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672B1 - 벽면 녹화구조물 - Google Patents
벽면 녹화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7672B1 KR101417672B1 KR1020130098369A KR20130098369A KR101417672B1 KR 101417672 B1 KR101417672 B1 KR 101417672B1 KR 1020130098369 A KR1020130098369 A KR 1020130098369A KR 20130098369 A KR20130098369 A KR 20130098369A KR 101417672 B1 KR101417672 B1 KR 1014176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nting
- vegetation
- delete delete
- wall
-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또는 옹벽과 같은 수직 벽면이나, 절개지, 호안, 성토지의 법면과 같은 사면의 녹화가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수직 벽면이나 사면 내부의 토양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지속적인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한 벽면 녹화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식물의 식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된 식재 벽면과; 식재 벽면의 배면과 면하여 형성된 공간에 채워지며, 식재 벽면의 식재공에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생육이 이루어지는 식생기반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식물의 식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된 식재 벽면과; 식재 벽면의 배면과 면하여 형성된 공간에 채워지며, 식재 벽면의 식재공에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생육이 이루어지는 식생기반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면 녹화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또는 옹벽과 같은 수직 벽면이나, 절개지, 호안, 성토지의 법면과 같은 사면의 녹화가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수직 벽면이나 사면 내부의 토양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지속적인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급격한 산업화의 결과로서 차가운 느낌을 연출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인공 구조물이 대폭적으로 증가되면서 자연친화적인 환경 조성을 위해 각종 인공 구조물을 녹화시키고자 시도하고 있다.
종래 건축물이나 수직 옹벽의 경우에는 녹화 패널, 벽화수, 녹화 모듈 등을 덧대어 구성하거나, 담쟁이와 같은 덩굴식물을 심어 녹화를 수행하고 있다.
건축물의 녹화 중 가장 대표적인 벽면 녹화시스템 또는 녹화담장의 경우 벽면이나 담장에 수직방향으로 식생매트, 식생블록, 또는 식생모듈을 덧대어 고정시키고, 여기에 식물을 식재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 10-2009-12378 호 "녹화 담장"과, 특허출원 제 10-2009-12404 호 " 벽면 녹화시스템"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벽면 녹화시스템 또는 녹화 담장은 식생기반이 각각의 모듈로 한정되어 있어 식물이 영구적으로 자랄 수 없는 조건이 되고, 설령 식생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모듈로 가두어진 상태에서 식물 뿌리가 증가됨과 동시에 그 늘어나는 압력으로 인해 모듈이 깨지거나 식물 자체가 모듈로부터 튕겨져 나와 영속성을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10-0807285호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제품명“벽화수”와 같은 완벽한 식생기반을 제공하는 기반체의 경우에도 식물의 생육에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스폰지형으로 고형화되어 식물의 식재 규격이 한정되어 재배기간이 너무 길고 식물을 교체하거나 재활용에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옹벽 블록을 지그재그로 적층하여 옹벽을 구성하고, 옹벽의 사이에 토양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이를 통해 식생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이럴 경우 옹벽 블록에 담기는 토양의 양에 한계가 있어 녹화에 적용될 수 있는 종류가 한정적이고, 옹벽 전체를 녹화하지 못하고 부분 녹화만 가능하여 녹화에 한계가 있는 것이었으며, 적층의 방법도 위로 조금씩 경사를 두어 쌓게 되어 공간 활용에 제한요인이 있었다. 또한 태풍과 같은 강한 외력 발생시 식물을 포함한 토양이 원래의 식생 위치로부터 이탈되어 지속적인 식생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환경이었다.
또한, 하천 및 해안의 호안이나 도로의 법면이나 사면에는 하천수 등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토화한 제방을 형성하고, 제방의 토사가 하천수나 빗물 등에 의해 씻겨 내려감으로써 제방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방의 경사면에 콘크리트 호안 블록 등을 설치하여 제방을 보호하고 상기 콘크리트 호안블럭에 다수의 식생공을 천공하여 식물의 생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환경친화적인 구조물이 구축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호안 블록은 식물이 정착되는 공간이 매우 좁거나 작아 식물의 정착 및 생육이 저조하게 되며, 또한 호안 블록들의 상부에 포설된 복토재가 우천시 빗물에 의해 호안 블록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유실됨으로써 식물의 착근 불량 또는 식물성장이 멈추게 되어 주위 미관을 해치게 되며, 이로 인해 호안 블럭들간의 결속력이 떨어져 사면이나 법면이 침식되거나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건축물 또는 옹벽과 같은 수직 벽면이나, 절개지, 호안, 성토지의 법면과 같은 사면의 녹화가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수직 벽면이나 사면 내부의 토양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지속적인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한 벽면 녹화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는 수직 벽면; 식물의 식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된 식재 벽면; 및 상기 수직 벽면과 상기 식재 벽면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며, 상기 식재 벽면의 식재공에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생육이 이루어지는 식생기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재 벽면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재공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구성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거푸집에 의해 하향 경사지게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재 벽면 성형을 위한 전면 거푸집과 후면 거푸집의 사이에 하향 경사지게 중공의 홀더가 각각 끼워져 상기 홀더 부위가 상기 식재공을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재 벽면은, 합성수지재 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재공은, 상기 합성수지재 패널면의 일측에서 절취되면서 상기 절취된 부위의 상부면이 상기 식생기반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함몰된 부위와 상기 절취된 부위를 통해 하방향으로 상기 식생기반측과 통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재 벽면은, 철재 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재공은, 상기 철재 패널면의 일측에 상기 식재기반측과 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식생기반측 둘레면에 반접시형의 경사부재가 하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통공과 상기 경사부재를 통해 하방향으로 상기 식생기반측과 통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재 벽면은, 일면에 경사면이 교호로 형성된 다수의 블록을 지그재그로 조적 시공하여서 된 블록조 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재공은, 상기 블록의 조적시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경사면끼리 하향으로 겹치도록 하여 서로 겹쳐진 경사면을 통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재 벽면은, 하향 경사진 형상의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된 블록을 조립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벽면과 상기 식재 벽면의 사이에는, 토압을 견딜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중간차벽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벽면과 상기 식재 벽면의 사이에는, 상기 수직 벽면과 상기 식재 벽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연결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기반의 상부에는 관수관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식생기반의 내부에는 수분공급에 의한 중력으로 하층의 과수분 방지를 위해 상단부는 폐쇄되면서 측면에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수직방향의 암거 배수관이 하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많은 수로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재 벽면의 하부에는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식생기반측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벽면의 표면에는 방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재 벽면의 표면에 이끼를 생육할 수 있도록 상기 식재 벽면은 다공성 재질로 구성되거나, 상기 식재 벽면의 표면에 이끼 식생부재가 피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차벽의 상면 또는 상기 식재 벽면의 내면에는 상기 식생기반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부직포가 피복될 수 있다.
다른 견지에 따른 본 발명은, 식물의 식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된 식생 옹벽; 및 상기 식생 옹벽의 배면과 접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식생 옹벽의 식재공에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생육이 이루어지는 식생기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재공은, 상기 식재 벽면 또는 식생 옹벽의 표면측 하단부가 수평상 상기 식재 벽면 또는 식생 옹벽 이면측 상단부보다 같거나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재공은, 상기 식재 벽면 또는 상기 식생 옹벽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에 중공의 홀더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각각 끼워져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 옹벽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재공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구성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거푸집에 의해 하향 경사지게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상기 식재 벽면 또는 상기 식생 옹벽이 형성되면서 전면 거푸집과 후면 거푸집의 사이에 뼈대가 되는 철근이 2겹 이상 구비될 경우 상기 홀더 부위가 하향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도록 철근의 각도도 상기 홀더의 경사와 같은 각을 이룰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 옹벽을 성형하는 전면 거푸집과 후면 거푸집의 사이에 하향 경사지게 중공의 홀더가 각각 끼워져 상기 홀더 부위가 상기 식재공을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 옹벽은, 적어도 전면부에 전후위가 서로 통하도록 하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된 옹벽 구조체 블록이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 옹벽을 이루는 다수의 옹벽 구조체 블록 사이에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l"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ㅡ"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핀이 고정되어 각각의 옹벽 구조체 블록을 지지해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재기반의 중간 중간에는 토압과 수압을 낮추어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와 식물의 양호한 생육이 되도록 수직, 수평방향으로 배수판, 배수관, 또는 자갈층으로 이루어지는 배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견지에 따른 본 발명은, 도로의 절개지, 성토지의 법면, 또는 호안의 사면을 이루면서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생육이 이루어지는 경사진 식생기반; 및 식물의 식재가 이루어지는 다수의 식재공이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상태로 상기 식생기반 위에 형성되는 식생 사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 사면은, 상기 식생기반의 일측면혹은 양측면에 고정된 거푸집에 다수의 홀더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상기 식재공을 이루는 홀더와 같이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 사면은, 상기 식생기반에 직접 고정된 다수의 홀더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쇼크리트 타설에 의해 상기 식재공을 이루는 홀더와 같이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사면은, 수직방향으로 된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된 사면 블록이 상기 식생기반위에 나란하게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 사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통공에는 중공의 홀더가 수직방향으로 각각 끼워져 상기 홀더가 상기 식재공을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재기반 표면에는 배수를 위해 자갈층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하단부는 상기 식재기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 사면의 하부에는 적어도 전면부에 전후위가 서로 통하도록 하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된 다수의 옹벽 구조체 블록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 사면이 호안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옹벽 구조체 블록의 내부에는 크기가 다른 돌이 채워져 상기 돌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생태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옹벽 구조체 블록의 일부는 침수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기반은 토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재공에는, 상기 식재공에 식재되는 식물과 상기 식재기반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식물에 수분을 공급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함수포낭이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수포낭은, 수분이동과 뿌리침투가 가능한 재질의 포낭에 토양과 함수부재의 혼합물이 수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재공은, 형상과 크기가 상이한 다수의 식재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식재공에 맞게 상이한 식물이 각각 식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재공은, 입구가 좁거나 넓은 것에서 반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거나 좁아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에는, 내부공간과 상기 식재기반이 서로 통하도록 다수의 수분 유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건축물에 적용하는 경우, 건축물을 이루는 수직 벽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하방향으로 된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되어 있는 식재 벽면이 설치되고, 수직 벽면과 식재 벽면의 사이에 토양과 같은 식생기반이 채워지는 것이므로 식재공을 통해 식물을 식재하면 식물의 뿌리가 자연스럽게 식생기반측으로 뿌리를 내리면서 생육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식생기반에 착근 후 지속적인 생육이 이루어질 수 있어 녹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식물을 식재공을 통해 사선방향으로 식재할 수 있어 식재가 용이해지고, 식재공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식재 벽면 안쪽에 위치된 토양 등으로 이루어진 식생기반이 식재공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게 되어 식생 환경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식재 벽면의 표면이 편평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식재 벽면을 콘크리트 구조물로 축조하는 경우 식재 벽면 타설을 위한 전면 거푸집과 후면 거푸집의 사이에 중공의 홀더를 경사지게 설치하면 자연스럽게 홀더를 통해 하방향으로 경사진 식재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식재 벽면이 합성수지재 패널이나 철재 패널 등으로 얇게 구성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식재공 형성없이 통공을 형성한 상태에서 통공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홀더를 끼워주면 홀더를 통해 하방향으로 경사진 식재공을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일반 건축물에 적용시 식재 벽면과 식생기반이 단열재, 가습 및 공기정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되고, 미래의 제로 에너지하우스를 위한 벽면두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옹벽에 적용하는 경우, 수직방향의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옹벽 구조체 블록의 적층에 따라 이루어진 옹벽의 전체면에 하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옹벽의 후면에는 간혹 수직과 수평의 배수관 혹은 배수층이 형성되어 식재공이 통공의 역할도 하게 되므로 기존에 설치하는 옹벽 방식보다 토압과 수압을 낮추는 이점이 있다. 또 보강토 등의 식생기반이 채워져 있어 각각의 식재공에 식물을 식재하여 생육할 수 있게 되므로 옹벽 녹화를 위해 별도의 구조물을 덧대지 않고도 옹벽의 전체면을 식물을 통해 녹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옹벽의 부분적인 녹화가 아닌 옹벽 전체를 녹화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을 도로의 절개지, 성토지의 법면, 호안의 사면 등에 적용하는 경우 쇼크리트 또는 사면 블록으로 이루어진 식생 사면의 전체면에 수직방향의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되는 것이므로 식물의 뿌리가 자연스럽게 식재공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식생이 보다 원활해지게 되며, 태풍과 같이 강한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식재공이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중력이 더 작용하여 식물 및 토양이 유실되지 않고 원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식생 사면의 하부측에 기단으로서 녹화 가능한 옹벽 구조체 블록을 적층할 수도 있어 옹벽과 사면의 동시 녹화가 가능해지게 되며, 이러한 옹벽과 사면의 복합 구조를 호안에 적용할 때 옹벽 구조체 블록의 내부에 돌을 채워주게 되면 돌 사이의 틈새가 생태공간을 이루게 되어 물고기의 피신처, 휴식처, 산란처를 이루게 됨으로써 생태계를 복원하거나, 원활히 유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아울러, 각각의 식재공을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하고 그에 알맞은 홀더를 이용하게 되면 각각의 식재공에 맞게 식물 또는 수종을 선택하여 식재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한 공간에서 생육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보다 적은 비용과 보다 간편한 방법을 적용하면서도 완벽한 벽면 녹화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 벽면을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한 경우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 벽면을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한 경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 벽면을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할 때 거푸집에 홀더를 사용하는 경우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 벽면을 합성수지재 패널로 구성한 경우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 벽면을 철재 패널로 구성한 경우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 벽면을 합성수지재 패널 또는 철재 패널로 구성한 경우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구조물의 건축물에 적용시 홀더를 사용하는 경우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식재 벽면 형성을 위한 블록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블록로 이루어진 식재 벽면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식재 벽면 형성을 위한 식재공이 형성된 블록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구조물을 건축물에 적용시 식재 벽면과 식생기반 유지를 위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구조물을 건축물에 적용시 급배수 설비의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구조물에 함수포낭을 적용하는 경우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공 형성을 위한 홀더에 수분 유입공을 형성한 경우의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양한 식재공을 나타낸 식재 벽면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양한 식재공을 나타낸 식재 벽면의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을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옹벽을 구성하는 경우의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을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구성할 때 거푸집에 홀더를 사용하는 경우의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에 배수공을 형성한 경우의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체 블록의 사시도.
도 21은 도 16에 따른 옹벽 구조체 블록을 적층하여 구성한 옹벽의 사시도.
도 22는 도 16에 따른 옹벽 구조체 블록을 적층하여 구성한 옹벽의 측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에 적용되는 홀더의 상세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에 다양한 형상의 식재공을 적용한 상세 정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에 다양한 형상의 식재공을 나타낸 상세 측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사면을 사면 블록을 통해 구성한 경우의 측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사면을 쇼크리트 타설을 통해 구성한 경우의 측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사면에 배수를 위한 자갈층을 형성한 경우의 측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면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 벽면을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한 경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 벽면을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할 때 거푸집에 홀더를 사용하는 경우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 벽면을 합성수지재 패널로 구성한 경우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 벽면을 철재 패널로 구성한 경우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 벽면을 합성수지재 패널 또는 철재 패널로 구성한 경우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구조물의 건축물에 적용시 홀더를 사용하는 경우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식재 벽면 형성을 위한 블록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블록로 이루어진 식재 벽면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식재 벽면 형성을 위한 식재공이 형성된 블록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구조물을 건축물에 적용시 식재 벽면과 식생기반 유지를 위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구조물을 건축물에 적용시 급배수 설비의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구조물에 함수포낭을 적용하는 경우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공 형성을 위한 홀더에 수분 유입공을 형성한 경우의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양한 식재공을 나타낸 식재 벽면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양한 식재공을 나타낸 식재 벽면의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을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옹벽을 구성하는 경우의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을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구성할 때 거푸집에 홀더를 사용하는 경우의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에 배수공을 형성한 경우의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체 블록의 사시도.
도 21은 도 16에 따른 옹벽 구조체 블록을 적층하여 구성한 옹벽의 사시도.
도 22는 도 16에 따른 옹벽 구조체 블록을 적층하여 구성한 옹벽의 측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에 적용되는 홀더의 상세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에 다양한 형상의 식재공을 적용한 상세 정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에 다양한 형상의 식재공을 나타낸 상세 측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사면을 사면 블록을 통해 구성한 경우의 측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사면을 쇼크리트 타설을 통해 구성한 경우의 측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사면에 배수를 위한 자갈층을 형성한 경우의 측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면 블록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 또는 옹벽의 수직벽면이나, 호안 등의 사면에 식물을 식재하여 녹화시킬 때 보다 간편한 방법에 의해 식생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건축물에 적용되는 경우, 옹벽에 적용되는 경우, 사면에 적용되는 경우에 따라 나누어 설명한다.
본 발명이 건축물에 적용되는 경우,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는 수직 벽면(1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의 식재공(21)이 형성된 식재 벽면(20)을 설치하고, 수직 벽면(10)과 식재 벽면(20) 사이의 공간에는 토양 등으로 이루어진 식생기반(20)이 채워진다.
식재공(21)은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지며, 식생기반(30)은 식재공(21)에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생육이 이루어지는 기반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식재 벽면(20)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거나, 합성수지재 패널로 구성하거나, 철재 패널로 구성하거나, 블록(22)을 조적 시공하여 구성하거나, 입체 구조물(미도시)을 조립하여 구성하는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식재 벽면(20)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식재공(21)은 콘크리트 구조물 구성시 거푸집을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성형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식재 벽면(20)을 형성하는 경우, 전면 거푸집(27a)과 후면 거푸집(27b)의 사이에 하향 경사지게 중공의 홀더(28)가 각각 끼워져 홀더(28) 부위가 식재공(21)을 이루도록 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식재 벽면(20)을 형성하면서 전면 거푸집(27a)과 후면 거푸집(27b)의 사이에 구조물의 뼈대가 되는 철근이 2겹 이상 구비될 경우 홀더(28) 부위가 하향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도록 철근의 각도도 홀더(28)의 경사와 같은 각을 이룰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식재 벽면(20)이 합성수지재 패널로 이루어지는 경우 식재공(21)은 합성수지재 패널면의 일측에서 절취되면서 상기 절취된 부위의 상부면이 식생기반(30)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함몰된 부위와 상기 절취된 부위를 통해 하방향으로 식생기반(30)측과 통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식재 벽면(20)이 철재 패널로 이루어지는 경우 식재공(21)은 철재 패널면의 일측에 식재기반(30)측과 통하는 통공(21a)이 형성되고, 통공(21a)의 식생기반측 둘레면에 반접시형의 경사부재(21b)가 하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장착되어 통공(21a)과 경사부재(21b)를 통해 하방향으로 식생기반(30)측과 통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식재 벽면(20)이 합성수지재 패널, 철재 패널과 같이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식재 벽면(20)에 다수의 통공(21a)을 형성하고, 통공(21a)에 중공의 홀더(28)를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각각 끼워 이 홀더(28) 부위가 식재공(21)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식재 벽면(20)이 블록의 조적시공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여기에 적용되는 블록(22)은 일면에 경사면(21c)이 교호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이러한 블록(22)을 지그재그로 조적시공함으로써 경사면(21c)이 하향으로 겹치도록 하여 식재공(21)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블록(22)의 성형시 다수의 하향 경사진 형상의 식재공(21)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상태에서 이러한 형상의 블록(22)을 상하 좌우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식재 벽면(20)이 입체 구조물을 조립하여 구성되는 경우 입체 구조물에 하향 경사진 다수의 식재공(21)을 미리 형성하면 된다.
식재 벽면(20)에 형성되는 식재공(21)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식재공(21)의 크기 역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식재공(21)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옹벽 등에 식재되는 야생화 또는 관목을 기준으로 직경 5~14㎝가 알맞다. 식재공(21)의 크기 또는 형상에 맞는 다양한 식물 또는 수종을 선택하여 각각의 식재공(21)에 식재할 수 있다. 식재공(21)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별도의 홀더가 필요없을 수도 있지만 식재공(21)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 될 경우에는 식생기반(30)이 식재공(21)을 통해 누출될 수 있으므로 이럴 경우 별도의 홀더(28)를 식재공(21)에 하향 경사지게 끼워 주어야 함은 자명하다.
식재공(21)의 경사각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30~80°의 범위내에서 자유로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식재공(21)의 식재 벽면 표면측 하단부가 수평상 식재 벽면 이면측 상단부보다 같거나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식생기반(30)의 외부 노출 및 누출을 방지토록 구성해주게 된다.
또한, 수직 벽면(10)과 식재 벽면(20)이 높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수직 벽면(10)과 식재 벽면(20)의 사이 군데군데에는 토압을 견디면서 식물의 뿌리 및 수분이 유통가능하도록 다수의 통공(41)이 형성된 중간차벽(40)을 다수개 형성해주게 되고, 이와 함께 수직 벽면(10)과 식재 벽면(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직 벽면(10)과 식재 벽면(20)의 사이에는 연결 와이어와 같은 연결부재(50)를 다수개 연결해주게 된다.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중간차벽(40)의 상면에는 부직포 등을 피복하여 수분과 뿌리는 통과시킬 수 있으면서 토양과 같은 식생기반(30)은 하방향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식생기반(30)의 상부에 관수관(61)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고, 자연 강우 또는 관수 시 과수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식생기반(30)의 내부에는 과수분 방지를 위해 상단부는 폐쇄되면서 측면에는 다수의 배수공(62)이 형성된 수직방향의 암거 배수관(63)을 하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많은 수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식재 벽면(20)의 하부에 저수공간을 형성하여 자연 강우 또는 인공 관수 등을 통해 수분을 저수공간에 저장하였다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식생기반(30)측으로 급수가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식생기반(30)은 일반 토양을 적용할 수 있으며, 펄라이트 등 다양한 첨가물을 토양에 혼합하여 제조한 썩지 않는 개량 토양을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식물의 뿌리가 착근하여 생육될 수 있는 것이면 종류에 상관없이 모두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식생기반(30)은 적어도 식재 벽면(20)의 두께보다는 두껍게 구성되며, 식생이 보다 원활해지도록 10㎝ 이상의 두께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재공(21)이 깊게 형성되는 경우나 일반적인 경우에도 식재 식물의 활착을 돕기 위해 수분이동과 뿌리침투가 가능한 썩는 부직포와 같은 천 재질의 포낭에 양질의 양분이 함유된 토양과 테라코템과 같은 함수부재의 혼합물을 수용하여서 된 함수포낭(23)을 구비하여 식재공(21)에 하나 이상 삽입해줌으로써 식재되는 식물이 활착될 때까지 수분을 공급하여 초기활착을 도와주도록 하게 되며, 홀더(28)에는 그 내부공간과 식재기반(30)이 서로 통하도록 다수의 수분 유입공(28a)을 형성하여 식재공(21)에 식재되는 식물에 수분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직 벽면(10)의 표면에는 방수코팅을 하는 등 방수층을 형성해주어야 하며, 식재 벽면(20)의 표면에 이끼를 생육할 수 있도록 식재 벽면(20)은 다공성 재질로 구성하거나 식재 벽면의 표면에 부직포 등의 이끼 식생부재를 피복하여 수분이 유통되도록 해주게 되고, 식재 벽면(20)의 안쪽면에도 부직포 등을 포설하여 식물의 뿌리는 통과시킬 수 있으면서 토양 등으로 된 식생기반(30)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토양을 포함한 식물묘를 각각의 식재공(21)에 식재하게 되며, 식재된 식물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안쪽의 토양 등으로 이루어진 식생기반(30)에 뿌리를 내려 생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식재 벽면(20)의 식재공(21)은 하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안쪽에 토양으로 된 식생기반(30)이 위치하고 있어 식재공(21)을 통해 식재되는 식물이 식생기반(30)에 원활하게 활착할 수 있으며, 식생기반(30)은 공간이 별도로 구획되지 않으므로 식재공(21)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식생기반(30)내에서 길게 지속적으로 자라면서 식물 뿌리끼리 엉켜 서로 지지됨과 동시에 지속적인 생육이 가능해지게 되고, 1년생은 물론 다년생 식물 등 다양한 종류의 식물 생육이 가능해지게 되어 삭막한 도시환경을 자연친화적인 환경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식재공(21)이 하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식물의 식재가 용이하고, 식재 벽면(20)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식생기반(30)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어 식물의 식생 환경을 보다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식재 벽면(20)의 외면이 편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그 자체로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고, 식물이 편평한 식재 벽면(20)을 따라 직진성있고 빠르게 생육될 수 있으며, 뿌리가 튼튼해지면서 강한 바람 등의 외압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힘을 가질 수 있게 됨은 자명하다.
또한, 식재 벽면(20)은 콘크리트 타설을 통한 콘크리트 구조물, 합성수지재 패널, 철재 패널, 조적시공, 조립식 등 다양하게 구성이 가능하여 현장 여건에 따라 가장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식재 벽면(20)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는 경우 거푸집을 통해 식재공(21)을 형성해주어야 하는데, 거푸집의 사이에 경사진 부위를 구성하는 경우 탈형에 어려움이 있게 되므로 식재 벽면(20) 형성을 위한 전면 거푸집(27a)과 후면 거푸집(27b)의 사이에 중공의 홀더(28)를 끼워주게 되면 콘크리트 양생 후 전면 거푸집(27a)과 후면 거푸집(27b)을 탈형하기 매우 유리하며, 홀더(28)는 탈형할 수도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 그대로 유지하여 홀더(28)의 내부공간이 식재공(21)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거푸집에 형성되는 홀더 거치를 위한 통공(27c)의 위치를 일측으로 편심되게 구성한 상태에서 전면 거푸집(27a)을 원상태 그대로 적용하고, 후면 거푸집(27b)은 거푸집을 뒤집어 적용하면 통공(27c)의 사이가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어 한 종류의 거푸집만 구비하여도 시공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식재 벽면(20)이 합성수지재 패널 또는 철재 패널과 같이 박판으로 이루어지거나, 얇은 두께로 구성될 경우에는 하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식재공(21)을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식재 벽면(20)에는 다수의 통공(21a)만 형성하고, 이러한 통공(21a)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홀더(28)를 끼워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홀더(28)의 내부공간이 식재공(21)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어 식재공(21) 형성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중공의 홀더(28)를 포트로 활용하여 식물의 씨앗을 키운 후 그 포트 자체를 식재 벽면(20)의 통공(21a)에 하방향으로 삽입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연 강우, 인공 관수 등의 방법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수분이 과다할 경우에는 식생기반(3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암거배수관(63)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되면서 식생기반(30)의 수분을 항상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어 과수분에 의한 식물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수직벽면 녹화구조물의 하부에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자연 강우 또는 인공 관수를 통해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이 식생기반(30) 혹은 심지와 같은 부재(미도시)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식생기반(30)측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식물의 생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적정한 수분 공급에 따라 식물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수직 벽면(10)과 식재 벽면(20)이 높게 구성되는 경우 수직 벽면(10)과 식재 벽면(20)의 사이 군데군데에는 다수의 통공(41)이 형성된 중간차벽(40)이 형성되므로 토양 등으로 이루어진 식생기반(30)이 중간차벽(40)에 의해 지지되어 식생기반(40)이 하부측으로 뭉쳐져 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식물의 뿌리와 수분은 통공(41)을 통해 유통가능하여 식물의 식생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않게 된다.
이와 함께 수직 벽면(10)과 식재 벽면(20)의 사이에는 연결 와이어와 같은 연결부재(50)를 다수개 연결해주게 되므로 토양으로 된 식생기반(30)의 측압 등에 의해 식재 벽면(20)이 수직 벽면(10)의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방향의 압력이 발생되더라도 연결부재(50)를 통해 식재 벽면(20)을 홀딩해주어 수직 벽면(10)과 식재 벽면(20) 사이의 간격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게 되면 건축물의 외벽에서 식생이 가능해져 삭막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자연 친화적인 환경으로 변화되는 효과 이외에도 식재 벽면(20)과 식생기반(30)을 통해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고, 식생기반(30)에 포함된 수분의 증발을 통해 자연스럽게 가습의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옹벽에 적용되는 경우, 도 17 내지 도 25와 같이 수직방향의 옹벽을 구성할 때 옹벽에 식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식재공(71)을 형성하여 식생 옹벽(70)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식생 옹벽(70)의 배면과 접하도록 보강토 등으로 된 식생기반(30)을 채워 식생 옹벽(70)의 식재공(71)에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생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게 된다.
식생 옹벽(70)에 적용되는 식재공(71) 역시 식생 옹벽(70)의 표면측 하단부가 수평상 식생 옹벽(70) 이면측 상단부보다 같거나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식재공(71)은 식생 옹벽(7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71a)에 중공의 홀더(78)를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각각 끼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식재공(71)은 입구가 좁거나 넓은 것에서 반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거나 좁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식생 옹벽(70)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축조할 수도 있고, 옹벽 구조체 블록(72)을 적층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식생 옹벽(70)을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축조하는 경우 거푸집을 통해 식재공(71)을 형성해주어야 하는데, 거푸집의 사이에 경사진 부위를 구성하는 경우 탈형에 어려움이 있게 되므로 옹벽 성형을 위한 전면 거푸집(77a)과 후면 거푸집(77b)의 전체면에 서로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대응되는 다수의 통공(77c)을 각각 형성하고, 전면 거푸집(77a)과 후면 거푸집(77b)의 대응되는 통공(77c) 사이에 중공의 홀더(78)를 경사지게 각각 끼워준 상태에서 전면 거푸집(77a)과 후면 거푸집(77b)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식생 옹벽(70)을 성형하면서 홀더(78)를 통해 식생 옹벽(70)의 전체면에 하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식재공(71)을 각각 성형해주게 된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식생 옹벽(70)을 형성하면서 전면 거푸집(77a)과 후면 거푸집(77b)의 사이에 구조물의 뼈대가 되는 철근이 2겹 이상 구비될 경우 홀더(78) 부위가 하향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도록 철근의 각도도 홀더(78)의 경사와 같은 각을 이룰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후, 전면 거푸집(77a)과 후면 거푸집(77b)을 탈형한 후 식생 옹벽(70)의 후면에 자갈 혹은 판재 또는 유공관 형태로 이루어진 암거배수관을 수평과 수직으로 설치하고 보강토 등의 식생기반(30)을 채워 다지고, 각 식재공(71)에 식물을 각각 식재해주면 된다.
이때, 식재공(71)을 성형하는 중공의 홀더(78)는 옹벽으로부터 빼내어 그 빼낸 자리가 식재공(71)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고, 홀더(78)를 그대로 두어 홀더(78)의 내부 공간이 식재공(71)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거푸집에 형성되는 홀더 거치를 위한 통공(77c)의 위치를 일측으로 편심되게 구성한 상태에서 거푸집 원상태 그대로 전면 거푸집(77a)으로 적용하고, 거푸집을 뒤집어 후면 거푸집(77b)으로 적용하면 통공(77c)의 사이가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어 한 종류의 거푸집만 구비하여도 경사진 식재공(71)을 갖는 식생 옹벽(70)의 시공이 가능해지게 된다.
각각의 식재공(71)은 안쪽의 보강토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식생 옹벽(70) 전면측 하단부가 수평상 식생 옹벽(70) 후면측 상단부보다 같거나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식재공(71)의 경사각은 식생 옹벽(70)의 두께에 따라 30~80°의 범위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옹벽 구조체 블록(72)을 적층하여 식생 옹벽(7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전면부에 전후위가 서로 통하도록 하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식재공(71)이 형성된 옹벽 구조체 블록(72)을 적용하면 된다. 옹벽 구조체 블록(72)은 전면부뿐 아니라 적용되는 위치에 따라 식생이 가능하도록 양측부에도 식재공(71)을 형성해줄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옹벽 구조체 블록(72)을 줄눈이 어긋나도록 상하좌우로 적층한 후에는 서로 인접한 옹벽 구조체 블록(72)이 고정될 수 있도록 식생 옹벽(70)을 이루는 다수의 옹벽 구조체 블록(72) 사이에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l"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ㅡ"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핀(73)을 각각 고정해줄 수 있으며, 옹벽 구조체 블록(72) 시공시 단차에 따라 그리드(79)를 연결하거나, 보강 와이어(미도시) 등을 연결하여 옹벽 구조체 블록(72)의 위치가 토압 또는 수압에 따라 변하지 않도록 시공해주어야 한다.
또한, 식재기반(30)의 중간중간에는 배수를 위해 수평, 수직방향으로 자갈층, 판형태 또는 관형태의 배수층(31))을 형성해줄 수 있으며, 식생 옹벽(70)에 식재공(71)만 형성하여 식재공(71)을 통하여 식생 옹벽(70) 안쪽의 토양으로부터 수분이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고, 식생 옹벽(70)의 식재공(71)과는 다른 위치에 별도의 배수공(76)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식생 옹벽(70)에 적용되는 식생기반(30)은 일반 토양을 적용할 수 있으며, 토양에 펄라이트 등 다양한 첨가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썩지 않는 개량 토양을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식물의 뿌리가 착근하여 생육될 수 있는 것이면 종류에 상관없이 모두 적용가능하다.
또한, 식생 옹벽(70)의 두께가 두껍게 이루어짐에 따라 식재공(71) 역시 깊게 형성되므로 수분이동과 뿌리침투가 가능한 부직포와 같은 천 재질의 포낭에 토양과 테라코템과 같은 함수부재의 혼합물을 수용하여서 된 함수포낭(23)을 구비하여 식재공(71)에 하나 이상 삽입해줌으로써 식재되는 식물이 활착될 때까지 수분을 공급하여 초기활착을 도와주도록 하게 되며, 홀더(78)를 적용하는 경우 홀더(78)의 내부공간과 식재기반(30)이 서로 통하도록 다수의 수분 유입공(78a)을 형성하여 식재공(71)에 식재되는 식물에 수분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식생 옹벽(70)에 형성되는 식재공(71)은 건축물에 적용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식재공(71)의 크기 역시 다양하게 구성하여 식재공(71)의 크기 또는 형상에 맞는 다양한 식물 또는 수종을 선택하여 각각의 식재공(71)에 식재할 수 있다. 식재공(71)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별도의 홀더가 필요없을 수도 있지만 식재공(71)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 될 경우에는 식생기반(30)이 식재공(71)을 통해 누출될 수 있으므로 이럴 경우 별도의 홀더(78)를 식재공(71)에 하향 경사지게 끼워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옹벽에 적용하게 되면, 수직방향의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옹벽 구조체 블록(72)의 적층에 따라 이루어진 식생 옹벽(70)의 전체면에 하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식재공(71)이 형성되며, 식생 옹벽(70)의 후면에는 보강토 등의 식생기반(30)이 채워져 있어 각각의 식재공(71)에 식물을 식재하여 생육할 수 있게 되므로 옹벽 녹화를 위해 별도의 구조물을 덧대지 않고도 옹벽의 전체면을 식물을 통해 녹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따라서 식생 옹벽(70)의 시공시 적은 비용으로도 옹벽의 부분적인 녹화가 아닌 옹벽 전체를 빈틈없이 녹화시킬 수 있고, 녹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사면에 적용되는 경우, 도 26 내지 도 29와 같이 도로의 절개지, 성토지의 법면, 또는 호안의 사면을 이루는 경사진 토양으로 된 식생기반(30)위에 다수의 식재공(81)이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식생 사면(8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식생 사면(80)은, 식생기반(30)의 일측면 혹은 양측면에 고정된 거푸집에 다수의 홀더(88)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식재공(81)을 이루는 홀더(88)와 같이 성형되거나, 식생기반(30)에 고정된 고정판(83)에 다수의 홀더(88)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혹은 쇼크리트 타설에 의해 식재공(81)을 이루는 홀더(78)와 같이 성형될 수도 있고, 수직방향으로 된 다수의 식재공(81)이 형성된 사면 블록(82)이 식생기반(30)위에 나란하게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식재공(81)은 입구가 좁거나 넓은 것에서 넓거나 좁아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식생 사면(80)이 사면 블록(82)으로 구성되는 경우, 식생 사면(82)에는 다수의 통공(81a)을 형성하고, 다수의 통공(81a)에 중공의 홀더(88)를 수직방향으로 각각 끼워 홀더(88)가 식재공(81)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면 역시 배수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식재기반(30) 표면에는 배수를 위해 전면 혹은 간격을 두어 자갈층, 배수판, 배수관 등의 배수층(31)을 형성하고, 식물에 수분 공급을 위해 홀더(88)의 하단부를 식재기반(30)까지 연장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토압이나 수압을 크게 낮출 수 있어 사면 안정에도 큰 도움이 된다.
또한, 식생 사면(80)의 하부에는 적어도 전면부에 전후위가 서로 통하도록 하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식재공(71)이 형성된 다수의 옹벽 구조체 블록(72)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기단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식생 사면(80)이 호안에 적용되는 경우 옹벽 구조체 블록(72)의 내부에는 크기가 다른 돌(74)을 채워 돌(74)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생태공간을 형성하고, 옹벽 구조체 블록(72)의 일부는 침수되도록 위치시켜 생태공간이 물고기의 피난처, 휴식처, 산란처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옹벽 구조체 블록(72)에 크기가 다른 돌(74)을 채울 때에는 그 외측 표면에 부직포 등의 토목 섬유를 덧대어 토양으로 이루어진 식생기반(30)이 옹벽 구조체 블록(72)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해야 함은 자명하다.
식생 사면(80)의 경우에도 수분이동과 뿌리침투가 가능한 부직포와 같은 천 재질의 포낭에 토양과 테라코템과 같은 함수부재의 혼합물을 수용하여서 된 함수포낭(23)을 구비하여 식재공(81)에 하나 이상 삽입해줌으로써 식재되는 식물이 활착될 때까지 수분을 공급하여 초기활착을 도와주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홀더(88)를 깊게 적용하는 경우 홀더(88)의 내부공간과 식재기반(30)이 서로 통하도록 다수의 수분 유입공(미도시)을 형성하여 식재공(81)에 식재되는 식물에 수분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식생 사면(80)의 식재공(81) 역시 형상과 크기가 상이한 다수의 식재공(81)으로 구성하고, 다수의 식재공(81)에 맞게 상이한 식물을 각각 식재하여 식물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사면에 적용하게 되면, 쇼크리트 타설 또는 사면 블록(82)의 적층으로 이루어진 식생 사면(80)의 전체면에 수직방향의 다수의 식재공(81)이 형성되는 것이므로 식물의 뿌리가 자연스럽게 식재공(81)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식생이 보다 원활해지게 되며, 태풍과 같이 강한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식재공(81)이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중력이 더 작용하여 식물 및 토양이 유실되지 않고 원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일반적인 호안 블록에도 식재공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호안 블록을 사면에 놓아주면 식재공이 경사지게 위치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경사진 식재공에 토양을 채우더라도 식재공의 경사각으로 인해 토양이 하부측으로 쏟아져 외부로 누출될 수밖에 없으며, 특히 태풍과 같은 강한 외력 발생시에는 식물과 토양이 한꺼번에 유실될 수밖에 없은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식재공(8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또 홀더(88)를 적용하여 식재공(81)을 보다 깊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강한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식재공(81) 내부의 토양 및 식물이 유실되지 않아 식생 환경을 지속적으로 보존할 수 있게 되며, 사면 시공시 자갈층을 비롯한 배수층(31)을 형성해줌으로써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사면 붕괴의 위험 역시 현저히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식생 사면(80)의 하부측에 기단으로서 녹화 가능한 옹벽 구조체 블록을 적층할 수도 있어 옹벽과 사면의 동시 녹화가 가능해지게 되며, 이러한 옹벽과 사면의 복합 구조를 호안에 적용할 때 옹벽 구조체 블록(72)의 내부에 돌(74)을 채워주게 되면 돌(74) 사이의 틈새가 생태공간을 이루게 되어 물고기의 피신처, 휴식처, 산란처를 이루게 됨으로써 생태계를 복원하거나, 원활히 유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10 : 수직 벽면 20 : 식재 벽면
21,71,81 : 식재공 21a,27c,77c,41 : 통공
21b : 경사부재 21c : 경사면
22 : 블록 23 : 함수포낭
27a,77a : 전면 거푸집 27,77b : 후면 거푸집
28,78,88 : 홀더 30 : 식생기반
31 : 자갈층 40 : 중간차벽
50 : 연결부재 61 : 관수관
62,76 : 배수공 63 : 암거배수관
70 : 식생 옹벽 72 : 옹벽 구조체 블록
73 : 고정핀 74 : 돌
79 : 그리드 80 : 식생 사면
82 : 사면 블록 83 : 고정판
21,71,81 : 식재공 21a,27c,77c,41 : 통공
21b : 경사부재 21c : 경사면
22 : 블록 23 : 함수포낭
27a,77a : 전면 거푸집 27,77b : 후면 거푸집
28,78,88 : 홀더 30 : 식생기반
31 : 자갈층 40 : 중간차벽
50 : 연결부재 61 : 관수관
62,76 : 배수공 63 : 암거배수관
70 : 식생 옹벽 72 : 옹벽 구조체 블록
73 : 고정핀 74 : 돌
79 : 그리드 80 : 식생 사면
82 : 사면 블록 83 : 고정판
Claims (38)
-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는 수직 벽면; 식물의 식재가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된 식재 벽면; 상기 수직 벽면과 상기 식재 벽면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며, 상기 식재 벽면의 식재공에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생육이 이루어지는 식생기반을 포함하여서 된 벽면 녹화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식재공의 식재 벽면 표면측 하단부는 수평상 식재 벽면 이면측 상단부보다 같거나 높은 위치에 위치되어 식물이 생육에 유리하도록 상기 식재공에 비스듬히 식재됨과 동시에 상기 식생기반이 상기 식재공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식재공은, 상기 식재 벽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에 중공의 홀더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각각 끼워진 상태로 이루어져 상기 식재벽면의 두께와 상관없이 상기 식재공의 각도가 식물 식재가 가능한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식재공의 깊이가 상기 식생기반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깊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구조물.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식재되는 식물과 상기 식생기반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식생기반으로부터 양분과 수분을 상기 식물에 전달해주도록 상기 홀더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함수포낭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그 내부공간과 상기 식생기반이 서로 통하도록 다수의 수분 유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의 하단부와 함께 상기 홀더에 형성된 다수의 수분 유입공을 통해 상기 홀더의 내부공간으로 수분이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구조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도로의 절개지, 성토지의 법면, 또는 호안의 사면을 이루면서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생육이 이루어지는 경사진 식생기반; 식물의 식재가 이루어지는 다수의 식재공이 관통 형성된 상태로 상기 식생기반 위에 형성되는 식생 사면을 포함하여서 된 벽면 녹화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은, 상기 식생 사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통공에는 중공의 홀더가 수직방향으로 각각 끼워진 상태로 이루어져 상기 식생 사면의 두께와 상관없이 상기 식생기반이 상기 식재공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식생기반 표면에는 배수를 위해 자갈층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하단부는 상기 식생기반까지 연장되며, 상기 식재공에 식재되는 식물과 상기 식생기반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식생기반으로부터 양분과 수분을 상기 식물에 전달해주도록 상기 식재공에는 적어도 하나의 함수포낭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구조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그 내부공간과 상기 식생기반이 서로 통하도록 다수의 수분 유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의 하단부와 함께 상기 홀더에 형성된 다수의 수분 유입공을 통해 상기 홀더의 내부공간으로 수분이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8369A KR101417672B1 (ko) | 2013-08-20 | 2013-08-20 | 벽면 녹화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8369A KR101417672B1 (ko) | 2013-08-20 | 2013-08-20 | 벽면 녹화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17672B1 true KR101417672B1 (ko) | 2014-07-09 |
Family
ID=5174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8369A KR101417672B1 (ko) | 2013-08-20 | 2013-08-20 | 벽면 녹화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767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2911B1 (ko) * | 2016-05-02 | 2016-11-04 | 박공영 |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22377A (ja) * | 1995-05-31 | 1996-12-10 | Nisshoku Corp | 建造物等の壁面緑化基体 |
JPH10248393A (ja) * | 1997-03-07 | 1998-09-22 | Taiyo Kogyo Kk | 壁面材および苗連結体、並びに壁面材の製造方法 |
KR100407521B1 (ko) * | 2000-11-09 | 2003-12-01 | 서경화 | 벽면 녹화장치 |
JP2010017161A (ja) * | 2008-07-14 | 2010-01-28 | Toho Leo Co | 壁面緑化パネル |
-
2013
- 2013-08-20 KR KR1020130098369A patent/KR1014176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22377A (ja) * | 1995-05-31 | 1996-12-10 | Nisshoku Corp | 建造物等の壁面緑化基体 |
JPH10248393A (ja) * | 1997-03-07 | 1998-09-22 | Taiyo Kogyo Kk | 壁面材および苗連結体、並びに壁面材の製造方法 |
KR100407521B1 (ko) * | 2000-11-09 | 2003-12-01 | 서경화 | 벽면 녹화장치 |
JP2010017161A (ja) * | 2008-07-14 | 2010-01-28 | Toho Leo Co | 壁面緑化パネル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2911B1 (ko) * | 2016-05-02 | 2016-11-04 | 박공영 |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7790B1 (ko) |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 |
KR101275615B1 (ko) | 폭포, 자연석, 수목, 식물을 활용한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 | |
JPH0587005U (ja) | 排水・保水装置 | |
KR100927393B1 (ko) | 생태블록 | |
KR101025260B1 (ko) |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 |
KR20120049106A (ko) | 조립식 호안블록 | |
CN111719500A (zh) | 一种基于建筑工程的生态护坡系统 | |
US6817811B1 (en) | Construc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n respect of water source and earth | |
CN114457840A (zh) | 一种装配式生态挡墙的施工方法 | |
KR101678127B1 (ko) | 토목용 블록 | |
WO2009111995A1 (en) | Vegetation roof, especially pitched,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 |
CN205908109U (zh) | 一种垂直绿化围墙 | |
KR101417672B1 (ko) | 벽면 녹화구조물 | |
KR100349863B1 (ko) | 호안용 블록 및 그를 이용한 자연형 호안시공법 | |
CN111749534B (zh) | 一种别墅庭院生态花槽砖及别墅庭院生态围墙 | |
KR200442424Y1 (ko) | 식생용 옹벽블록 | |
JPH07150513A (ja) | 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多孔質層形成ユニット、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パイプユニット並びにスポーツグラウンドの施工方法 | |
JPH08120693A (ja) | 擁 壁 | |
JP3506371B2 (ja) | 擁壁緑化ブロックおよび擁壁緑化構造 | |
JP2000170184A (ja) | 擁壁用コンクリ―トブロック及び擁壁 | |
CN218550806U (zh) | 一种管槽格构石漠化边坡护坡结构 | |
CN202073103U (zh) | 植草砖 | |
CN219568747U (zh) | 一种生态砖及生态墙 | |
CN217710560U (zh) | 圆环联锁型生态护岸结构 | |
KR101335543B1 (ko) |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