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721A -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721A
KR20090020721A KR1020070085232A KR20070085232A KR20090020721A KR 20090020721 A KR20090020721 A KR 20090020721A KR 1020070085232 A KR1020070085232 A KR 1020070085232A KR 20070085232 A KR20070085232 A KR 20070085232A KR 20090020721 A KR20090020721 A KR 20090020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ody
fixed
ston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철
Original Assignee
임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철 filed Critical 임용철
Priority to KR1020070085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0721A/ko
Publication of KR20090020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자연이나 건물 등의 주위환경과 조화가 잘 이루어지도록,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옹벽 본체와, 석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옹벽 본체의 앞쪽면을 감싸덮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붙임석과, 석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윗면 및 한쪽 측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옹벽 본체의 앞쪽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개구된 한쪽 측면 모서리가 옹벽 본체의 앞쪽면과 접하며 고정되는 복수의 화분석과, 화분석을 옹벽 본체에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한쪽은 옹벽 본체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화분석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앙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을 제공한다.
옹벽, 축대, 콘크리트, 조경, 자연석, 인조석, 화분

Description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Landscape Architecture and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Work of The Same}
본 발명은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석재를 이용하여 옹벽 외면에 조경을 행하므로 자연 친화력이 높일 수 있으며 쉽고 간편하게 화분석을 설치하고 식물을 식재하는 것이 가능한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땅을 깎거나 흙을 쌓아 생기는 비탈이 흙의 압력으로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만든 벽으로서, 주로 산기슭, 강기슭 등을 지나는 도로, 가옥주변 등에 설치된다.
상기 옹벽은 과거에는 주로 여러개의 돌이나 콘크리트블록을 쌓아서 축조된 블록식 옹벽이나 콘크리트 자체의 중력을 이용하여 안정을 유지하는 콘크리트 자중식 옹벽이 많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상기 블록식 옹벽의 경우 블록이나 돌 등을 일일이 쌓으면서 고정해야 하므로 설치가 어렵고 불편하며 작업시간도 오래 걸린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자중식 옹벽은 비교적 낮은 높이의 옹벽에 적합하므로 활용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주로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을 매설시켜 강도를 보강하고 수직으로 높게 형성할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식 옹벽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철근콘크리트식 옹벽은 콘크리트 본래의 색상이 외부로 노출되어 도시미관이나 자연경관 등을 해치게 되므로 주위 환경과 조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감을 행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타일이나 벽돌, 페인트 등을 이용하여 옹벽 외부의 마감을 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페인트나 벽돌 등에 포함된 화학성분이나 유독성물질 등으로 인해 주위 환경이 오염되고 자연환경 등과 조화가 잘 이루어지는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자연석이나 인조석 등의 재질로 된 붙임석을 옹벽의 앞면에 붙여서 마감하므로 주위경관을 해치지 않고 미관이 향상되고, 고정앙카 및 접착체를 이용하여 화분석을 설치한 후 화분석에 식물의 식재를 행하므로 자연과의 조화가 잘 이루어지고 간편하게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제안하는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은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옹벽 본체와, 석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옹벽 본체의 앞쪽면을 감싸덮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붙임석과, 석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윗면 및 한쪽 측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옹벽 본체의 앞쪽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개구된 한쪽 측면 모서리가 상기 옹벽 본체의 앞쪽면과 접하며 고정되는 복수의 화분석과, 상기 화분석을 옹벽 본체에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한쪽은 상기 옹벽 본체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화분석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앙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붙임석은 자연석, 인조석 중에서 어느 한가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얇고 넓적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모르타르, 접착페이스트, 접착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옹벽 본체의 앞쪽면에 고정된다.
상기 화분석은 자연석, 인조석 중에서 어느 한가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하나이상의 배수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옹벽 본체와 화분석에는 고정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앙카의 양쪽은 상기 고정구멍에 삽입된 상태로 접착페이스트, 모르타르, 접착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옹벽 본체와 화분석에 각각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에서 고정앙카의 한쪽은 옹벽 본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 철근에 고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 본체와 일체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고정앙카의 다른 한쪽은 인조석으로 된 화분석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매설시켜 일체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앙카는 상기 옹벽 본체에 고정되는 제1고정앙카와, 상기 화분석에 고정되고 상기 제1고정앙카와 용접고정되거나 나사결합되는 제2고정앙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분석을 받쳐서 지지하고 상기 고정앙카를 이용하여 상기 옹벽 본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고정앙카의 다른 한쪽과 지지프레임은 용접 고정되거나 나사결합된다.
또 본 발명이 제안하는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시공방법은 옹벽 본체의 앞쪽면에 붙임석을 설치 고정하고, 상기 옹벽 본체의 앞쪽면 및 화분석의 한쪽 측면 모서리에 고정구멍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옹벽 본체의 고정구멍에 접착체를 삽입한 후 고정앙카의 한쪽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화분석의 고정구멍에 접착체를 삽 입하고 고정앙카의 다른 한쪽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화분석에 토양을 채우고 식물을 식재하는 과정으로 시공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옹벽의 앞면에 자연석이나 인조석 등과 같은 붙임석 및 화분석을 설치하여 마감을 행하므로, 미려한 경관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자연이나 건물 등의 주위환경과 조화가 잘 이루어지는 옹벽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옹벽 본체에 화분석을 고정앙카 및 접착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고정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하며 시공기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고, 화분석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화분석에 살아있는 식물을 식재하여 가꿈에 따라 자연과의 조화가 잘 이루어지고 친환경적인 옹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제1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옹벽 본체(10)와, 상기 옹벽 본체(10)의 앞쪽면에 설치되는 붙임석(20)과, 상기 옹벽 본체(10)의 앞쪽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화분석(30)과, 상기 화분석(30)을 상기 옹벽 본체(10)에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앙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옹벽 본체(10)는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대략 "ㅗ"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옹벽 본체(10)에 있어서는 수평부(11)가 지하에 매설되고 수직부(12)는 지상으로 노출되며, 상기 수직부(12)의 뒤쪽에는 토사(土砂)(2) 등이 위치한다.
상기에서 수직부(11)와 수평부(12)에는 각각 철근(13)이 배근된다.
상기 붙임석(2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얇고 넓적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옹벽 본체(10)의 앞쪽면을 감싸덮도록 설치되고 접착체(21)를 이용하여 상기 옹벽 본체(10)의 수직부(12) 앞쪽면에 고정된다.
상기 붙임석(20)으로는 대리암, 현무암, 편마암, 화강암 등과 같은 자연석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자연석을 분쇄한 분말을 모르타르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 성형하여 제조되는 인조석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착체(21)로는 접착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 접착실리콘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모르타르는 석회모르타르, 아스팔트모르타르, 수지모르타르, 질석모르타르, 펄라이트모르타르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화분석(3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윗면 및 한쪽 측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된 한쪽 측면 모서리가 상기 옹벽 본체(10)의 앞쪽면 또는 붙임석(20)과 접하며 고정된다.
상기 화분석(30)에 있어서도 상기 붙임석(20)과 마찬가지로 자연석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인조석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화분석(30)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나이상의 배수구멍(31)이 형 성된다.
상기 고정앙카(40)는 스테인리스스틸 등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대략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한쪽은 상기 옹벽 본체(10)에 매설되어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화분석(30)에 매설되어 고정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화분석(30)에 고정구멍(14), (3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멍(14), (34)에는 상기 접착체(21)가 충진되고, 상기 고정앙카(40)의 양쪽은 상기 고정구멍(14), (34)에 삽입되어 옹벽 본체(10)와 화분석(30)에 각각 일체로 고정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에서 고정앙카(40)의 한쪽은 옹벽 본체(1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철근(13)에 고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 본체(10)와 일체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고정앙카(40)의 다른 한쪽은 화분석(3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매설시켜 일체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앙카(4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앙카볼트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화분석(30)을 받쳐서 지지하고 상기 고정앙카(40)를 이용하여 상기 옹벽 본체(10)에 고정 지지되는 지지프레임(3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프레임(36)은 강도 및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대략 상기 화분석(30)과 마찬가지로 대략 윗면 및 한쪽 측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앙카(40)와 지지프레임(36)은 나사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36)의 개구된 한쪽 측면 모서리에는 한쌍의 고정부(38)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8)에는 상기 고정앙카(40)에 조립되는 고정구멍(39)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나이상 형성되고, 상기 고정앙카(40)에는 수나사(4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앙카(40)의 수나사(48)에는 너트(49)가 결합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앙카(40)와 지지프레임(36)은 용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프레임(36)에는 상기 화분석(30)의 배수구멍(3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수구멍(37)이 형성된다.(도 9 참조)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제3실시예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앙카(50)가 상기 옹벽 본체(10)에 고정되는 제1고정앙카(52)와, 상기 화분석(30)에 고정되고 상기 제1고정앙카(52)와 용접 고정되는 제2고정앙카(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및/또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제4실시예는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앙카(60)가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암나사(63)가 형성되고 상기 옹벽 본체(10)에 고정되는 앙카본체(62)와,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상기 앙카본체(62)의 암나사(63)와 결합되는 수나사(67)가 형성되고 상기 화분석(30)에 고정되는 볼트부재(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옹벽 본체(10)의 앞쪽면에 상기 붙임석(20)을 설치하고(P10), 상기 옹벽 본체(10)의 앞쪽면 및 상기 화분석(30)의 한쪽 측면 모서리에 고정구멍(14), (34)을 각각 형성하고(P20), 상기 옹벽 본체(10)의 고정구멍(14)에 상기 접착체(21)를 삽입한 후 상기 고정앙카(40)의 한쪽을 삽입하여 고정하고(P30), 상기 화분석(30)의 고정구멍(34)에 상기 접착체(21)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앙카(40)의 다른 한쪽을 삽입하여 고정하고(P40), 상기 화분석(30)에 토양(3)을 채우고 식물(4)을 식재(P50)하는 방법으로 시공된다.
상기 붙임석(20)은 상기 접착제(21)를 이용하여 상기 옹벽 본체(10)의 벽면에 고정한다.
상기 화분석(30)을 상기 옹벽 본체(10)에 설치하기 전에 먼저 설치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화분석(30)을 옹벽 본체(10)에 설치한 후에 설치를 행하는 것 도 가능하고, 상기 화분석(30)을 상기 옹벽 본체(10)에 설치하기 전에 상기 화분석(30)을 설치할 위치를 제외하고 1차 설치를 행한 후 화분석(30)을 설치하고 남은 부분에 2차 설치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붙임석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화분석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화분석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앙카를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상태 평면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상태 평면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상태 측면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상태 측면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상태 측면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상태 측면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상태 측면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7)

  1.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옹벽 본체와,
    석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옹벽 본체의 앞쪽면을 감싸덮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붙임석과,
    석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윗면 및 한쪽 측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옹벽 본체의 앞쪽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개구된 한쪽 측면 모서리가 상기 옹벽 본체의 앞쪽면과 접하며 고정되는 복수의 화분석과,
    상기 화분석을 옹벽 본체에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한쪽은 상기 옹벽 본체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화분석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앙카를 포함하는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옹벽 본체와 화분석의 양쪽 측면 모서리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멍에는 접착체가 충진되고,
    상기 고정앙카의 양쪽은 상기 고정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접착체에 의하여 상기 옹벽 본체와 화분석에 각각 일체로 고정되는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앙카는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옹벽 본체에 고정되는 앙카본체와,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상기 앙카본체의 암나사와 결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화분석에 고정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붙임석은 자연석, 인조석 중에서 어느 한가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얇고 넓적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접착페이스트, 모르타르, 접착실리콘 중에서 어느 한가지를 이용하여 상기 옹벽 본체의 앞쪽면에 고정되고,
    상기 화분석은 자연석, 인조석 중에서 어느 한가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나이상의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5.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옹벽 본체와, 석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옹벽 본체의 앞쪽면을 감싸덮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붙임석과, 석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윗면 및 한쪽 측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옹벽 본체의 앞쪽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개구된 한쪽 측면 모서리가 상기 옹벽 본체의 앞쪽면과 접하며 고정되는 복수의 화분석과, 상기 화분석을 받쳐서 지지하고 상기 고정앙카를 이용하여 상기 옹벽 본체에 고정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옹벽 본체에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한쪽은 상기 옹 벽 본체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앙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강도 및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윗면 및 한쪽 측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한쪽 측면 모서리에 한쌍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앙카에 조립되는 고정구멍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나이상 형성되고,
    상기 고정앙카는 다른 한쪽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너트와 결합되는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6. 옹벽 본체의 앞쪽면에 접착체를 이용하여 붙임석을 설치 고정하고,
    상기 옹벽 본체의 앞쪽면 및 화분석의 한쪽 측면 모서리에 고정구멍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옹벽 본체의 고정구멍에 접착체를 삽입한 후 고정앙카의 한쪽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화분석의 고정구멍에 접착체를 삽입하고 고정앙카의 다른 한쪽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화분석에 토양을 채우고 식물을 식재하는 방법으로 시공되는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시공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붙임석의 설치시 상기 화분석을 상기 옹벽 본체에 설치하기 전에 상기 화분석이 설치될 위치를 제외하고 옹벽 본체의 앞쪽면에 붙임석을 1차 설치 고정한 후 화분석을 설치하고 남은 부분에 붙임석을 2차로 설치 고정하는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시공방법.
KR1020070085232A 2007-08-24 2007-08-24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20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232A KR20090020721A (ko) 2007-08-24 2007-08-24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232A KR20090020721A (ko) 2007-08-24 2007-08-24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721A true KR20090020721A (ko) 2009-02-27

Family

ID=40687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232A KR20090020721A (ko) 2007-08-24 2007-08-24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07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635B1 (ko) * 2009-10-29 2010-04-09 신은주 친환경적인 조형옹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635B1 (ko) * 2009-10-29 2010-04-09 신은주 친환경적인 조형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13954A (zh) 一种组合围挡的施工方法
KR101325384B1 (ko) 단위패널 조립식 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20721A (ko) 조경면이 형성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101633729B1 (ko) 옹벽 구조
KR100400170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
CN208844607U (zh) 一种装配式生态加筋土挡土墙结构
KR100951635B1 (ko) 친환경적인 조형옹벽
CN207399972U (zh) 环保外墙结构
KR200284588Y1 (ko) 토류벽을 이용한 인공 폭포 구조물
KR20150127962A (ko) 스티로폼이 내장된 인공구조물의 시공방법
JPH11323970A (ja) 塀、花壇、擁壁、門柱等の施工方法
KR100543799B1 (ko) 도로 비탈면 보강토 옹벽 구조
KR200295975Y1 (ko) 조경용 브라켓을 이용한 옹벽축조구조
KR20090033581A (ko)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
KR200374699Y1 (ko) 옹벽의 구조
JP2004285675A (ja) ユニット塀及びこのユニット塀を複数連結してなるコンクリート塀
CN212956895U (zh) 一种水池石砌饰面直立驳岸连接结构
KR20210012657A (ko) 스티로폼이 내장된 인공구조물의 시공방법
ITRE20090074A1 (it) Sistema modulare di pavimentazione
EP1408161A3 (de) Fertigteil aus Beton für Stützwände mit Geogitterrückverhängung
JP2007100341A (ja) 土砂擁壁構造体
JP5317514B2 (ja) ます蓋の施工方法
JP2959344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型枠
JPH07233661A (ja) 屋外壁建設資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