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519A - 식생용 블록과 그 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생용 블록과 그 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519A
KR20090093519A KR1020080019075A KR20080019075A KR20090093519A KR 20090093519 A KR20090093519 A KR 20090093519A KR 1020080019075 A KR1020080019075 A KR 1020080019075A KR 20080019075 A KR20080019075 A KR 20080019075A KR 20090093519 A KR20090093519 A KR 20090093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getation
natural stone
frame
r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덕
Original Assignee
임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덕 filed Critical 임종덕
Priority to KR1020080019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3519A/ko
Publication of KR20090093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5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블록의 전면에 자연석에 유사한 암반돌출부를 형성하여 자연친화적인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암반돌출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흙을 수용할 수 있게 하는 넓은 식생공간을 갖는 식생돌출부를 설치하여 식생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옹벽의 축조 후 풀, 나무 등을 심어서 쾌적한 자연공간을 조성할 수 있게 한 식생용 블록과 그 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옹벽의 축조에 시공되며, 전면에는 암반(巖盤)모양으로 울퉁불퉁하게 암반돌출부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흙을 채울 수 있게 상부만이 개구되는 흙채움홈을 형성한 블록본체; 및 상기 블록본체의 전면에 암반돌출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흙채움홈과 연락되는 식생홈을 형성하여 축조된 옹벽의 전면으로 풀, 나무를 심어 식생이 가능하게 한 식생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생용 블록과 그 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 block for environment and it's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식생용 블록과 그 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주거용 건축물이나 산업용 건축물을 지을 때 경계벽이나 옥벽 혹은 축대의 축조를 위한 블록의 전면에 암반돌출부를 구비하여 자연친화적인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암반돌출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흙을 수용할 수 있게 하는 넓은 식생공간을 갖는 식생용돌출부를 설치하여 식생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옹벽의 축조 후 풀, 나무 등을 심어서 쾌적한 자연공간을 조성할 수 있게 한 식생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이라 함은,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 토압(土壓)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지반붕괴) 못하게 만든 벽체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흙을 쌓아 올릴 때나, 산을 깎아 내릴 때, 혹은 해안을 메울 때 등에 필요한데, 특히 최근에는 아파트의 단지 조성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옹벽은, 일반 콘크리트 몰탈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거나, 혹은 돌을 쌓아 옹벽을 축조함으로서, 그 축조작업에 따른 시공상의 복잡성 때문에 공기의 지연은 물론 시공비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축조된 옹벽의 안전성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옹벽은 식생이 가능하게 하는 식생공간을 형성시 축조된 옹벽의 최상단 혹은 축조되는 블록의 사이에만 구비하였으므로, 블록 전면의 콘크리트 몰탈이 그대로 노출됨에 의해 자연친화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축조된 블록의 사이에 식생부를 구비할 경우, 풀이나 나무 등의 뿌리에 의해 적층된 블록의 간격을 넓혀 옹벽의 지지력을 약화시킨다고 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블록의 전면에 자연석에 유사한 암반돌출부를 형성하여 자연친화적인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암반돌출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흙을 수용할 수 있게 하는 넓은 식생공간을 갖는 식생돌출부를 설치하여 식생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옹벽의 축조 후 풀, 나무 등을 심어서 쾌적한 자연공간을 조성할 수 있게 한 식생용 블록과 그 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블록은, 옹벽의 축조에 시공되며, 전면에는 암반(巖盤)모양으로 울퉁불퉁하게 암반돌출부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흙을 채울 수 있게 상부만이 개구되는 흙채움홈을 형성한 블록본체; 및 상기 블록본체의 전면에 암반돌출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흙채움홈과 연락되는 넓고 가느다란 통로를 형성하는 식생홈을 형성하여 축조된 옹벽의 전면으로 풀, 나무를 심어 식생하기 위한 식생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본체는 측면 상단에는 좌우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블록본체들을 고정할 수 있게 고정구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반돌출부의 표면에는 자연석에 유사한 색상을 갖는 페인트를 도포한 도포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다른 식생용 블록의 제조장치는, 블록을 제작할 수 있게 내부틀과 외부틀로 이루어진 블록형틀; 상기 내.외부틀의 사이에 설치되며, 블록의 제작시 그 블록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식생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게 식생용홈부가 형성된 자연석모양의 암반돌출부를 갖는 자연석형틀; 및 상기 자연석형틀의 식생용홈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블록의 제작시 상기 식생돌출부에 넓고 가느다란 통로를 갖는 식생홈을 형성할 수 있게 한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생용 블록의 제조방법은, 상기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내부틀과 외부틀로 이루어진 블록형틀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내.외부틀의 사이에 설치되어 블록을 제작시 그 블록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식생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게 식생용홈부가 형성된 자연석모양의 암반돌출부를 갖는 자연석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작한 자연석형틀을 상기 블록형틀의 내.외부틀의 사이에 설치함과 아울러 블록의 제작시 그 블록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식생돌출부에 넓고 가느다란 통로를 갖는 식생홈을 형성할 수 있게 상기 자연석형틀에 구비되는 식생용홈부에 간격을 두고 코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블록형틀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양생된 몰탈을 블록형틀과 자연석형틀 및 코어를 탈형하는 것에 의해 전방으로 식생돌출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암반돌출부를 갖는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연석형틀은 블록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식생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게 요입홈이 형성된 자연석을 준비한 후, 그 자연석 위에 왁스를 도포하여 이형 처리하고, 이형 처리된 자연석 위에 실리콘 혹은 폴리에스텔 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4~5회 도포하여 경화시키며, 경화된 실리콘 혹은 폴리에스텔 수지를 자연석으로부터 탈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요입홈에 의한 식생용홈부가 형성된 자연석모양의 암반돌출부를 갖는 자연석형틀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의 암반돌출부에는 자연석에 유사한 색상을 갖는 페인트를 더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연석에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된 암반돌출부에 의해 자연친화적인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반돌출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식생돌출부에 의해 축조된 옹벽의 전방에 풀, 나무 등을 심어 식생이 가능하게 하여 쾌적한 자연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블록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표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표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블록을 제작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블록본체 112 - 암반돌출부
114 - 흙채움홈 120 - 식생돌출부
122 - 식생홈 210 - 블록형틀
220 - 자연석형틀 230 - 코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블록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표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표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블록은 블록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블록본체(110)는 좌우로 조립됨과 아울러 상부로 적층되어 옹벽의 축조에 시공되는 것으로, 상기 블록본체(110)는 시멘트 몰탈과 모래 등을 혼합하여 블록형틀(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한 콘크리트 블록이다.
이러한 블록본체(110)에는 전면에 암반(巖盤) 모양으로 울퉁불퉁하게 암반돌출부(1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반돌출부(112)는 블록형틀에 의해 블록본체(110)를 제작시 상기 블록본체(110)의 전면에 일체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암반돌출부(112)는 자연석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 옹벽을 축조하게 되면 그 옹벽의 전면이 자연석 모양을 이룸에 의해 자연친화적인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암반돌출부(112)에는 자연석에 유사한 색상을 갖는 페인트를 도포하여 형성한 도포층(112a)을 구비할 수 있다(도 5참조). 이러한 도포층(112a)에 의해 상기 암반돌출부(112)를 자연석에 더욱 가깝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110)의 측면 상단에는 좌우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블록본체(110)들을 고정구(미도시)로서 끼움 고정하기 끼움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끼움홈(116)에 고정구를 끼워 고정함으로서 좌우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블록본체(110)들을 견고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록본체(110)의 내부에는 흙을 채울 수 있게 상부만이 개구되는 흙채움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흙채움홈(114)은 블록본체(110)의 내부에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2개를 형성함이 좋다. 상기 흙채움홈(114)에 채워지는 흙의 자중에 의해 견고한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블록은 식생돌출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식생돌출부(120)는 블록본체(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암반돌출부(11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그 내부에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흙채움홈(114)과 연락되는 식생홈(12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식생돌출부(120)에 의해 축조된 옹벽의 전면으로 풀, 나무 등을 심어 식생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제조장치는, 블록을 제작할 수 있게 내부틀과 외부틀로 이루어진 블록형틀(210)과, 상기 내.외부틀의 사이에 설치되며, 블록의 제작시 그 블록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식생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게 식생용홈부가 형성된 자연석모양의 암반돌출부를 갖는 자연석형틀(220)과 상기 자연석형틀의 식생용홈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블록의 제작시 상기 식생돌출부에 넓고 가느다란 통로를 갖는 식생홈을 형성할 수 있게 한 코어(230)으로 이루어진다.
도 7a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블록을 제작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블록의 제조는,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블록형틀(210)을 제공한다(도 7a참조). 상기 블록형틀은 내부틀과 외부틀로이루어진다. 상기 외부틀은 블록의 외면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내부틀은 블록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블록형틀(21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블록의 전면에 자연석모양의 암반돌출부를 갖게 하는 자연석형틀(220)을 제작한다(도 7b참조). 상기 자연석형틀(220)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블록을 제작시 그 블록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식생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게 요입홈이 형성된 자연석을 준비한 후, 그 자연석 위에 왁스를 도포하여 이형 처리하고, 이형 처리된 자연석 위에 실리콘 혹은 폴리에스텔 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4~5회 도포하여 경화시키며, 경화된 실리콘 혹은 폴리에스텔 수지를 자연석으로부터 탈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요입홈에 의한 식생용홈부가 형성된 자연석모양의 암반돌출부를 갖는 자연석형틀(220)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상기 자연석형틀(220)을 상기 블록형틀(210)의 내부 바닥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식생용홈부에 간격을 두고 코어(230)를 설치한 후(도 7c참조), 상기 블록형틀(210)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양생하고(도 7d참조), 양생된 몰탈은 블록형틀(210)과 자연석형틀(220) 및 코어(230)를 분리하는 것에 의해 탈형하여 전면에 암반돌출부가 형성되며, 그 암반돌출부로부터 돌출되는 식생돌출부를 갖도록 블록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의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할 때에는 전도 및 활동에 대한 보강으로는 블록본체(110)의 뒤쪽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보강블록(110a)을 설치하여 강봉(111) 혹은 와이어로 연결 고정함이 좋다. 여기서, 상기 강봉()의 사용시에는 직경이 16mmm 정도의 것을 사용함이 좋고, 또 상기 보강블록(110a)은 토압에 저항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흙을 충진할 수 있게 형성함이 좋다.(도 6참조)
이와 같이 축조되는 옹벽은 자연석에 유사한 모양으로 전면에 형성되는 암반돌출부(112)에 의해 자연친화적인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암반돌출부(11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식생돌출부(120)에 의해 축조된 옹벽의 전방에 풀, 나무 등을 심어 식생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축조된 옹벽에 식생부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옹벽의 최상부 혹은 축조된 블록의 사이에만 식생부를 구비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식생돌출부에 의해 옹벽을 이루는 블복의 전방으로 식생부를 구비할 수 있어, 쾌적한 자연공간을 조성할 수 있다.

Claims (5)

  1. 옹벽의 축조에 시공되며, 전면에는 암반(巖盤)모양으로 울퉁불퉁하게 암반돌출부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흙을 채울 수 있게 상부만이 개구되는 흙채움홈을 형성한 블록본체; 및
    상기 블록본체의 전면에 암반돌출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흙채움홈과 연락되는 넓고 가느다란 통로를 형성하는 식생홈을 형성하여 축조된 옹벽의 전면으로 풀, 나무를 심어 식생하기 위한 식생돌출부를 포함하는 식생용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는 측면 상단에는 좌우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블록본체들을 고정할 수 있게 고정구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블록.
  3. 블록을 제작할 수 있게 내부틀과 외부틀로 이루어진 블록형틀;
    상기 내.외부틀의 사이에 설치되며, 블록의 제작시 그 블록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식생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게 식생용홈부가 형성된 자연석모양의 암반돌출부를 갖는 자연석형틀; 및
    상기 자연석형틀의 식생용홈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블록의 제작시 상기 식생돌출부에 넓고 가느다란 통로를 갖는 식생홈을 형성할 수 있게 한 코어를 포함하는 식생용 블록의 제조장치.
  4. 식생용 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내부틀과 외부틀로 이루어진 블록형틀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내.외부틀의 사이에 설치되어 블록을 제작시 그 블록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식생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게 식생용홈부가 형성된 자연석모양의 암반돌출부를 갖는 자연석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작한 자연석형틀을 상기 블록형틀의 내.외부틀의 사이에 설치함과 아울러 블록의 제작시 그 블록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식생돌출부에 넓고 가느다란 통로를 갖는 식생홈을 형성할 수 있게 상기 자연석형틀에 구비되는 식생용홈부에 간격을 두고 코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블록형틀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양생된 몰탈을 블록형틀과 자연석형틀 및 코어를 탈형하는 것에 의해 전방으로 식생돌출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암반돌출부를 갖는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생용 블록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석형틀은 블록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식생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게 요입홈이 형성된 자연석을 준비한 후, 그 자연석 위에 왁스를 도포하여 이형 처리하고, 이형 처리된 자연석 위에 실리콘 혹은 폴리에스텔 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4~5회 도포하여 경화시키며, 경화된 실리콘 혹은 폴리에스텔 수지를 자연석으로부터 탈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요입홈에 의한 식생용홈부가 형성된 자연석모양의 암반돌출부를 갖는 자연석형틀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블록의 제조방법.
KR1020080019075A 2008-02-29 2008-02-29 식생용 블록과 그 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90093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075A KR20090093519A (ko) 2008-02-29 2008-02-29 식생용 블록과 그 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075A KR20090093519A (ko) 2008-02-29 2008-02-29 식생용 블록과 그 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519A true KR20090093519A (ko) 2009-09-02

Family

ID=41301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075A KR20090093519A (ko) 2008-02-29 2008-02-29 식생용 블록과 그 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35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443B1 (ko) * 2013-06-19 2015-02-05 주식회사 한일환경디자인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443B1 (ko) * 2013-06-19 2015-02-05 주식회사 한일환경디자인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84389B (zh) 一种沥青路面及其施工方法
KR101616308B1 (ko) 3차원 프린팅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42017B1 (ko)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KR2009008366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90093519A (ko) 식생용 블록과 그 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266082B1 (ko) 전면이 색채를 이루는 패널 및 시공방법
KR20070053922A (ko)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340292B1 (ko)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0671959B1 (ko) 옹벽의 축조방법
KR101217239B1 (ko) 인공 조경물 시공방법
KR101267859B1 (ko) 자연석 표면을 갖는 절토 또는 성토 옹벽용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CN208486154U (zh) 植草地坪模具及植草地坪模具组件
KR200409787Y1 (ko)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KR102282102B1 (ko) 자연석의 전면부가 노출된 축조용 블럭 제조방법 및 그 축조용 블럭
JP2684974B2 (ja) 舗装材の製造方法
KR200461591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200461055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101589287B1 (ko)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KR100961257B1 (ko) 친환경 스톤블록의 제조방법
JP2981656B2 (ja) 空洞部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59294B1 (ko) 블럭형 옹벽을 이용한 옹벽 시공공법
KR101070338B1 (ko) 자연친화적인 자연 질감을 갖는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형성되는 경계석의 시공방법
KR101279945B1 (ko) 옹벽조경물의 시공방법
CN102220797A (zh) 墙用砌块和采用该墙用砌块的墙建造方法
US20080172982A1 (en) Wall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825

Effective date: 2011050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610

Effective date: 2011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