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443B1 -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443B1
KR101489443B1 KR20130070124A KR20130070124A KR101489443B1 KR 101489443 B1 KR101489443 B1 KR 101489443B1 KR 20130070124 A KR20130070124 A KR 20130070124A KR 20130070124 A KR20130070124 A KR 20130070124A KR 101489443 B1 KR101489443 B1 KR 101489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wall
hole
planting hol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0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246A (ko
Inventor
이희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환경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환경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환경디자인
Priority to KR20130070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443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or the like

Abstract

표면에 자연석 무늬가 구현된 판상의 인조석 복수개를 벽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지면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상호 밀착되도록 적층시켜 벽체를 축조하는 벽체축조단계와, 상기 벽체와 벽면 사이에 토양층이 형성되도록 토양을 충진하는 토양충진단계와, 상기 벽체 전방으로부터 상기 토양 속으로 수목을 식재하는 수목식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벽체에는 상기 인조석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제1식재홀과, 상기 인조석의 모서리 쪽에 모따기 형태로 마련된 식재부를 통해 형성되는 제2식재홀이 마련되고, 상기 벽체축조단계에서는 상기 인조석들의 세움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식재홀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CONSTRUCTING METHOD FOR VERTICAL ROCK WALL}
본 발명은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경을 목적으로 벽면 전방에 수직으로 시공되는 수직형 산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면의 녹화에는 벽면 전체가 덩굴로 덮여지도록 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벽면 전체를 단순히 덩굴로 덮는 방식의 경우 수목을 심는 것에 비해 자연적인 조경미를 추구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근래에는 벽면의 자연적인 조경미를 살리기 위해 벽면 전방으로 수목이 식재된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들이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12603호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조경용 벽체의 경우 상부로 개방된 화분형태의 동일한 블록들을 통해 축조되기 때문에, 자연적인 녹화환경을 연출하는데 여전히 한계가 있었다.
또한 개별 블록들의 상부를 통해 수목이 식재되는 조경용 벽체는 수목을 일률적이고 단조롭게 배치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다양한 조경을 연출하는데도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수직형으로 적층되는 벽체의 경우 토양과 수목으로 인해 전방으로 전도될 우려가 커지기 때문에, 시공 후 잦은 보수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자연적인 벽체의 느낌을 구현할 수 있도록 마련됨은 물론 시공과정에서 식재되는 수목의 배치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 수직형 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수목 및 수목의 식재를 위한 토양으로 인해 전도될 우려 적은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른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은 표면에 자연석 무늬가 구현된 판상의 인조석 복수개를 벽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지면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상호 밀착되도록 적층시켜 벽체를 축조하는 벽체축조단계와, 상기 벽체와 벽면 사이에 토양층이 형성되도록 토양을 충진하는 토양충진단계와, 상기 벽체 전방으로부터 상기 토양 속으로 수목을 식재하는 수목식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벽체에는 상기 인조석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제1식재홀과, 상기 인조석의 모서리 쪽에 모따기 형태로 마련된 식재부를 통해 형성되는 제2식재홀이 마련되고, 상기 벽체축조단계에서는 상기 인조석들의 세움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식재홀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조석은 다수의 철근에 의해 마련된 내부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을 내부에 매몰된 상태로 감싸도록 콘크리트를 통해 성형되고 외면이 자연석 질감의 요철면으로 마련된 몸체와, 일단은 상기 몸체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 배면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철근 및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벽체축조단계에서 각각의 상기 인조석은 상기 벽면에 고정된 앵커에 상기 고정철근을 용접시켜 상기 벽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호 인접한 상기 인조석 사이는 각각의 상기 고정볼트를 그 배면 사이에 지지되는 연결용 와셔에 고정시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철근의 일단은 상기 내부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앵커에 상기 고정철근이 용접된 상태에서 상기 인조석과 벽면 사이로 위치되는 부위의 상기 고정철근과 앵커에는 부식방지를 위한 수지층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인조석은 다수의 철근에 의해 마련된 내부프레임과, 상기 인조석의 외형을 이루도록 상기 내부프레임을 내부에 매몰된 상태로 감싸도록 콘크리트를 통해 사각판상 형태로 성형되고 외면이 자연석 질감의 요철면으로 마련된 몸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식재홀은 하나의 상기 절취부로 형성되는 소형식재홀과, 복수의 상기 절취부가 연합되어 마련된 대형식재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는 모서리 쪽으로 절취부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절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모서리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서리 결합부는 상기 식재부를 구비하는 제1모서리 결합부와, 상기 절취부를 메울 수 있도록 마련된 제2모서리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벽체축조단계 이전에는 식재홀 셋팅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식재홀 셋팅단계에서 상기 절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모서리 결합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절취부에는 결합구멍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모서리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구멍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구멍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서리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 전방으로 걸려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멍은 상기 내부프레임과 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결합구멍에 결합된 상기 결합돌기 단부는 상기 결합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프레임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식재홀은 상기 제1식재홀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1모서리 결합부 배면에는 상기 제2식재홀에 식재되는 수목의 뿌리가 상기 토양층 하부 쪽으로 성장하도록 상기 뿌리의 성장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뿌리의 가이드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식재홀 배면 쪽을 상기 식재홀과 이격된 상태로 가릴 수 있도록 마련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을 상기 제1모서리 결합부에 연결시키도록 마련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식재부 둘레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제1결합부와, 상기 가이드판 배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제2결합부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이음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모서리 결합부와 가이드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인조석은 상기 제1식재홀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제1식재홀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막음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벽체축조단계 이전에는 식재홀 셋팅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식재홀 셋팅단계에서 상기 제1식재홀은 상기 막음부재의 결합 유무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인조석은 다수의 철근이 격자를 이루도록 연결되어 마련된 내부프레임과, 상기 인조석의 외형을 이루도록 상기 내부프레임을 내부에 매몰된 상태로 감싸도록 콘크리트를 통해 사각판상 형태로 성형되고 외면이 자연석 질감의 요철면으로 마련된 몸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격자 사이를 통해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에는 안쪽으로 상기 제1식재홀이 형성된 회전부재가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식재홀은 상기 몸체의 두께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벽체축조단계 이전에는 식재홀 셋팅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식재홀 셋팅단계에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1식재홀이 상기 토양층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회전각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을 통해 시공되는 산벽은 벽체가 자연석 형태의 인조석들을 통해 축조되어 자연적인 벽체의 느낌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며, 벽체 축조과정에서 인조석들의 세움방향에 따라 수목의 식재를 위한 제1 및 제2식재홀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조경을 목적으로 식재되는 수목의 배치구조를 보다 다양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에 따르면, 수직형 벽체를 벽면 전방에 안정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벽체와 벽면 사이의 토양층이 얇고 가볍게 구성되면서도 식재되는 수목의 뿌리로 인해 벽체가 전방으로 전도될 우려가 없게 되어 수직형 산벽을 보다 견고한 상태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에서 사용되는 인조석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조석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되는 산벽의 시공과정 중 벽체축조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3 상태의 벽체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되는 산벽의 시공과정 중 토양충진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되는 산벽의 시공과정 중 수목식재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 상태의 벽체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인조석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인조석의 구조 중 제1모서리 결합부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재의 구조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인조석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막음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인조석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회전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은 벽면에 수목이 식재된 수직형 산벽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벽면은 자연상태의 벽면은 물론 인공의 구조물이나 건축물의 벽면을 포함하고, 이러한 벽면에 시공되는 산벽의 벽체는 복수의 인조석을 통해 축조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석(10)은 다수의 철근(11a)에 의해 내부에 마련된 내부프레임(11)과, 내부프레임(11)을 내부에 매몰된 상태로 감싸도록 콘크리트를 통해 성형되는 몸체(12)를 구비하여 외형을 이룬다.
몸체(12)는 육면체 형태로써 대략 두께가 얇은 사각의 판상모양으로 마련되며, 내부프레임(11)은 상호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배열된 복수의 가로와 세로방향 철근(11a)을 통해 몸체(12)의 형태에 대응하는 골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몸체(12)는 외면이 자연석의 질감과 흡사한 요철면으로 이루어지며, 몸체(12) 외면에는 자연석 무늬를 나타내도록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인조석(10)은 전면이 평평한 암석형태로 마련된 거석형과, 다수의 호박돌이 배치된 호박돌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크기 역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철근(11a)으로 마련된 내부프레임(11) 둘레가 콘크리트재질의 몸체(12)로 둘러쌓인 인조석(10)은 자연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도록 마련되면서도 자연석보다 높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을 함께 참고해 보면, 수목을 식재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인조석(10)들을 통해 구성되는 벽체(1)에는 인조석(10)의 테두리 안쪽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제1식재홀(1a)과, 인조석(10)의 모서리 쪽에 모따기 형태로 마련된 식재부(13)를 통해 인조석(10) 사이에 마련되는 제2식재홀(1b)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인조석(10)을 관통하는 제1식재홀(1a)과, 인조석(10) 사이를 통해서도 식재가 되도록 하는 제2식재홀(1b)을 구비하는 벽체(1)는 자연스러운 조경환경을 연출하기 용이하게 되며, 벽체(1) 축조시 인조석(10)의 세움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식재홀(1a,1b)의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산벽에 식재되는 수목의 배치구조를 활용하여 산벽의 조경 디자인을 보다 다양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식재홀(1a,1b)은 벽체(1)를 축조하는 전체 인조석(10) 중 일부 인조석(10)에만 마련된 상태에서도 인조석(10)의 배치구조에 따라 다양한 위치로 위치가 변화되면서 산벽의 조경형태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2식재홀(1b)의 경우 하나의 식재부(13)를 통해 작게 형성되는 소형식재홀(2)과, 상호 인접된 인조석(10)의 복수의 식재부(13)가 연합되어 크게 형성되는 대형식재홀(3)을 포함하며, 대형식재홀(3)의 경우 2개 내지 4개의 식재부(13)를 통해 시공자가 원하는 다양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또 인조석(10)은 인조석(10)을 벽면(4)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철근(14)과, 산벽 시공과정에서 상호 인접한 인조석(10) 사이를 연결시키기 위한 고정볼트(15)를 구비한다.
고정철근(14)과 고정볼트(15)는 모두 한 쪽 단부가 몸체(12) 배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고정철근(14)의 경우 몸체(12) 내부 쪽 단부는 내부프레임(11)의 격사 사이에 걸리도록 연결되며, 고정볼트(15)는 머리부가 몸체(12) 내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인조석(10)을 만들 때는 먼저 인조석(10)의 외형에 해당하는 성형공간을 구비하는 성형틀을 제작하게 되하고, 성형공간 내부에는 내부프레임(11)을 설치한 상태에서 고정철근(14)들을 내부프레임(11)의 격자 사이에 걸어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성형틀은 제1식재홀(1a)과 식재부(13)의 유무에 따라 인조석(10)의 형태에 맞게 제작된다. 즉 제1식재홀(1a)이나 식재부(13)를 구비하는 인조석(10)을 제작하고자 할 경우 성형공간에는 제1식재홀(1a)을 성형하기 위한 제1식재홀 성형부와, 식재부(13)를 형성하기 위한 식재부 성형부를 각각 성형공간의 내측이나 모서리 쪽에 배치할 수 있겠다.
이후 몸체(12)를 성형하기 위해 성형공간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워 양생시키게 되며, 고정볼트(15)는 양생과정에서 머리부가 몸체(12) 내부로 삽입된다. 몸체(12)의 양생이 완료된 상태에서 성형틀로부터 분리된 인조석(10) 표면에는 다수회에 걸쳐 스프레이방식 등으로 도료 등을 분사하게 되며, 도색공정이 완료되어 외면이 자연석의 질감과 흡사한 요철면을 이루게 됨에 따라 인조석(10) 제조는 간단히 완료된다.
그리고 벽체(1)가 이와 같은 인조석으로 축조되는 산벽은 인조석(10) 복수개를 벽면(4)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지면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상호 밀착되도록 적층시켜 벽체(1)를 축조하는 벽체축조단계와, 벽체(1)와 벽면(4) 사이에 토양층(5)이 형성되도록 토양을 충진하는 토양충진단계와, 벽체(1) 전방으로부터 상기 토양층(5) 속으로 수목(6)을 식재하는 수목식재단계를 통해 시공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벽체축조단계에서는 벽면(4)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지면에 복수의 인조석(10)들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벽면(4)에는 인조석(10)의 고정을 위한 앵커(4a)가 고정되고, 인조석(10)은 배면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철근(14)을 벽면(4)에 고정된 앵커(4a)에 용접시킴에 따라 벽면(4)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된다. 미설명 부호 8은 벽체(1) 축조를 위해 지면에 세워진 벽체베이스를 가리키며, 또 다른 미설명 부호 9는 앵커(4a)와 고정철근(14) 사이를 용접시키기 위한 접합소재를 가리킨다.
또한 벽체축조단계에서 수평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인조석(10) 사이는 연결용 와셔(16)를 통해 서로 체결된 상태로 연결된다. 연결용 와셔(16)에는 한 쌍의 볼트체결공(16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고정볼트(15)가 해당 볼트체결홀(16a)에 끼워지도록 상호 인접한 인조석(10)의 배면 사이를 연결용 와셔(16)로 연결한 상태에서 각 고정볼트(15)에 체결와셔(17) 및 너트(18)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인조석(10) 사이는 상호 연결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인조석(10)의 배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용 와셔(16)는 산벽 전방으로 노출이 방지되어 산벽의 미관을 저해시키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벽체축조단계에서는 인조석(10)들의 세움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식재홀(1a,1b)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산벽의 조경환경을 시공자가 원하는 형태로 간편히 꾸밀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일부 인조석(10) 들의 세움방향에 따라 벽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식재홀(1a,1b)의 위치가 변화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산벽에 있어서 토양층(5)으로는 식재된 수목(6)의 생장 및 보존을 위해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우천시에도 토양층(5)에는 수분이 공급되는데, 토양층(7)으로 공급되는 물에 의해 벽면(4)과 벽체(1) 사이에 위치된 고정철근(14) 및 앵커(4a)나 고정볼트(15)가 부식될 경우에는 벽체(1)의 형태가 손상될 우려가 생기게 되고, 특히 인조석(10)을 벽면(4)에 고정시키는 고정철근(14)이나 앵커(4a)가 부식되어 손상될 경우에는 벽체(1)의 전도우려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벽체축조단계에서 인조석(10)과 벽면(4) 사이로 위치되는 부위의 고정철근(14)과 앵커(4a) 표면에는 부직방지를 위한 수지층(19)을 코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충진단계는 수목의 식재 환경을 조성을 위해 벽체(1)와 벽면(4) 사이에 토양을 충진하여 토양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토양충진단계는 벽체(1)가 완전히 축조된 상태에서 벽체(1)와 벽면(4) 사이에 한꺼번에 토양을 충진시키거나, 벽체(1) 축조 과정 도중에 수시로 축조 중인 벽체(1)와 벽면(4) 사이에 토양을 충진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토양충진단계에서 충진되는 토양은 벽체(1)와 벽면(4) 사이 토양층(5)이 가벼우면서도 얇게 시공되도록 함과 동시에 식재되는 수목(6)에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피트모스(peat moss)와, 경량토와, 부엽토가 배합된 배합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인 두께가 얇으면서도 경량으로 구성된 토양층(5)은 수직으로 축조되는 벽체(1)가 토양층(5) 토사의 압력에 의해 과도한 하중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벽체(1)의 전도방지에도 기여하게 된다.
토양충진단계가 완료되면,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식재홀(1a,1b)에 수목(6)을 심어 산벽의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제1 및 제2식재홀(1a,1b)에 수목(6)을 식재할 때는 수목(6)의 가지 쪽이 벽체(1) 전면을 향하도록 수목(6)의 뿌리를 해당 식재홀(1a,1b) 안쪽의 토양층(5) 속으로 진입시켜 식재하게 된다. 이때 수목(6) 둘레와 식재홀(1a,1b) 사이의 간격이 넓을 경우 수목(6) 둘레의 식재홀(1a,1b)에는 토양층(5)의 토양이 식재홀(1a,1b)과 수목(6) 사이를 통해 벽체(1) 전면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 형태의 식생네트(1d)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른 인조석(20)의 구조가 도시된 도 8과 같이, 인조석(20)은 몸체(30)가 모서리 쪽으로 절취부(31a)를 구비하는 본체부(31)와, 절취부(31a)에 탁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모서리 결합부(32,3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서리 결합부(32,33)는 상기 식재부(13)를 구비하는 제1모서리 결합부(32)와, 상기 절취부(31a)를 메울 수 있도록 마련된 제2모서리 결합부(33)를 포함하여 2개의 타입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벽체축조단계 이전에는 식재홀(1a,1b)의 셋팅을 위한 식재홀 셋팅단계가 추가되며, 식재홀 셋팅단계에서는 상기 절취부(31a)에는 제1 및 제2모서리 결합부(32,33)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조석(20)의 구조와 식재홀 셋팅단계를 통해 식재홀(1a,1b)과 관련하여 인조석(20)을 동일한 타입들로 구성한 상태에서도 식재홀(1b)의 유무와 숫자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체부(31)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31a)에는 복수의 결합구멍(41)이 마련되고, 모서리 결합부(32,33)에는 상기 결합구멍(41)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복수의 결합돌기(42)가 마련된다. 양쪽으로 배치된 복수의 결합구멍(41)에 복수의 결합돌기(42)가 동시에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구멍(41)과 결합돌기(42)의 방향은 몸체(30)의 대각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돌기(42)가 상기 결합구멍(41)에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모서리 결합부(32,33)는 본체부(31)에 대해 전방으로 걸려 지지됨으로써, 산벽의 시공과정이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본체부(31)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없게 된다.
모서리 결합부(32,33)가 본체부(31)의 절취부(31a)에 보다 견고할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구멍(41)은 본체부(31) 내부의 내부프레임(11)과 통하도록 마련되고, 결합구멍(41)에 결합된 결합돌기(42) 단부는 결합구멍(41)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프레임(11)에 걸리도록 마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식재홀 셋팅단계에서 절취부(31a)와 모서리 결합부(32,33) 사이의 접촉면은 접착제를 통해 상호 간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식재홀(1a,1b) 중에는 인조석(20)의 모서리 쪽을 통해 형성되는 제2식재홀(1b)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마련되고, 이에 따라 제2식재홀(1b)을 통해서는 다소 굵은 수목(6)을 심을 수 있게 되는데, 규모가 큰 수목(6)의 경우 식재홀(1b) 안쪽의 토양층(5)으로 진입된 뿌리가 식재과정이나 성장과정에서 벽면(4) 쪽으로 뻗어나가게 되면서 산벽의 전보방향을 벽면(4)을 밀게 우려가 생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식재된 수목의 뿌리로 인해 산벽의 전도가능성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모서리 결합부(32) 배면으로 제2식재홀(1b)에 식재되는 수목(6)의 뿌리가 토양층(5) 하부 쪽으로 성장하도록 뿌리의 성장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50)가 마련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50)는 식재홀(1b) 배면 쪽을 식재홀(1b)과 이격된 상태로 가릴 수 있도록 마련된 가이드판(51)을 구비하여 실질적인 뿌리의 가이드 작용을 수행하게 되며, 가이드판(51)은 연결부(52)를 통해 제1모서리 결합부(32)에 연결된다.
연결부(52)는 식재부(13) 둘레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제1결합부(52a)와, 가이드판(51) 배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제2결합부(52b), 제1 및 제2결합부(52a,52b) 사이를 연결하는 이음부(52c)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벽체축조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인조석(20)의 세움방향에 따라 제2식재홀(1b)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가이드판(51)을 통해 제2식재홀(1b)로 식재되는 수목(6)의 뿌리를 토양층(5) 하방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이음부(52c)는 대략 ‘ㄷ'자 형태로 마련되며, 제1 및 제2결합부(52a,52b)는 각각 제1모서리 결합부(32)와 가이드판(5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제1 및 제2결합부(52a,52b)의 경우 통상의 회전힌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인조석(20)에는 제1식재홀(1a)을 선택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제1식재홀(1a)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막음부재(6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인조석 셋탕단계에서는 인조석(20)에 형성되는 제1식재홀(1a)을 막음부재(60)를 통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폐쇄시킴에 따라 인조석(20)에 형성되는 제1식재홀(1a)의 수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막음부재(60)는 제1식재홀(1a)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막음부(61)와, 제1식재홀(1a) 둘레의 인조석(20)에 걸리도록 마련된 걸림부(62)를 구비하며, 산벽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막음부재(60)가 산벽 전방으로 이탈될 우려가 없도록 식재홀 셋팅단계에서 막음부재(60)는 제1식재홀(1a) 배면 방향으로부터 제1식재홀(1a)로 삽입되도록 끼워지게 된다.
또 제2식재홀(1b)에 비해 구경이 작은 제1식재홀(1a)을 통해서는 제2식재홀(1b)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수목(6)이 식재도리 수 있으므로, 제21재홀(1a)은 수목식재단계에서 별도의 식생네트(1d)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제1식재홀(1a)을 통해 토양층(5)의 토양이 유실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식재홀(1a)은 인조선(20) 전면으로부터 배면 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는 제3실시예에 따른 인조석의 요부 구조가 도시된다. 벽체축조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인조석(70)의 세움방향에 따라 인조석(70)의 자세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제1식재홀(1a)을 인조석(70) 전면으로부터 배면 쪽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몸체(30)에는 내부프레임(11)의 격자 사이를 통해 몸체(30)를 관통하는 관통홀(71)이 마련되고, 관통홀(71)에는 안쪽으로 제1식재홀(1a)이 형성된 회전부재(80)가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식재홀(1a)은 인조석(70)의 두께방향에 대해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고, 식재홀 셋팅단계 회전부재(80)는 제1식재홀(1a)이 토양층(5)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회전각이 조절된다. 이때도 식재홀 셋팅단계에서 상기 제1식재홀(1a)에는 막음부재(60)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재홀 셋팅단계를 더 구비하여 제1 및 제2식재홀(1a,1b)의 숫자나 유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경우 시공되는 산벽의 조경을 보다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게 된다.
1: 벽체 1a: 제1식재홀
1b: 제2식재홀 4: 벽면
10,20,70: 인조석 11: 내부프레임
12,30: 몸체, 13: 식재부
14: 고정철근 15: 고정볼트
16: 연결용 와셔 19: 수지층
31: 본체부 32: 제1모서리 결합부
33: 제2모서리 결합부 41: 결합구멍
42: 결합돌기 50: 가이드부재
51: 가이드판 52: 연결부
52a: 제1결합부 52b: 제2결합부
52c: 이음부 60: 막음부재
61: 막음부 62: 걸림부
80: 회전부재

Claims (11)

  1. 표면에 자연석 무늬가 구현된 판상의 인조석 복수개를 벽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지면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상호 밀착되도록 적층시켜 벽체를 축조하는 벽체축조단계와, 상기 벽체와 벽면 사이에 토양층이 형성되도록 토양을 충진하는 토양충진단계와, 상기 벽체 전방으로부터 상기 토양 속으로 수목을 식재하는 수목식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벽체에는 상기 인조석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제1식재홀과, 상기 인조석의 모서리 쪽에 모따기 형태로 마련된 식재부를 통해 형성되는 제2식재홀이 마련되고,
    상기 벽체축조단계에서는 상기 인조석들의 세움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식재홀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석은 다수의 철근에 의해 마련된 내부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을 내부에 매몰된 상태로 감싸도록 콘크리트를 통해 성형되고 외면이 자연석 질감의 요철면으로 마련된 몸체와, 일단은 상기 몸체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 배면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철근 및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축조단계에서 각각의 상기 인조석은 상기 벽면에 고정된 앵커에 상기 고정철근을 용접시켜 상기 벽면에 고정되고, 상호 인접한 상기 인조석 사이는 각각의 상기 고정볼트를 그 배면 사이에 지지되는 연결용 와셔에 고정시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철근의 일단은 상기 내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앵커에 상기 고정철근이 용접된 상태에서 상기 인조석과 벽면 사이로 위치되는 부위의 상기 고정철근과 앵커에는 부식방지를 위한 수지층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석은 다수의 철근에 의해 마련된 내부프레임과, 상기 인조석의 외형을 이루도록 상기 내부프레임을 내부에 매몰된 상태로 감싸도록 콘크리트를 통해 사각판상 형태로 성형되고 외면이 자연석 질감의 요철면으로 마련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식재홀은 하나의 상기 식재부로 형성되는 소형식재홀과, 복수의 상기 식재부가 연합되어 마련된 대형식재홀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모서리 쪽으로 절취부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절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모서리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서리 결합부는 상기 식재부를 구비하는 제1모서리 결합부와, 상기 절취부를 메울 수 있도록 마련된 제2모서리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벽체축조단계 이전에 이루어지는 식재홀 셋팅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재홀 셋팅단계에서 상기 절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모서리 결합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에는 결합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모서리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구멍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구멍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서리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 전방으로 걸려 지지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멍은 상기 내부프레임과 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결합구멍에 결합된 상기 결합돌기 단부는 상기 결합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프레임에 걸리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식재홀은 상기 제1식재홀보다 크게 마련되고,
    상기 제1모서리 결합부 배면에는 상기 제2식재홀에 식재되는 수목의 뿌리가 상기 토양층 하부 쪽으로 성장하도록 상기 뿌리의 성장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뿌리의 가이드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식재홀 배면 쪽을 상기 식재홀과 이격된 상태로 가릴 수 있도록 마련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을 상기 제1모서리 결합부에 연결시키도록 마련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식재부 둘레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제1결합부와, 상기 가이드판 배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제2결합부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이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모서리 결합부와 가이드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석은 상기 제1식재홀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제1식재홀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막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축조단계 이전에 이루어지는 식재홀 셋팅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식재홀 셋팅단계에서 상기 제1식재홀은 상기 막음부재의 결합 유무에 따라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석은 다수의 철근이 격자를 이루도록 연결되어 마련된 내부프레임과, 상기 인조석의 외형을 이루도록 상기 내부프레임을 내부에 매몰된 상태로 감싸도록 콘크리트를 통해 사각판상 형태로 성형되고 외면이 자연석 질감의 요철면으로 마련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격자 사이를 통해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안쪽으로 상기 제1식재홀이 형성된 회전부재가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식재홀은 상기 몸체의 두께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벽체축조단계 이전에 이루어지는 식재홀 셋팅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식재홀 셋팅단계에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1식재홀이 상기 토양층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회전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KR20130070124A 2013-06-19 2013-06-19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KR101489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124A KR101489443B1 (ko) 2013-06-19 2013-06-19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124A KR101489443B1 (ko) 2013-06-19 2013-06-19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246A KR20140147246A (ko) 2014-12-30
KR101489443B1 true KR101489443B1 (ko) 2015-02-05

Family

ID=5259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0124A KR101489443B1 (ko) 2013-06-19 2013-06-19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4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511B1 (ko) 2016-09-09 2019-1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코팅 장치
KR102570873B1 (ko) * 2023-04-13 2023-08-24 윤복모 식재 가능한 인조암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3818A (ja) * 1993-12-17 1995-07-11 Kyowa Concrete Kogyo Kk 多自然型ブロックによる法面体及びそれに使用する多自然型ブロック
KR20090093519A (ko) * 2008-02-29 2009-09-02 임종덕 식생용 블록과 그 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035411B1 (ko) 2010-06-14 2011-05-20 김득일 옹벽용 인공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9128B1 (ko) 2012-03-23 2013-03-07 주식회사 건화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3818A (ja) * 1993-12-17 1995-07-11 Kyowa Concrete Kogyo Kk 多自然型ブロックによる法面体及びそれに使用する多自然型ブロック
KR20090093519A (ko) * 2008-02-29 2009-09-02 임종덕 식생용 블록과 그 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035411B1 (ko) 2010-06-14 2011-05-20 김득일 옹벽용 인공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9128B1 (ko) 2012-03-23 2013-03-07 주식회사 건화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246A (ko)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7478C (en) Structure for creating housings for setting trees into the ground, and method for setting trees into the ground
KR100674635B1 (ko) 보강토 옹벽용 친환경 식생블록
KR101489443B1 (ko)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KR20090047094A (ko) 암사면에 대한 녹화시공방법
KR100935176B1 (ko) 도로사면 보호용 친환경 식생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41237B1 (ko) 조립식 식생 수로
US20030089031A1 (en) Edging border devices for plants, lawns and gardens
KR20150019110A (ko) 경사면용 계단식 식생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012655B1 (ko) 옹벽용 식생블록
FR2746126A1 (fr) Bloc paysager, element en beton colore destine a creer des murs paysagers, des talus paysagers, des jardinieres composees et des petits bassins
KR20070053922A (ko)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H0988074A (ja) 法面保護工法及び法枠部材
KR101041683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KR20090033581A (ko)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
KR100663257B1 (ko) 옹벽용 블록
JP2002161538A (ja) 植生型積みブロック
KR200366887Y1 (ko) 법면블럭 조립체
KR200340948Y1 (ko) 환경 보호용 식생 블록
KR100537957B1 (ko) 건축단지내 친환경적인 옹벽구조물
KR100590422B1 (ko) 사면 보호용 식생 블록
KR101297716B1 (ko) 사면보호용 친환경 식재방틀 및 그것을 이용한 시공구조
JP3920084B2 (ja) 切土補強面における植生構造
KR101070304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KR200409800Y1 (ko) 옹벽용 블록
JP2001348881A (ja) 法枠構造物及び法枠工法並びに枠内緑化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