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679B1 - 조합식 옹벽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조합식 옹벽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65679B1 KR100665679B1 KR1020050084566A KR20050084566A KR100665679B1 KR 100665679 B1 KR100665679 B1 KR 100665679B1 KR 1020050084566 A KR1020050084566 A KR 1020050084566A KR 20050084566 A KR20050084566 A KR 20050084566A KR 100665679 B1 KR100665679 B1 KR 1006656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reinforced concrete
- retaining wall
- coupler
- concrete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벽체에 미리 커플러가 형성된 ㄷ 자형 연결재를 설치하고, 상기 커플러에 나사 체결식으로 봉 형태의 수평보강재를 연결시키고, 상기 수평보강재를 배면토 후방에 고정시켜, 종래의 RC 옹벽 및 보강토 옹벽의 장점을 조합시켜 경제적이고, 시공성이 뛰어난 조합식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강토 옹벽, RC 옹벽, 지오그리드, 수평보강재
Description
도 1a는 종래의 보강토 옹벽 설치 단면도이며,
도 1b는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옹벽(RC 옹벽)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에 의한 RC 옹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단순기초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옹벽 내부에 설치된 연결장치에 수평보강재가 설치되는 조립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수평보강재 및 수평보강재의 설치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방식의 조합식 옹벽을 도시한 것이다.
<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단순기초부 120:수용홈
200:철근콘크리트 벽체 300:수평보강재
310:나사체결부 330:고정블록
330:보강재 400:연결장치
410:연결재 420:커플러
본 발명은 조합식 옹벽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보강토 옹벽과 철근콘크리트 벽체 및 기초판으로 구성된 철근콘크리트 옹벽(RC(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옹벽의 장점을 조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강토 옹벽의 설치상태를 단면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 도 1a이다.
상기 종래의 보강토 옹벽(10)은 크게 보강토 옹벽용 블록(11) 및 상기 블록(11)에 한 측면단부가 연결되고, 타 측면단부는 배면토(20) 후방까지 연장되어 고정되며, 배면토에 통상 수평으로 포설되는 격자 형태의 강성 또는 연성 지오그리드(12, Geogrid)로 구성되며, 층별로 지오그리드(12)가 포설되는 배면토를 다져가면서 최종 높이까지 옹벽용 블록(11)을 쌓아 절토 또는 성토 사면을 보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보강토 옹벽은 비교적 옹벽높이의 제한을 적게 받을 수 있으며, 미관이 수려하다는 장점이 있어 많은 현재까지도 많은 옹벽이 이러한 보강토 옹벽으로 시공되어 왔다.
하지만 보강토 옹벽용 블록(11)은 모르타르로 통상 제작되는 데, 그 내구성이 크지 않아 파손의 우려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옹벽 높이 전체에 걸쳐 인 력으로 1단씩 쌓아가면서 수평보강재를 설치하는 등 시공이 쉽지 않아 시공성이 떨어지고, 이로서 공사비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또 하천 등 물이 접하는 장소에는 시공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도 1b 및 도 1c는 종래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옹벽 벽체(31) 및 기초판(32)으로 구성된 역 T형 RC 옹벽(30,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벽체(41a,41b,41c,41d,41e)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조립, 설치함으로서 시공되는 조립식 RC 옹벽(40)을 도시한 것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방식으로 제작되는 옹벽 모두 각각의 장, 단점이 있지만, 양자 모두 비교적 시공이 단순하며,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어 보강토 옹벽과 함께 옹벽으로서 종래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식이라 하겠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옹벽의 높이가 커짐에 따라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에 저항하기 위하여 확보해야할 벽체 두께 및 배근되는 철근량이 필연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벽체를 지지하는 기초판 역시 그 설치두께 및 배근되어야 하는 철근량이 증가하는 등 시공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적용 가능한 옹벽의 높이에 한계가 존재하였고, 이런 이유로 사면이 높게 형성되는 경우 보강토 옹벽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 등 그 적용성에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RC 옹벽 및 보강토 옹벽의 단점을 극복하고, 종래의 보강토 옹벽과 RC옹벽의 장점을 조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 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토 옹벽에서 사용되는 수평보강재의 설치를 단순화시켜 적용시킴으로서 시공성이 매우 뛰어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합식 옹벽은, 종래의 RC옹벽에서 옹벽 높이가 커질수록 필연적으로 배면토 방향으로 상당히 연장 설치될 수밖에 없는 기초판을 설치하지 않으면서도 철근콘크리트 벽체단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토 옹벽과 같이 높이에 제한 없이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벽체는 종래의 RC 옹벽 방식으로 제작하고, 상기 벽체를 배면토에 설치한 수평보강재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을 기초판 없이 철근콘크리트 벽체가 최소한 지지토록 하면서 수평보강재로 하여금 벽체가 배면토 방향에서 전도하지 않도록 벽체를 배면토로부터 지지되도록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조합식옹벽은
기초판 없이 단순 기초부(100)에 지지되어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벽체(200);
상기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배면토에 설치되는 봉 형태의 보강재로서, 일 단부가 후방 배면토에 고정 설치된 고정구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 단부가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연결되며, 상기 철근콘크리트 벽체와 연결되는 일 단부에는 나사체결부가 형성된 수평보강재(300); 및
철근콘크리트 벽체(200) 내부에 매립되어 상하방향으로 배근된 철근을 수평 으로 감싸면서 끝단부가 콘크리트 벽체 배면 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연결재(410); 및 상기 연결재의 끝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이 벽체 배면 표면에 노출 되도록 위치시킨 커플러(420);를 포함하는 연결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합식 옹벽 및 그 설치방법을 기준으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식 <실시예1>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방식<실시예 2>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한다.
<실시예 1:현장타설 콘크리트 방식>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본 발명의 조합식 옹벽의 설치는
옹벽에 설치될 부위 지반 또는 수용홈이 상면에 형성된 폭이 좁은 장방형 받침블록(110)을 포함하는 단순 기초부(100) 위에 철근콘크리트 벽체용 철근조립체(210)를 설치하고(s1),
상기 철근조립체(210)를 구성하는 상하방향으로 배근된 철근(211)을 수평으로 감싸면서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된 커플러(420)가 양 끝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ㄷ 자형강재인 연결재(410)를 포함하는 연결장치(400)를 설치하되, 상기 커플러가 벽체 배면으로 향하도록 설치하고(s2),
상기 연결장치(400)가 설치된 철근조립체(210)가 안쪽에 위치하도록 벽체용 거푸집(500)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600)를 타설, 양생하고, 벽체용 거푸집을 해체시켜 상기 커플러(420)가 벽체 배면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철근콘크리트 벽체(200)를 형성시키고(s3),
상기 철근콘크리트 벽체 배면에 배면토(700)를 뒷 채움 한 후 다지고 상기 다져진 배면토(700)에, 일 단부가 배면토(700)의 후방에 설치된 고정구(800)에 연결되고, 나사체결부가 형성된 타 단부를 상기 커플러(420)의 체결공(421)에 삽입, 체결시켜 설치되는 봉 형태의 강봉 또는 강선을 포함하는 수평보강재(300) 설치를 벽체 전체 높이까지 반복(s4)하여 최종 높이까지 옹벽이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s1 단계는 현장에서 옹벽이 설치되어야 할 부위(지반 표면 마무리 공정을 통해 형성시킨 옹벽 설치 부위)에, 철근콘크리트 벽체(200)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단순 기초부(100)를 설치하고, 상기 단순기초부(100) 위에 철근콘크리트 벽체(200) 내부에 배근되어 매립되는 철근조립체(210)를 설치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단순 기초부(100)의 구체예로서 도 2a와 같이 철근콘크리트 벽체를 구성하는 철근조립체(210)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111)이 상면에 형성된 폭(d)이 좁은 장방형 받침블록(110)이 제시 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블록(110)은 옹벽이 설치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주로 토사인 지반(A)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반(A)이 토사 아닌 암반과인 경우에는 받침블록의 역할을 지반자체가 담당할 수 있으므로 철근조립체(210)는 직접 암반(C)에 형성된 수용홈(120)에 삽입되어 지지되어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나, 달리 그 형식에 있어 철근콘크리트 벽체 를 지지하는 것이라면 그 설치방식 및 재질에 있어 한정되지 않는다.
단지 철근콘크리트 벽체(200)의 레벨을 옹벽 전체 길이에 걸쳐 용이하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장방형 받침블록(11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장방형 받침블록(110)은 현장에서 옹벽이 설치되어야 부위에 터파기를 한 후 받침블록의 형상에 대응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킴으로서 설치할 수도 있고, 터파기 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한 받침블록을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함으로서 최종 설치가 가능하다.
이때 받침블록(110)은 단순 기초부(100)로서 폭(d)이 좁은 장방형으로 설치된다는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옹벽(RC 옹벽)은 벽체가 토압에 의하여 전도나 활동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도 1b와 같이 벽체 하부에 설치되는 기초판이 담당하였다.
이에 종래 기술에 살펴본 것과 같이 벽체의 높이가 커지면 커질수록 벽체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초판도 함께 그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어 그 설치 역시 상당한 비용 및 노력을 요구하게 되었는바,
그 이유는 벽체 높이가 커질수록 배면토의 형성높이도 커지므로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도 커질 수밖에 없고, 이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벽체의 하부와 연결되어 일체화시킨 기초판의 크기도 필연적으로 함께 커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단순 기초부(100)는 종래의 기초판과 달리 벽체의 하부를 지반(A)에 자립하여 세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정도로만 제작하고, 대부분의 토압은 후 술되는 철근콘크리트 벽체 배면토에 설치되는 수평보강재(300)가 지지하도록 함으로서, 종래와는 달리 폭(d)이 좁은 받침블록의 형태로 설치하여도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전도나 활동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폭(d)이 좁은 장방형으로 단순기초부(100)를 설치하여도 무방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수평보강재(300)에 의하여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벽체에 필연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기초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옹벽을 구성하는 기초판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 구성을 특히 단순 기초부(100)라고 정의하게 되었다.
이러한 단순 기초부(100) 위에는, 좀 더 명확하게는 수용홈(111,120)에는 제작된 철근콘크리트 벽체용 철근조립체(210)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철근조립체(210)는 벽체의 설계 높이 및 두께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근된 수직철근(211) 및 상기 수직철근과 함께 격자형태로 배근되는 수평철근(212)이 가는 철선인 결속철선에 의하여 현장에서 조립되어 설치되며, 통상적인 철근가공조립의 공종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단순 기초부(100) 위에 설치한 철근조립체(210)에 벽체용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주로 강재거푸집)이 설치되고, 콘크리트를 거푸집 내부로 타설, 양생한 후, 거푸집을 양생된 콘크리트로부터 탈형시킴으로서 결국 벽체가 철근콘크리트로서 제작되도록 한다.
단지,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벽체(200)를 완성시키기에 앞서,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수평보강재(300)가 완성된 철근콘크리트 벽체(200)를 지지토록 하기 위하여 즉, 수평보강재(300)를 철근콘크리트 벽체(200)에 용이하게 연결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결장치(400)를 철근조립체(210)에 미리 설치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연결장치(400)를 설치하는 공종이 바로 상기 s2 단계이다.
즉, 본 발명의 s2 단계는 철근조립체(400)에 수평보강재(300)의 연결을 위해 연결장치(400)를 미리 설치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도 2b는 상기 연결장치(400)를 이용하여 수평보강재(300)를 철근콘크리트 벽체(200)에 어떻게 연결되는 가를 확인 할 수 있는 조립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연결장치(400)는 철근콘크리트 벽체(200) 내부에 매립되어 상하방향으로 배근된 철근(수직철근, 211)을 수평으로 감싸면서 끝단부가 벽체 배면 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연결재(410); 및 상기 연결재(410)의 끝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이 벽체 배면 표면에 노출 되도록 위치시킨 커플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장치(400)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최종 철근콘크리트 벽체(200)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연결재(410) 및 커플러(420)를 미리 철근조립체(210)에 설치할 필요가 있고, 그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연결재(410)로서 ㄷ 자형 강재(철근)를 이용하여, 상기 ㄷ 자형 강재인 연결재(410)가 철근조립체(210)를 감싸도록 정확하게는 철근조립체(210)의 수직철근을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재(410)의 양 끝단에 수평보강재가 나사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커플러(420)가 설치되도록 하였다.
즉, 상기 커플러(420) 개략 중앙부에는 수평보강재(300)의 단부에 형성시킨 나사체결부(310)가 삽입되어 나사체결방식으로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421)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강재를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재질에 있어 강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로서 상기 연결장치(400)의 관통공(421)에 수평보강재(300)가 체결되도록 하여 결국 철근콘크리트 벽체(200)가 수평보강재(300)에 의하여 배면토로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보강재(300)의 체결을 위하여 연결장치(400)의 커플러(420)는 철근콘크리트 벽체(200) 배면의 표면에 어떤 식으로든 노출되어 있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연결장치(400)의 커플러(420)의 단부면이 거푸집 탈형 후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연결장치(400)의 세팅 위치를 정확하게 미리 설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장치(400)는 수평보강재(300)가 연결될 위치 등을 고려하여 철근조립체(210)에 위치를 달리하여 다수를 설치하게 된다.
s3 단계는 연결장치(400)가 미리 설치된 철근조립체(210)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키고 탈형시켜 철근콘크리트 벽체를 완성시키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즉, 연결장치(400)가 설치된 철근조립체(210) 전, 후면에는 벽체용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거푸집(통상 강재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하게 되며, 이러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철근조립체(210)에 설치 된 연결장치(400)가 철근콘크리트 벽체(200)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연결장치의 커플러까지 벽체 내부에 매립되면 수평보강재를 체결할 수 없으므로 상기 커플러는 거푸집 내면에 접할 수 있도록 그 위치를 세팅하도록 하며, 커플러(420)에 형성된 체결공에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콘크리트가 침입될 수 있으므로 미도시하였지만 스티로폴과 같은 마감구를 이용하여 커플러 내부에 콘크리트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철근콘크리트 벽체(200) 배면에 유입되는 우수 등의 유입수 처리를 위하여, 상기 벽체에는 통상의 배수관이 더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벽체 전면 및 배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시킨 후 배수관을 삽입시키거나, 철근조립체 설치 시 미리 배수관을 벽체 전면으로부터 배면까지 관통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s4 단계는 철근 콘크리트 벽체(200)에 수평보강재(300)를 그 배면토를 다져가면서 설치하되, 이를 옹벽 최종 높이까지 반복하여 본 발명의 조합식 옹벽을 완성시키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상기 수평보강재(300)를 도시한 것이 도 3a이며, 좌측단부에는 나사체결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단부는 꺽어져 고정블록(320)에 박혀지도록 제작되며, 상기 나사체결부(310) 및 고정블록(320)은 보강재(330)에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보강재(330)의 길이는 배면토가 차지하는 공간, 사면의 경사도 및 벽체의 높이에 따라 결정되며, 봉 형태의 강재 또는 강선이 이용될 수 있다. 가장 경제적으 로 이용할 수 있는 보강재(330)는 통상의 철근 또는 부식방지를 위한 표면 처리가 된 철근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사체결부(310)는 보강재(330)의 외주면을 가공하여 형성시키면 되고, 상기 나사체결부(310)는 도 2b와 같이 연결장치(400)를 구성하는 커플러(420)에 삽입, 체결된다.
고정블록(320)은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되 옹벽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도 2b에는 연속으로 되는 경우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또는 서로 이격되어 다수가 설치될 수 있고, 최초 제작 시부터 보강재로서 철근의 단부를 가공하여 고정블록(320) 내부에 ㄱ 자 형태로 박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현장에서는 고정블록(320)이 미리 형성된 수평보강재(300)를 반입, 설치하고, 수평보강재의 나사체결부(310)만 벽체(200)에 형성시킨 커플러(420)에 체결시킴으로서 수평보강재의 설치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하지만 고정블록(320)의 설치, 보강재(310)의 설치를 각각 분리하여도 상관은 없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 살펴본 수평보강재(300)는 보강토 옹벽에서와 유사하게 벽체(200)의 배면공간에 1층씩 토사를 포함한 뒷채움재를 이용하여 뒷채움을 한 뒤, 상기 뒷채움을 다지는 작업을 함으로서 배면토를 형성시키게 된다.
1층을 다진 이후에 고정블록(320) 및 나사체결부(310)가 보강재(330)에 형성된 수평보강재(300)를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나사체결부(310)를 철근콘크리트 벽체(200)에 노출된 연결장치 (400)의 체결공에 삽입, 체결시킴으로서 수평보강재(300)가 다져진 배면토 위에 놓여져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수평보강재(30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평보강재(300)는 철근콘크리트 벽체(200)에 연결되어 설치됨으로서 토압에 의하여 전도되려는 철근콘크리트 벽체(200)를 배면토쪽에서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철근콘크리트 벽체(200)의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추가로 상기 수평보강재(300)는 배면토에 매립되므로 부식가능한 강재재질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즉 철근의 경우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도시하였지만 그 외주면을 비부식성의 재질(플라스틱 등)로 제작된 피복관(피복재)을 더 설치함으로서 그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벽체 배면의 공간이 좁아 충분한 수평보강재의 연장길이를 충분히 확보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도 3b와 같이 수평보강재(300)의 중간 부위를 꺽어 사면(B)에 접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3b의 우측도면과 배면토가 토사가 아닌 암반(C)인 경우에는 수평보강재(300)의 설치를 위하여 암반에 앵커홀(340)을 미리 형성시키고 수평보강재의 일 단부를 상기 앵커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앵커홀에 충진재(350)를 충전시켜, 결국 수평보강재의 고정 및 설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의 조합식 옹벽은 도 3a와 같이 종래의 RC 옹벽을 구성하는 기초판 설치 없이 철근콘크리트 벽체(2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철근콘크리트 벽체(200)가 배면토에 설치한 수평보강재(300)에 의하여 지지되어 설치됨을 알 수 있 다.
<실시예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방식>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본 발명의 조합식 옹벽의 설치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철근콘크리트 벽체(200)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설치하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상기 프리캐스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 벽체(200)를 제작하는 방법 자체는 여러 종래의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철근콘크리트 벽체(200) 내부에 실시예 1에서 살펴본 연결장치(400)가 미리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된다는 점에서 종래의 방식과 차이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에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본 발명의 조합식 옹벽의 설치는 도 4와 같이,
옹벽에 설치될 부위에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된 단분 기초부(100) 위에, 상하방향으로 배근된 철근을 수평으로 감싸면서 끝단부가 벽체 배면 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연결재(410); 및 상기 연결재의 끝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42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이 벽체 배면 표면에 노출 되도록 위치시킨 커플러(420);를 포함하는 연결장치(400)가 내부에 미리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벽체 세그먼트를 조립하여 설치함으로서 철근콘크리트 벽체(200)를 형성시키고(s11),
상기 벽체 배면에 뒷채움재로 뒷 채움 한 후 다지고, 상기 다져진 배면토에 나사체결부(310)가 형성된 봉 형태의 강봉 또는 강선을 포함하는 보강재(330)의 일 단부를 상기 커플러(420)의 체결공(421)에 삽입, 체결시킴과 더불어 타 단부를 배 면토의 후방에 설치된 고정구에 연결시키는 수평보강재(300)의 설치 공종을 벽체 전체 높이까지 반복하는 단계(s22)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2에서도 철근콘크리트 벽체(200)를 하부에서 단순 지지하기 위한 단순 기초부(100)가 설치되는 것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이에 실시예 2의 단순 기초부(100)도, 프리캐스 콘크리트 세그먼트 방식으로 완성된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120)이 상면에 형성된 폭(d)이 좁은 장방형 받침블록(110)이 제시 될 수 있으며,
상기 지반(A)이 토사 아닌 암반과인 경우에는 받침블록의 역할을 지반자체가 담당할 수 있으므로 프리캐스 콘크리트 세그먼트 방식으로 완성된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하부는 직접 암반에 형성된 수용홈(120)에 삽입되어 지지되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단순 기초부(100)를 설치한 이후에는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연결장치(400)가 미리 내부에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벽체(200)를 도 5와 같이 제작하게 된다.
이는 주로 공장 또는 현장 부근의 제작장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예컨대 도 1c와 같이 옹벽이 설치되어야 길이방향 및 최종 옹벽 높이를 고려한 다수의 세그먼트를 기계식으로 서로 물려 쌓아지도록 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으며, 그 제작방법 자체는 종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단지 미리 철근콘크리트 벽체(200) 내부에 연결장치(400)를 설치해야 하는 데, 공장 등에서도 역시 철근조립체를 제작하고, 상기 철근조립체에 철근콘크리트 벽체(200) 내부에 매립되어 상하방향으로 배근된 철근(211)을 수평으로 감싸면서 끝단부가 벽체 배면 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ㄷ 자형강재를 포함하는 연결재(410); 및 상기 연결재(410)의 끝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이 벽체 배면 표면에 노출 되도록 위치시킨 강재로 제작된 커플러(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며, 그 설치방법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이로서 실시예 2에 있어서는 현장에서 단순 기초부(100)의 설치 작업만 완료되면, 그 시기에 맞추어 공장 등에서 미리 제작한 연결장치(400)가 설치 완료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단순 기초부(100)에 조립하여 철근콘크리트 벽체(200)를 완성시키게 되며 이러한 단계가 바로 상기 s11 단계라 할 수 있다.
상기 s22단계는 완성된 콘크리트 벽체(200) 배면에 뒷채움하고 다짐을 병행하면서 수평보강재(300)를 설치하는 공종이라 할 수 있다.
실시예 2에 있어 수평보강재(300)를 설치하는 공종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즉, 나사체결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단부는 꺽어져 고정블록(320)에 박혀지도록 제작되며, 상기 나사체결부(310) 및 고정블록(320)은 보강재(330)에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보강재(300)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결부(310)를 철근콘크리트 벽체(200)에 설치된 연결장치(400)를 구성하는 커플러(420)에 체결시킴으로서 고정블록(320)이 단부에 미리 고정된 본 발명의 수평보강재(30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합식 옹벽에 의하여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보강토 옹벽의 장점을 조합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시공성이 뛰어난 옹벽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Claims (14)
- 기초판 없이 단순 기초부에 지지되어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벽체;상기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배면토에 설치되는 봉 형태의 보강재로서, 일 단부가 후방 배면토에 고정 설치된 고정구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 단부가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연결되며, 상기 철근콘크리트 벽체와 연결되는 일 단부에는 나사체결부가 형성된 수평보강재; 및철근콘크리트 벽체 내부에 매립되어 상하방향으로 배근된 철근을 수평으로 감싸면서 끝단부가 콘크리트 벽체 배면 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연결재; 및 상기 연결재의 끝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이 벽체 배면 표면에 노출 되도록 위치시킨 커플러;를 포함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보강재의 나사체결부가 커플러의 체결공에 에 삽입,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식 옹벽.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벽체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를 조립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식 옹벽.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는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이 상면에 형성된 폭이 좁은 장방형 받침블록을 옹벽이 설치되는 길이방향으로 지반에 형성시키거나, 암반인 지반 표면에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시킨 수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식옹벽.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강재의 연결재는 양 끝단에 커플러가 일체로 형성된 ㄷ 자형 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식옹벽.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봉 형태의 수평보강재 타 단부가 내부에 박혀진 고정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식옹벽.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암반인 배면토에 미리 형성시킨 앵커홀; 수평보강재의 일 단부를 상기 앵커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앵커홀에 충전되어 경화된 충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식옹벽.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봉 형태의 수평보강재의 내구성 확보를 위한 플라스틱 관을 포함하는 피복재가 수평보강재 주위에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식 옹벽.
- 옹벽에 설치될 부위 지반 또는 수용홈이 상면에 형성된 폭이 좁은 장방형 받침블록을 포함하는 단순 기초부 위에 철근콘크리트 벽체용 철근조립체를 설치하고,상기 철근조립체를 구성하는 상하방향으로 배근된 철근을 수평으로 감싸면서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된 커플러가 양 끝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ㄷ 자형강 재인 연결재를 포함하는 연결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커플러가 벽체 배면으로 향하도록 설치하고,상기 연결장치가 설치된 철근조립체가 안쪽에 위치하도록 벽체용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고, 벽체용 거푸집을 해체시켜 상기 커플러가 벽체 배면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철근콘크리트 벽체를 형성시키고,상기 철근콘크리트 벽체 배면에 배면토를 뒷 채움 한 후 다지고 상기 다져진 배면토에, 일 단부가 배면토의 후방에 설치된 고정구에 연결되고, 나사체결부가 형성된 타 단부를 상기 커플러의 체결공에 삽입, 체결시켜 설치되는 봉 형태의 강봉 또는 강선을 포함하는 수평보강재 설치를 벽체 전체 높이까지 반복하여 최종 높이까지 옹벽이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식옹벽 시공방법.
- 옹벽에 설치될 부위에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된 단분 기초부 위에, 상하방향으로 배근된 철근을 수평으로 감싸면서 끝단부가 벽체 배면 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연결재; 및 상기 연결재의 끝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이 벽체 배면 표면에 노출 되도록 위치시킨 커플러;를 포함하는 연결장치가 내부에 미리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벽체 세그먼트를 조립하여 설치함으로서 철근콘크리트 벽체를 형성시키고,상기 벽체 배면에 뒷채움재로 뒷 채움 한 후 다지고, 상기 다져진 배면토에 나사체결부가 형성된 봉 형태의 강봉 또는 강선을 포함하는 보강재의 일 단부를 상기 커플러의 체결공에 삽입, 체결시킴과 더불어 타 단부를 배면토의 후방에 설치된 고정구에 연결시키는 수평보강재의 설치 공종을 벽체 전체 높이까지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식옹벽 시공방법.
-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체결공에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침투하지 않도록 마개를 포함하는 마감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식옹벽 시공방법.
-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전면 및 배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시킨 후 배수관을 삽입시키거나, 철근조립체 설치 시 미리 배수관을 벽체 전면으로부터 배면까지 관통하도록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식옹벽 시공방법.
-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봉 형태의 수평보강재 타 단부가 굽어져 내부에 박혀진 고정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식옹벽 시공방법.
-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암반인 배면토에 미리 형성시킨 앵커홀; 수평보강재의 일 단부를 상기 앵커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앵커홀에 충전되어 경화된 충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식옹벽 시공방법.
-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토가 좁은 배면공간에 의하여 수평 보강재의 전체 길이를 수평으로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평보강재의 중간부위를 꺽어 전체 길이를 배면토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식옹벽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4566A KR100665679B1 (ko) | 2005-09-12 | 2005-09-12 | 조합식 옹벽 및 그 설치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4566A KR100665679B1 (ko) | 2005-09-12 | 2005-09-12 | 조합식 옹벽 및 그 설치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6284U Division KR200404058Y1 (ko) | 2005-09-13 | 2005-09-13 | 조합식 옹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65679B1 true KR100665679B1 (ko) | 2007-01-09 |
Family
ID=3786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84566A KR100665679B1 (ko) | 2005-09-12 | 2005-09-12 | 조합식 옹벽 및 그 설치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65679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8790B1 (ko) | 2007-03-20 | 2009-03-13 | 주식회사 백산공영 | 사면 녹화공법 |
KR100933220B1 (ko) * | 2007-08-08 | 2009-12-22 | 이승렬 | 보강토 옹벽의 배부름 현상에 대한 보수 및 보강방법과이에 사용되는 소일네일 구조체 |
KR101301347B1 (ko) | 2013-06-04 | 2013-08-29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강재 일체형 블록,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CN105735344A (zh) * | 2014-12-08 | 2016-07-06 | 中冶天工上海十三冶建设有限公司 | 圆形基坑内衬墙钢筋绑扎的支架及内衬墙逆作法 |
KR101828576B1 (ko) * | 2017-06-29 | 2018-02-13 | (주) 태황건설 | 보강토 옹벽의 축조 구조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37336A (ja) | 1983-08-11 | 1985-02-26 | Chiyoda Tech & Ind Co Ltd | コンクリ−ト壁の構築方法 |
JPH04166514A (ja) * | 1990-10-29 | 1992-06-12 | Kyokado Eng Co Ltd | 土構造物の構築方法 |
US5407303A (en) | 1992-04-02 | 1995-04-18 | Manns; Jose E. R. | Reinforced soil structures of reinforced earth type |
US5451120A (en) | 1990-12-21 | 1995-09-19 | Planobra, S.A. De C.V. | Earth reinforcement and embankment building systems |
US5568998A (en) | 1995-02-14 | 1996-10-29 | The Tensar Corporation | Precast wall panel and grid connection device |
JPH09209364A (ja) * | 1996-02-06 | 1997-08-12 | Fujita Corp | 盛土の造成方法 |
JP2000104260A (ja) | 1998-09-29 | 2000-04-11 | Toa Harbor Works Co Ltd | 法面保護ブロックの施工方法 |
JP2003119787A (ja) | 2001-10-18 | 2003-04-23 | Kyokado Eng Co Ltd | 構造物の緑化構造 |
-
2005
- 2005-09-12 KR KR1020050084566A patent/KR1006656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37336A (ja) | 1983-08-11 | 1985-02-26 | Chiyoda Tech & Ind Co Ltd | コンクリ−ト壁の構築方法 |
JPH04166514A (ja) * | 1990-10-29 | 1992-06-12 | Kyokado Eng Co Ltd | 土構造物の構築方法 |
US5451120A (en) | 1990-12-21 | 1995-09-19 | Planobra, S.A. De C.V. | Earth reinforcement and embankment building systems |
US5407303A (en) | 1992-04-02 | 1995-04-18 | Manns; Jose E. R. | Reinforced soil structures of reinforced earth type |
US5568998A (en) | 1995-02-14 | 1996-10-29 | The Tensar Corporation | Precast wall panel and grid connection device |
JPH09209364A (ja) * | 1996-02-06 | 1997-08-12 | Fujita Corp | 盛土の造成方法 |
JP2000104260A (ja) | 1998-09-29 | 2000-04-11 | Toa Harbor Works Co Ltd | 法面保護ブロックの施工方法 |
JP2003119787A (ja) | 2001-10-18 | 2003-04-23 | Kyokado Eng Co Ltd | 構造物の緑化構造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8790B1 (ko) | 2007-03-20 | 2009-03-13 | 주식회사 백산공영 | 사면 녹화공법 |
KR100933220B1 (ko) * | 2007-08-08 | 2009-12-22 | 이승렬 | 보강토 옹벽의 배부름 현상에 대한 보수 및 보강방법과이에 사용되는 소일네일 구조체 |
KR101301347B1 (ko) | 2013-06-04 | 2013-08-29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강재 일체형 블록,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CN105735344A (zh) * | 2014-12-08 | 2016-07-06 | 中冶天工上海十三冶建设有限公司 | 圆形基坑内衬墙钢筋绑扎的支架及内衬墙逆作法 |
KR101828576B1 (ko) * | 2017-06-29 | 2018-02-13 | (주) 태황건설 | 보강토 옹벽의 축조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40716B1 (ko) |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 |
KR100756680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후인장 콘크리트 옹벽및 그 시공방법 | |
KR101105092B1 (ko) | 프리캐스트 옹벽패널 및 반건식 뒷채움을 적용한 이 프리캐스트 옹벽패널의 시공방법 | |
KR101193896B1 (ko) | 토사 일체화 합벽구조를 갖는 구조물용 피씨 월 | |
KR100665679B1 (ko) | 조합식 옹벽 및 그 설치방법 | |
KR101126666B1 (ko) | 수직배수 유도형 네일옹벽 | |
CN207862942U (zh) | 一种装配式刚柔桩及冠梁模块化基坑支护结构 | |
KR20060101186A (ko) | 네일보강 합벽식 옹벽 및 그 구축방법 | |
KR20070122190A (ko) | 배수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211469B1 (ko) |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 |
KR101101927B1 (ko) | 일부분을 pc화한 지하외벽 시공방법 | |
JP2000265484A (ja) | PCa杭地中壁による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 |
JP2000265458A (ja) | PCa杭地中壁による地下構造物の床版連結構造 | |
KR101271290B1 (ko) | 지하 매립형 조립식 저류조 | |
KR200404058Y1 (ko) | 조합식 옹벽 | |
KR200387408Y1 (ko) | 조립식 연속 기초 블록 | |
KR200420394Y1 (ko) |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 |
KR20030020818A (ko) |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제조방법 및토목구축물 | |
KR100823348B1 (ko) | 강합성옹벽 시공방법 | |
KR100859294B1 (ko) | 블럭형 옹벽을 이용한 옹벽 시공공법 | |
KR100976277B1 (ko) | 파이프앵커와 pc블록을 통한 친환경 생태옹벽 시공방법 | |
KR101195551B1 (ko) | 인장력 지지를 위한 보강 phc 파일, 이를 이용한 인장 보강 phc 파일의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 |
JP2515227B2 (ja) | 現場打ちコンクリ―ト布基礎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ト壁版との取付け方法 | |
JPS6313197Y2 (ko) | ||
JP2020090865A (ja) | 壁面構築方法および壁面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107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