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273Y1 - 기능형 인조 소나무 가로수등(가로수+가로등)의 조형물 - Google Patents

기능형 인조 소나무 가로수등(가로수+가로등)의 조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273Y1
KR200219273Y1 KR2020000026912U KR20000026912U KR200219273Y1 KR 200219273 Y1 KR200219273 Y1 KR 200219273Y1 KR 2020000026912 U KR2020000026912 U KR 2020000026912U KR 20000026912 U KR20000026912 U KR 20000026912U KR 200219273 Y1 KR200219273 Y1 KR 200219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street
pine
trees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숙
Original Assignee
박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숙 filed Critical 박정숙
Priority to KR2020000026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273Y1/ko

Links

Abstract

다기능화된 대형 인조 소나무를 금형을 이용한 성형물과 다양한 기능장치를 사용하여 제작후 등을 설치하는 것.
즉, 내부는 철근, 파이프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로 골격을 유지하고 외부는 금형으로 사출 성형된 표피와 솔잎을 이용하여 설치하며 기능작용은 산소배출, 공기정화, 솔내음향, 야광발화작용을 해주는 장치와 물질을 사용하여 인조소나무를 제작하여 등을 설치한 가로수 등을 개발한다
본고안은 나무의 형태 .기능작용. 가로등으로 3구분하여 구성하며 나무의 형태중 뿌리 부분은 철근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로 양성시키고 기둥은 철근(H빔), 파이프 기둥 골격을 형성한후 콘크리트로 양성한다
줄기는 철근으로 기둥과 연결하여 여러 형태의 모양으로 나무 전체의 뼈대를 형성한다
나무의 외부중 줄기와 가지 부분은 솔가지를 여러개 연결시켜 큰가지를 만들고 큰가지를 줄기에 연결시킨후 엷은 고무 표피로 감싸 마무리한다
기둥은 두께가 각각 다른 여러 모양의 표피를 단계별로 붙여 마무리한다
기능작용중 산소배출기능, 공기정화기능, 솔내음향 배출 기능 등은 나무의 내부에 동력 및 센서기능 장치를 설치하고 변색작용과 야광 발화 작용은 화학물질을 솔잎과 표피에 사용한다.
가로등 부분은 나무의 내부에 파이프를 설치하여 전선을 등이 설치된 부분까지 연결시켜 가로등 기능을 한다
본고안은 기술이 세밀하여 실물보다 아름답고 웅장하며 기능작용능력은 자연 노송보다 월등하여 인간에게 감동을 주고, 공기를 맑게 하여 살아 숨쉬는 나무로써 인체와 환경에 유익하며 가로수와 가로등 기능을 동시에 할수 있는 자연 친화적 조형물이다
본고안은 지구상의 부족한 자연을 보충하며 특히 환경, 자연, 문화예술 관광자원, 조경분야에 획기적이며 내수 및 수출을 통한 경제성이 충분하다

Description

기능형 인조 소나무 가로수 등(가로수+가로등)의 조형물{.}
본고안은 기능화된 대형(1층∼20층높이) 청솔 및 황금 소나무를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된 제조물과 다양한 기능 장치를 사용하여 제작후 가로등을 설치한 조형물
나무의 내부중 뿌리와 기둥 부분은 철근(H빔),철사망,석고붕대를 사용한 구조물내에 배합된 콘크리트를 양성시키고 나무의 외부는 나무,연질프라스틱,고무,참숯,에프알피등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된 여러 종류의 표피와 솔가지를 사용하여 나무의 외형을 완성시키고 기능 작용중 내부에는 산소배출장치, 공기정화장치, 솔내음향배출장치를 설치하고 야광발화작용과 변색작용을 할 수 있는 화학물질을 표피와 솔잎에 사용하여 오래된 청솔나무와 황금소나무를 가로수에 적합한 형태로 제조하여 가로등을 설치한 가로수등 기능을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렇게 다양한 기능 작용을 나타나게 하는 인조 노송 또는 인조나무와 가로등을 결합한 형태의 가로수등은 없다
다만[도1] 에서와 같이 파이프기둥에 등을 부착시킨 형태의 가로등이 있다
종래의 기술과 형태에 의한 가로등은 등으로서의 역할만 할뿐 환경 친화적 이거나 자연친화적인 면에서는 오히려 삭막하였을 뿐아니라 동시에 여러 유익한 기능을 나타낼수는 없었다
본 고안은 종래에는 없는 인조나무를 금형을 이용한 기술과 산소배출. 공기정화. 솔내음향 배출. 야광발화 등의 다양한 작용을 나타내는 기능장치를 사용하여 인조 소나무를 제작한후 등을 설치할수 있는 가로수와 가로등 기능을 동시에 나타나게 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제 1 도 : 종래의 일반적인 가로등
(제 2도에서 9도까지는 본발명에 따른 설명도임)
제 2 도 : 가로수등을 4 구분하여 내부구조물을 투시한 구성도
제 3 도 : 기둥내부의 구조를 표시한 기둥의 단면도
제 4 도 : 금형을 이용 제조된 8종류 표피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 5 도 : 기둥 상단부와 줄기를 감을 표피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 6 도 : (제 5 도)를 감은후 부착할 마무리 표피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 7 도 : 솔가지와 가지 굵기를 조절할 스폰지 관
제 8 도 : 본고안의 완성된 가로수등의 사시도
제 9 도 : 기능장치의 출입구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종래의 가로등 구조도 (1-2-1)종래의 기둥 및 연결통로
(1-2-2)종래의 가로등 (10) 표피 (11) 석고 붕대 (12) 철사망
(13) 철근(H빔) (14) 배합된 콘크리트 (16) 가로수 (17) 전선통로
(18) 가로등 (19) 기능장치 (10-1)∼(10-8) 8종류의 표피 (19-1) 솔가지
(19-2) 가지 굵기를 조절할 스폰지관 (19-3) 솔가지를 여러개 연결한 큰가지
(8-1) 완성된 노송의 사시도 (8-2) 완성된 노송 내부의 기능장치 배치도
(8-1-1) 가로수에 부착된 등 (8-2-4) 가로수 내부의 전선통로
(8-2-1) 산소배출장치 (8-2-2) 공기 정화 장치 (8-2-3) 솔내음향 장치
(8-2-4) 동력유선연결부 (9-1) 기능장치 출입구의 측면도 (9-2) 기능장치출입구의 정면도
본고안은 철구조물과 나무, 연질프라스틱, 화학물질 등으로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된 제조물과 다양한 기능(산소배출, 공기정화, 솔내음향, 변색작용, 야광발화작용)장치를 사용하여 야외에 대형으로 청솔 및 황금 소나무를 제작한후 가로등을 설치하는 것으로 그전체를 인조소나무, 기능장치, 가로등 부분으로 구성한다
본고안은 구조물(제2도) 중 뿌리(16) 부분은 전체 나무 중량을 지탱할수 있도록 그 규모를 계산하여 철근 또는 H빔으로 설치하고 기둥(17)부분을 나무 높이의 ½∼⅔까지 철근(13)으로 노송형태의 기둥을 만들어 뿌리와 연결시킨후 뿌리부분인 바닥을 먼저 배합된 콘크리트로 양성시킨다
기둥(제3도) 중심부에 철근(13)을 적당히 교차하여 용접시키고 기능장치(8-2)를 설치하기 위하여 동력을 연결시킬수 있도록 피브이씨, 또는 동선파이프로 연결구(8-2-4)를 콘크리트를 양성할수 있는 상단부와 하단 부분까지 연결시킨다
기능장치 동력 연결구(8-2-4)가 연결된 후 철사망(12)으로 둘러싸서 고정시킨다
고정시킨 철사망 외부로 석고붕대(11)를 감은 후 물을 뿌려 굳게 한다
석고가 단단히 굳은후 배합된 콘크리트(14)를 사용해 기둥내부에 넣어 양성시킨다
기둥내부(17)가 완성된후 나머지 기둥 상단부와 줄기(18)를 다양한 노송형태로 철근을 사용하여 골격을 형성한다
양성된 기둥 상단부분 적당한 장소에 기능작용을 위한 산소배출장치(8-2-1) 공기정화장치(8-2-2) 솔내음향기능장치(8-2-3)를 설치하고 동력연결선을 연결구(8-2-4)로 삽입하여 밖으로 연결시킨다
솔가지(19-1)를 여러개 연결시켜 스폰지 관(19-2)으로 가지 굵기를 조절하여 끼워 넣은 뒤 엷은 표피(제5도)로 감아 큰가지를 만들고 큰가지를 수량을 조절하여 각 줄기에 연결 시킨다
두꺼운 표피(제4도)가 부착되지 않을 부분인 나무 높이의 ½∼⅔이상의 기둥부분과 줄기는 굵기에 따라 철사망(12)과 석고붕대(11) 및 줄기의 가는 부분에 끼울 스폰지 관(19-2)으로 마무리 한후 엷은 표피(제5도)로 겹치거나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밀착시켜 감아 준다
이때 기능장치를 부착할수 있는 위치에, (8-2) 부러진 줄기나 옹이 모양의 기능장치의 출입구(제9도)를 나사형식으로 만들어 기능을 발휘할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단부와 줄기가 마무리되면 그표면에 액체 고무를 발라 건조시킨후 강력 접착제를 이용하여 마무리 엷은 표피(제6도)를 적당한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부착시킨다
나무기둥의 ½∼⅔ 높이의 콘크리트로 양성된 부분의 석고붕대(11)표면에 강력접착제를 바른후 연질프라스틱으로 금형제조된 표피(제4도)를 두께와 크기가 각각다른 부분 (10-1)∼(10-8)을 상단부 표피(10-8)부터 하단부표피(10-1)까지 기둥 외부의 표피가 조화를 이루도록하여 붙여 내려오며 마무리한다
본고안의 효과는 제품제작기술이 세밀하고 정교하여 실물보다 아름답고 웅장하며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인성을 자극하고 감동을 주며 예술적으로도 창조적이고 작품가치가 있으며 특히 본고안의 기능작용인 산소배출, 공기정화, 솔내음향, 변색작용, 야광발화 작용기능은 인체와 환경에 유익할 뿐 아니라 가로등 기능을 포함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가치가 충분하다
또한 자연 소나무가 들어설 수 있는 어느장소(주요도로변·공원·강변·해변·골프장 대형건축물 조성단지·문화관광단지·신도시개발지역·개인주택·기타)든 조경. 가로수. 가로등이 필요한 모든 분야에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각각 제작하는 과정에서 여러형태의 소나무 분재를 모델로 대형 확대시켜 노송형태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대형 제조물(20층 빌딩 높이 가능)로써 제작설치 방법도 건축물 처럼 설계에 의해 작업을 진행하며 재작업도 가능하다
이는 자연의 아름다움이 절실하게 필요하고 그린벨트로 해제 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식이 곤란하고 휘귀한 대형 노송을 자연그대로 또는 몇배 확대시켜 놓은것 같은 초대형 인조 황솔 및 청솔나무를 제작설치하므로써 부족한 자연의 가치를 인위적으로 극대화하여 내적으로는 사회·환경조성에 이바지하고 외적으로는 지적재산권과 국제특허를 받아 상품 및 기술을 수출하여 국가 이익에도 공헌하고자 한다

Claims (2)

  1.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및 압출된 성형물과 여러기능 장치(산소배출. 공기정화. 솔내음향배출. 야광작용)를 설치하여 제작한 기능형 인조 소나무의조형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기능형 인조 소나무에 가로등을 설치한 기능형 인조 소나무 가로수 등 (가로수+가로등)의 조형물
KR2020000026912U 2000-09-25 2000-09-25 기능형 인조 소나무 가로수등(가로수+가로등)의 조형물 KR200219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912U KR200219273Y1 (ko) 2000-09-25 2000-09-25 기능형 인조 소나무 가로수등(가로수+가로등)의 조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912U KR200219273Y1 (ko) 2000-09-25 2000-09-25 기능형 인조 소나무 가로수등(가로수+가로등)의 조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273Y1 true KR200219273Y1 (ko) 2001-04-02

Family

ID=7308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912U KR200219273Y1 (ko) 2000-09-25 2000-09-25 기능형 인조 소나무 가로수등(가로수+가로등)의 조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27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990A (ko) * 2002-07-16 2002-08-28 김원곤 사군자를 이용한 조경과 화분
KR101016181B1 (ko) * 2009-02-19 2011-02-24 구정민 환경개선용 인조 가로수
KR20200122892A (ko) * 2019-04-19 2020-10-28 허운선 각 제품마다 동일한 형상이 아닌 인공조형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공조형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990A (ko) * 2002-07-16 2002-08-28 김원곤 사군자를 이용한 조경과 화분
KR101016181B1 (ko) * 2009-02-19 2011-02-24 구정민 환경개선용 인조 가로수
KR20200122892A (ko) * 2019-04-19 2020-10-28 허운선 각 제품마다 동일한 형상이 아닌 인공조형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공조형물
KR102189281B1 (ko) 2019-04-19 2020-12-09 허운선 각 제품마다 동일한 형상이 아닌 인공조형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공조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9273Y1 (ko) 기능형 인조 소나무 가로수등(가로수+가로등)의 조형물
CN101933675A (zh) 一种景观树仿真制作方法
US9896834B1 (en) Tree house elevated in a simulated tree, and method of making
CN201004853Y (zh) 一种可拆移式立体绿化棚架
KR20060101426A (ko) 축소 모형-표면 분할을 이용한 테마 건축 물용 유연성거푸집의 제조방법
CN110179191A (zh) 一种水泥仿真树及地形效果制作工艺
CN105818604A (zh) 一种生命树及其建造方法
KR101430989B1 (ko) 축소된 자연의 인공조경방법
KR200194344Y1 (ko) 야외 설치용 대형 인조 황솔 및 청솔 나무 조형물
KR20010014532A (ko) 기능형 야외설치용 대형(1층~20층높이) 청솔 및황금소나무 제작 설치
KR19990073401A (ko) 야외설치용대형인조황솔및청솔나무제작방법
KR101172007B1 (ko) 인조석의 제조방법
KR200393137Y1 (ko) 자연석 형태의 장식모형
CN210746222U (zh) 多功能混凝土三联种植池系统
KR20030077056A (ko) 인조나무
CN2767208Y (zh) 自然、山水、云雾盆景
CN109455038A (zh) 多功能钢筋混凝土景观摆件及其制作方法
KR101733349B1 (ko) 대형 인조나무
Tsvetkova THE ITALIAN BRANCH OF THE FOLLOWERS OF ANDREA PALLADIO. 17TH-18TH CENTURIES
CN210122847U (zh) 钢筋混凝土板柱组合装配式多功能景观围墙
CN209683317U (zh) 多功能钢筋混凝土景观摆件
Cresci Mario Ridolfi–Intorno a Palazzo Spada a Terni
CN209585796U (zh) 钢筋混凝土多功能景观围墙节段及景观围墙
CN209683318U (zh) 钢筋混凝土组配式多功能景观摆件
Luo Analysis of the function of classical garden architectural design techniques on modern architectural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