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128B1 -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128B1
KR101239128B1 KR1020120029831A KR20120029831A KR101239128B1 KR 101239128 B1 KR101239128 B1 KR 101239128B1 KR 1020120029831 A KR1020120029831 A KR 1020120029831A KR 20120029831 A KR20120029831 A KR 20120029831A KR 101239128 B1 KR101239128 B1 KR 101239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stone
wall
rock
clim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혁
김종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화
박정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화, 박정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화
Priority to KR1020120029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4Gymnasiums; Other sporting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4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mountaineering, e.g. climbing-walls, grip elements for climbing-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석을 복제한 인조석으로 인공암벽을 구성하고 이끼, 수목, 운무장치 등이 함께 시공(施工)되어 천연암벽을 등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깨끗하게 청소된 자연석(1)의 표면에 겔(gel) 상태의 실리콘을 도포하여 경화시킨 후 실리콘 몰드(2)를 자연석(1)에서 분리하고, 경화된 실리콘 몰드(2) 내부에 몰탈 반죽물(3)을 투입하고, 반죽물(3)의 내부에 금속 고정구(11)를 매입하여 고정시킨 후 반죽물(3)이 경화되면 실리콘 몰드(2)를 분리하여 자연석(1) 무늬와 질감을 나타내는 인조석(人造石)을 완성하는 단계; 수직 구조물, 옹벽, 절개지로 구성된 기초 벽(20)의 전면에 프레임(31)들을 연속 결합하여 벽체 구조물의 외형을 형성하고, 프레임(31)들을 기초 벽(20)에 고정된 앵커볼트(21)와 연결하여 구조물의 골격프레임(3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인조석(10)의 고정구(11)를 골격프레임(30)에 연결수단(22)으로 연결하여 인조석(10)들이 골격프레임(30)에 연속 설치된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조석(10)들을 연결할 때 서로 겹쳐지는 부위에 형성되는 홀더(13)와, 인조석(10)을 성형할 때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홈 및 돌출부에 의한 홀더(13)가 연속되는 길을 이루는 등반루트를 형성하면서 등반루트에는 로프(rope)를 걸을 수 있는 고리용 볼트(12)를 박아 암벽등반 루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조석(10)에 수목(40), 이끼(41), 선태식물을 심어 자연을 조경하는 단계; 상기 인조석 벽체와 기초 벽(20)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充塡)하여 양생시키고, 콘크리트 충전층(50)에 의해 인조석(10) 벽체가 기초 벽(20)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Artificial rock wall construction method for rock climbing}
본 발명은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석을 복제한 인조석으로 인공암벽을 구성하고 이끼, 수목, 운무장치 등이 함께 시공(施工)되어 천연암벽을 등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벽등반(岩壁登攀)은 자연 또는 인공적인 암벽을 오르는 행위로 온몸운동이 되고 팔 다리의 근육강화에 좋아 현대에는 널리 각광받는 레저스포츠 중의 하나이다.
이중에서 인공암벽등반(sports climbing)은 자연 암벽등반에 비해 안전할 뿐만 아니라 날씨와 계절에 상관없이 즐길 수 있는 레저스포츠로 도시에도 많이 설치되어 있다.
인공암벽은 주로 건물 내·외벽 또는 별도의 구조물에 바위벽을 만들어 놓고 맨손으로 벽을 오르기 위하여 암벽에 인공홀드가 체결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인공암벽은 인공블록들을 연속 결합한 조립식 블록으로 구성되고, 인공홀드가 볼트와 너트로 체결된 인공 구조물로 구성된 것이므로 자연암벽을 등반하는 효과를 줄 수 없었으므로 암벽등반의 묘미가 반감되어 도심에서도 자연암벽을 즐길 수 있는 암벽 구조물이 요구되었다.
특히, 인공암벽은 인공홀드와 블록들이 연속 결합된 인공물로 구성되어 도시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자연적인 느낌을 줄 수 없었으므로 자연을 도심에 옮겨놓은 듯한 자연친화적인 암벽구조물을 제안하게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연석을 복제한 인조석으로 자연적인 암벽을 형성하고, 선태식물이나 수목을 조성하여 자연암벽을 등반하는 느낌을 줄 수 있는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깨끗하게 청소된 자연석(1)의 표면에 겔(gel) 상태의 실리콘을 도포하여 경화시킨 후 실리콘 몰드(2)를 자연석(1)에서 분리하고, 경화된 실리콘 몰드(2) 내부에 몰탈 반죽물(3)을 투입하고, 반죽물(3)의 내부에 금속 고정구(11)를 매입하여 고정시킨 후 반죽물(3)이 경화되면 실리콘 몰드(2)를 분리하여 자연석(1) 무늬와 질감을 나타내는 인조석(人造石)을 완성하는 단계; 수직 구조물, 옹벽, 절개지로 구성된 기초 벽(20)의 전면에 프레임(31)들을 연속 결합하여 벽체 구조물의 외형을 형성하고, 프레임(31)들을 기초 벽(20)에 고정된 앵커볼트(21)와 연결하여 구조물의 골격프레임(3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인조석(10)의 고정구(11)를 골격프레임(30)에 연결수단(22)으로 연결하여 인조석(10)들이 골격프레임(30)에 연속 설치된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조석(10)들을 연결할 때 서로 겹쳐지는 부위에 형성되는 홀더(13)와, 인조석(10)을 성형할 때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홈 및 돌출부에 의한 홀더(13)가 연속되는 길을 이루는 등반루트를 형성하면서 등반루트에는 로프(rope)를 걸을 수 있는 고리용 볼트(12)를 박아 암벽등반 루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조석(10)에 수목(40), 이끼(41), 선태식물을 심어 자연을 조경하는 단계; 상기 인조석 벽체와 기초 벽(20)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充塡)하여 양생시키고, 콘크리트 충전층(50)에 의해 인조석(10) 벽체가 기초 벽(20)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인공암벽을 구성하는 인조석(10)들은 자연바위의 무늬 결을 그대로 복제하여 자연바위와 가장 가까운 형태의 인조석으로 제작된 것이므로 천연암벽을 등반하는 느낌과 정취를 얻을 수 있고, 암벽등반(sports climbing)을 레저스포츠 활동으로 즐길 수 있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인공암벽과는 차별화 되는 고차원의 다기능 조경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골격프레임(30)에 인조석(10)들이 연속 설치되어 높은 구조물의 인공자연을 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안개가 서린 고산지대(高山地帶)의 경관이나 기둥모양의 주상절리(柱狀節理), 폭포가 떨어지는 자연의 장면을 자연스럽게 연출하므로 축소된 자연(自然)을 도시(都市)에 재현하여 전원적인 도시환경을 창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연친화적인 생태환경(生態環境)을 조성하고, 암벽등반과 같은 레저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인공조경물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a∼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인조석의 제조단계를 순차적으로 나열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일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일부 확대단면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자연석(1)을 표면을 깨끗하게 청소 후 도 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연석(1)의 표면에 겔(gel) 상태의 실리콘을 도포하여 경화시킨 다음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몰드(2)를 자연석(1)에서 분리하였다.
이어서, 도 2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된 실리콘 몰드(2) 내부에 몰탈 반죽물(3)을 투입하고, 반죽물(3)의 내부에 금속 고정구(11)를 매입하여 고정시킨 후 일정시간이 지나 반죽물(3)이 경화되면 도 2e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몰드(2)를 분리하면 자연석(1)의 무늬와 질감을 나타내는 인조석(10)이 완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몰드(2)의 내부 바닥에 이끼(41)를 넣은 후 몰탈 반죽물(3)을 투입하여 완성된 인조석(10)에 이끼(41)가 일체로 심어지도록 하여 인조석(10)을 제작할 수도 있다.
이때, 자연석(自然石)의 형태에 따라 크랙이 발생된 홈 부위 및 돌출부에 의하여 자연적인 홀더(13)가 형성된다.
물론, 블록 형태로 결합되는 모든 인조석(10)에 홀더(13)가 형성되지는 않고, 등반루트를 형성하는 부위에 결합되는 인조석들에 선택적으로 홀더가 형성된다. 홀더(13)가 형성된 부위의 내부에는 금속 심재(13a)가 삽입되어 홀더(13)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구조물, 옹벽, 절개지 등으로 구성된 기초 벽(20)의 전면에 프레임(31)들을 연속 결합하여 벽체를 이루는 구조물의 외형을 따라 골격프레임(30)을 형성하였다.
상기 골격프레임(30)은 기초 벽(20)에 매입되어 고정된 앵커볼트(21)와 결합되고, 앵커볼트(21)와 골격프레임(30)이 너트로 결합되거나 용접되어 고정된다.
조립이 완료된 골격프레임(30)에 인조석(10)을 연속 부착하여 벽체를 형성하였으며, 인조석(10)에 일체로 고정된 고정구(11)를 골격프레임(30)과 연결수단(22)으로 연결하여 벽체를 형성하였다.
상기 연결수단(22)은 금속 연결봉을 고정구(11)와 골격프레임(30)에 나사 결합하여 체결하거나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때, 사방으로 연속되는 벽체들 중에서 일부 구간에서는 등반루트를 형성하였고, 등반루트에는 소정의 간격을 이루어 홀더(13)가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고리용 볼트(12)를 박아 등산로프인 자일(Seil)을 걸어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홀더(13)는 인조석(10)을 성형할 때 크랙이 발생된 홈 부위 및 돌출부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형성되고, 인조석(10)들을 연결할 때 서로 겹쳐지는 부위에 홈과 돌출부가 형성되어 홀더(13)가 인위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13)가 형성된 인조석(10)들을 결합하여 등반루트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인조석(10)에 화분(40a)과 수목(40)을 심고, 이끼(41)와 선태식물을 심어 기암절벽(奇巖絶壁)과 천연절경을 인조석으로 조경하였다.
이어서, 상기 인조석 벽체와 기초 벽(20) 사이에 콘크리트를 분시하여 충전(充塡)하였으며 2∼4일 양생(養生)시켜 견고하게 고정하였다.
상기 콘크리트 충전층(50)에 의해 인조석(10) 벽체가 기초 벽(20)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여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을 완료하였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인조석(10)에 운무장치를 설치하여 안개가 서린 장관을 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조석(10)을 관통하여 결합된 분사관(42)의 노즐(42a)을 통해 물이 안개처럼 분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분사관(42)에는 호스(42b)와 펌프(도시하지 않았음)가 접속되어 수조의 물이 분사관(42)으로 공급되고, 물을 펌핑하여 수목(40), 이끼(41), 선태식물등에 수분을 분무하여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함께 안개가 서린 장관을 연출하는 복합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인공암벽을 구성하는 인조석(10)들은 자연바위의 무늬 결을 그대로 복제하여 자연바위와 가장 가까운 형태의 인조석으로 제작된 것이므로 천연암벽을 등반하는 느낌과 정취를 얻을 수 있고, 암벽등반(sports climbing)을 레저스포츠 활동으로 즐길 수 있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인공암벽과는 차별화 된 고차원의 다기능 조경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골격프레임(30)에 가벼운 중량의 인조석(10)들이 연속 설치되어 높은 구조물의 인공자연을 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안개가 서린 고산지대(高山地帶)의 경관이나 기둥모양의 주상절리(柱狀節理), 폭포가 떨어지는 자연의 장면을 자연스럽게 연출하므로 축소된 자연(自然)을 도시(都市)에 재현하여 전원적인 도시환경을 창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연친화적인 생태환경(生態環境)을 조성할 수 있는 동시에 암벽등반과 같은 레저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자연석 2 : 실리콘 몰드
3 : 반죽물 10 : 인조석
11 : 고정구 12 : 고리용 볼트
13 : 홀더 13a :심재
20 : 기초벽 21 : 앵커볼트
22 : 연결수단 30 : 골격프레임
31 : 프레임 40 : 수목
40a :화분 41 : 이끼
42 : 분사관 42a : 노즐
42b : 호스 50 : 콘크리트 충전층

Claims (3)

  1. 깨끗하게 청소된 자연석(1)의 표면에 겔(gel) 상태의 실리콘을 도포하여 경화시킨 후 실리콘 몰드(2)를 자연석(1)에서 분리하고, 경화된 실리콘 몰드(2) 내부에 몰탈 반죽물(3)을 투입하고, 반죽물(3)의 내부에 금속 고정구(11)를 매입하여 고정시킨 후 반죽물(3)이 경화되면 실리콘 몰드(2)를 분리하여 자연석(1) 무늬와 질감을 나타내는 인조석(人造石)을 완성하는 단계;
    수직 구조물, 옹벽, 절개지로 구성된 기초 벽(20)의 전면에 프레임(31)들을 연속 결합하여 벽체 구조물의 외형을 형성하고, 프레임(31)들을 기초 벽(20)에 고정된 앵커볼트(21)와 연결하여 구조물의 골격프레임(3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인조석(10)의 고정구(11)를 골격프레임(30)에 연결수단(22)으로 연결하여 인조석(10)들이 골격프레임(30)에 연속 설치된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조석(10)들을 연결할 때 서로 겹쳐지는 부위에 형성되는 홀더(13)와, 인조석(10)을 성형할 때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홈 및 돌출부에 의한 홀더(13)가 연속되는 길을 이루는 등반루트를 형성하면서 등반루트에는 로프(rope)를 걸을 수 있는 고리용 볼트(12)를 박아 암벽등반 루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조석(10)에 수목(40), 이끼(41), 선태식물을 심어 자연을 조경하는 단계;
    상기 인조석 벽체와 기초 벽(20)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充塡)하여 양생시키고, 콘크리트 충전층(50)에 의해 인조석(10) 벽체가 기초 벽(20)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3)의 내부에는 금속 심재(13a)가 삽입되어 홀더(13)의 내구성이 높아지고,
    상기 연결수단(22)은 금속 연결봉을 고정구(11)와 골격프레임(30)에 나사 결합하여 체결하거나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석(10)을 관통하여 결합된 분사관(42)의 노즐(42a)을 통해 물이 안개처럼 분무되고, 분사관(42)에는 호스(42b)와 펌프가 접속되어 수조의 물이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
KR1020120029831A 2012-03-23 2012-03-23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 KR101239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831A KR101239128B1 (ko) 2012-03-23 2012-03-23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831A KR101239128B1 (ko) 2012-03-23 2012-03-23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9128B1 true KR101239128B1 (ko) 2013-03-07

Family

ID=4818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831A KR101239128B1 (ko) 2012-03-23 2012-03-23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12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458B1 (ko) * 2013-06-27 2014-03-13 윤복모 대형구조의 인조암 시공방법
KR101489443B1 (ko) 2013-06-19 2015-02-05 주식회사 한일환경디자인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KR101537110B1 (ko) * 2015-03-18 2015-07-16 박노영 수직 조경 조형장치
KR20200095680A (ko) 2019-02-01 2020-08-11 이현주 앱을 이용하여 관리되는 조경석
KR20200097117A (ko) 2019-02-07 2020-08-18 이현주 솔라셀 전원을 활용하고 앱으로 제어되는 조명수단을 일체로 구비한 조경석
KR102358501B1 (ko) 2021-05-27 2022-02-09 김동주 인공 암벽등반 시스템
US11525262B2 (en) * 2017-07-25 2022-12-13 Everlast Climbing Industries, Inc. Climbing wall assembli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79B1 (ko) 2007-01-15 2007-06-07 에스케이월(주) 등반용 인공암벽의 설치구조시스템
KR100972125B1 (ko) 2008-03-13 2010-07-23 김창주 암벽등반용 사출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79B1 (ko) 2007-01-15 2007-06-07 에스케이월(주) 등반용 인공암벽의 설치구조시스템
KR100972125B1 (ko) 2008-03-13 2010-07-23 김창주 암벽등반용 사출패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443B1 (ko) 2013-06-19 2015-02-05 주식회사 한일환경디자인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KR101373458B1 (ko) * 2013-06-27 2014-03-13 윤복모 대형구조의 인조암 시공방법
WO2014209018A1 (ko) * 2013-06-27 2014-12-31 Yoon Bok Mo 대형구조의 인조암 시공방법
KR101537110B1 (ko) * 2015-03-18 2015-07-16 박노영 수직 조경 조형장치
US11525262B2 (en) * 2017-07-25 2022-12-13 Everlast Climbing Industries, Inc. Climbing wall assemblies
KR20200095680A (ko) 2019-02-01 2020-08-11 이현주 앱을 이용하여 관리되는 조경석
KR20200097117A (ko) 2019-02-07 2020-08-18 이현주 솔라셀 전원을 활용하고 앱으로 제어되는 조명수단을 일체로 구비한 조경석
KR102358501B1 (ko) 2021-05-27 2022-02-09 김동주 인공 암벽등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128B1 (ko)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암벽등반용 인공조경물의 시공방법
CN106088109B (zh) 废弃矿坑边坡生态恢复覆绿的施工方法
CN204780949U (zh) 岩石边坡植生混凝土与塑石结合生态景观防护结构
CN104604560A (zh) 树苗移栽钵景观造型培育方法
KR101275618B1 (ko) 자연을 도입한 열주형 조형석산 및 이의 조성방법
CN107268834A (zh) 无构造柱组合镂空清水砖墙及其施工方法
KR100904044B1 (ko) 축소된 자연 재현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78989B1 (ko) 발파 사면의 인공 녹화 암벽 및 그 시공방법
US9896834B1 (en) Tree house elevated in a simulated tree, and method of making
KR100773764B1 (ko) 인공암 기술을 이용한 어도 블록 제조 공정
KR101172009B1 (ko) 인조석을 이용한 조경시스템
KR101279945B1 (ko) 옹벽조경물의 시공방법
KR101172007B1 (ko) 인조석의 제조방법
CN106626049A (zh) 水泥桩及其制作方法
KR101341982B1 (ko) 인공폭포에 사용되는 인공암의 제조방법
CN208469434U (zh) 带山洞与溪水坡道叠石假山
CN217104579U (zh) 一种绿化景观木栈道结构
KR102260354B1 (ko) 축경식 산수조형물
CN103583251A (zh) 整体预制空中花盆、内外压力管
CN104719031A (zh) 一种公交站台景观构架
CN203424057U (zh) 一种植物花架
KR200219273Y1 (ko) 기능형 인조 소나무 가로수등(가로수+가로등)의 조형물
JPH11151040A (ja) 産業廃棄物をリサイクルしての植生環境擬石製品の製造方法
JP3164196U (ja) 立体壁庭
JP2018118436A (ja) 自然石風な造形体の製造方法及び造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