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904U - 조경용 식재생태블록 - Google Patents

조경용 식재생태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904U
KR20130006904U KR2020120004301U KR20120004301U KR20130006904U KR 20130006904 U KR20130006904 U KR 20130006904U KR 2020120004301 U KR2020120004301 U KR 2020120004301U KR 20120004301 U KR20120004301 U KR 20120004301U KR 20130006904 U KR20130006904 U KR 201300069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structure
root powder
landscaping
porous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제언
마진이
Original Assignee
박제언
마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제언, 마진이 filed Critical 박제언
Priority to KR2020120004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904U/ko
Publication of KR201300069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90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태 구조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옥상과 같은 인공지반에 타일이나 블록과 같이 손쉽게 시공, 철거가 가능한 조경용 식재생태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꽃이나 수목의 생육을 위한 생태블록을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다공성세라믹 및 천연시멘트의 혼합물에 식물을 식재하여 혼합물이 양생되는 동안 뿌리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구조체로 이루어진 생태블록을 구성하여 뿌리가 미리 활착하여 기타외부 환경에 의하여 뿌리분이 흔들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생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판부에 염색코팅된 건조이끼를 깔아 변색되지 않는 생태블록을 제공하고자 하며, 옥상과 같은 인공지반에 손쉽게 시공, 철거가 용이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입체적인 조경이 용이하도록 하는 조경용 식재생태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조경용 식재생태블록{ECOTYPE BLOCK FOR PLANTING}
본 고안은 생태 구조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옥상과 같은 인공지반에 타일이나 블록과 같이 손쉽게 시공, 철거가 가능하며, 뿌리의 흔들림이 없고 빠르게 뿌리가 활착할 수 있도록 하며, 염색 코팅된 건조이끼를 상판부에 깔아 변색되지 않으며, 자연석 및 가공된 나무토막 등의 조경물을 이용하여 조경블록 및 야생화 식생 등에 적용 가능한 조경용 식재생태블록에 관한 것이다.
쾌적한 도시 기능의 구현을 위하여 도로, 거리, 건물 등 주변에 수목을 심거나, 꽃이나 수목 등의 화단을 구성하는 등 도시조경은 매주 중요한 사업으로 오래전 부터 인식되어왔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발전해가고 있다.
도시조경은 차량의 주행을 위한 도로조경, 사람들을 위한 거리 및 휴식 공간, 관리시설 조경, 건물 내 및 옥상, 벽면 등의 건물조경 등 각 장소별 기능에 따라서 그 조경의 대상이 달라져야 함은 물론 조경방법 또한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조경은 주변경관, 기존식생, 토양, 기상, 교통량, 구조물, 공작물 등 주어진 조건에서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합리적인 식재(植栽)가 이루어져야 한다.
근래에는 공동생활을 하는 공동주택이 더욱 급격히 늘어가는 추세인 바, 공동주택의 경우 밀집된 공간과 콘크리트의 삭막한 풍경 때문에 그것을 부드럽게 해주고, 아름다운 경관의 조성을 위해서는 조경은 더 필요하고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은 보통 단지면적의 일정부분을 녹지로 확보하여 공해방지 또는 조경을 위한 식재 기타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조경을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화단은 충분한 양분을 갖는 토양을 제공하기 어려우며, 지속적으로 거름이나 비료를 공급하여야 하기 때문에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힘들고, 또한 주로 평면 식재에 불과하여 다양한 조형물을 갖는 것에는 시각적인 효과가 저조하며, 지속적인 물의 공급이나 비료이 공급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58305에서는 식재 꽃탑용 보습매트 화분이 제시되고있다.
이와 같은 식재 꽃탑용 보습매트 화분은, 보습제가 혼합되어 구성되며 틀체에 결합되는 식물의 재배 및 성장을 위한 보습매트를 구성하고, 상기 틀체는 사각으로 배치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보습매트 고정핀과 상기 보습매트 고정핀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화분고정구로 구성되는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물을 공급하기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에는 물공급관이 형성되고, 또한 둘레 테두리를 따라 조형물에 장착할 수 있는 다수개의 연결고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식재 꽃탑용 보습매트 화분은, 다공성으로 형성하여 충진물을 충진시키고 충진물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는 보습매트를 구성하며, 화분고정수단, 물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조형물에 장착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연결고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습매트는 스펀지 재질 또는 스펀지 재질에 황토와 양분 및 테라코템을 등을 혼합시켜 보습제를 첨가하여 구성하여 물을 흡수하고 흡수된 물을 오랫동안 간직하도록 함으로써, 공간연출 시 물과 영양분 관리의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보습매트가 결합된 다수개의 틀채를 원하는 형상의 조형물에 장착하게 되므로 의도하는 다양한 형상의 조형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습매트를 이용하는 경우, 원하는 형상의 조형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만, 식물의 뿌리분 활착이 손쉽지 않으며, 또한 한번 설치된 상태로 고정된 상태이며, 그 형상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꽃이나 수목의 생육을 위한 생태블록을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다공성세라믹 및 천연시멘트의 혼합물에 식물을 식재하여 혼합물이 양생되는 동안 뿌리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구조체로 이루어진 생태블록을 구성하여 뿌리가 미리 활착하여 기타외부 환경에 의하여 뿌리분이 흔들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생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판부에 염색코팅된 건조이끼를 깔아 변색되지 않는 생태블록을 제공하고자 하며, 옥상과 같은 인공지반에 손쉽게 시공, 철거가 용이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입체적인 조경이 용이하도록 하는 조경용 식재생태블록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 조경용 식재생태블록은,
바닥면을 구성하며 식물의 뿌리로 부터 설치위치 및 대상(인공지반, 인공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바닥판과, 양생과정에서 식물의 뿌리분을 활착시키기 위하여 바닥판(10)의 상부로 뿌리분의 하부로 형성되는 제 1다공성구조체와, 제 1다공성구조체에 식재된 뿌리분을 결합하기 위한 뿌리활착구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제 1다공성구조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뿌리분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부와, 토양층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다공성구조체측벽과, 양생과정에서 식물의 뿌리분을 활착시키기 위하여 수분공급부의 상부로 형성되는 제 2다공성구조체와, 제 2다공성구조체의 상부로 형성되는 토양층과, 다수 개의 식재활착구 및 넝쿨식물재배구가 형성되며 염색 코팅된 건조 이끼 층으로 형성되는 토양층을 덮기 위한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을 다공성구조체측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덮개판과 제 2다공성구조체 사이의 토양층을 보호하고 답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토양층에 설치되는 답압방지망과, 제 1다공성구조체, 제 2다공성구조체에 뿌리를 활착함에 있어서 초기 제 1다공성구조체, 제 2다공성구조체의 양생과정에서 뿌리분을 보호하고 양생 후 공급되는 물에 의해 제거되는 뿌리분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은 다수 개의 식재활착구 및 넝쿨식물재배구가 형성되며,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층으로 염색 코팅된 건조 이끼 층으로 형성할 수도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다공성 구조체, 제 2다공성 구조체는 다공성 경량 세라믹, 건조 이끼, 천연시멘트, 영양저장칩을 혼합하여 뿌리분을 식재한 후 양생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조경용 식재생태블록에 따르면, 식물의 뿌리분이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으며, 수분 및 양분의 공급이 용이한 생육이 지속가능한 환경을 제공하는 생태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 조경용 식재생태블록구조에 따르면 생태블록은 다공성구조체 자체가 본체를 이루고 있어 경량이고 인공지반 상에 손쉽게 시공하고 철거 가능가 가능함으로써, 건물의 방수문제, 균열 등의 염려 없이 옥상이나 벽체 등에 손쉽게 녹화가 가능하며, 조경물이 설치되고 치워짐이 빈번하여 화분이나 조경물들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광장이나 데크 시설물에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또한 염색 코팅된 건조이끼층을 표면에 구성함으로써, 자연 또는 인공 조경물을 이용한 자연스럽고 변색되지 않는 조경연출이 가능하며, 조경완료 후에도 필요에 따라서 넝쿨식물을 이용한 조경변화가 가능하다.
또한 다공성구조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건조이끼를 다량 포함시켜 다공성구조체의 파손을 방지하며 수분의 흡수율을 높인 생태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 조경용 식재생태블록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서, 답압방지망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수분공급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10은 본 고안 식재용 생태블록의 제작공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4는 제 1다공성구조체의 형성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 1다공성구조체의 형성공정에 있어서 뿌리분의 식재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수분공급부의 설치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다공성측벽의 형성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 2다공성구조체의 형성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토양층의 형성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덮개판의 시공공정을 나타낸 도면.
본 고안 조경용 식재생태블록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닥면을 구성하며 식물의 뿌리로 부터 설치위치 및 대상(인공지반, 인공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바닥판(10)과, 양생과정에서 식물의 뿌리분(30)을 활착시키기 위하여 바닥판(10)의 상부로 뿌리분(30)의 하부로 형성되는 제 1다공성구조체(20)와, 제 1다공성구조체(20)에 식재된 뿌리분(30)을 결합하기 위한 뿌리활착구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제 1다공성구조체(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뿌리분(30)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부(40)와, 토양층(70)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다공성구조체측벽(50)과, 양생과정에서 식물의 뿌리분(30)을 활착시키기 위하여 수분공급부(40)의 상부로 형성되는 제 2다공성구조체(60)와, 제 2다공성구조체(60)의 상부로 형성되는 토양층(70)과, 상면으로 염색 코팅된 건조 이끼층(L2)이 구성된 다공성구조체(L1)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식재활착구(81) 및 넝쿨식물재배구(82)가 형성되며 토양층(70)을 덮기 위한 덮개판(80)과, 덮개판(80)을 다공성구조체측벽(5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90)과, 덮개판(80)과 제 2다공성구조체(60) 사이의 토양층(70)을 보호하고 답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토양층(70)에 설치되는 답압방지망(100)과, 제 1다공성구조체(20), 제 2다공성구조체(60)에 뿌리를 활착함에 있어서 초기 제 1다공성구조체(20), 제 2다공성구조체(60)의 양생과정에서 뿌리분(30)을 보호하기 위한 뿌리분보호커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은
(a). 구조틀을 이용하여 다공성구조체를 양생하여 생태블록을 형성하며, 양생과정에서 식물의 뿌리분이 다공성구조체내에 활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식물의 뿌리가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b). 상부 표면층으로 건조이끼층을 형성하되 자연색에 가깝게 표면염색코팅처리 하여 변색되지 않으며, 나무껌질, 통나무와 같은 자연 또는 인공 조경물을 이용하여 조경이 가능하도록 하며,
(c). 내부에 다공성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함에 있어서, 건조 이끼를 포함시켜 다공성구조체가 깨지거나 파손됨을 방지하고 수분흡수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판(10) 생태블록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설치되는 위치 또는 대상이 식재된 식물의 뿌리로 부터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바닥판(10)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0)의 상부로 뿌리분(30)의 뿌리 활착을 위하여 제 1다공성구조체(20), 제 2다공성구조체(60) 및 다공성구조체측벽(50)이 구성된다.
상기 제 1다공성구조체(20),제 2다공성구조체(60) 및 다공성구조체측벽(50)은 구조틀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양생완료 후에는 구조틀을 해체하여 생태블록을 완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다공성구조체(20),제 2다공성구조체(60) 및 다공성구조체측벽(50)은 다공성 경량소재인 다공성 경량세라믹, 우드칩, 고무칩 등과 접착제를 혼합하여 양생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투수(透水) 및 보온 수단인 다공성 경량 세라믹, 다량의 건조 이끼와 접착제를 혼합하여 양생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공성경량세라믹은 필터라이트 또는 제올라이트(zeolite)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는 풀, 페이스트, 검, 시멘트 또는 접착도료인 에폭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천연시멘트로 구성한다.
상기 건조 이끼는 다공성구조체의 전체 중량에서 60 내지 70 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다공성구조체(20) 및 제 2다공성구조체(60)는 식물의 뿌리분(30)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영양저장칩(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영양저장칩(120)은 인공토, 고농도퇴비, 테라코템과 녹말액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건조성형 시킨 후, 이를 분쇄하여 칩 형태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영양저장칩(120)은 다공성세라믹, 천연시멘트와 혼합되어 양생되어 제 1다공성구조체(20), 제 2다공성구조체(60) 내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다공성구조체(20) 및 제 2다공성구조체(60)에는 숯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토양층(70)은 제 1다공성구조체(20) 및 제 2다공성구조체(60)에 뿌리분(30)을 식재한 후 제 2다공성구조체(60)의 상부로 구성한다.
상기 토양층(70)은 인공토, 퇴비, 테라코템(토양의 5% 이하)를 혼합하여 답압방지망(100)과 함께 시공한다.
상기 답압방지망(100)은 외부의 압력으로 부터 뿌리의 활착층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덮개판(80)과 제 2다공성구조체(60) 및 그 사이의 토양층(70)을 보호하고 답압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답압방지망(40)은 폴리플로필렌(PP)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답압망지망(40)의 일 실시 구조 예를 나타낸다.
상기 덮개판(80)은 토양층(70)을 덮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덮개판(80)은 건조 이끼 층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표면을 자연색에 가깝게 염색 코팅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판(80)은 다공성구조체와 마찬가지로 천연시멘트와 다공성세라믹의 혼합물로 다공성구조체(L1)를 구성하고, 다공성구조체(L1)의 상면으로 건조 이끼 층(L2)을 형성하며 건조 이끼 층(L2)을 염색 코팅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덮개판(80)은 식물의 생장을 위한 식물활착구(81) 및 넝쿨식물재배구(82)를 포함한다.
상기 식물활착구(81)는 식재생태블록을 제작할 당시 식재된 식물의 생장공간이며, 상기 넝쿨식물재배구(82)는 제작 후 또는 조경완료 후에 필요에 따라서 넝쿨식물의 씨를 투입하여 재배할 수 있도록 한 공간이다.
또한 덮개판(80)의 건조이끼 층(L2)에 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90)은 상기 덮개판(80)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핀, 볼트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다공성구조체측벽(50)에 덮개판(80)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뿌리분보호커버(110)는 초기 제 1다공성구조체(20), 제 2다공성구조체(60)의 양생과정에서 뿌리분(30)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양생이 완료된 후 물에 접촉 시 분해되어 뿌리분(30)으로 부터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녹말액, 테라코템, 인공토, 유효퇴비를 혼합하여 뿌리분(30)의 외부에 바르고, 자연상태에서 건조시켜 뿌리분보호커버(110)를 완성하며, 제 1다공성구조체(20), 제 2다공성구조체(60)의 양생완료 후, 공급된 물에 녹말액이 용해되면서 유효한 토양만 남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건조된 녹말액은 물에 쉽게 녹지 않으나 테라코템을 함께 구성하여 테라코템이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게 됨에 따라서 녹말이 쉽게 용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분공급부(40)는 제 1다공성구조체(20)와 제 2다공성구조체(60)의 사이에 뿌리분(30)으로 연결되는 수분관로로 구성되며, 제 1다공성구조체(20)의 양생 후, 이의 상부로 형성되며 제 1다공성구조체(2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활착을 위한 뿌리활착구가 형성된다.
상기 수분공급부(40)는 녹말액, 또는 녹말액에 양액, 테라코템을 혼합하여 건조시켜 관형태로 구성하여, 제작공정 완료 후 물에 용해되어 수로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40)는 도 3에서와 같이, PET병을 간단히 꽂아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분공급부(40)는 별도의 수분공급수단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설치하지 않는 경우 다공성구조체는 제 1다공성구조체(20),제 2다공성구조체(60)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구조체로 구성가능하다.
상기 배수관(130)은 생태블록의 배수를 위한 수단으로 외부에 다수의 배수공을 형성하여 제 1다공성구조체(20)로 부터 물이 입수되도록 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며, 제 1다공성구조체(20)의 양생과정에서 설치된다.
상기 열선관(140)은 생태블록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 1다공성구조체(20)의 양생과정에서 설치된다.
도 4 내지 도 10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조경용 식재생태블록의 제작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그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에 제 1다공성구조체(20)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틀(M1)을 설치하고, 구조틀(M1) 내로 함께 시공할 수단, 배수관(130), 열선관(140)을 설치하고, 다공성 경량 세라믹, 건조이끼, 영양저장칩(120)과 접착제인 천연시멘트를 물과 혼합, 반죽하여 구조틀(M1) 내로 붓는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의 뿌리분(30)을 혼합물 내에 식재하고 양생하여 제 1다공성구조체(20)를 형성한다.
도 6은 수분공급부(40)의 시공과정을 나타낸다.
제 1다공성구조체(20)의 양생이 완료되면, 구조틀(M1)을 해체하고 수분공급부(40)의 뿌리활착구에 상기 제 1다공성구조체(20)에 식재된 뿌리분(30)식물을 끼워 제 1다공성구조체(20)의 상부로 수분공급부(40)를 설치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구조체측벽(50)을 시공하기 위한 구조틀(M2)을 설치하고 상기와 같이 다공성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다공성 경량 세라믹, 천연시멘트를 혼합하고 물과 반죽하여 구조틀(M2) 내로 부어 양생시킨다.
또한 다공성구조체측벽(50)도 건조이끼를 포함할 수 있다.
양생이 완료되면, 구조틀(M2)을 해체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제 1다공성구조체(20)와 마찬가지로 다공성 경량 세라믹, 건조이끼, 영양저장칩(120), 천연시멘트를 혼합하고, 물과 반죽하여 다공성구조체측벽(50)내에 부어 양생시켜 제 2다공성구조체(60)를 형성한다.
이후, 도 9에서와 같이, 인공토, 퇴비, 테라코템(토양의 5% 이하)를 혼합하여 답압방지망(100)과 함께 시공하여 토양층(7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토양층(70)이 완성되면, 토양층(70)의 상부로 도 10에서와 같이 고정수단(90)을 채워 덮개판(80)을 다공성구조체측벽(50)에 고정시켜 토양층(70)을 덮는다.
상기와 같이 모든 공정이 완료되면, 덮개판(80)의 상부로 물을 붓거나, 도 3에서와 같이 페트병을 수분공급부(40)에 끼워 뿌리분(30)에 물을 공급하여 뿌리분보호커버(110)의 건조된 녹말액을 용해시켜 뿌리분보호커버(110)를 뿌리분(30)으로 부터 분리한다.
뿌리분(30)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뿌리분보호커버(110)에 포함되어 있는 테라코템에서 물을 빠르게 흡수하여 건조된 녹말이 용해되어 녹말액으로 뿌리분(30)으로 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녹말액은 제 1다공성구조체(20)의 하부로 흘러가고 뿌리분보호커버(110)는 유효토양만 남게 된다.
즉, 뿌리분보호커버(110)는 초기 제 1다공성구조체(20), 제2다공성구조체(60)의 양생과정에서 뿌리분(30)을 보호하고 양생 후 뿌리 활착을 돕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 조경용 식재생태블록은 제 1다공성구조체(20) 및 제 2다공성구조체(60)의 양생 과정에서 식재된 상태로 제 1다공성구조체(20) 및 제 2다공성구조체(60)에 의해 뿌리분(30)이 고정되고, 뿌리분보호커버(110) 내에 포함된 테라코템이 수분에 의해 팽창하면서 뿌리분(30)은 완벽하게 고정됨에 따라서 뿌리의 활착과정에서 외부의 영향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뿌리분보호커버(110)에 의해 뿌리분(30)이 보호되고 있는 상태이어서 양생과정 시 뿌리분이 손상되지 않는다.
수분은 상판(80)의 상부로 부터 공급 및 수분공급부(40)를 통해 가능하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페트병을 수분공급부(40)에 끼워 수분 및 양액을 뿌리분(30)에 공급할 수 있다.
제 1다공성구조체(20) 및 제 2다공성구조체(60)에 포함된 투수성 다공성 경량 세라믹에 의해 수분이 뿌리분(30)에 공급되며, 내부의 영양저장칩(120)을 통해 영양이 공급된다.
상기 제 1다공성구조체(20) 및 제 2다공성구조체(60)에 건조이끼가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어서, 제 1다공성구조체(20) 및 제 2다공성구제체(60)가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수분의 흡수율이 높다.
그리고 덮개판(80)의 표면층은 자연색에 가깝게 염색 코팅된 건조 이끼 층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나무통, 나무껍질 등의 자연 또는 인공 조경물에 의한 조경이 가능하며, 조경완료 후에라도 덮개판(80)에 구성된 넝쿨식물재배구(82)를 통해 넝쿨 식물을 재배하여 조경을 변경할 수 있다.

Claims (3)

  1. 바닥면을 구성하며 식물의 뿌리로 부터 설치위치 및 대상(인공지반, 인공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바닥판(10)과, 양생과정에서 식물의 뿌리분(30)을 활착시키기 위하여 바닥판(10)의 상부로 뿌리분(30)의 하부로 형성되는 제 1다공성구조체(20)와, 제 1다공성구조체(20)에 식재된 뿌리분(30)을 결합하기 위한 뿌리활착구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제 1다공성구조체(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뿌리분(30)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부(40)와, 토양층(70)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다공성구조체측벽(50)과, 양생과정에서 식물의 뿌리분(30)을 활착시키기 위하여 수분공급부(40)의 상부로 형성되는 제 2다공성구조체(60)와, 제 2다공성구조체(60)의 상부로 형성되는 토양층(70)과, 다수 개의 식재활착구(81) 및 넝쿨식물재배구(82)가 형성되며 염색 코팅된 건조 이끼 층으로 형성되는 토양층(70)을 덮기 위한 덮개판(80)과, 상기 덮개판(80)을 다공성구조체측벽(5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90)과, 덮개판(80)과 제 2다공성구조체(60) 사이의 토양층(70)을 보호하고 답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토양층(70)에 설치되는 답압방지망(100)과, 제 1다공성구조체(20), 제 2다공성구조체(60)에 뿌리를 활착함에 있어서 초기 제 1다공성구조체(20), 제 2다공성구조체(60)의 양생과정에서 뿌리분(30)을 보호하고 양생 후 공급되는 물에 의해 제거되는 뿌리분보호커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식재생태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80)은 다수 개의 식재활착구(81) 및 넝쿨식물재배구(82)가 형성되며, 다공성 구조체의 표면층으로 염색 코팅된 건조 이끼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식재생태블록.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다공성 구조체(20), 제 2다공성 구조체(60)는 다공성 경량 세라믹, 건조 이끼, 천연시멘트, 영양저장칩(120)을 혼합하여 뿌리분(30)을 식재한 후 양생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식재생태블록.
KR2020120004301U 2012-05-22 2012-05-22 조경용 식재생태블록 KR201300069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301U KR20130006904U (ko) 2012-05-22 2012-05-22 조경용 식재생태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301U KR20130006904U (ko) 2012-05-22 2012-05-22 조경용 식재생태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904U true KR20130006904U (ko) 2013-12-02

Family

ID=5243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301U KR20130006904U (ko) 2012-05-22 2012-05-22 조경용 식재생태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690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067A (ko) * 2020-01-15 2021-07-23 이재욱 조경용 정원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067A (ko) * 2020-01-15 2021-07-23 이재욱 조경용 정원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301B2 (en) Environment-friendly planting device with automatic percolation and irrigation of hermetic liquid
US10973175B2 (en) Plant surface structure and module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20200042230A (ko) 비탈면 녹화 구조
KR101254557B1 (ko) 생태블록 승하강 화분시스템
KR101203135B1 (ko)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및 공법
KR20130006904U (ko) 조경용 식재생태블록
KR101293807B1 (ko) 식재용 생태 블록과 그 제조방법
KR20150134255A (ko)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건축 구조물 및 그 구성방법
CN211596248U (zh) 一种装配式绿化植草模块及采用其的路面
KR101698129B1 (ko) 식재 지반 조성을 위한 에코파이프 설치방법
CN209276924U (zh) 一种道路转角结构
KR101279958B1 (ko) 식생층을 구비한 식생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JP2012110249A (ja) 緑化構造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3577592B2 (ja) コケ植生体
CN206791121U (zh) 一种屋顶景观绿化模块化装置
JP3868604B2 (ja) 植栽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205305549U (zh) 一种生态树池
JPH08218403A (ja) 植生用浄水用ブロック及び植生用浄水用基盤材並びに該植生用浄水用ブロックを用いた土木建築構造物等の緑化工法及び河川等の浄水工法
JP2005027608A (ja) 植栽基盤装置
KR102391732B1 (ko)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
JP4192270B2 (ja) 緑化構造並びに緑化施工方法
JP2007000149A (ja) 植栽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978055B2 (ja) 定植方法、緑化方法及び緑化システム
KR20090028988A (ko) 계단식 옹벽의 화단 구성 방법
JP2007061107A (ja) 植栽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