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615B1 - 폭포, 자연석, 수목, 식물을 활용한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 - Google Patents
폭포, 자연석, 수목, 식물을 활용한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5615B1 KR101275615B1 KR1020110107348A KR20110107348A KR101275615B1 KR 101275615 B1 KR101275615 B1 KR 101275615B1 KR 1020110107348 A KR1020110107348 A KR 1020110107348A KR 20110107348 A KR20110107348 A KR 20110107348A KR 101275615 B1 KR101275615 B1 KR 1012756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il
- main body
- delete delete
- blocks
- ba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4—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stone surfaces, e.g. marble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8—Macromolecular compounds porous, e.g. expanded polystyrene beads or microballo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산을 도입한 자연축경식 산수정원에 관한 것으로, 소정 크기의 복수의 블록들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며, 내부에 제1토양을 포함하고 있는 복수의 토양포대와; 상기 본체부 및 토양포대를 덮는 제2토양부와; 상기 제2토양부에 심는 치장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철근)를 사용하여 치장물이나 블록을 서로 고정할 수 있고, 운무시설이나 폭포시설과 같은 관수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공 블록으로 일정 높이로 쌓은 올린 본체부에 식생이나 치장을 위해 덮는 토양이 인공블록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식물의 성장을 위한 충분한 토심을 가진 자연축경식 명산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공 블록으로 일정 높이로 쌓은 올린 본체부에 식생이나 치장을 위해 덮는 토양이 인공블록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식물의 성장을 위한 충분한 토심을 가진 자연축경식 명산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을 인공적으로 축소하여 폭포, 자연석, 수목, 식물을 활용한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자연 속에서 자연을 감상하면서 정서적 안정을 얻기를 갈망하여, 빌딩, 가옥, 아파트 단지 등의 일정 공간 내에 유명 명산이나 풍경을 도입한 자연축경식 산수정원을 만들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904044호는 축소된 자연 재현장치(1)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자연 재현장치(1)는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지(10)에 합성수지 판넬로 이루어진 베이스(20), 상기 베이스(20) 위에 스치로폼이나 합성수지 발포폼 블록을 산 모양의 골격으로 만든 골격체(30). 상기 골격체(30) 상에는 덮여지는 메쉬(40), 및 메쉬(40) 위에 배치되는 토양층(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토양층(50)에는 표층식물(60), 나무(72), 자연석(74) 등의 치장물(70)이 배치된다. 이때 나무(72)나 자연석(74) 등은 홈을 만든 후에 심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축소된 자연 재현장치(1)는 메쉬(40)를 이용하여 토양층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있지만, 비바람과 같은 악천후에 의한 토양의 흘러내림을 충분히 방지하기 어렵고, 충분한 깊이의 토양층을 제공하기 힘들다.
또한, 종래의 축소된 자연 재현장치(1)는 골격체(30) 상의 토양층의 깊이를 깊게 하기 어렵기 때문에, 큰 나무와 같은 식물(72)은 생존하기가 어려운 환경이고, 토양층이 식물에 필요한 수분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없어 물을 자주 보충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큰 나무(72)나 자연석(74)은 특정 위치, 홈이 형성된 수평면에만 심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자연을 그대로 재현하는데 상당한 제약이 따르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부 상에 충분한 두께의 토양층을 제공할 수 있는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토양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식물이나 자연석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어 자연의 모습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가능한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하는 재료가 저렴하고 시공방법이 간편하여 경제성이 높은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자연축경식 명산은, 소정 크기의 복수의 블록들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며, 내부에 제1토양을 포함하고 있는 복수의 토양포대와; 상기 본체부 및 토양포대를 덮는 제2토양부와; 상기 제2토양부에 심는 치장물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복수의 블록들은 EPS(스치로폼)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 하측에 위치하며, 이형철근을 포함하는 기초콘크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하부에 위치하며, 소정 크기의 블록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기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블록, 토양포대, 및 치장물 중 적어도 하나와 고정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장물은 상기 토양포대를 부분 절개하여 제1토양에 심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재는 철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토양은 퍼라이트(perlit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반부 상에 흙과 벤토나이트의 혼합물을 포설하여 형성한 방수층을 포함하는 자연형 연못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양포대는 외표면에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축경식 명산의 조성방법은, 복수의 블록들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본체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1토양을 포대에 넣은 토양포대를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부와 토양포대를 제2토양으로 덮는 단계와; 상기 제2토양에 치장물을 심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복수의 블록들이 EPS(스치로폼)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 하측에 이형철근을 포함하는 기초콘크리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콘크리트 하측에 복수의 블록들을 다층으로 적층한 기반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부재에 의하여 다른 블록, 토양포대, 및 치장물 중 적어도 하나와 고정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장물은 상기 토양포대를 부분 절개하여 제1토양에 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반부 상에 흙과 벤토나이트의 혼합물을 포설하여 형성한 방수층을 포함하는 자연형 연못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연축경식 명산은 블록으로 쌓아 올린 본체부 상에 1차로 토양포대를 배치하여 고정하고 2차로 제2토양부를 배치함으로써 충분한 토심을 갖는 토양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연축경식 명산은 본체부 상에 토양포대를 다양한 형태로 고정지지할 수 있어 제2토양부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연축경식 명산은 토양포대를 수평면뿐만 아니라 수직면에도 고정할 수 있어 나무나 자연석을 어느 곳이든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의 모습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연축경식 명산은 블록, 토양포대, 치장물 상호 간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에폭시 피복 철근을 공용함과 더불어 그 시공과정도 간편해져 경제성이 높고, 부식을 방지하여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축경식 명산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블록, 토양포대, 및 치장물 상호 간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
도 4a 및 4b는 도 2의 각각 포대와 제1토양을 나나태는 도,
도 5a 및 5b는 포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6a 및 6b는 본체부에 토양포대 및 치장물을 고정하는 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7은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
도 8은 도 2의 C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축경식 명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축경식 명산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및
도 11은 종래의 축소된 자연 재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블록, 토양포대, 및 치장물 상호 간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
도 4a 및 4b는 도 2의 각각 포대와 제1토양을 나나태는 도,
도 5a 및 5b는 포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6a 및 6b는 본체부에 토양포대 및 치장물을 고정하는 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7은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
도 8은 도 2의 C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축경식 명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축경식 명산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및
도 11은 종래의 축소된 자연 재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폭포, 자연석, 수목, 식물을 활용한 자연축경식 명산(1)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규모 주택(아파트)단지, 공원, 광장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대형 저택의 가산 형태로 설치되기도 한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연축경식 명산(1)은 다수의 블록(142)을 다층으로 적층한 본체부(140)와, 상기 본체부(140)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토양포대(150)와, 상기 본체부(140) 및 토양포대(150)를 덮는 제2토양부(160), 상기 제2토양부(160)에 심는 치장물(170)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142)은 예를 들면 밀도20Kg/m2, 허용압축응력 5.0t/m2의 EPS(발포폴리스티렌) 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경량성, 경제성, 시공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물론, 블록의 재료는 다양한 발포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블록의 크기는 상황에 맞게 다양한 크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40)는 명산의 뼈대를 구성하는 것으로 다수의 블록(142)을 적층 하되, 각 블록들은 철근과 같은 고정부재(11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지지 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110)로 사용되는 철근은 녹이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폭시로 피복되며, 외표면에 돌기(112)가 형성되어 있어 압축 블록(142)에 강제로 박아 넣는 것만으로 빠지지 않고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110)로 기존의 철근을 이용하는 것은 별도로 주문제작하는 것에 비해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기 토양포대(150)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망사 포대(154)에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토양을 채워서 만들어진다.
망사포대(154)는 볏짚을 꼰 줄과 같은 자연 재료, 합성 수지와 같은 인공 재료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망사포대(15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망사포대(154)는 외표면에 돌출부(153)를 포함한 격자형 요철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철부는 위에 덮여지는 제2토양부의 흘러내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토양은 예를 들면 기능성 펄라이트(perlite)와 같은 기능성 경량토가 바람직하다. 물론 마사토와 같은 다양한 토양이 사용될 수 있다.
토양포대(150)는 현장에 다양한 크기의 망사포대(154)를 가져 간 후에, 제1토양을 현장에서 채워 넣어 다양한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아름다운 명산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는 응용성이 좋다.
토양포대(150)는 본체부(140)의 수평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110)를 통하여 수평면뿐만 아니라 수직면에도 설치할 수 있어 그 재현응용성이 좋다.
제2토양부(160)는 본체부(140) 및 토양포대(150) 상에 표토로서 덮여지는데, 사질토, 점토, 마사토의 단일 또는 혼합토가 사용될 수 있다.
치장물(170)은 이끼와 같은 표층식물, 나무, 자연석 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2토양부(160)에 심는다.
큰 나무는 뿌리가 커서 제2토양부(160)만으로는 깊이가 낮아 충분히 성장하기 힘들기 때문에 상기 토양포대(150)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심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재(110)로 사용되는 에폭시 피복 철근은 블록(142)과 블록(142), 블록(142)과 토양포대(150), 블록(142)과 자연석(174)을 고정하기 위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단지 철근의 길이나 굵기는 하중이나 고정할 재료 상황에 따라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110)는 상기 복수 EPS(스치로폼)블록(142)들 중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인접하여 배열된 EPS(스치로폼)블록을 상호 고정하는 'ㄷ'자형 철근과, 상기 EPS(스치로폼)블록에 상기 토양포대(150) 또는 치장물(174)을 고정하는 'ㄱ'자형 철근을 포함할 수 있다.
큰 자연석은 그 하중이 커서 본체부(140)의 층간 수평면에 배치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수직면에는 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고정부재(110)를 이용하면 용이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다.
토양포대(150)는 2개 이상을 한꺼번에 고정부재(110)로 고정할 수도 있다.
자연석(174)은 사전에 장착된 세트 앵커(176)를 포함하고 있다. 현장에서 블록에 고정된 고정부재(110)와 세트 앵커(176)는 용접이나 죔쇠 등을 통해 상호 결합 고정할 수 있다. 자연석(174)은 직접 본체부(140)에 고정지지하거나 중간의 토양포대(150) 또는 그를 관통하여 본체부(140)에 고정지지될 수 있다.
도 2 및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140)의 하부에는 이형철근(132)을 포함하는 기초콘크리트(130)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 기초콘크리트(130) 대신에 합성수지 패널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초콘크리트(130)의 하부에는 다수의 소정 크기의 EPS블록들을 적층한 기반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반부(120)에 사용되는 블록들은 고정부재(110)로서 에폭시 피복 철근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지지될 수 있다.
상기 기반부(120)의 하부에는 이형 철근(102)을 포함하는 건축슬라브(1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건축슬라브(100), 기반부(120) 및 기초콘크리트(130)는 본 발명의 명산을 도입한 자연축경식 산수정원(1)의 필수적인 요소들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연축경식 명산(1)은 자연형 연못(18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연형 연못(180)은 물을 수용하고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이형 철근(184)을 포함하는 기초콘크리트(186)상에 방수층(18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층(188)은 흙과 벤토나이트의 혼합토를 포설하여 형성하며, 꽃창포 등의 수생식물 식재가 가능하다.
물론 방수층(188)은 기초콘크리트를 형성한 후에 우레탄 방수액을 도포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EPS블록들을 적층하여 형성한 기반부(120)를 기초콘크리트(186)의 하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우레탄 방수층(188)은 그 위에는 마사토와 같은 토양을 덮어 수생식물(189)을 심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연축경식 명산(1)은 수경 시설, 즉 관수시설 및 폭포시설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수시설은 상수를 이용하며 고압펌프로 미세한 노즐을 통해 수압으로 운무 형태의 경관을 연출함과 더불어 식물에 수분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폭포시설은 상기 자연형 연못(180)에서 수중펌프로 물을 흡입하여 정상부의 저수조에 저장한 후 계곡을 따라 흐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자연축경식 명산의 우수 재활용 관수시설(200)을 나타낸 도로서, 우수나 하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유입관(210), 상기 유입관(210)를 을 통해 들어온 물을 1차 정류하는 침사지(220), 1차 정류된 물을 2차 여과하여 저장하는 여과저장부(230), 여과된 물을 3차 정화하는 수질정화부(240), 펌프(미도시)에 의해 상기 수질정화부(240)의 물을 명산 상부로 끌어올려 저장하는 상부수조(250), 상기 상부수조(250)로부터 폭포시설이나 계류시설을 통해 흘러내린 물을 저장하고 상기 여과저장부(230) 위에 배치된 하부수조(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수조(234)와 하부에 배치된 여과저장부(230) 사이에는 방수층(시트)(232)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빗물을 정화하여 폭포나 계류를 재현하는 것은 수돗물을 이용하는 경우 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적은 유지비용으로 수시로 물을 교체할 수 있어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연축경식 명산(1)의 시공방법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먼저 대상부지의 지반(190)을 터파기한 후 지면을 다짐한다. 연약지반의 경우 연약지반처리를 하여 소정의 지내력을 확보한다. 지면에 이형 철근(102)을 포함하는 건축슬라브(100)를 형성한다.
2) 상기 건축 슬라브(100) 위에 복수의 EPS블록들을 고정부재(110)로 상호 연결 및 적층하여 기반부(120)를 형성한다.
3) 상기 기반부(120) 상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형 철근(132)을 배설한 후 기초콘크리트(130)를 타설한다.
4) 상기 기초콘크리트(130) 위에 복수의 EPS블록(142)을 고정부재(110)로 상호 연결 및 적층하여 본체부(140)를 형성한다.
5) EPS블록(142)으로 형성된 본체부(140) 주변을 펄라이트(Perlite)가 채워진 토양포대(150)를 배치하고 살수를 통한 안정된 식생기반을 조성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토양포대(150)는 고정부재(110)로 EPS블록(142)들에 고정 지지한다. 배수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 배수판을 적정간격으로 배열하여 하부로 배수를 유도하고, 관수설비와 경관설비를 배열한다.
6) 자연석(174)을 상기 블록(142) 또는 토양포대(150)에 고정부재(110)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이때, 자연석(174)의 고정에는 고정부재(110) 대신에 몰탈 및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110)와 몰탈 및 에폭시 접착제를 병행해서 사용할 수 있다. 자연석의 경관 연출은 각 개체를 모로 세워 측면이 전면으로 보이게 하며, 여러 장을 겹치게 부착하여 골의 변화가 무상하게 형성함으로써 장엄한 연출이 될 수 있도록 시공할 수 있다.
7) 자연석(174) 사이에는 제2토양부(160)를 배치하여 돌틈식재의 식생기반을 조성한다. 교목류 식재(172)는 토양포대(150)를 식생기반으로 하며, 토양포대(150)를 부분 절개하여 식재한다. 마지막으로 자연석, 교목식재지를 제외한 구간에 제2토양부, 예를 들면 사질토, 점토, 마사토 단일 또는 혼합토를 포설하여 식생기반을 견고하게 한다. 이때, 식생기반 위에 교목, 관목, 지피, 이끼류를 식재하여 식생기반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8) 자연석(174)을 이용한 폭포시설과 하부에 자연형 연못(180)을 설치한다.
폭포조성시에는 하부에 방수시트를 깔고 몰탈을 충진하여 조성하고 산봉우리부위는 조성시에 석재용 에폭시 접착제와 몰탈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시공한다.
자연형 연못(180)은 기반부(120) 위에 이형철근(184)를 포설한 후 기초콘크리트(186) 위에 흙과 벤토나이트 혼합토로 배설하여 방수층(188)를 형성하여 시공한다. 상기 자연형 연못(180)의 기초콘크리트(180)는 상기 본체부(140) 하부의 기초콘크리트(130)의 제작시에 일괄적으로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시공방법에서, 지반(190)의 형태나 상황에 따라 1)∼4)의 공정, 즉 건축슬라브 시공에서 기초콘크리트 시공 과정을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다져진 지반(190) 위 또는 소정 패널 위에 EPS블록의 본체부(140)를 형성하는 과정부터 진행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2토양부의 포설은 치장물(170)을 배치하기 전 또는 큰 나무나 자연석 같은 치장물(170)을 먼저 부분적으로 배치한 후에 선택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즉, 상술한 단계 7) 과 8)은 바꾸어 시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기초로 이루어졌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 : 자연축경식 명산 100: 건축슬라브
110: 고정부재 120: 기반부
130: 기초콘크리트 140: 본체부
142: 블록 150: 토양포대
160: 제2토양부 170: 치장물
180: 연못 200: 관수시설
110: 고정부재 120: 기반부
130: 기초콘크리트 140: 본체부
142: 블록 150: 토양포대
160: 제2토양부 170: 치장물
180: 연못 200: 관수시설
Claims (18)
- 소정 크기의 복수의 EPS(스치로폼)블록들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며, 내부에 펄라이트(Perlite)를 포함하는 제1토양을 포함하고 있는 복수의 토양포대와;
상기 본체부 및 토양포대를 덮는 제2토양부와;
상기 제2토양부에 심는 치장물과;
상기 복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블록, 토양포대, 및 치장물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지지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본체부 하측에 위치하며, 이형철근을 포함하는 기초콘크리트와;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하부에 위치하며, 소정 크기의 블록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기반부와;
상기 기반부 상에 흙과 벤토나이트의 혼합물을 포설하여 형성한 방수층을 포함하는 자연형 연못과;
우수 재활용 관수시설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복수 EPS(스치로폼)블록들 중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인접하여 배열된 EPS(스치로폼)블록을 상호 고정하는 'ㄷ'자형 철근과, 상기 EPS(스치로폼)블록에 상기 토양포대 또는 치장물을 고정하는 'ㄱ'자형 철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치장물 중 나무는 상기 토양포대를 부분 절개하여 제1토양에 심어지며,
상기 토양포대는 외표면에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축경식 명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복수의 EPS(스치로폼)블록들을 다층으로 적층하되, 'ㄷ'자형 철근으로 상기 복수 EPS(스치로폼)블록들 중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인접하여 배열된 EPS(스치로폼)블록을 상호 고정하여 본체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부 하측에 이형철근을 포함하는 기초콘크리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콘크리트 하측에 복수의 블록들을 다층으로 적층한 기반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1토양을 포대에 넣은 외표면에 요철부를 가진 토양포대를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하되, 상기 토양포대를 'ㄱ'자형 철근으로 상기 EPS(스치로폼)블록에는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부와 토양포대를 제2토양으로 덮는 단계와;
상기 제2토양에 치장물을 심는 단계와;
상기 치장물 중 나무는 상기 토양포대를 부분 절개하여 제1토양에 심는 단계와;
상기 기반부 상에 흙과 벤토나이트의 혼합물을 포설하여 형성한 방수층을 포함하는 자연형 연못을 형성하는 단계와;
우수 재활용 관수시설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축경식 명산의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7348A KR101275615B1 (ko) | 2011-10-20 | 2011-10-20 | 폭포, 자연석, 수목, 식물을 활용한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7348A KR101275615B1 (ko) | 2011-10-20 | 2011-10-20 | 폭포, 자연석, 수목, 식물을 활용한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3315A KR20130043315A (ko) | 2013-04-30 |
KR101275615B1 true KR101275615B1 (ko) | 2013-06-17 |
Family
ID=4844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7348A KR101275615B1 (ko) | 2011-10-20 | 2011-10-20 | 폭포, 자연석, 수목, 식물을 활용한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561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3797B1 (ko) | 2013-11-05 | 2014-07-01 | 주식회사 에코피아 | 인공가산축조 및 그 시공방법 |
KR101715514B1 (ko) | 2015-10-08 | 2017-03-22 | 임찬영 | 자연 축경식 명산 구조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86906A (zh) * | 2019-04-24 | 2019-07-09 | 山东海岱园林集团有限公司 | 一种假山石连接件及实现假山拱形造型的方法 |
CN110271355A (zh) * | 2019-07-22 | 2019-09-24 | 上海宝冶建筑装饰有限公司 | 一种塑石假山的施工方法 |
KR102391732B1 (ko) * | 2020-04-13 | 2022-04-28 | 주식회사 지엘조경개발 |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 |
KR102233496B1 (ko) * | 2020-12-29 | 2021-03-29 | (주)자연과조경 | 기능성 펌프실과 석가산을 구비하는 수경시설 |
KR102414103B1 (ko) * | 2021-04-20 | 2022-06-28 | 주식회사 미담 | 석가산 구조체 |
KR102399378B1 (ko) * | 2021-04-20 | 2022-05-19 | 주식회사 미담 | 석가산의 암벽 구조체 |
KR102391424B1 (ko) * | 2021-07-07 | 2022-04-27 | 주식회사 미담 |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및 그의 시공 방법 |
KR102391434B1 (ko) * | 2021-07-07 | 2022-04-27 | 주식회사 미담 |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및 그의 시공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72684A (ja) * | 1997-12-09 | 1999-06-29 | Kuramoto:Kk | 自然岩石模写パネルとそのパネルを用いた自然景観法面構造 |
KR20090126906A (ko) * | 2008-06-05 | 2009-12-09 |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 백화 현상과 구조를 개선한 강화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인공폭포 |
KR20110066566A (ko) * | 2009-12-11 | 2011-06-17 | 박정혁 | 인공 조경 시스템 |
-
2011
- 2011-10-20 KR KR1020110107348A patent/KR1012756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72684A (ja) * | 1997-12-09 | 1999-06-29 | Kuramoto:Kk | 自然岩石模写パネルとそのパネルを用いた自然景観法面構造 |
KR20090126906A (ko) * | 2008-06-05 | 2009-12-09 |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 백화 현상과 구조를 개선한 강화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인공폭포 |
KR20110066566A (ko) * | 2009-12-11 | 2011-06-17 | 박정혁 | 인공 조경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3797B1 (ko) | 2013-11-05 | 2014-07-01 | 주식회사 에코피아 | 인공가산축조 및 그 시공방법 |
KR101715514B1 (ko) | 2015-10-08 | 2017-03-22 | 임찬영 | 자연 축경식 명산 구조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3315A (ko) | 2013-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5615B1 (ko) | 폭포, 자연석, 수목, 식물을 활용한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 | |
KR100917790B1 (ko) |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 |
CN107524116B (zh) | 一种河道硬质护岸生态化的方法 | |
JP2008289497A (ja) | 緑化装置 | |
KR101038060B1 (ko) | 인공생태연못 및 그 조성방법 | |
KR101662690B1 (ko) | 식물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근고공 일체형 친환경 식생호안 및 그 시공방법 | |
CN101793079A (zh) | 一种新型根系阻拦材料和绿色屋面种植技术 | |
CN110761303B (zh) | 岩质陡边坡生境构筑与植被用水补给系统及方法 | |
CN210519559U (zh) | 基于模块化的生物滞留树池结构 | |
CN112376507A (zh) | 一种植生混凝土预制板 | |
KR101034445B1 (ko) | 인공 조경 시스템 | |
CN103896403A (zh) | 一种承重式经营型浮岛及建设方法 | |
KR102042226B1 (ko) | 화분장착형 보강토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417672B1 (ko) | 벽면 녹화구조물 | |
JP4767116B2 (ja) | 間知ブロックによる造成壁面の緑化構造 | |
KR102391732B1 (ko) |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 | |
JP2006169860A (ja) |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 |
CN217850515U (zh) | 一种海绵型树池 | |
KR101293807B1 (ko) | 식재용 생태 블록과 그 제조방법 | |
CN217217553U (zh) | 一种用于矿山修复工程的植生槽结构 | |
KR101104459B1 (ko) | 입체 구조물용 녹화패널 구조 | |
KR200442433Y1 (ko) | 자연 생태 복원 방법으로 구축한 하상 바닥을 포함하는 도시 하천의 사면 구조 | |
JP3164196U (ja) | 立体壁庭 | |
JP4301983B2 (ja) | 水場の敷設工法 | |
TWM635188U (zh) | 綠建築結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