륨 등을 혼합하지 않거나 혼합되는 양을 매우 미량으로 하여 혼합될 수도 있으며, 이들 영양분은 미량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쇄석이 50중량% 미만이면 쇄석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 체적이 작아져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쇄석이 62중량%를 초과하면 공극 체적이 많아져 배수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저장되는 수분이 적어 보습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또 시멘트가 38중량% 미만이면 시멘트에 의해 접착되는 쇄석의 접착력이 떨어지게 되고, 시멘트가 50중량%를 초과하면 공극을 메우게 되어 공극의 체적을 줄이게 된다.
또한 물은 40중량부 미만이면 물의 양이 작아 쇄석의 접착력이 떨어지게 되고, 물이 50중량부를 초과하면 쇄석에 의해 형성되는 공극이 줄어들게 되어 배수 및 보습 효과가 저감된다.
즉, 시멘트와 물은 다공질의 쇄석이 서로 달라붙는 정도로 쇄석의 표면에 얇게 코팅되어 접착력을 유지하면서 쇄석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몰드의 진동은 몰드에 채워진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상기 기포가 제거된 몰드는 식생기반제(120)가 견고하게 굳어지도록 적정 시 간동안 양생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고(S13), 양생이 완료된 식생기반제(120)와 와이어(110)는 몰드로부터 탈형한다(S14).
이렇게 제조된 식생기반제는 그 용적이 쇄석 76~86부피%, 시멘트 11~17부피%, 물이 3~7부피%를 갖게 된다.
또한 건식 제조방법으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를 준비하며, 제작된 몰드에는 일정 크기와 깊이를 갖는 정형 또는 부정형의 식생기반제(120)를 형성하는 식생기반제홈과 상기 식생기반제홈 사이에 와이어(110)가 고정되는 고정홈을 형성한다(S20).
이렇게 준비된 몰드에는 혼합물을 몰드에 채우게 되고(S21),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혼합물은 건조 비중이 0.4이면서 입도 3~20㎜인 쇄석 50~62중량%와 시멘트 38~50중량%를 건배합한 후 건배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40~5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몰드에 투입한다.
이들 쇄석, 시멘트, 물은 전술한 습식 제조방법과 동일한 수치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잔디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인 질소, 인, 칼륨 등은 혼합물에 혼합하지 않거나 혼합되는 양이 미량으로 혼합될 수도 있다.
이때 몰드에 채워지는 혼합물은 식생기반제홈의 적정 높이까지 채워지게 되며, 이러한 높이는 와이어(110)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높이까지 채우게 된다.
또 혼합물이 채워진 몰드에는 와이어(110)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 고정하 며(S22), 와이어(110) 상면에는 상기 시멘트 접착제와 쇄석이 혼합된 동일한 혼합물을 채우게 된다(S23).
상기 혼합물이 채워진 몰드에는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판(도면상 미도시됨)을 이용하여 가압하게 되고(S24). 가압이 완료된 몰드는 일정 시간동안 건조시키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S25),
상기 가압이 완료된 몰드에서는 와이어(110) 및 식생기반제(120)를 일체로 탈형한다(S26).
이렇게 제조된 식생기반제는 그 용적이 쇄석 76~86부피%, 시멘트 11~17부피%, 물이 3~7부피%를 갖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천연잔디를 식재하고자 하는 공원, 운동장, 축구장 등에 간편하게 잔디를 식재함은 물론 잔디가 아닌 화초를 식재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잔디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의 잔디 블록에 시공되는 베이스 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종래의 잔디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천연잔디 식생기반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천연잔디 식생기반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천연잔디 식생기반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천연잔디 식생기반제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잔디 식생기반제의 다른 시공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와이어 111: 돌기
120: 식생기반제 130: 잔디 식재부
150: 쇄석층 160: 배수층
170: 중간층 180: 식생기반제층
190: 식생토층 200: 부직포층

Claims (12)

  1.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고정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고정되는 식생기반제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에는 상기 식생기반제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제는 다공질을 갖는 쇄석과 상기 쇄석을 접착시키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제 사이에는 식생토가 채워지는 잔디 식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 식재부에는 접착제에 의해 다공질의 쇄석이 접착되어 있고, 상기 잔디 식재부에는 잔디 생육에 필요한 질소, 인, 칼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포함된 식생토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식생기반제가 고정되도록 가로, 세로 방향 및 인접한 식생기반제가 연결 고정되도록 다수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쳔연잔디 식생기반제.
  7. 일정 크기와 깊이를 갖는 정형 또는 부정형의 식생기반제가 형성되는 식생기반제홈과 상기 식생기반제홈 사이에 와이어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몰드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몰드의 식생기반제홈에 다공질의 쇄석과 접착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투입한 후 진동을 가해 기포가 제거된 식생기반제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식생기반제를 양생하는 단계,
    상기 몰드로부터 상기 와이어가 일체로 고정된 식생기반제를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식생기반제의 제조방법.
  8. 일정 크기와 깊이를 갖는 정형 또는 부정형의 식생기반제가 형성되는 식생기반제홈과 상기 식생기반제홈 사이에 와이어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몰드를 준 비하는 단계,
    상기 몰드의 식생기반제홈에 다공질의 쇄석과 접착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상기 식생기반제홈의 일정 높이까지 1차 투입하는 단계,
    상기 몰드의 식생기반제홈에 채워진 혼합물의 상면 및 고정홈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다공질의 쇄석과 접착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2차 투입하여 식생기반제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식생기반제를 상측에서 눌러 가압하는 단계,
    상기 식생기반제를 양생하는 단계,
    상기 식생기반제로부터 몰드를 탈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식생기반제의 제조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제 성형 단계에는 쇄석 50~62중량%와 시멘트 38~50중량%를 혼합하는 건배합 혼합단계,
    상기 건배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40~50중량부의 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잔디 식생기반제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0132432A 2009-12-29 2009-12-29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013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432A KR101013072B1 (ko) 2009-12-29 2009-12-29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432A KR101013072B1 (ko) 2009-12-29 2009-12-29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072B1 true KR101013072B1 (ko) 2011-02-14

Family

ID=4377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432A KR101013072B1 (ko) 2009-12-29 2009-12-29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0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0823A (ja) * 1997-09-29 1999-04-13 Kyowa Concrete Industry Co Ltd 自然石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複合した連鎖状マット
JP2004176421A (ja) * 2002-11-27 2004-06-24 Daiken Concrete Kk 覆工ブロックユニット
KR100767597B1 (ko) * 2006-10-31 2007-10-17 박흥석 쇄석 블록
KR20070108464A (ko) * 2007-03-14 2007-11-12 한상관 친환경 호안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0823A (ja) * 1997-09-29 1999-04-13 Kyowa Concrete Industry Co Ltd 自然石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複合した連鎖状マット
JP2004176421A (ja) * 2002-11-27 2004-06-24 Daiken Concrete Kk 覆工ブロックユニット
KR100767597B1 (ko) * 2006-10-31 2007-10-17 박흥석 쇄석 블록
KR20070108464A (ko) * 2007-03-14 2007-11-12 한상관 친환경 호안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2114B2 (ja) 混合芝及びその生成方法
CN104878767A (zh) 岩石边坡植生混凝土与塑石结合生态景观防护的施工方法
KR100904044B1 (ko) 축소된 자연 재현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20200042230A (ko) 비탈면 녹화 구조
KR101013072B1 (ko)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34255A (ko)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건축 구조물 및 그 구성방법
JP4980560B2 (ja) 人工土壌構成基材、それを用いた植物育成用人工土壌構造及び建築物屋上緑地化構造
CN108103878A (zh) 一种生态铺地构造
KR101279958B1 (ko) 식생층을 구비한 식생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77711B1 (ko) 황토, 배양토가 부착된 포러스콘크리트를 활용한 하천호안 시공방법
KR101042265B1 (ko) 친환경 사면 녹화용 매트
KR101251988B1 (ko) 수목의 플랜터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플랜터
KR101057646B1 (ko) 인공구조물을 이용한 천연잔디 포장재
KR102665477B1 (ko)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시공 방법
KR101293807B1 (ko) 식재용 생태 블록과 그 제조방법
CN2481745Y (zh) 植草坪地砖
JP6186123B2 (ja) 緑化構造
CN103590302A (zh) 一种预制无垫层透水生态植草地坪
JP2005137364A (ja) 人工土壌構成基材、それを用いた植物育成用人工土壌構造及び建築物屋上緑地化構造
KR20000014509A (ko) 식물의 생육이 가능한 보도블록
JP2011043040A (ja) 緑化舗装、緑化パネル並びに緑化パネル用枠体
KR20100127906A (ko) 식생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0166386A (ja) 植物成長抑制マットと筒状体
CN206971037U (zh) 一种园林施工用多功能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