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732B1 -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732B1
KR102391732B1 KR1020200044492A KR20200044492A KR102391732B1 KR 102391732 B1 KR102391732 B1 KR 102391732B1 KR 1020200044492 A KR1020200044492 A KR 1020200044492A KR 20200044492 A KR20200044492 A KR 20200044492A KR 102391732 B1 KR102391732 B1 KR 102391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nit laminated
module
weight
plat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6877A (ko
Inventor
배성훈
이동규
장태원
임병관
서수민
김동휘
황영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엘조경개발
황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엘조경개발, 황영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엘조경개발
Priority to KR1020200044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73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6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석형태로 구획된 크기의 판상형 판석을 적층형태로 쌓아올리도록 시공하여 판석과 판석 사이에 식물의 자연생장 공간을 형성하고 습도, 미세먼지 등 기후 조절에 기여할 수 있는 식생기반제를 충진하여 경관이 새롭고 고급스러움을 높일 수 있도록 구비한다.
판재를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 시공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크기로 규격화된 수개의 판재를 일정높이의 적층형태로 쌓아서 하나의 단일 규격화된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환경친화적인 다양한 두께, 모양, 크기, 재질에 국한되지 않는 규격화된 일정크기로 판재 소재를 이용하여 판재형태로 규격화시켜 가공비와 설치비용이 감소시킴은 물론 대량으로 생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자연석을 이용한 환경파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조경 정원을 조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The Landscaped Gardens composi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Unit laminated sheet module}
본 발명은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구획된 크기의 판상형 판석을 적층형태로 쌓아올리도록 시공하여 판석과 판석 사이에 식물의 자연생장 공간을 형성하고 습도, 미세먼지 등 기후 조절에 기여할 수 있는 식생기반제를 충진하여 경관이 새롭고 고급스러움을 높일 수 있는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생활문화공간이 발전에 따라 시각적인 효과를 높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건축물의 외부공간에는 실용적·심미적 목적으로 뜰의 개념으로 정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최근 시공되는 주택, 아파트, 상가, 빌딩 및 공공기관에는 각 건물에 소규모 또는 대규모로 인공 조경 정원을 시공하여 한단계 진화한 주거문화의 반영일뿐만 아니라 한 사회와 시대의 생활문화와 가치체계 및 예술이 총체적으로 결집된 장소로 보여지고 있다.
또, 이러한 정원을 구성하는 요소로는 계단, 담과 울타리, 구조물, 벤치, 물, 잔디와 지피류, 수목과 초화류, 조명, 조각, 기타 장식품 등으로 조성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오늘날 현대인의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도시에서 잠시나마 자연을 두고 즐기려고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여 그에 따라 건축물 주변에 공원 및 실내외 사용되는 암석의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정원 조성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관상용 암석의 경우에는 자연적인 기존암석을 채굴하기 위해 암석지를 파괴하고, 암석 채굴과정에서 발파석과 토양속 암석을 채취하는 자연석을 사용하여 자연생태 파괴하는 환경문제점과 자연생태계를 파괴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이러한 자연암석의 채굴한 뒤 돌을 놓는 과정으로 일괄적이지 않은 규격으로 인해 여러명의 숙련된 작업자와 값비싼 여러 대의 장비를 필요로 하여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대부분의 기존 자연 암석은 무겁고, 부피가 커서 운반하거나 운송하기에 쉽지 않으며 특히 운반시 파손의 위험성을 안고 있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내재 되어 있고,
또, 자연암석은 그 크기를 줄일수도 없고 형태도 한정적이여서 공간 활용에 있어 여러 문제사항이 있으며, 시공현장에 설치시 제각각의 모양을 가지고 있어 일관성있는 시공이 어렵고, 자연암석 단위개체의 표면에 식물이 생육할수 없는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자연암석은 야간에는 관상적인 활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조경 정원 조성 시공방법과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기술은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한 예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21694호(공개일자: 2006.09.11.)에서는 “다면체 형상으로 절단 가공된 자연석 블록(10)이 일정 높이로 적층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각 자연석블록(10)은 상면과 하면에 각각 앙카 삽입홈(11,12)이 형성되어져 있어 앙카(20)에 의한 상하 블록간 결합이 이루어져 있으며, 상,하 자연석블록(10)간 사이에는 단열을 위한 스폰지띠(15)가 연속되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스폰지띠(15) 사이에는 자연석블록(10)간 접합을 위한 에폭시(14)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시공용 자연석 블록”이 있고,
또,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0479호(공개일자: 2010.11.16.)에서는 “사각형 형상의 화강판석(1)이 균일하게 배열되어 고정되도록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지지판(11); 상기 하부지지판(11)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화강판석(1)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제1세로지지판(12); 상기 제1세로지지판(12)의 일측으로 상기 하부지지판(11)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세로지지판(12)과 직교 배치되어 화강판석(1)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제2세로지지판(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판석 고정틀”이 있으며,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45484호(공개일자 : 2014.11.03.) “콘크리트 옹벽(10)의 전면부(11)에 자연석판재(40)를 장착하기 위한 방부목 판재(30)와, 상기 방부목 판재(30)를 부설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받침편(20)과, 상기 받침 편(20)을 장착하는 힐티앵커 볼트(25)와, 상기 힐티앵커 볼트(25)의 볼트 공(12)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드릴(미도시)을 준비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받침 편(20)을 장착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옹벽(10)의 전면부(11)에 바둑판 형상으로 좌, 우측부 와 상, 하부에 구비되는 힐티앵커의 볼트 공(12)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볼트 공(12)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힐티앵커 볼트(25)에 의거 관통되는 통공(21)을 관통하여 콘크리트 옹벽(10)의 전면부(11)에 받침편(20)을 장착하는 제 3단계와; 상기 받침 편(20)의 폭은 50-70㎜이며, 두께는 5-7㎜인 강재(steel)로 이루어지는 상기 받침 편(20)의 전면에 형성된 ㄷ자형 받침 부(22)에 방부목판 재(30)를 부설하는 제 4단계와; 상기 방부목판재(30)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상기 자연석판재(40)의 사각 모서리 부에 형성된 나사 공(41)을 관통함과 동시에 방부목 판재(30)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못(43)에 의거 자연석판재(40)가 상기 방부목판재(30)의 전면부에 장착됨으로써 콘크리트 옹벽(10)의 전면부(11)에 친환경적인 자연석판재(40)을 장착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지는 방부목에 의한 자연석판재의 시공법”이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46908호(공개일자 : 2014.01.07.) “정형화된 형상의 형틀(1)에 폐석(2)을 배치하는 폐석배치단계(S 10)와; 폐석(2)이 배치된 형틀(1)에 폐석(2)이 충분히 잠길 만큼 콘크리트(3)를 주입하는 콘크리트 주입단계(S 20)와; 형틀(1)에 주입된 콘크리트(3)를 일정시간 양생하는 콘크리트 양생단계(S 30)와; 양생된 판석(10)을 형틀(1)에서 분리하는 탈형단계(S 40);로 이루어지며,
상기 폐석배치단계(S 10)와 콘크리트 주입단계(S 20) 사이에는 파이프를 끼워 폐석(2) 사이에 배수홀(5)을 형성함으로써 투수성이 높아져 폭우 등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자연석 판석 제조방법”이 알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정원 조성 관련 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내용이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등록특허공보제10-0621694호에서는 종래 자연석 시공과정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자연석을 정형화된 블록형태로 제작함과 함께 다단 적층 시 상하층 간 상호 지지력이 작용되어질 수 있도록 고정된 구조를 이루게 함으로서 제작에서 시공까지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자연석블록을 연속되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열로 앙카 삽입홈과 앙카에 의해 서로 체결고정되도록 구성되지만 식물을 식생하여 성장시킬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는 문제점이 있고,
또, 공개특허공보제10-2010-0120479호에서는 목적은 화강판석이 균일한 면을 이루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되도록 한 화강판석 고정틀을 제공하고, 시공 기간이 대폭 단축되면서도 화강판석이 견고하고 균일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화강판속 시공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나, 구획화되지 않은 화강판석을 조절층 상면에 고정틀을 이용하여 일정한 구획되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자연상태의 화강판석을 구획별로 가공한 후에 설치해야되는 문제점이 있어 가공비와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별도의 정원 조성을 위한 식물을 키울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내재 되어 있으며,
또한, 등록특허공보제10-1445484호에서는 콘크리트의 전면부에 바둑판형상으로 좌·우 및 상,하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볼트공, 상기 볼트공에 설치되는 상기 힐티앵커 볼트에 의거 장착되는 받침편의 전면부에 구비된 ㄷ자형의 받침부에 방부목 판재를 부설하여 자연 친화적인 자연석판재를 장착하는 것을 목적으로하고 있으나, 자연석판재를 설치하고 별도의 정원 초화 조성을 위한 식물식생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 식물을 성장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조립구조가 번거로워 시공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등록특허공보제10-1346908호에서는 자연석 판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되, 채취된 자연석의 가공에 따라 발생하는 불균일한 형상의 폐석을 이용하여 균일한 형상의 판석을 만들 수 있는 자연석 판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자연석 판석은 사용된 폐석의 형상이 제각기 달라 인공적이지 않고 자연미에 가까운 심미감을 느낄수 있으며, 판석에 노출되어 있는 폐석의 노출면은 절삭톱에 의한 절삭면이 아니라 파단면으로서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아 자연스럽게 논슬립 효과를 볼 수 있는 동시에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자연석 판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의 제공하고 있으나, 폐석을 이용하여 판석을 제작한 후 이를 이용하여 체결고정방법은 폐석에 있는 환경호르몬 발생의 문제점이 내재 되어 있고 폐석을 이용하여 판석을 제작할 때 발생되는 생산비용이 증가하여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시멘트를 저면에 타설한 다음 그 상면에 폐석을 구비하여 양생될 때 판석의 두께가 두꺼워져 제품설치에 따른 시공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21694호(공고일자 : 2006.09.11.)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0479호(공개일자 : 2010.11.16.)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45484호(공고일자 : 2014.11.03.)
없음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에 그 기술적인 과제를 두고 발명된 것으로, 단순 암석덩어리 배치에서 수개의 판재를 규격화된 사이즈 적층형태의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조합형성하여 자유로운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일정한 크기로 구획된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하나 이상 조합하여 일체로 형성된 판재모듈 조합첨경물로 응용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다양한 규격 사이즈로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과 판재모듈 조합첨경물에는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다양한 공극들을 구비하여 조경 정원 조성에 새로운 테마를 형성할 수 있고, 또, 단위적층 판재모듈과 판재모듈 조합첨경물들 내부 각 판재에는 제1적층부, 제2적층부를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식물의 뿌리 발근이 용이하도록 구비하며, 또한, 식물의 뿌리 발근을 유도할 수 있는 하나 이상 분활되어 설치되는 적층간극공간유지바를 구비하여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는 새로운 조경정원 암석을 만들고자 하며, 또, 암석내에 조명을 설치하여 야간경관의 향상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판재를 이용한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크기로 규격화된 수개의 판재를 일정높이의 적층형태로 쌓아서 하나의 단일 규격화된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은 시공환경과 조건에 따라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하나 이상 조합하여 일체로 된 판재모듈 조합첨경물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고,
또,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은 상기 판재와 판재 사이 접합부를 제외한 부위에 외부로 보여지는 노출공극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여러 개 조합시 각 단위적층 판재모듈사이 틈새공극을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노출공극과 틈새공극에는 수분 및 영양분을 함유하여 지속적인 식물생장을 가능케하는 식생기반제를 충진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충진된 식생기반제에는 식물을 식재하여 생장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은 두께, 모양, 크기, 재질에 국한되지 않는 규격화된 일정크기로 판재를 적층형태로 쌓아 올리도록 구비하고, 상기 판재와 판재의 적층간격을 3mm~10mm를 범위 내에서 제1적층부가 유지하도록 구비하며, 상기 제1적층부에는 판재의 재질과 조건에 따라 목재, 석재, 고압축 종이, 플라스틱, 스치로폴, 철판, 스테인리스판을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분할되어 설치되는 적층간극공간유지바를 배치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적층간극공간유지바 사이에는 석재용 에폭시, 스텐볼트 너트, 셋트앙카, 못, 합성수지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접합제에 의해 고정되어 여러겹 적층 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식생기반제는 식물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고 뿌리가 원활히 성장할 수 있는 조건의 토양으로, 피트모스 50 중량%, 황토 18중량%, 제올라이트 15중량%, 버미큘라이트 12중량%, 합성수지 2중량%, 천연솜0.5중량%, 숯가루 1중량%, 구슬형고흡수성수지 1.5중량% 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슬형고흡수성수지는 물 99중량%, 질소, 인, 칼륨이 홉합된 혼합제 1중량%를 40~ 55시간 흡수성이 있는 구슬형 수지에 침전시켜서 흡수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판재모듈 조합첨경물은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과 단위적층 판재모듈들을 석재용 에폭시, 스텐볼트 너트, 셋트앙카, 못, 합성수지, 철사, 스텐와이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접합제에 의해 서로 밀착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과 단위적층 판재모듈의 적층간격을 40cm~60cm 범위 내에서 제2적층부가 유지하도록 구비하며, 상기 제2적층부에는 단위적층 판재모듈의 재질과 조건에 따라 목재, 석재, 고압축 종이, 플라스틱, 스치로폴, 철판, 스테인리스판을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적층간극공간유지바를 배치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과 단위적층 판재모듈들 사이 모듈노출공극, 모듈틈새공극에 식생기반재를 충진하여 생육가능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과 판재모듈 조합첨경물에는 LED, 형광, 야광, 축광을 이용한 야간 경관과 보행시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보행 안내용 조명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 시공방법은 두께, 모양, 크기, 재질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소재를 규격화시킨 판재 소재를 이용하여 가공비와 설치비용이 감소시킴은 물론 대량으로 생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시공환경에 따라 조립형태로 구성시켜 현장상황에 맞게 크기 및 형태를 변경하여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또, 자연석을 이용을 최소화시켜 환경오염 및 환경 호르몬 발생의 억제와, 채굴과정에서 전문 암석 채취 기술자들, 굴취용 대형장비, 운반용 대형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발파석과 토양 속 암석을 채취에 의해 자연생태 파괴를 최소화시켜 친환경적인 조경 정원을 조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 판재와 판재, 단위적층 판재모듈과 단위적층 판재모듈, 판재모듈 조합첨경물과 판재모듈 조합첨경물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공극, 제1적층부, 제2적층부, 적층간극공간유지바를 구비하여 상기 공극에는 식생기반제에 식재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식재 및 뿌리 발근을 도모하면서도 식물 성장시킬 수 있는 조경 환경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규격화시킨 판재, 단위적층 판재모듈, 판재모듈 조합첨경물들에 의해 구획화시켜 시공현장에서 작업인물들의 작업효율성을 극대화 시켜 시공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 판재, 단위적층 판재모듈, 판재모듈 조합첨경물의 재질을 가볍게 할 수 있어 운반 및 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파손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암석에 비해 작은 개체로 형성할 수 있어 점유공간을 줄일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시공이 어려운 실내 또는 실외 모두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기존의 식물이 성장할 수 없는 암석에도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 다양한 공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규격화시킬 수 있어 사용 환경에 따라 정밀하게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등 그 기대하는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이 조성된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단위적층 판재모듈의 실시 상태도 및 측 단면 부분 확대예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판재모듈 조합첨경물의 응용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판재를 이용한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크기로 규격화된 수개의 판재(1)를 일정높이의 적층형태로 쌓아서 하나의 단일 규격화된 단위적층 판재모듈(2)을 구비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은,
시공환경과 조건에 따라 단위적층 판재모듈(2)을 하나 이상 조합하여 일체로 된 판재모듈 조합첨경물(3)을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은,
상기 판재(1)와 판재(1) 사이 접합부를 제외한 부위에 외부로 보여지는 노출공극(4)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을 여러 개 조합시 각 단위적층 판재모듈(2) 사이 틈새공극(4-1)을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노출공극(4)과 틈새공극(4-1)에는 수분 및 영양분을 함유하여 지속적인 식물생장을 가능케하는 식생기반제(5)를 충진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충진된 식생기반제(5)에는 식물(6)을 식재하여 생장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은,
두께, 모양, 크기, 재질에 국한되지 않는 규격화된 일정크기로 판재(1)를 적층형태로 쌓아 올리도록 구비하고,
상기 판재(1)와 판재(1)의 적층간격을 3mm~10mm를 범위 내에서 제1적층부(100)가 유지하도록 구비하며,
상기 제1적층부(100)에는 판재(1)의 재질과 조건에 따라 목재, 석재, 고압축 종이, 플라스틱, 스치로폴, 철판, 스테인리스판을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분할되어 설치되는 적층간극공간유지바(7)를 배치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적층간극공간유지바(7) 사이에는 석재용 에폭시, 스텐볼트 너트, 셋트앙카, 못, 합성수지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접합제(8)에 의해 고정되어 여러겹 적층 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도 4 내지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기반제(5)는,
식물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고 뿌리가 원활히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피트모스 50중량%, 황토 18중량%, 제올라이트 15중량%, 버미큘라이트 12중량%, 합성수지 2중량%, 천연솜 0.5중량%, 숯가루 1중량%, 구슬형고흡수성수지 1.5중량% 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슬형고흡수성수지는,
물 99중량%, 질소, 인, 칼륨이 홉합된 혼합제 1중량%를 40~ 55시간 흡수성이 있는 구슬형 수지에 침전시켜서 흡수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모듈 조합첨경물(3)은,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과 단위적층 판재모듈(2)들을 석재용 에폭시, 스텐볼트 너트, 셋트앙카, 못, 합성수지, 철사, 스텐와이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접합제(8-1)에 서로 밀착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과 단위적층 판재모듈(2)의 적층간격을 40cm~60cm 범위 내에서 제2적층부(300)가 유지하도록 구비하며,
상기 제2적층부(300)에는 단위적층 판재모듈(2)의 재질과 조건에 따라 목재, 석재, 고압축 종이, 플라스틱, 스치로폴, 철판, 스테인리스판을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적층간극공간유지바(7-1)를 배치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과 단위적층 판재모듈(2) 사이 또는 외면에는 모듈노출공극(4-3) 및 모듈틈새공극(4-4)에 식생기반재(5)를 충진하여 생육 가능한 식물(6)을 식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과 판재모듈 조합첨경물(3)에는,
LED, 형광, 야광, 축광을 이용한 야간 경관과 보행시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보행 안내용 조명(9)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 정원 또는 상가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조경 정원을 조성할 때에는 널빤지 형태로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된 수개의 판재(1)를 조경 정원 시공의 설계 높이만큼 다양한 형상으로 적층 시켜 하나의 단일 규격화된 단위적층 판재모듈(2)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시공환경과 조건에 따라 시공시간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을 위해 제조공장에서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을 하나 이상 조합하여 일체로 대형으로 구획화시킨 판재모듈 조합첨경물(3)을 구비하여 대량으로 시공기간과 작업효율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판재(1)는 두께, 모양, 크기, 재질에 국한되지 않는 소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널빤지형태의 판재를 규획된 사이즈 크기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판재(1)의 재료는 현무암, 화강암 형태의 석재를 이용할 수도 있고, 또, 스테인리스, 철재, 목재, 플라스틱 등을 조성목적에 따라 폭의 제한 없이 길이가 10mm~300mm 범위 내에서 대량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철재, 목재, 플라스틱은 통상적인 공지된 재질을 이용하므로 그 세부적인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현무암은 염기성 사장석과 휘석, 감람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산암의 하나로 구성되고, 검은색이나 검은 회색을 띠고 기둥 모양인 것이 많으며, 입자가 미세하고 치밀하여 바탕이 단단하게 구성되는 재질로 사용하고,
또, 화강암은 석영, 운모, 정장석, 사장석 따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심성암(深成巖), 완정질(完晶質)의 조직을 구비하고, 표면이 흰색 또는 엷은 회색을 띠며 광택이 나는데, 표면이 단단한 재질을 사용하며,
상기 스테인리스는 니켈, 크롬 등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쉽게 녹슬지 않는 강철재질로 사용할 수 있고,
또,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개의 판재(1)를 서로 연결한 단위적층 판재모듈(2)은 상기 판재(1)와 판재(1) 사이 접합부를 제외한 부위에 외부로 보여지는 노출공극(4)을 구비하거나,
선택적으로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을 여러 개 조합시 각 단위적층 판재모듈(2) 사이 틈새공극(4-1)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접합부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재(1)와 판재(1) 을 종, 횡 방향으로 배열시킨 다음 그 위쪽으로 적층 시킬 때 각 판재(1)와 견고한 고정력과 유지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제(8-1)가 도포된 부위를 제외된 부위에 각 노출공극(4)과 틈새공극(4-1)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노출공극(4)과 틈새공극(4-1)에는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수분 및 영양분을 함유하여 지속적인 식물생장을 가능케 하는 식생기반제(5)를 충진될 수 있도록 하여 식물(6)이 원활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조건을 갖출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에 구비되는 수개의 판재(1)는 경량화되면서도 견고하게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판재(1)의 재질에 따라 석재용 에폭시, 스텐볼트 너트, 셋트앙카, 못, 합성수지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접합제(8)를 구비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못, 합성수지는 통상적인 구성이므로 세부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석재용 에폭시는 주제와 경화제를 일정비율로 섞어서 바른 다음 공기가 순환되는 곳에서 자연건조시켜 접합되도록 하고,
상기 판재(1)의 평면상에 구멍을 천공하여 적층된 상태에서 스텐볼트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셋트앙카는 앙카볼트, 너트, 평와샤, 스프링와샤, 볼트캡이 한 세트로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판재의 특정 위치에 비트로 원하는 일정깊이로 구멍을 낸 다음, 상기 구멍에 셋트앙카를 망치와 펀치를 이용해서 고정체결되도록 한 다음 육각비트를 통해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또, 상기 판재(1)와 판재(1) 사이에 목재, 석재, 고압축 종이, 플라스틱, 스티로폼, 철판, 스테인리스판을 하나 이상 나누어져 설치되는 적층간격유지바(7)를 설치하여 단위적층 판재모듈(2) 형태로 구비된 상태에서도 식물의 뿌리 발근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적층간격유지바(7)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구멍, 음각 또는 양각 홈을 구비하여 식생기반제(5)에 식물(6)이 자라면서 뿌리 발근이 용이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간격유지바(7)는 상기 판재(1)와 적층 된 판재(1)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3mm~10mm가 되도록 구비하여 제1적층부(100)이 형성되어 뿌리 발근의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적층 판재모듈(2)과 판재모듈 조합첨경물(3)에 틈새식물의 수분과 영양을 원활하고 뿌리가 원활히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식생기반제(5)의 토양이 되는 피트모스 50중량%, 황토 18중량%, 제올라이트 15중량%, 버미큘라이트 12중량%, 합성수지 2중량%, 천연솜 0.5중량%, 숯가루 1중량%, 구슬형고흡수성수지 1.5중량% 를 구비하여 식물(6)이 식재되어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피트모스는 수생 식물이나 습지 식물의 잔재가 연못 등에 퇴적되어 나온 흑갈색의 단립성 토양을 이용하여 보수력 및 통기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되며,
황토는 풍화로 부서진 암석의 미세한 알갱이들이 바람에 날려 와 쌓인 흙을 이용하고,
상기 제올라이트는 나트륨, 알루미늄을 함유한 함수(含水) 규산염 광물로서, 무색 또는 흰색을 띠고 유리 광택이 나며 보통 현무암이나 응회암 따위의 빈 구멍이나 갈라진 틈새에서 생성되며,
상기 버미큘라이트는 금운모나 흑운모 따위가 변성하여 이루어진 몬모릴로나이트로 구성되고, 단사 정계에 속하며, 흰회색 또는 갈색의 진주광택이 나고, 가열하면 팽창하는 성질이 재질로 사용하고,
상기 구슬형고흡수성수지는 물 99중량%, 질소, 인, 칼륨이 혼합된 혼합제 1중량%를 40~ 55시간 흡수성이 있는 구슬형 수지에 침전시켜서 흡수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식물(6)이 성장시에 일정하게 영양분과 수분을 머금고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혼합제는 질소 50중량%, 인 20중량%, 칼륨 30중량%을 구비됨이 됨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재모듈 조합첨경물(3)은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과 단위적층 판재모듈(2)들을 석재용 에폭시, 스텐볼트 너트, 셋트앙카, 못, 합성수지, 철사, 스텐와이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접합제(8-1)로 서로 밀착 고정되도록 구비하여 일정한 크기로 구획되도록 제작하여 시공시간 단축과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못, 합성수지, 철사, 스텐와이어는 통상적인 구성이므로 세부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석재용 에폭시는 주제와 경화제를 일정비율로 섞어서 바른 다음 공기가 순환되는 곳에서 자연건조시켜 접합되도록 하고,
상기 판재(1)의 평면상에 구멍을 천공하여 적층된 상태에서 스텐볼트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셋트앙카는 앙카볼트, 너트, 평와샤, 스프링와샤, 볼트캡이 한세트로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단위적층 판재모듈(2)의 특정 위치에 비트로 원하는 일정깊이로 구멍을 낸 다음, 상기 구멍에 셋트앙카를 망치와 펀치를 이용해서 고정체결되도록 한 다음 육각비트를 통해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과 단위적층 판재모듈(2)의 적층간격을 40cm~60cm 범위 내에서 제2적층부(300)가 유지하여 상기 판재모듈 조합첨경물(3)은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고 시공환경에 따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적층부(300)에 단위적층 판재모듈(2)의 재질과 조건에 따라 목재, 석재, 고압축 종이, 플라스틱, 스티로폼, 철판, 스테인리스판을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적층간극공간유지바(7-1)를 배치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접합제(8-1)에 의해 각 단위적층 판재모듈(2)을 접합 되도록 한 다음 상기 적층간극공간유지바(7-1)를 통해 정밀하게 고정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과 단위적층 판재모듈(2)들 고정결합시 공간을 가지는 모듈노출공극(4-3), 모듈틈새공극(4-4)를 구비하여 상기 식생기반재(5)를 충진한 다음 다양한 식물(6)을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의 노출공극(4)과 틈새공극(4-1)과 판재모듈 조합첨경물(3)의 모듈노출공극(4-3), 모듈틈새공극(4-4)에 의해 성장시킬 수 있도록 하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과 판재모듈 조합첨경물(3)에는 LED, 형광, 야광, 축광을 이용한 야간 경관과 보행시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보행 안내용 조명(9)을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조정 시공시 외부에 노출되게 시공할 필요없이 자체 내장형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1: 판재 2: 단위적층 판재모듈
3: 판재모듈 조합첨경물 4: 노출공극
4-1: 틈새공극 4-3: 모듈노출공극
4-4: 모듈틈새공극 5: 식생기반제
6: 식물 7,7-1: 적층간극공간유지바
8: 접합제 8-1: 접합제
9: 조명 100: 제1적층부
300: 제2적층부

Claims (8)

  1. 임의의 크기로 규격화된 수개의 판재(1)를 일정높이의 적층형태로 쌓아서 하나의 단일 규격화된 단위적층 판재모듈(2)을 구비하고,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은 시공환경과 조건에 따라 단위적층 판재모듈(2)을 하나 이상 조합하여 일체로 된 판재모듈 조합첨경물(3)을 구비하며, 상기 판재(1)와 판재(1) 사이 접합부를 제외한 부위에 외부로 보여지는 노출공극(4)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을 여러 개 조합시 각 단위적층 판재모듈(2)사이 틈새공극(4-1)을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노출공극(4)과 틈새공극(4-1)에는 수분 및 영양분을 함유하여 지속적인 식물생장을 가능케하는 식생기반제(5)를 충진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충진된 식생기반제(5)에는 식물(6)을 식재하여 생장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두께, 모양, 크기, 재질에 국한되지 않는 규격화된 일정크기로 판재(1)를 적층형태로 쌓아 올리도록 구비하며, 상기 판재(1)와 판재(1)의 적층간격을 3mm~10mm를 범위 내에서 제1적층부(100)가 유지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제1적층부(100)에는 판재(1)의 재질과 조건에 따라 목재, 석재, 고압축 종이, 플라스틱, 스치로폴, 철판, 스테인리스판을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분할되어 설치되는 적층간극공간유지바(7)를 배치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적층간극공간유지바(7) 사이에는 석재용 에폭시, 스텐볼트 너트, 셋트앙카, 못, 합성수지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접합제(8)에 의해 고정되어 여러겹 적층 될 수 있도록 구비한 판재를 이용한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제(5)는 식물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고 뿌리가 원활히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피트모스 50중량%, 황토 18중량%, 제올라이트 15중량%, 버미큘라이트 12중량%, 합성수지 2중량%, 천연솜 0.5중량%, 숯가루 1중량%, 구슬형고흡수성수지 1.5중량% 로 구비한 것과,
    상기 구슬형고흡수성수지는 물 99중량%, 질소, 인, 칼륨이 홉합된 혼합제 1중량%를 40~ 55시간 흡수성이 있는 구슬형 수지에 침전시켜서 흡수될 수 있도록 구비한 것과,
    판재모듈 조합첨경물(3)은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과 단위적층 판재모듈(2)들을 석재용 에폭시, 스텐볼트 너트, 셋트앙카, 못, 합성수지, 철사, 스텐와이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접합제(8-1)로 서로 밀착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과 단위적층 판재모듈(2)의 적층간격을 40cm~60cm 범위 내에서 제2적층부(300)가 유지하도록 구비하며, 상기 제2적층부(300)에는 단위적층 판재모듈(2)의 재질과 조건에 따라 목재, 석재, 고압축 종이, 플라스틱, 스치로폴, 철판, 스테인리스판을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적층간극공간유지바(7-1)를 배치되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단위적층 판재모듈(2)과 판재모듈 조합첨경물(3)에는 LED, 형광, 야광, 축광을 이용한 야간 경관과 보행시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보행 안내용 조명(9)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44492A 2020-04-13 2020-04-13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 KR102391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492A KR102391732B1 (ko) 2020-04-13 2020-04-13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492A KR102391732B1 (ko) 2020-04-13 2020-04-13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877A KR20210126877A (ko) 2021-10-21
KR102391732B1 true KR102391732B1 (ko) 2022-04-28

Family

ID=7826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492A KR102391732B1 (ko) 2020-04-13 2020-04-13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7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553B1 (ko) * 2016-09-26 2018-01-25 강원도립대학산학협력단 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694B1 (ko) 2005-06-21 2006-09-11 강종희 외벽 시공용 자연석 블록 및 시공방법
KR100886646B1 (ko) * 2007-06-25 2009-03-04 김종대 이동 가능한 실내외 정원플랜트
KR20100120479A (ko) 2009-05-06 2010-11-16 서울특별시 성동구 화강판석 고정틀 및 이를 이용한 화강판석 시공방법
KR101174669B1 (ko) * 2009-08-05 2012-08-17 대산녹화산업(주) 시드시트를 사용한 다층형 사면녹화공법
KR101275615B1 (ko) * 2011-10-20 2013-06-17 주식회사 에코밸리 폭포, 자연석, 수목, 식물을 활용한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
KR101366837B1 (ko) * 2012-04-30 2014-02-26 휴먼시엠건설 주식회사 식생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20140023466A (ko) * 2012-08-16 2014-02-27 오일남 조경석 조형물
KR101445484B1 (ko) 2013-03-26 2014-11-03 박미녀 방부목에 의한 자연석판재의 장착구조 및 그 시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553B1 (ko) * 2016-09-26 2018-01-25 강원도립대학산학협력단 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877A (ko)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03445A1 (en) Composite Ceramic Structur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Wall Structure Using Such Composite Ceramic Structure
KR101275615B1 (ko) 폭포, 자연석, 수목, 식물을 활용한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
US20130025199A1 (en) Substrate having a porous surface for vegetation
CN103132540B (zh) 一种植生箱式挡土墙的构造方法
US9901036B2 (en) Versatile eco-friendly planting block
KR100843700B1 (ko) 벽면형 조경 장치
KR102391732B1 (ko)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
CN210695116U (zh) 一种拼装式可循环应用的生态围墙
KR20150134255A (ko)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건축 구조물 및 그 구성방법
KR101071082B1 (ko) 돌담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048499B1 (ko) 사계절 녹화 황토 방음벽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 공법
KR20110086275A (ko) 녹화조성구조물
KR101279958B1 (ko) 식생층을 구비한 식생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951635B1 (ko) 친환경적인 조형옹벽
KR100942250B1 (ko) 조립식 목재블럭을 이용한 목재옹벽
JP3577592B2 (ja) コケ植生体
KR20030020055A (ko) 식생플랜터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녹화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
KR101293807B1 (ko) 식재용 생태 블록과 그 제조방법
JP2006136219A (ja) 緑化基盤及びそれを用いた緑化ステージ
JP2003038028A (ja) 緑化版
JP4767116B2 (ja) 間知ブロックによる造成壁面の緑化構造
KR20090028988A (ko) 계단식 옹벽의 화단 구성 방법
KR200291855Y1 (ko) 철망 블럭을 이용한 식생 방음벽
KR20080008692A (ko) 친환경 저수공간을 구비하는 투수성 가로수 보호구조체
KR20130006904U (ko) 조경용 식재생태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