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477B1 -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477B1
KR102665477B1 KR1020220033892A KR20220033892A KR102665477B1 KR 102665477 B1 KR102665477 B1 KR 102665477B1 KR 1020220033892 A KR1020220033892 A KR 1020220033892A KR 20220033892 A KR20220033892 A KR 20220033892A KR 102665477 B1 KR102665477 B1 KR 102665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cover plate
upper cover
permeab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6326A (ko
Inventor
김성노
김명빈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3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477B1/ko
Publication of KR20230136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잔디가 활착된 투수성 잔디 블록의 제조 및 유지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잔디를 포함하는 투수성 블록;과 상기 천연 잔디를 포함하는 투수성 블록에 의해서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 돌기가 하부측에 형성되고, 다수의 천연 잔디 식생용 홀을 가지는 상부 커버판; 및 상기 상부 커버판에 상부 측으로 모식된 인조잔디 술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시공 방법{Hybrid type water-permeable grass block and law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잔디가 활착된 투수성 잔디 블록의 제조 및 유지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수성 블록에 천연 잔디를 착상시키는 방안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04-0099935호에서는 a) 투수 콘크리트 블록 위에 잔디, 비료 및 흙을 포함하는 식생층을 도포하여 잔디 조경 블록을 마련하는 공정 ; b) 상기 잔디를 상기 투수 콘크리트 블록에 활착시키는 공정 ; 및 c) 상기 잔디 조경 블록을 잔디 녹화 대상지에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투수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잔디 조경 공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식재 공간(22)을 가지는 일정형태의 투수콘크리트 블록(11)을 제작하고, 그 식재 공간(22)에 잔디가 자랄 수 있도록 잔디씨, 비료 등을 섞은 흙을 채우거나(33), 잔디씨 대신 잔디 줄기를 넣어 잔디가 블록에 정착할 때까지 키우고, 이렇게 만들어진 잔디 조경 블록을 잔디밭 조성이나 보수에 일반 블록처럼 시공하는 공정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서 도 11과 같은 잔디 블록이 제공된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은 별도의 활착 과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국내 기후 특성상 겨울이 길어 살아남아 정착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블록을 보행자가 통행 가능한 블록으로 사용할 경우, 잔디가 단단한 보도 블록에 밟혀서 쉽게 죽게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연 잔디를 투수성 블록에 식생할 경우 발생하는 복잡한 활착 문제와, 보도용 블록으로 사용할 경우 잔디가 밟혀서 블록에 압착되어 죽게되는 문제와, 국내 기후 특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연 잔디를 투수성 블록에 식생할 경우 발생하는 복잡한 활착 문제와, 보도용 블록으로 사용할 경우 잔디가 밟혀서 블록에 압착되어 죽게되는 문제와, 국내 기후 특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을 이용한 잔디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천연잔디를 포함하는 투수성 블록;과
상기 천연 잔디를 포함하는 투수성 블록에 의해서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 돌기가 하부측에 형성되고, 다수의 천연 잔디 식생용 홀을 가지는 상부 커버판; 및
상기 상부 커버판에 상부 측으로 모식된 인조잔디 술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연 잔디를 포함하는 투수성 블록은 소정 시간 후 천연 잔디가 투수성 블록에서 자라나는 블록이며, 상기 투수성 블록의 천연 잔디는 천연 잔디 씨앗, 천연 잔디 줄기, 또는 활착된 천연 잔디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연잔디를 포함하는 투수성 블록은 납작한 직육면체 형태의 투수성 콘크리트 블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콘크리트 블록에는 투수 및/또는 잔디의 식생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연 잔디를 포함하는 투수성 블록은 잔디의 활착을 돕기 위한 성분, 예를 들어, 흙, 왕겨, 낙엽, 야자수 분쇄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은 잔디 식생 용기의 상부 개방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판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잔디 식생용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직육면체형 식생 용기의 바닥면에 상응하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판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은 잔디 식생 용기에 충진된 토양에 가시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커버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은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 예를 들어, 1mm 이상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5 mm 내지 5 mm 의 두께를 가지면서도 투명 내지 반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 또는 투명성을 가지도록 개질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는 폴리에틸렌일 수 있으며, 투명성을 가지도록 개질된 수지는 투명 폴리프로필렌, 투명 ABS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에는 천연 잔디가 자라서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천공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천공부는 동일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에서 천공부에 의한 천공 면적은 하이브리드 잔디에서 식생되는 천연 잔디와 인조잔디의 비율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커버 면적의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일 수 있으며, 적절하게는 20~35%의 면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천공부의 면적이 상기 면적보다 적을 경우에는 식생되어 자라는 천연 잔디가 커버의 외부로 빠져나오기 힘들어 천연 잔디의 식생을 방해할 수 있으며, 상기 천공부의 면적이 지나치게 넓으면 상부 커버판에 필요한 강성과 같은 물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의 하면 형성된 다수의 지지돌기들은 상부 커버판과 투수성 블록을 이격시켜 투수성 블록에서 자란 천연 잔디가 보행자에 의해서 투수성 블록에 짖눌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돌기는 반구형 지지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판에 형성된 반구형 지지 돌기들은 원통형 상부 지지대와 반구형 하부 커버로 이루어진 반구형 지지 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지지돌기는 내부에 상부 개방된 우물형 홈이 형성된 우물형 돌기일 수 있으며, 상기 우물형 돌기에는 배수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지지돌기들은 반구형 지지돌기 형태의 홈을 가지는 암금형과 상기 암금형에 맞물리는 반구형 지지 돌기를 가지는 숫금형을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에 형성된 돌기들은 각각의 반구형 지지 돌기의 주변에 4개의 천공된 구멍이 형성된 배치되고, 천공된 각각의 구멍의 주변에 4개의 반구형 지지 돌기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에 고정되는 인조 잔디 술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인조 잔디술은 상부 커버판에 터프팅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의 면적은 하나의 블록과 동일하거나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은 인접하는 상부 커버판에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은 인접하는 다른 상부 커버판의 천공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 돌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상부 커버판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인접하는 다른 상부 커버판의 천공부까지 연장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에서 돌출되어 다른 상부 커버판의 천공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은 투수성 블록의 상면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부 커버판과 투수성 블록의 결합은 상부 커버판에 형성된 지지돌기를 투수성 블록의 상면에 본딩하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은 투수성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돌기 수용홈, 예를 들어, 반구형 수용홈에 반구형 지지돌기의 반구형 커버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은 투수성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돌기 수용홈, 예를 들어, 반구형 수용홈에 반구형 지지돌기의 반구형 커버를 안착시켜 서로 본딩하는 것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하부측에 다수의 지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부 측으로 인조잔디 술이 모식되고, 다수의 투수 및 천연 잔디 식생용 홀을 가지는 상부 커버판; 및
상기 상부 잔디판의 하부를 지지하고, 천연잔디를 포함하는 투수성 블록;
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이 서로 연접하게 배치해서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는 천연 잔디를 투수성 블록에 식생할 경우 발생하는 복잡한 활착 문제와, 보도용 블록으로 사용할 경우 잔디가 밟혀서 블록에 압착되어 죽게되는 문제와, 국내 기후 특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는 천연 잔디를 투수성 블록에 식생할 경우 발생하는 복잡한 활착 문제와, 보도용 블록으로 사용할 경우 잔디가 밟혀서 블록에 압착되어 죽게되는 문제와, 국내 기후 특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잔디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을 이루는 상면 커버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을 이루는 상면 커버판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의 평면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을 이루는 상면 커버판에 인조잔디 술이 식모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에서 잔디가 자란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들이 결합되어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층을 이룬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을 이루는 상면 커버판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투수성 잔디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10)은 천연잔디를 포함하는 투수성 블록(100);과
상기 천연 잔디를 포함하는 투수성 블록(100)에 의해서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 돌기(220)가 하부측에 형성되고, 다수의 천연 잔디 식생용 홀(210)을 가지는 상부 커버판(200); 및
상기 상부 커버판(200)에 상부 측으로 모식된 인조잔디 술(300)을 포함한다.
상기 투수성 블록(100)은 상기 투수 콘크리트 블록이며, 골재, 시멘트, 혼화제 및 물 등을 혼합하여 경화시켜 형성된 다공질의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잔디의 지지 기반이 되며, 잔디의 뿌리가 공극에 활착되어 블록에 고정될 뿐만 아니라, 강우시 우수가 잔디 조경 블록의 공극을 통해 지중으로 침투가 빠르게 이루어진다.
상기 투수 콘크리트 블록의 골재(쇄석, 재활용 골재 등)는 10 ~ 25 mm의 평균 입경을 가진다. 투수 콘크리트 블록의 공극율은 25~35% 정도이며, 압축 강도가 100kg/cm2 이상이다. 공극율이 25% 미만인 경우에는 잔디 뿌리의 원활한 정착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35%를 초과할 경우에는 블록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투수 콘크리트 블록은 잔디의 식재 공간이 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납작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투수 콘크리트 블록(100)을 덮는 상부 커버판(200)은 하부에 위치하는 투수 콘크리트 블록(100)을 커버할 수 있도록, 투수 콘크리트 블록(100)의 길이와 폭에 상응하는 길이와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
투수 콘크리트 블록(100)을 덮는 상부 커버판(200)은 인접하는 다른 상부 커버판과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에 위치하는 투수 콘크리트 블록(100)에 접착되지 않고 올려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돌기(220)의 하단을 접착제를 이용해서 투수 콘크리트 블록(100)에 본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판(200)은 외부로부터의 충격과 환경 변화를 견딜 수 있고, 내부 토양에 가시광선의 조사가 가능하도록 약 2 mm 두께의 반투명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커버판(200)에는 잔디 식생 용기(100)에서 식생된 후 자라난 천연 잔디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원형 천공(210)들이 대각선을 따라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약 10~15 mm 직경의 원형 천공(210)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천공된 영역의 면적은 전체 면적의 18~24 % 범위를 이룬다.
상기 다수의 원형 천공(210)들은 상부 커버판(200)의 길이 및 폭에 평행한 길이와 폭을 가지는 정사각형 형태의 단위 격자(A)에서 정사각형의 네 꼭지점과 대각선이 교차하는 중심부에 원형 천공들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체심입방구조의 일면과 같은 형상을 이룬다.
상기 상부 커버판(200)의 하면에는 원형 천공(210) 사이 사이에 다수의 반구형 지지돌기(220)이 위치한다. 상기 반구형 지지돌기(220)는 원통형 상부 지지대(221)와 반구형 하부 돌기(2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구형 지지돌기(220)은 내부가 비어 있고, 외면과 내면의 형상이 동일하고, 상부 개방되어 있어, 상부 커버판(200)의 상면에서 볼 때 내부에 반구형 바닥면을 가지는 반구형 우물(230)을 이루게 된다.
상기 반구형 지지돌기(220)에서 원통형 상부 지지대(221)의 외부 지름은 10~14 mm이며, 반구형 하부 돌기의 반지름은 5~7 mm를 이루며, 반구형 지지 돌기(220)의 두께는 1~2 mm 정도로 일정하게 형성된다.
상기 반구형 지지돌기(220)의 내부에 형성되는 반구형 우물(230)은 정사각형 단위 격자(A)에서 직사각형의 네변의 중심에 원점이 위치하며, 단위 격자(A)의 중심에 위치하는 원형 천공(210)을 4개의 반구형 우물(230)이 마름모 형태로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상부 커버판(200)의 일측에는 인접하는 다른 상부 커버판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용 연장편(240)이 상부 커버판(200)과 동일 평면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결합용 연장편(240)에는 하향 돌출되는 결합용 돌기(24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용 돌기(241)는 인접하는 다른 상부 커버판에 형성된 원형 천공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판(200)의 상부 표면에서 원형 천공(210)과 반구형 우물(230) 사이의 빈틈에는 인조잔디술(300)이 결합된다. 상기 인조잔디 술(300)은 상부 커버판(200)을 U자 형태로 관통하는 터프팅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인조잔디술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커버판(200)에 터프팅된 인조잔디 술(300)의 높이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10 c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프팅되는 인조잔디 술(300)은 6~20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 콘크리트 블록(100)의 내부에는 공극에는 천연 잔디 씨앗이 포함되어 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천연 잔디(400)가 자라게 된다. 천연 잔디(400)는 자라면서 상부 커버판(200)에 형성된 다수의 원형 천공(210)을 통해서 자라나게 된다.
투수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면과 상부 커버판(200)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250)은 투수 콘크리트 블록(100)에서 자라난 천연 잔디(400)가 투수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부 표면을 따라서 좌우로 뻗어 가는 통로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격 공간(250)은 반구형 지지돌기(220)들에 의해서 투수 콘크리트 블록(100) 상부면에 지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밟을 경우에도 상기 이격 공간(250)에서 자라는 잔디의 뿌리나 줄기가 상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이격 공간은 반구형 지지돌기(220)의 높이에 상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20 mm 일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판(200)은 반투명의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있고, 반구형 지지돌기(220)들의 내부에 형성된 반구형 우물(230)을 통해서 입사되는 태양 광을 상기 이격 공간(250)으로 반사시켜, 상기 이격 공간(250)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이격 공간(250)을 온실화시켜 투수 콘크리트 블록(100)에서 자란 잔디가 겨울철의 낮은 온도를 견딜 수 있게 된다.
또한, 투수 콘크리트 블록(100)에서 식생되는 천연 잔디(400)는 뿌리가 자라면서 투수 콘크리트 블록(100)의 공극을 통해서 뻗어나가게 되며, 투수 콘크리트 블록(100)을 지지하는 하부 지층까지 뻗어서 식생하게 된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10)들은 평면을 이루도록 좌우로 서로 연접하면서 설치된다. 중간에 있는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10-2)의 상부에 설치된 상면 커버판(200)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결합용 연장편(240)은 우측에 연접하는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10-3)의 상부에 설치된 상면 커버판(200)의 좌측에 형성된 원형 천공(210)에 삽입되어 상호 고정된다.
또한, 블록(10-1)의 상부체 설치된 상면 커버판(200)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결합용 연장편(240)은 우측에 연접하는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10-2)의 상부에 설치된 상면 커버판(200)의 좌측에 형성된 원형 천공(210)에 삽입되어 상호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10)들은 상호 고정되어, 하이브리드 잔디 블록을 형성하게 되며, 각각의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10)에 형성의 이격 공간(250)이 하나이 이격 공간층을 형성하게 되어, 천연 잔디의 줄기가 이격 공간(250)을 따라서 다른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10)의 이격 공간(250)으로 뻗어나가게 된다.
인조잔디 술(300)이 결합된 상부 커버판(200)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 지지돌기 형태의 홈을 가지는 하부 암금형(1100)을 가열하는 금형 가열단계(a)와, 상기 암금형(1100)에 폴리에틸렌 펠렛(1200)을 충진하는 충진 단계(b)와, 상기 암금형(1100)에 맞물리는 반구형 지지 돌기를 가지는 상부 숫금형(1300)하강시키는 단계(c)와, 상부 숫금형(1300)을 하부 암금형(1100)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압착시켜, 캐비티에 폴리에틸렌 펠렛을 녹여서 충진시키는 단계(d)를 이용해서 비천공된 상부 커버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천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부 커버판에서 반구형 지지돌기와 원형 천공홀 사이에 인조 잔디술을 터프팅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통해서 제조된다.
인조잔디 술(300)이 결합된 상부 커버판(200)은 일부 반구형 지지돌기들의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별도 제조된 잔디를 포함하는 투수 콘크리트 블럭에 접착시켜 제조된다.
제조된 하이브리드형 투수 콘크리트 블럭은 평탄면에 하부의 투수 콘크리트 블럭들이 서로 연접하도록 설치하고, 상부의 상부 커버판(200)들을 서로 결합시켜 시공된다.
10: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100: 투수 콘크리트 블록
200: 상부 커버판
300: 인조 잔디 술
400: 천연 잔디

Claims (12)

  1. 천연잔디를 포함하는 투수성 블록;과
    상기 천연 잔디를 포함하는 투수성 블록에 의해서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 돌기가 하부측에 형성되고, 다수의 천연 잔디 식생용 홀을 가지는 상부 커버판; 및
    상기 상부 커버판에 상부 측으로 모식된 인조잔디 술;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상부 커버판의 하면과 투수성 블록의 상부 표면 사이가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투수성 블록은 직육면체의 투수 콘크리트 블록이며,
    상기 상부 커버판은 2 mm 두께의 반투명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커버판은 투수성 블록의 상면에 접착되고,
    상기 상부 커버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돌기는 내부에 상부 개방된 우물형 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배수용 홀이 형성된 우물형태의 반구형 지지돌기이며,
    상기 상부 커버판에는 각각의 반구형 지지 돌기의 주변에 4개의 천공된 식생용 홀이 형성된 배치되고, 천공된 각각의 식생용 홀의 주변에 4개의 반구형 지지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커버판은 천연 잔디 식생용 홀의 면적이 커버판 면적의 10~35%이며,
    상기 상부 커버판은 인접하는 다른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의 천연 잔디 식생용 홀에 결합되는 결합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용 돌기는 상기 상부 커버판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인접하는 다른 상부 커버판의 천공부까지 연장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에서 돌출되어 다른 상부 커버판의 천공부에 삽입되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커버판에 고정되는 인조 잔디 술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인조잔디 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의 하면과 투수성 블록의 표면 사이에 5~20 mm의 이격 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11. 제1항, 제7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을 서로 연접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의 상부 커버판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에서 천연잔디를 키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잔디 시공 방법.
  12. 제1항, 제7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을 서로 연접되게 배치하고 상부 커버판들이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층을 포함하는 투수성 하이브리드 잔디.
KR1020220033892A 2022-03-18 2022-03-18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시공 방법 KR102665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892A KR102665477B1 (ko) 2022-03-18 2022-03-18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892A KR102665477B1 (ko) 2022-03-18 2022-03-18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326A KR20230136326A (ko) 2023-09-26
KR102665477B1 true KR102665477B1 (ko) 2024-05-13

Family

ID=88191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892A KR102665477B1 (ko) 2022-03-18 2022-03-18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4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339B1 (ko) * 1999-05-10 2001-06-01 문영만 잔디 보호대
KR200272933Y1 (ko) * 2002-01-22 2002-04-20 주식회사 골프플랜 잔디 보호, 대용 및 식생용 매트
KR100762203B1 (ko) * 2005-11-09 2007-10-01 석성기업주식회사 잔디 주차장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213U (ko) * 2008-06-30 2010-01-07 이상준 인조잔디 합체형 바닥설치용 블록
KR20130024322A (ko) * 2011-08-31 2013-03-08 이승철 인조 잔디 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339B1 (ko) * 1999-05-10 2001-06-01 문영만 잔디 보호대
KR200272933Y1 (ko) * 2002-01-22 2002-04-20 주식회사 골프플랜 잔디 보호, 대용 및 식생용 매트
KR100762203B1 (ko) * 2005-11-09 2007-10-01 석성기업주식회사 잔디 주차장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326A (ko)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5460B1 (en) Plantsurface structure, method for forming the same and module for such a structure
JP4769892B2 (ja) 植生マット
KR102665477B1 (ko)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시공 방법
KR20200042230A (ko) 비탈면 녹화 구조
KR102658871B1 (ko) 식물 부산물 재활용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시공 방법
KR102516134B1 (ko) 친환경 식생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50134255A (ko)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건축 구조물 및 그 구성방법
KR100942250B1 (ko) 조립식 목재블럭을 이용한 목재옹벽
KR100880162B1 (ko) 사면 녹화공법
JP2002101755A (ja) ガーデニングタイル用トレイおよびガーデニング芝生タイル
JP3505519B2 (ja) 植物栽培マット及び支持体
JP3868604B2 (ja) 植栽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17672B1 (ko) 벽면 녹화구조물
CN112012166B (zh) 一种装配式口袋植草混凝土预制构件和施工方法
JP2769444B2 (ja) 緑化ブロックおよび緑化工法
JP3841123B2 (ja) ガーデン造成方法
CN2474592Y (zh) 一种塑料土工植被护板
JPH0310824Y2 (ko)
KR20230136317A (ko)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잔디 시공 방법
KR101013072B1 (ko) 천연잔디 식생기반제 및 그 제조방법
JP3496093B2 (ja) 栽培用植生基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80559A (ko) 천연부식성의 경량 옥상녹화용매트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부재를 이용한 옥상녹화시스템
KR200308881Y1 (ko) 분리안정형코코넛옥상매트
KR20130006904U (ko) 조경용 식재생태블록
JP2007061107A (ja) 植栽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