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581A -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 - Google Patents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3581A
KR20090033581A KR1020070098664A KR20070098664A KR20090033581A KR 20090033581 A KR20090033581 A KR 20090033581A KR 1020070098664 A KR1020070098664 A KR 1020070098664A KR 20070098664 A KR20070098664 A KR 20070098664A KR 20090033581 A KR20090033581 A KR 20090033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retaining wall
fixing plate
nail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희
Original Assignee
오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희 filed Critical 오세희
Priority to KR1020070098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3581A/ko
Publication of KR20090033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 구조물과 이 옹벽 구조물의 식생 네일링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강네일의 노출단부에 옹벽 설치용 녹생토 정착판을 일체화시켜 뿜칠되는 녹생토가 정착판의 내부는 물론 외부에 일정두께로 피복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자연 친화적이면서 수직 또는 거의 수직에 가까운 안정화된 녹생토 옹벽을 구축하여 보다 넓은 대지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을 제공한다.
식생 네일링 공법, 옹벽 구조물, 그물망, 보강네일

Description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retaining wall of tree-planting soil and vegetated nailing method}
본 발명은 옹벽 구조물과 이 옹벽 구조물의 식생 네일링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네일의 노출단부에 옹벽 설치용 녹생토 정착판을 일체화시켜 뿜칠되는 녹생토가 정착판의 내부는 물론 외부에 일정두께로 피복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자연 친화적이면서 수직 또는 거의 수직에 가까운 안정화된 녹생토 옹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는 쏘일네일링, PEM(Prestressed Earth Method), 녹생토를 뿜칠하여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쏘일네일링은 지반에 네일을 삽입하여 토괴의 안정을 꾀하고, 콘크리트 타설로 마감하는 일종의 중력식 옹벽을 의미한다.
즉, 상기 쏘일네일링은 시공 법면이나 사면에 거푸집을 만들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기간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서 된 콘크리트 옹벽으로, 이는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도시환경이 어두우며 콘크리트에 포함된 유해 물 질이 장기간 배출되면서 생태 환경에도 좋지 못한 실정이다.
상기 PEM은 P.C panel, Earth Bolt 및 G.S.B. Nut를 이용하여 지반에 압축력을 도입시킴으로써, 지반의 전단강도를 향상시켜, 발생 가능한 전단파괴에 저항하도록 하여 절취면을 안정시키는 공법에 의한 옹벽을 의미한다.
즉, 상기 PEM은 공장에서 제작한 기성패널(P.C panel) 및 기초 블럭 제품을 현장에서 조립, 시공하는 것으로, 이는 쏘일네일링과 어느 정도는 유사하지만, 전면을 기성패널로 마감하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녹생토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일정구배를 두어 조성한 인공사면에 식생기반이 혼합된 종자뿜칠공을 진행하는 공법이다.
즉, 상기의 녹생토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의하면, 도로공사 및 각종 개발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경암, 연암, 풍화암 또는 기타 절개지역 등 식물생육이 거의 불가능한 건조척박지에 부착철망을 설치하고 앙카핀 등으로 고정시킨 후, 그 위에 보비력, 보습력, 통기성이 강한 복합 유기질로 구성된 녹생토를 양잔디와 초목본류를 혼합하여 살포함으로써 법면 유실 및 낙석방지를 겸한 이상적인 식생기반을 조성하고, 이와 더불어 식물의 조기정착과 녹화를 유도하여 훼손된 경관을 자연상태로 재생시키는 공법이다.
이는 주로 낙석의 위험이 있는 법면이나 절토면 등에 시설되며, 주행중인 자동차, 보행자, 기타 기물등을 보호하고 산사태를 방지할 목적으로 시설되는 것으로서, 법면 낙석예상지역 및 산사태 예상지역에 주로 시공된다.
그러나, 전술한 쏘일네일링이나 PEM 공법은 수직한 구조물을 축조하여 대지 를 넓게 사용한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미관이 삭막하여 자연 친화적인 경관의 연출이 불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녹생토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사면 조성 후 식생기반과 혼합된 종자뿜칠하는 자연 친화적인 경관의 연출이 가능하지만, 사면 구배로 인한 대지 활용면적이 줄어든다는 중대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강네일의 노출 단부에 옹벽 설치용 녹생토 정착판을 일체화시켜 뿜칠되는 녹생토가 정착판의 내부는 물론 외부에 일정두께로 피복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자연 친화적이면서 수직 또는 거의 수직에 가까운 안정화된 녹생토 옹벽을 구축하여 보다 넓은 대지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녹생토 옹벽 구조물은, 절토면과 기반조성층 내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기반조성층의 외부로 노출되는 보강네일; 상기 기반조성층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보강네일의 노출 단부에 결합되는 녹생토 정착판; 및, 상기 녹생토 정착판의 내부는 물론 외부에 일정두께로 녹생토가 뿜칠되면서, 상기 기반조성층을 덮는 식생 기반의 녹생토 옹벽층; 을 포함한다.
상기 녹생토 정착판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각형의 프레임; 녹생토가 내부 및 외부로 뿜칠될 때 이를 지지하면서 식생기반의 녹생토 옹벽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각형의 프레임에 강선을 이용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그물망 형태의 제 1 철망부; 및, 상기 그물망 형태의 제 1 철망부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보강네일의 노출 단부가 결합되는 제 1 홀을 형성한 네일 결합부; 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은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녹생토 정착판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반조성층의 외부로 노출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네일에 결합되도록 복수의 제 2 홀이 각각 형성된 제 1,2 플레이트; 및, 녹생토가 내부 및 외부로 뿜칠될 때 이를 지지하면서 식생기반의 녹생토 옹벽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2 플레이트를 강선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그물망 형태의 제 2 철망부; 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의 녹생토 옹벽 구조물에 대한 식생 네일링 공법은, 보강네일의 일단이 절토선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절토면내에 보강네일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보강네일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절토면의 일면에 객토를 이용하여 기반조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반조성층의 외부로 노출된 보강네일의 노출 단부에 녹생토 정착판을 결합하여 일체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녹생토 정착판이 결합된 상태의 기반조성층에 녹생토를 뿜칠하여, 상기 녹생토 정착판의 내부 및 외부에 일정두께로서 식생 기반의 녹생토 옹벽층을 형성하는 단계; 로 진행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수직 또는 거의 수직에 가까운 안정화된 녹생토 옹벽 구축을 통해 보다 넓은 대지의 사용이 가능하고, 경관 또한 자연 친화적으로 조성 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단순히 초목의 생장을 도모하기 보다는 주변경관과 조화되는 고급한 녹생토 옹벽 구조물의 축조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녹생토 정착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녹생토 정착판의 구조를 보인 일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녹생토 정착판을 이용하여 녹생토 옹벽 구조물을 시공한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녹생토 옹벽 구조물은, 절토면(1)의 일면에 기반조성층(2)을 형성한 상태에서, 보강네일(10)과 녹생토 정착판(20)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한편, 상기 기반조성층(2)의 외부면에 녹생토 정착판(20)을 이용하여 결속력이 우수한 녹생토 옹벽층(30)을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보강네일(10)은 절토면(1)과 기반조성층(2)내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기반조성층(2)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녹생토 정착판(20)은 상기 기반조성층(2)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보강네일(10)의 노출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프레임(21), 제 1 철망부(22), 그리고 제 1 네일결합부(23)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1)은 각형 또는 원형의 구조로 일정높이를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기반조성층(2)의 외부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 1 철망부(22)는 각형 또는 원형의 구조를 이루는 상기 프레임(21)에 강선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그물망 형태의 구조물로, 이는 녹생토의 뿜칠이 이루어지면서 일정두께를 가지는 식생 기반의 녹생토 옹벽층(30)이 형성될 때, 상기 뿜칠되는 녹생토의 탈락을 억제하면서 녹생토 옹벽층(30)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네일결합부(23)는 상기 그물망 형태의 제 1 철망부(22)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그 중심면에는 보강네일(10)의 노출단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홀(2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홀(23a)에 보강네일(10)의 노출단부가 관통될 때, 상기 보강네일(10)의 끝단부에 고정너트(100)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보강네일(10)과 녹생토 정착판(20)은 일체화되는 구조물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녹생토 옹벽층(30)은 상기 녹생토 정착판(20)의 내부는 물론 외부에 일정두께로 녹생토가 뿜칠되면서, 상기 기반조성층(2)을 덮을 때 형성되는 식생 기반의 구조물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5는 녹생토 정착판(20')을 다르게 구성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상기 녹생토 정착판(20')을 제 1,2 플레이트(24)(25), 그리고 제 2 철망부(26)로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제 1,2 플레이트(24)(25)는 동일한 구조물로서, 기반조성층(2)의 외부로 노출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네일(10)에 결합되도록 복수의 제 2 홀(24a)(25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2 철망부(26)는 녹생토가 내부 및 외부로 뿜칠될 때 이를 지지하면 서 식생기반의 녹생토 옹벽층(3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그물망 형태의 구조물로, 이를 위해 상기 제 1,2 플레이트(24)(25)를 강선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녹생토 옹벽 구조물은 식생 네일링 공법에 의해 그 시공이 이루어지며 이를 첨부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강네일(10)의 일단이 절토선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절토면(1)내에 보강네일(10)을 삽입한다.
다음 공정으로, 상기 상기 보강네일(10)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절토면(1)의 일면에 객토를 이용하여 기반조성층(2)을 형성한다.
다음 공정으로, 상기 기반조성층(2)의 외부로 노출된 보강네일(10)의 노출단부에 도 3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 1과 같은 녹생토 정착판(20), 또는 도 6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 4와 같은 녹생토 정착판(20')을 결합하여 일체화시킨다.
즉,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녹생토 정착판(20)의 중심부위에 형성된 네일결합부(23)의 제 1 홀(23a)에 보강네일(10)의 노출단부를 관통시킨 후, 상기 보강네일(10)의 끝단부에 고정너트(100)를 조임방식으로 체결하면, 상기 녹생토 정착판(20)과 보강네일(10)이 일체화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녹생토 정착판(20)은 기반조성층(2)의 외부면에 밀착 고정된다.
또한,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녹생토 정착판(20')을 이루는 복수의 제 1,2 플레이트(24)(25)에 형성된 복수의 제 2 홀(24a)(25a)에 각각 보강네일(10)의 노출단부를 관통시킨 후, 상기 보강네일(10)의 끝단부에 고정너트(100)를 조임방식 으로 체결하면, 상기 녹생토 정착판(20)과 보강네일(10)이 일체화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녹생토 정착판(20')은 기반조성층(2)의 외부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 공정으로, 상기 녹생토 정착판(20)(20')이 결합된 상태의 기반조성층(2)에 녹생토를 뿜칠한다.
그러면, 상기 뿜칠되는 녹생토는 상기 녹생토 정착판(20)(20')의 내부 및 외부에 피복되면서, 상기 녹생토 정착판(20)(20')에 의해 탈락이 억제되고, 이에따라 상기 기반조성층(2)은 물론 상기 녹생토 정착판(20)(20')의 위로는 일정두께를 가지면서 그 뿜칠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식생 기반의 녹생토 옹벽층(30)이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녹생토 옹벽 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녹생토 정착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녹생토 정착판의 구조를 보인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녹생토 정착판을 이용하여 녹생토 옹벽 구조물을 시공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녹생토 정착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녹생토 정착판의 구조를 보인 일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녹생토 정착판을 이용하여 녹생토 옹벽 구조물을 시공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토면 2 ; 기반조성층
10; 보강네일 20,20'; 녹생토 정착판
21; 프레임 22; 제 1 철망부
23; 네일결합부 23a; 제 1 홀
24,25; 제 1,2 플레이트 24a,25a; 제 2 홀
26; 제 2 철망부

Claims (5)

  1. 절토면과 기반조성층내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기반조성층의 외부로 노출되는 보강네일;
    상기 기반조성층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보강네일의 노출 단부에 결합되는 녹생토 정착판; 및,
    상기 녹생토 정착판의 내부는 물론 외부에 일정두께로 녹생토가 뿜칠되면서, 상기 기반조성층을 덮는 식생 기반의 녹생토 옹벽층;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생토 옹벽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생토 정착판은,
    각형의 프레임;
    녹생토가 내부 및 외부로 뿜칠될 때 이를 지지하면서 식생기반의 녹생토 옹벽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각형의 프레임에 강선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그물망 형태의 제 1 철망부; 및,
    상기 그물망 형태의 제 1 철망부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보강네일의 노출단부가 결합되는 제 1 홀을 형성한 네일 결합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생토 옹벽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원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 생토 옹벽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생토 정착판은,
    기반조성층의 외부로 노출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네일에 결합되도록 복수의 제 2 홀이 각각 형성된 제 1,2 플레이트; 및,
    녹생토가 내부 및 외부로 뿜칠될 때 이를 지지하면서 식생기반의 녹생토 옹벽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2 플레이트를 강선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그물망 형태의 제 2 철망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생토 옹벽 구조물.
  5. 보강네일의 일단이 절토선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절토면내에 보강네일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보강네일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절토면의 일면에 객토를 이용하여 기반조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반조성층의 외부로 노출된 보강네일의 노출 단부에 녹생토 정착판을 결합하여 일체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녹생토 정착판이 결합된 상태의 기반조성층에 녹생토를 뿜칠하여, 상기 녹생토 정착판의 내부 및 외부에 일정두께로서 식생 기반의 녹생토 옹벽층을 형성하는 단계; 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녹생토 옹벽 구조물의 식생 네일링 공법.
KR1020070098664A 2007-10-01 2007-10-01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 KR20090033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664A KR20090033581A (ko) 2007-10-01 2007-10-01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664A KR20090033581A (ko) 2007-10-01 2007-10-01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581A true KR20090033581A (ko) 2009-04-06

Family

ID=4075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664A KR20090033581A (ko) 2007-10-01 2007-10-01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35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3724A (zh) * 2013-05-22 2013-08-14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顺层路堑高边坡收坡加固构造
CN103882884A (zh) * 2014-02-20 2014-06-25 长沙理工大学 一种锚索土工格栅支挡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3724A (zh) * 2013-05-22 2013-08-14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顺层路堑高边坡收坡加固构造
CN103882884A (zh) * 2014-02-20 2014-06-25 长沙理工大学 一种锚索土工格栅支挡结构及其施工方法
CN103882884B (zh) * 2014-02-20 2016-01-20 长沙理工大学 一种锚索土工格栅支挡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985B1 (ko) 콘크리트 격자형 사면보강 공법 및 사면 보강 구조
KR101078989B1 (ko) 발파 사면의 인공 녹화 암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33581A (ko)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
KR100700074B1 (ko) 강봉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돌망태 격자블럭 및 이의시공방법
KR101141197B1 (ko) 기존옹벽에 시공되는 익스펜디드메탈을 이용한 입면녹화 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1582865B1 (ko) 지반 토사 유실방지를 위한 다기능 식생프레임 구조체
KR101489443B1 (ko)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KR101012655B1 (ko) 옹벽용 식생블록
KR100840155B1 (ko) 간벌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옹벽 및 비탈면 보강용 앵커시스템
CN106760593B (zh) 一种石砌墙体加强方法
KR100968518B1 (ko)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JP2008301732A (ja) 芝生舗装用基盤材、及びその芝生舗装用基盤材を用いた芝生の施工方法
KR100941783B1 (ko) 이동고정식 사계절녹화 방음벽
KR200399770Y1 (ko) 모자이크 식 시공 판 및 압착 핀을 접착한 내.외장재.
JPS6011168Y2 (ja) 法面用土留壁構造体
KR20090096077A (ko)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및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
KR101134536B1 (ko) 비탈면 보호를 위한 조립식 수목옹벽
KR200376910Y1 (ko) 식생반이 부설된 방음벽
JP2011043040A (ja) 緑化舗装、緑化パネル並びに緑化パネル用枠体
KR200361092Y1 (ko) 도로 사면 녹화용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
KR20040102865A (ko) 식생이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패널
JP5890343B2 (ja) 階段植栽ブロック工法
KR19990075158A (ko) 자연석만을 이용한 보강토옹벽의 구축공법및 그 구축구조
KR100547476B1 (ko) 인장재와 뿌리식물에 의한 성토사면에서의 식생지반보강공법
KR200387012Y1 (ko) 조경 겸용 조립식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