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239B1 - 인공 조경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공 조경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239B1
KR101217239B1 KR1020100045076A KR20100045076A KR101217239B1 KR 101217239 B1 KR101217239 B1 KR 101217239B1 KR 1020100045076 A KR1020100045076 A KR 1020100045076A KR 20100045076 A KR20100045076 A KR 20100045076A KR 101217239 B1 KR101217239 B1 KR 101217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groove
stone
bottom plat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509A (ko
Inventor
오부영
Original Assignee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5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239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4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stone surfaces, e.g. mar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폭포가 구비된 연못 조경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못 바닥의 형성시 연못의 경계석에 철선을 설치하고 철선에 연결되도록 바닥 철근을 배근하여 시공함으로써 경계석들의 연결이 견고히 이루어짐과 동시에 외부가 미려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경량의 폭포구조물을 설치하여 전체적인 조경물의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공폭포가 구비된 연못 조경물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바닥판의 둘레에 다수의 경계석을 설치하되, 상기 경계석의 일측으로 철선이 노출되도록 경계석을 설치하는 경계석 설치단계; 이후 상기 노출된 철선에 연결되도록 바닥판의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는 철근배근단계; 이후 물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바닥판 상에 물순환 파이프를 설치하는 단계; 이후 상기 경계석들의 틈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메워주고 상기 철근이 매립되도록 바닥판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바닥콘크리트 형성단계; 이후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된 바닥판의 중심에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경량의 폭포구조물을 거치하고 중공부를 통해 상기 파이프에 연결되도록 파이프를 배관하여 중공부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폭포구조물 설치단계; 상기 이후 상기 폭포구조물의 외측으로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폭포구조물을 매립하는 콘크리트피복 형성단계; 상기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된 폭포구조물 외측으로 석재를 부착하는 석재 부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인공 조경물 시공방법{A construction method of artificiality architecture}
본 발명은 인공 조경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경량의 인공폭포를 구비하여 조경물의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됨으로써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연못 형성을 위한 바닥 철근 배근시 경계석에 철선을 설치하고 철선에 철근이 연결되도록 배근함으로서 경계석이 견고히 연결됨과 동시에 경계석들 사이에 과다하게 모르타르를 타설하지 않아 외부가 미려하게 마감될 수 있도록 하는 인공 조경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환경이 점차 윤택해짐에 따라 공공장소를 조성함에 있어 조경 분야의 비중이 증대되고 있다.
상기 조경을 함에 있어, 인공폭포나 인공연못 등의 인공조형물을 제작하여 설치하였다.
상기 인공연못의 바닥 시공시 방수판의 둘레에 경계석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을 형성하였다.
종래에는 상기 경계석을 연결함에 있어 경계석 자체에 홈을 뚫고 상기 홈에 철근을 직접 끼워넣은 후 접착제를 홈에 주입하여 철근을 고정하였으나, 경계석에 철근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경계석에 형성되는 홈의 크기를 철근의 크기에 맞게 크게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경계석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 있다.
또한 크게 형성된 홈의 내부에 접착제를 주입해야 하기 때문에 접착제가 과다하게 투입되어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인공폭포의 형성시에는 폭포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철근과 콘크리트를 다량 투입함으로써 비용이 증가되고 인공폭포 조형물의 무게가 상승하여 운반 및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못 바닥의 형성시 연못의 경계석에 철선을 설치하고 철선에 연결되도록 바닥 철근을 배근하여 시공함으로써 경계석들의 연결이 견고히 이루어짐과 동시에 외부가 미려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경량의 폭포구조물을 설치하여 전체적인 조경물의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공 조경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바닥판의 둘레에 다수의 경계석을 설치하되, 상기 경계석의 일측으로 철선이 노출되도록 경계석을 설치하는 경계석 설치단계; 이후 상기 노출된 철선에 연결되도록 바닥판의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는 철근배근단계; 이후 물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바닥판 상에 물순환 파이프를 설치하는 단계; 이후 상기 경계석들의 틈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메워주고 상기 철근이 매립되도록 바닥판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바닥콘크리트 형성단계; 이후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된 바닥판의 중심에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경량의 폭포구조물을 거치하고 중공부를 통해 상기 파이프에 연결되도록 파이프를 배관하여 중공부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폭포구조물 설치단계; 상기 이후 상기 폭포구조물의 외측으로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폭포구조물을 매립하는 콘크리트피복 형성단계; 상기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된 폭포구조물 외측으로 석재를 부착하는 석재 부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계석 설치단계는, 경계석에 소정의 깊이로 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단계; 상기 홈의 내부에 철선을 삽입하는 철선 삽입단계; 상기 홈의 내부가 일정 깊이로 메워지도록 채움재를 채워넣는 채움재 채움 단계; 상기 홈의 내부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채움재와 철선이 홈의 내부에서 일체화 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제 주입단계; 상기 채움재 채움단계와 접착제 주입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홈의 내부를 완전히 메우면서 철선이 홈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반복 수행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선은 적어도 1번 이상 절곡하여 꼬여진 상태로 홈의 내부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채움재는 석분으로써 지름이 5~10 mm으로 구성되고, 상기 철선은 직경이 2~3mm으로 구성되며, 채움재와 철선 사이의 공간에 접착제가 주입되어 메워짐으로써 철선을 홈의 내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공연못을 형성하는 경계석 설치시 경계석에 직접적으로 철근을 배근하지 않고 소량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경계석에 철선의 설치가 가능하여 접착제의 주입량을 줄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채움재와 철선이 접착제에 의해 빠르게 일체화되어 철선 설치 작업시간이 줄어들며, 경량의 폭포구조물을 설치함으로서 중량을 줄여줌으로써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폭포구조물의 콘크리트 피복 후 자연석 형태의 석재를 부착함으로써 외형이 실제 폭포와 같은 미려한 형상을 같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조경물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조경물의 철선 설치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조경물의 경계석 설치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조경물의 철선과 철근 연결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조경물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조경물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조경물의 철선 설치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조경물의 경계석 설치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조경물의 철선과 철근 연결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조경물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방수가 가능한 바닥판(10)의 둘레에 경계석(20)을 설치하되, 상기 경계석(20)의 일측으로 연성 재질의 철선(70)을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설치한 상태로 경계석(20)을 설치한다.
이후 상기 노출된 철선(70)에 연결되도록 바닥판(10)의 상부에 철근(60)을 배근한다.
이후 물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바닥판(10)의 상부에 물순환 파이프(80)를 설치한다.
이후 상기 경계석들의 틈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경계석(20)들의 사이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메워주고, 상기 바닥판(10)의 상부에 배근된 철근(60)이 매립되도록 바닥판(10)에 콘크리트(40)를 타설한다.
이후 상기 콘크리트(40)가 타설된 바닥판(10)의 중심에 내부가 중공(31)되어 있는 경량의 폭포구조물(30)을 거치하고 중공(31)을 통해 상기 바닥판(10)에 설치되어 있는 물순환 파이프(80)에 연결되도록 물순환 파이프(80)를 배관하여 폭포구조물(30)의 상부로 노출시켜 놓는다.
이후 상기 이후 상기 폭포구조물(30)의 외측으로 철근(60)을 배근하고 콘크리트(40)를 타설하여 폭포구조물(30)이 콘크리트(40)에 의해 매립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피복을 형성한다.
이후 콘크리트(40)에 의해 매립된 폭포구조물(30)의 외측으로 석재(50)를 부착하여 자연적이고 환경친화적 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완료된다.
한편 경계석(20)은 인공석재 또는 자연적인 연못 조경물의 형태를 나타내기 위해 통상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계석(20)은 바닥판(10)의 둘레에 설치되어 모르타르에 의해 사이가 밀폐됨으로써 연못의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경계석(20)에 설치되는 철선(70)은 바닥에 배근되는 철근(6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경계석(20)에 철선(70)을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경계석(20)의 일측에 소정의 깊이로 홈(21)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홈(21)의 내부에 철선(70)을 삽입한다.
이후 상기 철선(70)이 삽입된 홈(21)의 내부에 채움재(71)를 채워 넣어 홈(21)의 내부가 일정 깊이만큼 메워지도록 한다.
이후 상기 홈(21)의 내부에 접착제(72)를 주입하여 채움재(71)와 철선(70)이 일체화되면서 홈(21)의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홈(21)의 내부에 채움재(71)를 채워 넣고 접착제(72)를 주입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홈(21)의 내부를 완전히 메워주면서 철선(70)이 홈(2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철선(70)은 철근(60)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홈(21)의 내부에서 채움재(71) 및 접착제(72)와 견고히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1번 이상 절곡하여 꼬여진 상태로 홈(21)의 내부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경계석(20)에 철선(70)을 설치하고, 이 철선(70)을 이용하여 철근(60)을 고정해줌으로써, 경계석(20)에 철근(60)을 직접적으로 삽입하지 않아 경계석(20)에 큰 홈(21)을 가공하지 않아도 되어 경계석(20)의 균열이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철선(70)의 직경이 가늘어 철선(70) 삽입을 위해 경계석(20)에 형성되는 홈(21)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어 경계석(20)의 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접착제(72) 및 채움재(71)를 이용하여 철선(70)을 고정할 수 있어 소량의 접착제만으로도 홈(21)의 내부에 철선(70)의 설치가 가능하여 접착제(72)의 주입량을 줄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철선(70)은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현장에서 간편하게 철근(60)을 엮어 줄 수 있어 철근 조립 또한 용이하다.
또한 접착제(72)는 홈(21)의 내부에서 빠르게 경화됨으로써 채움재(71)와 철선(70)이 일체되도록 하여 빠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채움재(71)는 접착제와 혼합되어 빠르게 굳어질 수 있도록 석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석분은 지름이 5~10 mm으로 구성되고, 상기 철선은 직경이 2~3mm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석분의 지름을 5~10mm로 하고 철선의 직경을 2~3mm 으로 구성함으로써 석분 입자가 접착제를 통해 철선에 닿는 면적이 커지게 되어 철선을 잡고 고정하기 위한 강한 힘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폭포구조물(30)은 본 발명의 조경물의 전체적인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합성수지재로는 스티로폼의 중심을 중공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중심부가 중공되어 있는 플라스틱 박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폭포구조물(30)의 외측에 철근(60)을 배근하고 콘크리트(40)를 타설하여 피복을 형성한 후 자연석 형태의 석재(50)를 부착함으로써 전체적인 폭포구조물(30)의 외형이 실제 폭포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심미감이 뛰어나고 자연적인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경량의 폭포구조물(30)을 통해 전체적은 중량을 줄여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폭포구조물(30)의 외부에 콘크리트(40)를 타설하여 피복을 형성한 후 그 외부에 자연석 형태의 석재(50)를 부착하여 전체적인 외형은 실제 폭포 형상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물순환 파이프(80)는 펌프에 연결되고 펌프(81)에 의해 물이 폭포구조물의 상부로 펌핑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배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바닥판 (20) : 경계석
(21) : 홈 (30) : 폭포구조물
(31) : 중공 (40) : 콘크리트
(50) : 석재 (60) : 철근
(70) : 철선 (71) : 채움재
(72) : 접착제 (80) : 물순환 파이프
(81) : 펌프

Claims (4)

  1. 삭제
  2. 바닥판의 둘레에 다수의 경계석을 설치하되, 경계석에 소정의 깊이로 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단계와, 상기 홈의 내부에 철선을 삽입하는 철선 삽입단계와, 상기 홈의 내부가 일정 깊이로 메워지도록 채움재를 채워넣는 채움재 채움 단계와, 상기 홈의 내부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채움재와 철선이 홈의 내부에서 일체화 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제 주입단계와, 상기 채움재 채움단계와 접착제 주입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홈의 내부를 완전히 메우면서 철선이 홈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반복 수행단계로 이루어진 경계석 설치단계;
    이후 상기 노출된 철선에 연결되도록 바닥판의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는 철근배근단계;
    이후 물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바닥판 상에 물순환 파이프를 설치하는 단계;
    이후 상기 경계석들의 틈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메워주고 상기 철근이 매립되도록 바닥판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바닥콘크리트 형성단계;
    이후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된 바닥판의 중심에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경량의 폭포구조물을 거치하고 중공부를 통해 상기 파이프에 연결되도록 파이프를 배관하여 중공부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폭포구조물 설치단계;
    상기 이후 상기 폭포구조물의 외측으로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폭포구조물을 매립하는 콘크리트피복 형성단계;
    상기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된 폭포구조물 외측으로 석재를 부착하는 석재 부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조경물 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철선은 적어도 1번 이상 절곡하여 꼬여진 상태로 홈의 내부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조경물 시공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는 석분으로써 지름이 5~10 mm으로 구성되고,
    상기 철선은 직경이 2~3mm으로 구성되며,
    채움재와 철선 사이의 공간에 접착제가 주입되어 메워짐으로써 철선을 홈의 내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조경물 시공방법.
KR1020100045076A 2010-05-13 2010-05-13 인공 조경물 시공방법 KR101217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076A KR101217239B1 (ko) 2010-05-13 2010-05-13 인공 조경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076A KR101217239B1 (ko) 2010-05-13 2010-05-13 인공 조경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509A KR20110125509A (ko) 2011-11-21
KR101217239B1 true KR101217239B1 (ko) 2012-12-31

Family

ID=4539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076A KR101217239B1 (ko) 2010-05-13 2010-05-13 인공 조경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2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959B1 (ko) 2018-05-03 2019-10-21 이영무 폭포 조경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3856A (ko) * 2012-03-12 2013-09-25 박정엽 인공자연 조경물
CN114211906A (zh) * 2021-12-16 2022-03-22 苏州金螳螂文化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艺术水景造型工艺及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959B1 (ko) 2018-05-03 2019-10-21 이영무 폭포 조경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509A (ko) 201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16408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Translucent Multilayer Composite Construction Element with Integrated Facade Panel
KR101217239B1 (ko) 인공 조경물 시공방법
KR100900155B1 (ko) 양면 자연석블록의 제조방법
KR100665679B1 (ko) 조합식 옹벽 및 그 설치방법
KR101385984B1 (ko) 포자의 활착이 용이한 인공어초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15468A (ko) 건축용 단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
KR100796241B1 (ko) 인공암 시공방법
KR100671959B1 (ko) 옹벽의 축조방법
KR101035411B1 (ko) 옹벽용 인공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1982B1 (ko) 인공폭포에 사용되는 인공암의 제조방법
KR101201917B1 (ko) 패널, 이 패널을 이용한 펜스, 이 펜스 시공방법, 이 펜스를 이용한 혼합토 성토구조물 시공방법
KR100859294B1 (ko) 블럭형 옹벽을 이용한 옹벽 시공공법
KR101083787B1 (ko) 수중 배치형 어초블록
CN201011027Y (zh) 组合式一次性填充模板
KR100781970B1 (ko) 압출성형 시멘트패널
KR20070053922A (ko)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218374681U (zh) 预制墙板的连接结构
KR200404058Y1 (ko) 조합식 옹벽
KR101524508B1 (ko) 인공폭포 구조물의 인공암 패널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181890B1 (ko)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
KR100877977B1 (ko) 인조 정원석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5653A (ko) 옹벽구조물용 인조석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시공방법
KR101070338B1 (ko) 자연친화적인 자연 질감을 갖는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형성되는 경계석의 시공방법
KR100747742B1 (ko)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93519A (ko) 식생용 블록과 그 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