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635B1 - 친환경적인 조형옹벽 - Google Patents

친환경적인 조형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635B1
KR100951635B1 KR1020090103503A KR20090103503A KR100951635B1 KR 100951635 B1 KR100951635 B1 KR 100951635B1 KR 1020090103503 A KR1020090103503 A KR 1020090103503A KR 20090103503 A KR20090103503 A KR 20090103503A KR 100951635 B1 KR100951635 B1 KR 100951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fixed
stone
wall
scul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은주
Original Assignee
신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은주 filed Critical 신은주
Priority to KR1020090103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04F13/08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the visible surface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tiled surface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의 벽면이 합성수지 내지 철재조형물, 도자조형물, 꽃이나 나무등 여러 형태의 조형으로 조경되고 여백의 회색 바탕에는 석재 또는 목재등의 마감재가 고정되어 자연친화적인 미려한 경관과 대상지역의 홍보역활을 제공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전방으로 노출된 벽면을 제공하는 옹벽과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지면에 수평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일측단이 고정되는 틀 형상의 화분단 및 상기 화분단에 수용되는 화분을 포함하는 화단부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도자조형물, 합성수지조형물, 철재조형물, 석재조형물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프레임의 여백에 고정되는 목재바 또는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벽면의 여백에 고정되는 석재마감재를 제공하는바, 단순한 회색의 콘크리트 옹벽에 자연친화적이고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적인 조형옹벽{Modeling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pleasant environment}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옹벽의 벽면이 다양한 재료와 조형물로 조경되고 여백에는 석재 또는 목재 등의 마감재가 고정되어 자연친화적인 미려한 경관을 제공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에 관한 것이다.
옹벽이란 사전적 의미로 땅을 깎거나 흙을 쌓아 생기는 비탈이 흙의 압력으로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만든 벽을 말한다. 즉, 지표지반(地表地盤)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이러한 옹벽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녹화 보강토 옹벽과 블럭식 보강토 옹벽, 철근콘크리트 옹벽으로 나눌 수 있다.
녹화 보강토 옹벽은 조목섬유보강재로 안정성을 확보하고 보강토체의 전면판 은 녹화토낭으로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중력식 옹벽 구조물이다.
전면판이 연성의 녹화토낭으로 구비되어 부등침하나 지진 등 동적하중을 높은 감쇄율로 흡수하기 때문에 지반이 연약한 곳에 최적이며 별도의 기초가 필요없다. 또한 공정이 간단하여 특수인부나 장비가 필요치 않아 시공이 용이하고 사용되어지는 자재는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보강토체의 전면이 완전한 녹화가 이루어져 인공적인 구조물로 인식되지 않고 자연물서 녹색환경의 공간으로 인식되고 매우 친환경적인 수려한 미관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녹화 보강토 옹벽은 그 벽면이 경사면을 이루어 체적이 크고 차지하는 지면이 넓어 용지(用地)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반해 블럭식 보강토 옹벽은 블럭 및 보강재(일명 '지오그리드'라고도 함)로 구성되며 각각의 블럭을 수직으로 축조하고 블럭의 배면과 연결된 보강재를 뒷채움으로 성토되는 흙 사이사이에 위치시켜 흙의 자중에 의해 눌려 발생하는 보강재의 마찰력과 보강재의 장력으로 벽면재를 붙잡아 튼튼히 지탱하도록 만든 구조물이다.
이러한 블럭식 보강토 옹벽은 수직으로 블럭이 축조됨에 따라 용지의 이용성이 높고 유연한 구조로써 기초지반이 다소 부등침하 되는 경우에도 벽면재와 보강재의 기능 손상이 어느 정도의 침하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안정된 구조물이다.
그러나 이러한 블럭식 보강토 옹벽은 벽면재 블럭의 조형 및 색상 선택에 따 라 아름다운 외관을 표현할 수는 있으나 자연적 질감이 떨어지고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공적인 이질감이 드러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우리 주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것으로 현대에 많이 시공되던 방식이다. 이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의 자중과 콘크리트의 강성으로 토압에 저항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벽면이 수직으로 시공되어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여 용지(用地)의 이용을 유리한다.
주로 사용되는 철근콘크리트의 시공방식으로는 역T형식·L형식·부벽식(扶壁式)이 있는데 역T형 및 L형은 세로벽과 밑판으로 구성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체를 사용하며 보통 3∼7m 정도의 중형옹벽에 이용되고, 부벽식은 L형옹벽에 부벽(보조벽 또는 지지벽)을 세운 것이며, 일반적으로 6∼7m 정도 이상의 옹벽에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옹벽 또한 콘크리트에 의한 획일화된 색상 및 재질로 주변 환경과의 조화가 어렵고 그 벽면이 차지하는 면적 또한 넓어 외관상으로 아주 보기 좋지 못하다는 큰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등나무 등을 식재하여 그 덩굴이 옹벽을 타고 올라가거나 위에서 아래로 흐트러지게 하는 것으로 회색 벽면의 인공적 이질감을 자연친화적으로 변경하고자 하였으나 이와 같이 등나무 등의 식물이 성장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고 식물이 죽기라도 하면 더욱 흉물스러운 모습을 보여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조로운 회색의 콘크리트 옹벽에 자연친화적인 부재를 설치하여 바라보는 도시민들에게 자연적인 질감과 미려함 등을 제공하고 예술적인 감성을 전달하는 한편, 해당지역의 이미지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옹벽의 외측 벽면에 추가로 구성된 화단을 설치하여 꽃이나 나무를 식재하고 합성수지, 도자, 철재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조성된 조형물을 부착시켜 미려함을 더하며 나머지 여백의 회색 면에는 목재 또는 석재 등의 마감재를 고정시켜 자연친화적인 질감을 제공하고 조형적인 연출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전방으로 노출된 벽면을 제공하는 옹벽;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프레임; 지면에 수평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일측단이 고정되는 틀 형상의 화분단 및 상기 화분단에 수용되는 화분을 포함하는 화단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도자조형물, 합성수지조형물, 석재조형물, 철재조형물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된 조형물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프레임의 여백에 고정되는 목재바 또는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벽면의 여백에 고정되는 석재마감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단부는 상기 화분단과 상기 프레임을 비스듬이 연결하는 지지대; 및 상기 화분단에 걸리는 걸림쇠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연결편이 후면에 마련되어 상기 화분단의 전면을 가리는 석재판넬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자조형물은 겉표면에 문양을 포함하여 흙 소성된 도자이거나 그러한 도자의 바탕에 유리가 융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수지조형물은 폴리우레탄이 표면에 도장된 발포폴리스티렌 또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석재조형물은 자연석재를 가공하여 이루어지고, 철재조형물은 금속재를 소재로 선 또는 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자조형물은 상기 프레임 또는 벽면에 막대 또는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의 연결부재로 고정되고, 상기 합성수지조형물은 상기 프레임에 나사결합되거나 상기 벽면에 접착제로 고정되며, 상기 석재조형물은 상기 벽면에 접착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석재마감재는 가공된 자연석재의 판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목재바는 일정한 형태 및 규격으로 연속배치가 가능하도록 기다란 판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목재바는 상기 프레임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석재마감재는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거나 접착제로 상기 벽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은 단순한 회색의 콘크리트 옹벽에 자연친화적인 부재가 설치되어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에 화단을 부가적으로 설치하고 이에 꽃이나 나무를 식재하여 조경할 수 있고, 손쉽게 화단의 꽃이나 나무를 정비하여 지속적으로 좋은 경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자 조형에 무늬와 기타 부재를 이용한 방법과 도자 조형물에 융착된 유리에 의해 보다 입체적이고 신비로운 질감을 느끼게 하고 상황에 따른 야간 조명 연출로 보다 좋은 경관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형물이 입체적 연결부재에 의해 옹벽에 설치되어 보다 입체적이고 미려한 경관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의 회색 면을 목재 또는 석재의 마감재로 덮어 콘크리트 구조체가 주는 인공적 이질감을 제거시키고 자연친화적 질감과 품격 있는 공간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을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우선,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의 개요를 살펴보면 콘크리트 구조체로 이루어진 옹벽에 자연적 질감을 갖거나 좋은 경관을 제공하는 부속물을 추가시켜 단조로운 회색으로 인공적인 이질감을 표출하는 기존의 콘크리트 옹벽이 좋은 경관을 갖도록 개선된 것으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옹벽을 바라보는 관찰자를 기준으로 옹벽의 보이는 측이 전방, 그 뒤에 성토된 측이 후방, 지면과 맞닿은 옹벽의 아래측을 하방, 윗측을 상방, 상하를 세로, 좌우를 가로라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로된 옹벽(100), 옹벽(100)의 전방 벽면(110)에 부가되는 프레임(200), 프레임(200)에 고정 설치되는 화단부(300), 프레임(200) 내지 벽면(110) 자체에 고정 설치되는 조형물(400) 및 마감재(500)를 포함한다.
즉, 옹벽(100)의 벽면(110)에 부가된 프레임(200)에는 화단부(300)가 고정되어 꽃과 나무로 조경된 경관을 제공하고, 조형물(400)과 마감재(500)는 프레임(200) 내지 벽면(110) 자체에 고정되어 인공적인 이질감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로된 옹벽을 보다 나은 외관과 자연적 질감을 갖도록 개선 시킨다.
이하, 각각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옹벽(100)은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인 것으로 역T형식, L형식, 부벽식 등으로 시공된다.
이러한 옹벽(100)은 지면(120) 내부로 실장된 기초 콘크리트(130)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지면(120)과 수직이거나 이와 유사하게 세워진 콘크리트 구조물(140)로서, 뒷채음으로 성토된 흙(150)의 토압을 지탱할 수 있는 크기와 구조로 마련된다.
또한, 성토된 흙(150)으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다수의 유 출공(미도시)이 옹벽(100)의 후방 벽면에서 전방 벽면(110)까지 관통된다.
또한, 성토된 흙(150)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수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옹벽(100)의 피로도를 줄이기 위해 수로(미도시)가 옹벽(100)의 하방에 적절히 마련된다.
이에 관한 철근콘크리트 옹벽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은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당업자의 이해는 자명하다.
다음으로, 프레임(200)은 벽면(110) 중 화단부(300)가 구성되어야 하는 일부 영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화분단을 포함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의 프레임(2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의 후방에서 바라본 화단부(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프레임(200)은 도 3과 같이 벽면(110)의 상하방으로 놓이고 복수 개가 측방으로 나란히 배치된 세로대(210), 이웃하는 세로대(21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로대(220)에 의한 격자구조를 이룬다.
이때, 목적에 따라서는 가로대(220)가 생략될 수 있고, 그 밖에도 벽면(110)에 관한 조경 디자인에 따라 프레임(200)이 격자구조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프레임(200)은 세로대(210)로부터 연장된 고정단(211)을 관통하는 앵커볼트(미도시)로 벽면(11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벽면(110)으로부터 프레임(200)을 철거하기 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영구히 고정될 수 있는 그 어떠한 구조 내지 방법으로 고정시킬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와 같은 프레임(200)에는 화단부(300, 도 2참조)가 조성되는 화분단(310)과 조형물(400, 도 2참조)이 고정되는 연결부재(230)가 설치되고, 마감재(500, 도 2참조)가 고정된다.
다음으로, 화단부(3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화분단(310)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도 4와 같이, 꽃이나 나무가 심어진 화분(340), 이를 수용하는 화분단(310), 화분단(3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석재판넬(330)로 마련된다.
화분(340)은 화분단(310)에 수용되고 또한 경우에 따라 화분단(3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게 마련된다.
이를 위해, 화분단(310)은 사각의 틀 형상으로서 그 일측단이 하나 이상의 세로대(210)에 고정되어 지면과 수평을 유지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화분단(310)의 타측단과 세로대(210)를 비스듬히 연결하는 이른바 까치발 형태의 지지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화분단(310)은 자체 하중 및 화분(340)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사각의 틀 형상으로 마련된 화분단(310)의 내부공간으로 화분(340)이 수용되는데 이러한 화분(340)은 상기 내부공간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와 모양의 것이며 식물이 심어지고 일정 수분을 보유하고 그 이상을 수분은 하방으로 유출시킬 수 있도로 배수공(미도시)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화분(340)의 형상 및 구조는 통상적인 화분인 것으로 당업자에게 있어 이에 대한 이해는 자명하다.
또한, 화분(340) 상단에는 외면을 따라 일정 폭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돌출단(341)이 마련되어 화분단(310)의 상면에 걸쳐진다.
따라서, 이러한 화분단(310)과 화분(340)으로 구성되는 화단부(300)는 꽃이나 나무로 꾸밈에 있어 사계절 또는 필요에 따라 손쉽게 다른 꽃이나 나무로 새롭게 조경할 수 있고 또한 꽃이 시들거나 나무가 죽은 경우에도 손쉽게 유지보수가 가능하여 지속적으로 좋은 경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화분단(310)의 전방으로는 석재판넬(330)이 고정되어 꽃이나 나무 외의 화분(340), 화분단(310) 등을 가린다.
이러한 석재판넬(330)은 강도를 높이기 위해 뒷면에 보강틀(331)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분단(310)에 간단히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걸림쇠(333)가 상단의 후면 양측에 결합되며, 지지대(320)와 연결되는 연결편(335)이 하단 일측면에 마련된다. 따라서 석재판넬(330)은 지지대(320)의 비스듬한 경사를 따라 대응되게 배치된다.
이때, 연결편(335)은 걸림쇠(333)와 같은 구조로 석재판넬(330)의 하단이 지지대(320)에 걸려 고정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러한 연결편(335)은 석재판넬(330)의 하단이 옹벽(100, 도1참조)의 어느 한곳에 단단히 고정될 수만 있다면 지지대(320)에 고정되게 국한되지 않고 세로대(210), 가로대(220), 옹벽 자체 등 그 어디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조형물(400)은 기(旣) 디자인된 형태대로 도자, 합성수지, 석재, 철재 등의 다양한 재료를 바탕으로 제작된다. 아래에서는 편의상 도자조형물, 합성수지조형물, 석재조형물, 철재조형물이라 한다.
도 2와 더불어 이하 별첨되는 도면과 함께 각각의 조형물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자조형물(410)은 도자타일과 같이 일정한 형태로 흙을 빚고 이를 구워 만든 것으로 이를 옹벽(100)에 고정시키면 회색 벽면의 옹벽(100)에 흙 느낌의 자연질감을 제공하고 특유의 형태로 디자인된 옹벽(10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의 도자조형물(410)을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의 도자조형물(410)에 관한 고정방식을 나타낸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자조형물(410)은 무늬가 새겨지거나 다양한 소재로 표면처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5와 같이 도자(411)의 바탕 일부에 유리(413)가 융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리(413)가 융착된 도자조형물(410)은 일반적인 흙 성형, 초벌구이, 시유[施釉], 재벌구이를 거치는 도자타일의 제작과정을 따르되, 재벌구이 전 유리분말을 첨가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다.
이를 위해, 흙은 기 디자인된 형태로 빚되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 중 일정 부분에 상기 유리분말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을 갖도록 성형하고, 이와 같이 성형된 흙을 초벌구이한 후 상기 홈에 유리분말을 충진시켜 재벌구이한다.
그 결과, 흙의 일정부분에 수용된 유리분말은 재벌구이시 그 열에 녹아 흙에 융착되고 상기 유리분말은 상기 홈과 대응되는 형태로 덩어리지게 되어 유리(413)가 융착된 도자조형물(410)을 이루게 된다.
이때, 흙은 점토 또는 고령토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도자타일의 제작에 쓰이는 흙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유리분말은 도자조형물마다 다른 색깔의 분말을 충진시켜 단조로운 단일의 흙색이 아닌 형형색색의 유리(413)가 융착된 도자조형물(410)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리(413)가 융착된 도자조형물(410)은 까칠한 흙의 질감과 매끈한 유리의 질감이 동시에 유발되어 이것이 고정되는 옹벽(100)이 보다 나은 미관을 표출되게 한다.
또한, 야간에는 조명에 비춰지는 유리의 매끈한 표면을 통해 옹벽(100)이 보다 나은 외관을 갖추도록 연출할 수도 있어 보기에도 좋고 옹벽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도자조형물(410)은 도 5와 같이 옹벽(100)에 접착제(415)로 고정되거나 도 6과 같이 연결부재(230)로 옹벽(100)에 고정된다.
접착제(415)로는 석재본드 내지 시멘트몰탈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 에폭시나 드라이픽스(고성능 타일접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연결부재(230)는 프레임(200, 도 3참조)에 고정되게 마련될 수 있으나, 도 6과 같이 옹벽에 바로 결합될 수도 있고 막대나 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부재(230)를 통해 도자조형물(410)을 옹벽(100)에 고정시키면 도자조형물(410)의 입체감이 더욱 부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합성수지조형물(420)은 부피가 큼과 동시에 섬세한 모양을 띠는 것으로 발포폴리스티렌(스티로폼) 또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포폴리스티렌으로 모양이 제작되는 경우에는 경도가 약한 재질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그 표면에 폴리우레탄을 도장하여 경도를 강화시킨다.
이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 합성수지조형물(420)이 나무의 줄기 내지 가지를 표현하는 조형물로 제작되어 벽면(110)에 고정될 수 있고, 이와 어울리게 상기 도자조형물(410)이 나뭇잎의 모양으로 벽면(110)에 고정되면 자연친화적이며 아름다운 경관을 옹벽(100)으로부터 표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무와, 잎 이외의 다양한 대상, 예컨대 동물 등이 표현되게 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조형물(420)은 프레임(200)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고 옹벽(100)의 벽면(110) 자체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로는 통상의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를 이용하여 영구적으로 접착한다.
셋째, 석재조형물(430)은 옹벽(100)에 조경되는 화단부(300), 도자조형물(410), 합성수지조형물(420)의 배치와 어울리며 그 여백에 고정가능한 형태로 자연석을 가공하여 제작한다.
이러한 석재조형물(430)은 도 2와 같이 벽면(110) 곳곳의 여백을 덮을 수 있 게 접착제로 고정되고 이를 통해 인공적인 옹벽이 자연구조물과 같은 외관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벽면(110)에 석재조형물(430)을 고정시키는 접착제로는 시멘트몰탈 또는 석재본드가 사용된다.
석재본드로는 석재용 에폭시가 기후 내지 외부환경의 변화에 좋은 경도를 보이므로 석재조형물용 접착제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석재용 에폭시는 수지(주제)와 경화제를 1:1 비율로 섞어 석재조형물 뒷면에 고루 발라 옹벽(100)에 접착시켜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이때, 석재용 에폭시는 접착성이 100kg/cm2 인 제품을 사용하고 시공의 편의를 위해 퍼티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퍼티는 액체형 에폭시의 시공 시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점토같은 형태로 반죽하여 사용하는 타입을 말한다.
넷째, 철재조형물(미도시)은 스테인리스강 또는 기타의 금속재를 소재로 선 또는 면, 입체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부리거나 절단, 용접하여 미려한 외형을 연출한다.
또한, 각 금속의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예컨대 철은 산화되면 부식되는데 그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조형물의 표면을 처리시켜 예술적인 미감을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철재조형물(미도시)은 벽면(110)에 앵커볼트와 너트로 고정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프레임(200)에 고정되거나 다른 조형물과도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마감재(500)는 석재마감재(510) 또는 목재바(520)가 이용될 수 있다.
석재마감재(510)는 도 2에서와 같이 일정한 모양을 갖고 세로대(210)와 그 이웃하는 세로대를 가로질러 벽면(110)의 여백을 덮도록 프레임(200)에 고정된다.
이러한 석재마감재(510)는 자연석을 가공하여 제작된 것으로 그 전방으로는 석재 특유의 재질감이 나타나도록 다듬질된 마감면을 보인다.
또한, 이러한 석재마감재(510)를 프레임(20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소정의 브라켓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 석재마감재(510)는 일정한 모양이 연속되게 벽면(110) 자체에 시멘트몰탈 또는 석재본드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고 이에 관한 응용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하다.
목재바(520)는 석재마감재(510)와 마찬가지로 또 다른 마감재로서 화단부(300)의 상하로 배치되어 옹벽(100)의 회색 벽면(110)을 가린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의 목재바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목재바(520)는 도 7과 같이, 목재가 일정한 규격으로 연속할 수 있게 가공된 것으로 전방으로 나이테 등의 나무 고유의 문양이 표출되는 기다란 판재형태로 마련된다.
이때, 목재의 길이 또는 두께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마감재의 다양한 형태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목재바(520)는 표면은 방부처리한다.
이와 같이 마련된 목재바(520)는 프레임(200)의 세로대(210)에 수평하게 고정되어 화단부(300) 상하 부분의 여백을 가린다.
이때, 목재바(520)는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고, 이 경우 가급적 나사는 부식에 강한 재질의 것을 사용하거나 나사의 머리를 고무골무(미도시) 등으로 씌워 방수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바,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에게 쉽게 파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의 화단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의 도자조형물을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의 도자조형물에 관한 고정방식을 나타낸 측면도 및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인 조형옹벽의 목재바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옹벽 110: 벽면
120: 지면 130: 기초 콘크리트
140: 콘크리트 구조물 150: 흙
200: 프레임 210: 세로대
211: 고정단 220: 가로대
230: 연결부재 300: 화단부
310: 화분단 320: 지지대
330: 석재판넬 331: 보강틀
333: 걸림쇠 335: 연결편
340: 화분 341: 돌출단
400: 조형물 410: 도자조형물
411: 도자 413: 유리
415: 접착제 420: 합성수지조형물
430: 석재조형물 500: 마감재
510: 석재마감재 520: 목재바

Claims (6)

  1.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지면과 수직이며 전방으로 노출된 벽면을 제공하는 옹벽;
    상기 벽면의 상하방으로 놓이고 복수 개가 측방으로 나란히 배치되게 고정되는 세로대와, 이웃하는 세로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가로대와, 상기 세로대 또는 상기 가로대에서 수평으로 돌출 고정되는 막대 또는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지면과 수평하도록 상기 세로대에 일측단이 고정되는 사각 틀 형상의 화분단과, 상기 화분단의 외측 끝단의 하면과 상기 프레임을 비스듬히 연결하는 지지대와, 상단은 상기 화분단에 거는 걸림쇠가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옹벽의 벽면에 고정되는 연결편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의 비스듬한 경사를 따라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화단부의 전방을 가리는 석재판넬과, 상기 화분단에 끼워지는 화분을 포함하는 화단부;
    상기 연결부재 또는 상기 벽면에 고정되고, 흙을 빚되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 중 일정 부분에 홈을 갖도록 하여 초벌구이한 후 상기 홈에 유리분말을 충진시켜 재벌구이한 도자조형물;
    상기 가로대 또는 세로대 중 어느 하나에 나사 결합되거나 상기 벽면에 접착제로 고정되고, 발포폴리스티렌 또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의 표면에 폴리우레탄이 도장된 합성수지조형물;
    상기 벽면에 접착제로 고정되고, 자연석재로 가공된 석재조형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금속재를 소재로 선 또는 면으로 이루어진 철재조형물; 및
    상기 프레임의 여백으로 노출된 상기 세로바를 가로질러 고정되는 일정한 형태 및 규격으로 연속배치가 가능한 기다란 판 형상의 목재바 또는 자연석재로 가공된 판 형상의 석재마감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친환경적인 조형옹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103503A 2009-10-29 2009-10-29 친환경적인 조형옹벽 KR100951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503A KR100951635B1 (ko) 2009-10-29 2009-10-29 친환경적인 조형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503A KR100951635B1 (ko) 2009-10-29 2009-10-29 친환경적인 조형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635B1 true KR100951635B1 (ko) 2010-04-09

Family

ID=4221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503A KR100951635B1 (ko) 2009-10-29 2009-10-29 친환경적인 조형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6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9423A (zh) * 2017-12-27 2018-05-18 长沙理工大学 一种生态景观挡墙
CN110397077A (zh) * 2019-08-07 2019-11-01 衡水瑟林科技有限公司 一种钢塑复合型植生挡土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627A (ja) * 1997-06-18 1999-01-12 Ryokka Hozen Kk 壁面緑化器具
KR20090020721A (ko) * 2007-08-24 2009-02-27 임용철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627A (ja) * 1997-06-18 1999-01-12 Ryokka Hozen Kk 壁面緑化器具
KR20090020721A (ko) * 2007-08-24 2009-02-27 임용철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9423A (zh) * 2017-12-27 2018-05-18 长沙理工大学 一种生态景观挡墙
CN110397077A (zh) * 2019-08-07 2019-11-01 衡水瑟林科技有限公司 一种钢塑复合型植生挡土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204B1 (ko)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
WO2001032992A1 (en) Concrete block for elevating and retaining surfaces
GB2429622A (en) A raised flowerbed system comprising modular interlocking units
US20160237628A1 (en) Modular Decorative Landscape Product and Associated Methods
US6817811B1 (en) Construc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n respect of water source and earth
KR100951635B1 (ko) 친환경적인 조형옹벽
CN207987934U (zh) 一种用于边坡生态治理的稳固结构
KR20120126288A (ko) 자연을 도입한 열주형 조형석산 및 이의 조성방법
KR101907876B1 (ko)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
CN100564716C (zh) 空心树快培法
KR102317257B1 (ko) 동굴이 있는 인공산
KR101071082B1 (ko) 돌담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192709B1 (ko) 하천의 조경조성방법 및 조경조성을 위한 구조물
CN2668695Y (zh) 创造环保生态的模板构造
JPS6031473Y2 (ja) 植物の立体栽培体
CN107801515B (zh) 环保花池
CN208047419U (zh) 一种垂直绿化墙
CN207399972U (zh) 环保外墙结构
CN209276924U (zh) 一种道路转角结构
JP3140759U (ja) 外構用基礎構築体
JP2005192435A (ja) 異形の植物鉢
KR102391732B1 (ko) 단위적층 판재모듈을 이용한 조경 정원 조성시공방법
KR200361092Y1 (ko) 도로 사면 녹화용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
JPH10325143A (ja) 緑化装置
CN208581567U (zh) 一种装配式景观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